[肝形象][간형상] 



肝 有二布葉七小葉 如木甲折之象
各有支絡脈居中 以宣發陽和之氣 魂之官也(內經註).
간(肝)은 2개의 퍼진 엽(布葉)과 1개의 작은 엽(小葉)으로 되어 있는데
나무껍질이 터진 모양과 같다.
엽들에는 각각 지락(支絡)과 경맥이 가운데 자리잡고 있으면서
양기(陽氣)를 고르롭게[和] 퍼지게도 하고 내보내기도 한다.
이곳에는 또한 혼(魂)이 있다[내경주].
肝重 四斤四兩 左三葉 右四葉 凡七葉 主藏魂(難經).
간의 무게는 2.4kg이다.
그리고 왼쪽에 3개의 엽, 오른쪽으로 4개의 엽으로 되어 있어 모두 7개의 엽이다.
여기에는 주로 혼(魂)이 간직되어 있다[난경].
肝有 二大葉 七小葉, 左三葉 右四葉 分兩, 如木甲折之 多葉也.(入門)
간은 2개의 큰 엽(大葉)과 7개의 작은 엽으로 되어 있는데

왼쪽에 3개의 엽, 오른쪽에 4개의 엽으로 갈라져 있어서

나무껍질이 여러 조각으로 터진 것 같다[입문].  

'[內景篇] > [肝臟]'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肝傷證][간상증]   (0) 2019.11.22
[肝臟大小][간장대소]   (0) 2019.11.22
[肝屬物類][간속물류]   (0) 2019.11.22
[肝主時日][간주시일]   (0) 2019.11.22
[肝部位][간부위]  (0) 2019.11.22

[醫當識五臟六腑


先儒 嘆世人無窮天地萬物之理,
不知我之 一身五臟六腑毛髮筋骨之所存, 況醫者乎(入門).
이전의 학자들은 “세상사람들이 천지만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데는
힘을 쓰고 있으나 자기의 몸에 있는 5장 6부와 털[毛髮]과 힘줄[筋]과
뼈[骨]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는 알지 못하고 있다”고 한탄하였다.
그런데 하물며 의사가 이것을 몰라서야 되겠는가[입문].

'[內景篇] > [五臟六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臟有官][오장유관]   (0) 2019.11.20
[五臟通七竅][오장통칠규]   (0) 2019.11.20
[臟腑有合][장부유합]   (0) 2019.11.19
[臟腑異用][장부이용]   (0) 2019.11.19
[臟腑陰陽][장부음양]   (0) 2019.11.19

[痰涎飮三者不同][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
痰者 津液之異名 人之所恃 以潤養肢體也. 

曰痰 曰飮 曰涎 又 有理一分殊之別. 

伏於包絡 隨氣上浮 客肺癰嗽而發動者 痰也.
聚於脾元 隨氣上溢 口角流出 而不禁者 涎也.
惟飮生於胃腑 爲嘔爲吐 此則胃家之病 不可不知(直指).
담이라고 하는 것은 진액을 달리 부른 이름인데 이것이 몸을 눅여 주고 영양한다.
담(痰), 연(涎), 음(飮)이라고 하였지만 그 이치는 하나인데 달리 구별하였다.
포락(包絡)에 잠복해 있던 기(氣)를 따라 폐(肺)로 들어가서 막혀 있다가
기침할 때 나오는 것이 담(痰)이고
비(脾)에 몰려 있던 것이 기를 따라 위[上]로 넘쳐 나서
입귀로 흘러 나오는 것이 연(涎)이다.
그러나 음(飮)만은 위부(胃府)에서 생겨서 토할 때 나온다.
그러므로 이것이 위(胃)의 병이라는 것을 몰라서는 안 된다[직지].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癖飮][벽음]   (0) 2019.11.14
[留飮][유음]   (0) 2019.11.14
[飮病有八][음병팔유]   (0) 2019.11.14
[王隱君痰論][왕은군담론]   (0) 2019.11.14
[痰飮分淸濁][담음분청탁]   (0) 2018.03.09

[身中津液][몸 안에 있는 진액]
[靈樞](決氣 第三十)曰 腠理發泄 汗出溱溱
是謂津 ~中略~ 津脫者 腠理開 汗大泄.
영추에는
“주리( 理)가 열려 땀이 축축하게 나는 것을 진(津)이라고 한다.
진이 많이 빠지면 주리가 열려서 땀이 많이 흐른다”고 씌어 있다.
穀入氣滿 淖澤注於骨 骨屬屈伸洩澤 補益腦髓 皮膚潤澤 是謂液 液脫者
骨屬屈伸不利 色夭腦髓 消脛痠 耳數鳴(資生).
음식물을 먹으면 기운이 충만해지고 윤택해지며 뼈에 잦아들어서 뼈들을 구부렸다
폈다 하게 하고 수분을 내보내며 뇌수(腦髓)를 좋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데
이것을 액(液)이라고 한다.
액이 많이 빠지면 뼈를 마음대로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없고 얼굴이 마르며 뇌수가
줄어들고 다리가 시글며 귀에서 소리가 자주 난다[자생].
水穀入口 輸于腸胃 其液別爲五 天寒衣薄則爲尿與氣
天熱衣厚則爲汗 悲哀氣幷則爲泣 中熱胃緩則爲唾 邪氣內逆
則氣爲之閉塞 而不行 不行則爲水脹(資生).
음식물이 입을 통해 위(胃)에 들어가서 5가지 액으로 갈라지는데
이때에 날씨가 차거나 옷을 얇게 입었으면 액이 오줌과 기로 되고
날씨가 덥거나 옷을 두텁게 입었으면 땀으로 된다.
그리고 슬퍼하는 기운이 겹치면 눈물이 되고 열을 받아 위(胃)가 늘어지면
침[唾]이 되며 사기(邪氣)가 속에 들어가서 치밀면 기가 막혀 잘 돌아가지 못한다.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면 수창증(水脹證)이 된다[자생].
腠理發泄 汗出溱溱 是謂津, 津之滲於孔竅 留而不行者 爲液(內經註).
주리( 理)가 열려 땀이 축축히 나는 것을 진(津)이라고 한다.
진이 구멍으로 스며들어가 머물러 있으면서 돌아가지 못하면 액(液)이 된다[내경주].
大腸主津 小腸主液 大腸小腸 受胃之榮氣
乃能行津液於上焦 灌漑皮毛 充實腠理.
若飮食不節 胃氣不足 大腸小腸 無所稟受 故津液凅竭焉(東垣).
대장(大腸)은 진(津)을 주관하고 소장(小腸)은 액(液)을 주관한다.
대장과 소장은 위의 영기(榮氣)를 받아서 진액을 상초로 올라가게도 하고
피모(皮毛)에 고루 보내기도 하며 주리를 든든하게 한다.
그리고 음식을 조절하지 못해서 위기(胃氣)가 부족해지면
대장과 소장이 받아들이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진액이 말라 줄어든다[동원].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盜汗][도한]   (0) 2019.11.06
[自汗][자한]   (0) 2019.11.05
[汗因濕熱][한인습열]   (0) 2019.11.05
[脈法][맥법]   (0) 2019.11.05
[腎主液][신주액]  (0) 2018.02.24

[肺主聲爲言][폐주성위언]
[經] 肺主聲 入肝爲呼 入心爲言 入脾爲歌 入腎爲呻 自入爲哭.
난경에 “폐(肺)는 소리를 주관하며 간(肝)은 소리를 받아서 외치게 하고
심(心)은 소리를 받아서 말이 되게 하고 비(脾)는 소리를 받아서 노래가 되게 하고
신(腎)은 소리를 받아서 신음소리를 내게 하고 폐 자체는 소리를 받아서 울음소리를
내게 한다”고 씌어 있다.
[又]肺邪入心 爲譫言妄語.
또한 폐의 사기(邪氣)가 심에 침입하면 헛소리와 허튼 말을 하게 된다.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鄭聲][정성]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0) 2019.11.04
[瘖不得語][음불득어]  (0) 2019.11.04
[言語譫妄] [언어섬망]   (0) 2018.02.23

[聲音出於腎][목소리[聲音]는 신(腎)에서 나온다는 것]
心爲聲音之主 肺爲聲音之門 腎爲聲音之根,
風 寒 暑 濕 氣血 痰 熱邪氣 有干於心肺者
病在上脘 隨證解之 邪氣散則天籟鳴矣.
若夫腎虛爲病 不能納 諸氣以歸元 故氣逆而上 咳嗽痰壅
或喘或脹 胸腹百骸俱爲之牽掣(牽制)
其嗽愈重 其氣愈乏 其聲愈乾矣(直指).
심(心)은 목소리를 주관하고 폐는 목소리의 문이며 신은 목소리의 근원이다.
풍(風), 한(寒), 서(暑), 습(濕), 기(氣), 혈(血), 담(痰), 열(熱) 등
사기(邪氣)가 심폐(心肺)에 침입하면 상완(上脘)에 병이 생기는데
증상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
사기를 없애면 목소리가 나온다.
만약 신이 허해서 병이 생기면 모든 기를 받아들였다가 제자리로
돌려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기운이 치밀어 오른다.
그러므로 기침이 나고 담이 뭉치며 혹은 숨차거나 가슴이 벅차고
가슴과 배, 온몸의 뼈가 다 켕긴다.
기침이 심하면 기운이 더 부족해져서 소리가 더 작아진다[직지].
一小兒 吐瀉,
[錢氏]與[瓜蔞湯]方見 小兒門 得愈 其兒又不大便,
他醫 以藥利之 變身冷不飮食
錢氏 用[益黃散] [使君子丸] 果身溫 而能飮食 其兒又不語
[錢氏]曰 此因凉藥利小便 致脾腎俱虛 今脾已實 腎尙虛
用[六味地黃元]方見虛勞 日月而痊(錢乙)
어떤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하였다.
그리하여 전씨(錢氏)가 과루탕(瓜蔞湯)을 썼는데 나았다.
그 어린이가 또 대소변을 보지 못하게 되자 다른 의사가 약으로 설사시켰는데
몸이 차지고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되었다.
전씨가 익황산과 사군자환을 쓰자 비로소 몸이 더워지고 음식을 먹게 되었다.
또한 그 어린이가 말을 못하게 되었을 때
전씨가 “이것은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오줌을 누게 하여
비(脾)와 신(腎)이 다 허해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보면 비는 이미 실해졌으나 신이 아직 허하다”고 하면서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을 1달 동안 썼는데 나았다[전을].
腎虛聲不出 宜服[人蔘平補湯],
大病後失音 宜服[腎氣丸]方見虛勞(直指)
신(腎)이 허해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데 인삼평보탕을 먹이는 것이 좋고
중병을 앓은 뒤에 말을 못하는 데는 신기환을 먹는 것이 좋다.    

'[內景篇] > [聲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瘖瘂有二][음아유이]  (0) 2019.11.02
[厥氣爲瘖][궐기위음]   (0) 2019.11.02
[因雜病失音][인잡병실음]   (0) 2019.11.02
[卒然無音][졸연무음]   (0) 2019.11.01
[聽聲音辨病證][청성음변병증]   (0) 2018.02.21

[魂魄爲夢][정신이 꿈이 된다]
凡夢皆緣 魂魄役物 又曰 形接而爲事 神遇而爲夢(類聚).
대체로 꿈은 다 정신이 사물과 작용하여 생긴다.
또한 형체가 사물과 접촉하면 일이 생기고 정신이 사물과 작용하면 꿈이 된다[유취].
古之眞人 其寢不夢 寢不夢者 神存故也(正理).
옛날에 진인(眞人)은 잠을 자면서 꿈을 꾸지 않았다.
잠을 자면서 꿈을 꾸지 않는 것은 정신이 온전하기 때문이다[정리].
心實則夢 可憂, 可驚, 可怪之事.
虛則魂魄飛揚 紛紜多夢 宜別離散 益氣安神湯(入門).
심(心)이 실(實)하면 근심하거나 놀라거나 괴상한 꿈을 꾼다.
심이 허(虛)하면 혼백이 들뜨기 때문에 복잡한 꿈을 많이 꾼다.
이때에는 별리산, 익기안신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邪客 使魂魄不安者 血氣少也.
血氣少者 屬於心 心氣虛者 其人多畏合目欲眠 夢遠行
而精神離散 魂魄妄行 陰氣衰者 爲癲 陽氣衰者 爲狂(仲景).
사기가 침범하면 정신이 불안해지는 것은 혈기(血氣)가 적기 때문이다.
혈기가 적은 것은 심(心)에 속한다.
심기(心氣)가 허하면 흔히 두려워하고 눈을 감고 있으며 자려고만 하고
먼 길을 가는 꿈을 꾸며 정신이 흩어지고 꿈에 허투루 돌아다닌다.
음기가 쇠약하면 전증이 생기고 양기가 쇠약하면 광증(狂證)이 생긴다[중경].   

[陰血生於水穀][음혈(陰血)은 음식물[水穀]에서 생긴다]
靈樞(決氣 第三十)曰 中焦受氣 變化而赤 是謂血.
又(營衛生會 第十八)曰 榮出於中焦.
又(經脈 第十)曰 穀入於胃 脈道乃行 水入於經 其血乃成.
영추에는 “중초가 음식물의 기를 받아서 그것을 붉게 변화시킨 것이 혈(血)이다.
또한 영(榮)도 중초에서 생긴다.
그리고 음식이 위(胃)에 들어가야 맥이 통하고

물이 경맥(經脈)에 들어가야 혈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內經(痺論篇 第四十三)曰 榮者 水穀之精氣也.
和調於五藏 灑陳於六府 乃能入於脈也

故循脈上下 貫五藏 絡六府也.
내경에는 “영(榮)은 음식물의 정기인데 5장에서 고르게 되고

6부에서 못쓸 것을 버린 다음에 맥으로 들어간다.
영은 맥을 따라 아래 위로 돌면서 5장과 6부를 서로 통하게 한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情動血][칠정동혈]   (0) 2019.10.22
[熱能傷血][열능상혈]   (0) 2019.10.22
[脈法][맥법]   (0) 2019.10.22
[血爲氣配][혈위기배]   (0) 2019.10.22
[血爲榮][혈위영]   (0) 2018.02.16

[神爲一身之主][신은 온몸을 주관한다]

[內經](靈蘭秘典論篇 第八)曰 心者 君主之官 神明出焉.

내경에는 ()은 군주지관으로서 신명(神明)이 여기서 나온다고 씌어 있다.


[無名子]曰 天一生水 在人曰精 地二生火 在人曰神.

무명자(無名子)는 하늘이 처음 물을 내었는데 사람에게 있어서 정()이다.

땅이 두번째로 불을 내었는데 사람에게 있어서 신()이다고 하였다.


[回春]曰 心者一身之主 淸淨之府 外有包絡 卄之

其中精華之聚萃者 名之曰神 通陰陽 察纖毫 無所紊亂.

회춘에는 심은 온몸을 주관하고 깨끗하게 하는 곳이다.

겉부분에는 포락(包絡)이 둘러싸여 있고 그 한가운데에 정화(精華)가 모여 있는데

그것을 신()이라고 한다.

신은 음과 양에 모두 통하고 있으면서 섬세한 것까지 살피며 문란한 것이 없다고 씌어 있다.


[邵子]曰 神統於心 氣統於腎 形統於首 形氣交而神 主乎其中 三才之道也.

소자(邵子)는 ()은 심()의 통제를 받고 기()는 신()의 통제를 받으며 

형체는 머리의 통제를 받는다.

형체와 기가 배합되고 신이 주관하기 때문에 이것이 

즉 삼재지도(三才之道)이다고 하였다.


內經(八正神明論篇 第二十六)曰 太上養神 其次養形

故養神者 必知形之肥瘦 榮衛血氣之盛衰 血氣者 人之神 不可不謹養也.

내경에는 제일 좋은 것은 신()을 보양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형체를 보양하는 것이다.

때문에 신()을 보양하는 사람은 반드시 몸이 살찌고

여윈 것과 영위(榮衛), 혈기가 왕성하고 쇠약해지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혈기(血氣)란 것은 사람의 신()이다.

때문에 이것을 아끼고 보양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씌어 있다.


[註]云 神安則壽延 神去則形獘 故不可不謹養也.

주해에는 신이 편안하면 오래 살고 신이 없어지면 육체도 없어진다.

그러므로 아끼고 보양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藏氣絶則神見於外][장기절칙신견어외]   (0) 2019.10.13
[五藏藏七神][오장장칠신]   (0) 2019.10.13
[人身神名][인신신명]   (0) 2019.10.10
[心藏神][심장신]   (0) 2019.10.10
[五味生神][오미생신]   (0) 2018.02.12

[氣爲精神之根蔕][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다]

[東垣]曰 氣者 神之祖 精乃氣之子 精神者 氣之根蔕也.

동원은 기는 신()의 조상격이 되고 정()은 기의 아들격이 된다.

그러므로 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 된다고 하였다.

[茅眞君]曰 氣是添年藥 心爲使氣神 若知行 氣主 便是得仙人(養性).

모진군은 ()란 오래 살게 하는 약이고 심()은 기()와 신()을 주관한다.

만약 기가 주가 되어 돌아가는 것을 안다면 곧 신선이 될 사람이다고 하였다[양성].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氣爲衛 衛於外][기위위 위어외]  (0) 2019.09.26
[氣生於穀][기생어곡]   (0) 2018.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