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厚朴湯][후박탕]
治虛寒, 心腹滿痛.
厚朴, 陳皮 各二錢,
赤茯苓, 乾薑 炮, 甘草 灸 各一錢.
右剉, 水煎服之[東垣].
허하고 차서 가슴과 배가 그득하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후박, 진피 각 두 돈,
적복령,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구운 것)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厚朴湯][후박탕]
治虛寒心腹滿痛.
厚朴 陳皮 各8g
赤茯苓 乾薑炮 甘草灸 各4g.
爲剉 水煎服之(東垣).
허하고 차서 가슴과 배가 그득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후박, 귤껍질(陳皮) 각각 8g,
벌건솔풍령(적복령),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厚朴湯][후박탕]
治大便虛秘
白朮80g, 厚朴5g,
陳皮 甘草 半夏麴 枳實 各4g
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服(易老).
허해서 변비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8g, 후박 5.2g,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반하국 3.6g, 지실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역로].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
民病飱泄 霍亂 體重 腹痛 筋骨繇倂肌肉瞤痠 善怒
白朮 厚朴 半夏 桂心 藿香 靑皮 各4g
乾薑炮 甘草灸 各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服.(三因).
흰삽주(백출), 후박, 끼무릇(반하), 계심, 곽향, 선귤껍질(청피) 각각 4g,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梔子厚朴湯][치자후박탕]
治傷寒 下後心煩 腹滿 臥起不安
梔子6g 厚朴12g 枳實8g 剉作一貼 水煎服(仲景).
상한 때 설사시킨 다음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그득하며
누우나 앉으나 편안치 않은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 6g, 후박 12g, 지실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중경].
[七物厚朴湯][칠물후박탕]
治熱脹
厚朴12g, 枳實6g
大黃 甘草 各4g
桂心2g
剉作一貼 入薑五棗二 煎服(得效).
열창을 치료한다.
후박 12g, 지실 6g, 대황, 감초 각각 4g, 계심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通治脹滿諸證.
半夏4g
厚朴 神麴 各3g
蘇木 紅花 三菱 當歸稍 猪苓 升麻 肉桂 蒼朮 白茯苓 澤瀉 柴胡 陳皮
生黃芩 草豆蔲 生甘草 木香 靑皮 吳茱萸 黃連 乾生薑 各2g
桃仁7箇 昆布少許
剉作一貼 水煎服(東垣).
창만 때의 여러 가지 증상을 다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4g, 후박 3.2g, 약누룩(신국) 2.4g,
소목, 잇꽃(홍화) 각각 2g,
삼릉, 당귀(잔뿌리), 저령, 승마 각각 1.6g,
육계, 삽주(창출),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시호, 귤껍질(陳皮),
속썩은풀(황금, 생것), 초두구, 감초(생것) 각각 1.2g,
목향, 선귤껍질(靑皮) 각각 0.8g,
오수유, 황련, 생강(말린 것) 각각 0.4g,
복숭아씨(도인) 7알, 다시마(곤포) 조금.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厚朴湯][후박탕]
治大便虛秘.
白朮 二錢, 厚朴 一錢三分,
陳皮, 甘草 各一錢,
半夏麴 九分,
枳實 八分.
右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易老].
허하여서 생긴 변비를 치료한다.
백출 두 돈,
후박 한 돈 서 푼,
진피, 감초 각 한 돈,
반하국 아홉 푼,
지실 여덟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역로』).
[平胃散][평위산]
治脾胃不和 不思飮食 心腹脹痛 嘔噦惡心 噫氣呑酸
面黃肌瘦 怠惰嗜臥 常多自利 或發霍亂 及五噎八痞
膈氣反胃 等證.
蒼朮8g, 陳皮6g, 厚朴4g, 甘草2g.
剉作一貼 生薑三片 大棗二枚.
水煎服或爲末 取8g 薑棗湯 點服(入門).
비위가 고르지 못하여 음식 생각이 없고 명치 아래가 불러 오르고 아프며
구역과 딸꾹질이 나고 메스꺼우며 트림이 나면서 신물이 올라오고
얼굴빛이 누렇게 되며 몸이 여위고 노곤해서 눕기를 좋아하며
자주 설사를 하는 것과 혹 곽란( 亂)과 5열(五 ), 8비(八 ), 격기(膈氣),
반위증(反胃證) 등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귤껍질(陳皮) 5.6g, 후박 4g, 감초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과 대추를 달인 물에 타 먹기도 한다[입문].
[平胃散][평위산]
和脾健胃能進飮食盖內傷病脾胃中有宿食
故不嗜食用此藥平其胃氣則自然思食(方見五藏)
若加茯巔丁香白朮爲[調胃散]
加乾薑爲[厚朴湯]
與五巔散相合爲[胃巔湯]
與六一散相合爲[黃白散]
加藿香半夏爲[不換金正氣散][海藏]
비(脾)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든든하게 하여 음식을 잘 먹게 한다.
대개 내상병(內傷病)으로 비위에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남아있어서
입맛을 잃는 것이다.
이 약을 먹어서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면 자연히 음식생각이 난다
(처방은 5장문에 있다).
평위산에 흰솔풍령(백복령), 정향, 흰삽주(백출)를 더 넣은 것은
조위산(調胃散)이라 한다.
평위산에 건강을 더 넣은 것을 후박탕(厚朴湯)이라 한다.
평위산에 오령산(五 散)을 넣어 합한 것을 위령탕(胃 湯)이라
한다.
평위산에 육일산(六一散)을 넣어 합한 것을 황백산(黃栢散)이라
한다.
평위산에 곽향과 끼무릇(반하)을 더 넣은 것을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이라 한다[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