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焦病治法][삼초병치법]
內經曰, 三焦者, 決瀆之官, 水道出焉.
盖三焦爲上中下水穀之道路, 其病宜通利大小便.
내경에서는 "삼초는 도랑을 터주는 기관[決瀆之官]으로,

물길[水道]이 여기에서 나온다"고 하였는데,

삼초는 상초, 중초, 하초로 이루어진 수곡이 지나가는 길이다.

병이 생기면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여야 한다.
宜用枳殼丸, 木香檳榔丸, 三和散 方見氣門.
지각환, 목향빈랑환, 삼화산(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內景篇] > [三焦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焦病證][삼초병증]   (0) 2019.12.06
[三焦外候][삼초외후]  (0) 2019.12.06
[三焦傳受][삼초전수]   (0) 2019.12.06
[三焦部位][삼초부위]   (0) 2019.12.06
[三焦形象][삼초형상]   (0) 2017.05.19

[三焦病證][삼초병증]
三焦病者, 腹氣滿, 小腹尤堅, 不得小便窘急, 溢則水留卽爲脹.

삼초에 병이 있으면 배에 기가 꽉 차서 그득하며,

아랫배가 몹시 단단하고 오줌이 나오지 않아 안절부절못하는데,

넘쳐서 물이 고이면 창(脹)이 된다.

小腹痛腫, 不得小便, 邪在三焦約也[靈樞].

아랫배가 아프면서 붓고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은 사기가 삼초를 묶은 것[約]이다(영추).

上焦如霧, 霧不散則爲喘滿, 此出而不納也.

中焦如漚, 漚不利則爲留飮, 留飮不散, 久爲中滿, 此上不能納下不能出也.

下焦如瀆, 瀆不利則爲腫滿, 此上納而下不出也[海藏].

상초는 안개 같아서 안개가 흩어지지 않으면 숨이 가쁘고 가슴이 답답한데,

이것은 내보내기만 하고 받아들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중초는 물거품 같아서 물거품이 잘 흘러가지 않으면 유음(留飮)이 되고,

유음이 흩어지지 않고 오래되면 배가 그득하게 불러오르는데,

이것은 위로도 받아들일 수 없고 아래로도 내보낼 수 없기 때문이다.

하초는 도랑 같아서 도랑이 잘 흐르지 않으면 붓고 그득한데,

이것은 위로 받아들이기만 하고 아래로 내보내지 않기 때문이다(해장).

下焦溢爲水[內經].

하초가 넘치면 수병(水病)이 된다(내경).

三焦爲丙火之府, 故其發也, 爲無根之相火[入門].

삼초는 병화(丙火)의 부(腑)이므로 화(火)가 생기면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는 상화[無根之相火]가 된다(입문).  

'[內景篇] > [三焦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焦病治法][삼초병치법]   (0) 2019.12.06
[三焦外候][삼초외후]  (0) 2019.12.06
[三焦傳受][삼초전수]   (0) 2019.12.06
[三焦部位][삼초부위]   (0) 2019.12.06
[三焦形象][삼초형상]   (0) 2017.05.19

[三焦外候][삼초외후]  
鼻柱中央起, 三焦乃約[靈樞].
콧마루의 가운데가 튀어나온 것은 삼초[의 상태]가 좋은[約] 것이다(영추).
三焦外候, 詳見膀胱府.
삼초의 상태가 겉으로 드러나는 증후는 방광부에 자세히 나온다.

'[內景篇] > [三焦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焦病治法][삼초병치법]   (0) 2019.12.06
[三焦病證][삼초병증]   (0) 2019.12.06
[三焦傳受][삼초전수]   (0) 2019.12.06
[三焦部位][삼초부위]   (0) 2019.12.06
[三焦形象][삼초형상]   (0) 2017.05.19

[三焦傳受][삼초전수]
上焦出於胃上口, 並咽以上貫膈而布胸中, 走腋, 循太陰之分而行,

還至陽明, 上至舌, 下足陽明, 常與榮俱行於陽二十五度.

行於陰亦二十五度爲一周, 而復大會於手太陰, 命曰衛氣也
상초의 기(氣)는 위(胃)의 윗구멍에서 나와 인(咽)과 나란히 올라가 횡격막을 뚫고

가슴에 퍼지며 겨드랑이로 가서 태음경(太陰經)을 따라 그 영역을 돌고

다시 양명경으로 돌아와 위로 혀에 다다른다.

다시 족양명경으로 내려가 항상 영기(榮氣)와 함께 낮에는 양분(陽分)을 25회 돌고

밤에는 음분(陰分)을 25회 돌아 온몸을 한바퀴 돌고 수태음경과 다시 만난다.

이를 위기(衛氣)라고 한다.
中焦亦並胃中, 出上焦之後.

此所受氣者, 泌糟粕蒸津液, 化其精微, 上注於肺脉,

乃化而爲血, 以奉生身, 莫貴於此, 故獨得行於經隧, 命曰榮氣.
중초의 기(氣)도 [상초의 기와] 함께 위에서 나오는데,

상초의 기가 나간 다음에 중초의 기가 나온다.

여기에서 받은 기는 찌꺼기를 거르고 진액을 잘 쪄서,

그 가운데 정미로운 것은 폐맥(肺脈)으로 올려보내

혈(血)이 되게 함으로써 온몸을 받드니 이보다 귀중한 것은 없다.

따라서 혼자서 경수(經隧)를 돌아다닐 수 있는데, 이를 영기(榮氣)라고 한다.
下焦者, 別廻腸, 注於膀胱而滲入焉.

故水穀者, 常並居於胃中, 成糟粕而俱下於大腸, 而成下焦,

滲而俱下, 濟泌別汁, 循下焦而滲入膀胱焉[靈樞].
하초의 기(氣)는 회장(廻腸)에서 나뉘어 방광으로 스며들어간다.

그러므로 수곡은 항상 위 속에 머물러 찌꺼기가 되어 모두 대장으로 내려가며,

하초에서 이루어져 함께 아래로 내려가는데,

그 즙은 여과되어 [맑고 탁한 것이 구별되며] 하초를 돌아 방광으로 스며든다(영추).
上焦如霧者氣, 下焦如瀆者血也, 中焦者氣血之分也[東垣].
상초의 안개 같은 것은 기이고,

하초의 도랑 같은 것은 혈이며,

중초는 기와 혈이 나뉘는 곳이다(동원).
心肺若無上焦, 何以宗主榮衛.

脾胃若無中焦, 何以腐熟水穀.

肝腎若無下焦, 何以疎決津液.

無形而有用, 主持諸氣.

三焦者, 水穀之道路, 氣之所終始也[入門].
상초가 없다면 심폐가 어떻게 영위(榮衛)를 거느려 다스리겠는가.

중초가 없다면 비위가 어떻게 수곡을 삭이고 숙성시키겠는가.

하초가 없다면 간신(肝腎)이 어떻게 진액을 잘 터줄 수 있겠는가.

삼초는 모습은 없고 작용만 있지만 모든 기를 보존한다.

삼초는 수곡이 다니는 길이며, 기가 끝나고 시작하는 곳이다(입문).  

'[內景篇] > [三焦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焦病治法][삼초병치법]   (0) 2019.12.06
[三焦病證][삼초병증]   (0) 2019.12.06
[三焦外候][삼초외후]  (0) 2019.12.06
[三焦部位][삼초부위]   (0) 2019.12.06
[三焦形象][삼초형상]   (0) 2017.05.19

[三焦部位][삼초부위]
上焦者在心下下膈, 在胃上口, 主內而不出,

其治在膻中, 玉堂 穴名 下一寸六分, 直兩乳間陷者是.
상초는 명치끝 아래의 격(膈)과 위(胃)의 위쪽 입구에 있는데

받아들이기만 하고 내보내지는 않으며,

그 치료는 전중혈(膻中穴)에서 하는데,

옥당(玉堂, 혈명이다) 밑 한 치 여섯 푼, 양 젖꼭지 사이의 옴폭 들어간 곳이다.
中焦者在胃中脘 穴名 不上不下, 主腐熟水穀, 其治在臍傍.
중초는 위(胃)와 중완(혈명이다)에서 올라가지도 않고 내려가지도 않은 곳에 있으면서

수곡을 삭이고 숙성시키며, 그 치료는 배꼽 옆에서 한다.
下焦者在臍下, 當膀胱上口, 主分別淸濁, 主出而不納, 以傳導也,

其治在臍下一寸[難經].
하초는 배꼽 밑, 방광 윗구멍의 위치에 해당하는데,

맑고 탁한 것을 나누며 내보내기만 하고 거두어들이지는 않음으로써 내보낸다[傳導].

그 치료는 배꼽 밑 한 치에서 한다(난경).
頭至心爲上焦, 心至臍爲中焦, 臍至足爲下焦[海藏].
머리에서 명치[心]까지가 상초이고, 명치에서 배꼽까지가 중초이며,

배꼽에서 발까지가 하초이다(해장).
三焦之府在氣衝 穴名, 氣衝乃陰陽道路,

足陽明之所發, 主腐熟水穀之氣,

三焦發用, 貫通十二經絡, 往來上下, 營運氣血,

是知氣衝爲三焦行氣之府也[入門].
삼초라는 부(腑)는 기충(氣衝, 혈명이다) 부위에 있는데,

기충은 음양이 다니는 길이고 족양명이 나오는 곳이다.

족양명경은 수곡을 삭이고 숙성시켜 나온 기를 주관하는데,

삼초가 십이경락에 두루 통하게 하여 위아래로 돌아다니며

기혈(氣血)을 운영하고 제대로 돌게 한다.

이것으로 기충이 삼초의 기를 돌게 하는 부(腑)라는 것을 알 수 있다(입문).
上中下三焦通爲一氣, 衛於身也.

三焦非正府也, 無形而有用[東垣].
상중하 삼초는 모두 하나의 기(氣)로 온몸을 지킨다.

삼초는 온전히 갖추어진 부가 아니기 때문에 모습은 없고 작용만 있다(동원).

'[內景篇] > [三焦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焦病治法][삼초병치법]   (0) 2019.12.06
[三焦病證][삼초병증]   (0) 2019.12.06
[三焦外候][삼초외후]  (0) 2019.12.06
[三焦傳受][삼초전수]   (0) 2019.12.06
[三焦形象][삼초형상]   (0) 2017.05.19

[三焦形象][삼초형상]  


上焦如霧 中焦如漚 下焦如瀆(靈樞 營衛生會 第十八).
상초(上焦)는 안개와 같고 중초(中焦)는 거품과 같으며 하초는 도랑과 같다[영추].
上焦 主出陽氣 溫於皮膚 分肉之間 若霧露之漑焉 故曰 上焦如霧.
상초는 주로 양기(陽氣)를 내서 피부와 살 사이를 따뜻하게 하는데
안개나 이슬이 잦어드는 것과 같이하므로 상초를 안개 같다고 한다.
中焦 主變化 水穀之味 其精微 上注於肺 

化而爲血 行於經隧 以榮五藏 周身 故曰 中焦如漚 
중초(中焦)는 음식물의 맛을 정미(精微)한 기운으로 변화시켜서
위[上]로 폐(肺)에 보내어 혈(血)이 되게 한다.
그리고 그것을 경맥 속으로 돌게 하여 5장과 온몸을 영양[榮]하게 한다.
그러므로 중초를 거품 같다고 한다.
下焦 主通利 溲便 以時傳下 出而不納 開通秘塞 故曰 下焦如瀆(入門).
하초(下焦)는 오줌과 대변을 때맞추어 잘 나가게만 하고 들어오지는 못하게 한다.
그리고 막힌 것을 열어서 잘 통하게 한다.
그러므로 하초를 도랑 같다고 한다[입문].
三焦 指腔子而言 包含乎腸胃之總司也.
胸中肓膜之上 曰上焦 肓膜之下 臍之上 曰中焦 臍之下 曰下焦.
3초란 몸 속[腔子]을 가리켜 하는 말인데
창자[腸胃]까지 포함하여 맡아 보는 기관[總司]이다.
가슴과 가름막 위를 상초라고 하고 가름막 아래와 배꼽 위를 중초라고 하며
배꼽 아래를 하초라고 한다.
總名曰三焦(正傳).
이것을 통틀어 3초(三焦)라고 한다[정전].  

'[內景篇] > [三焦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焦病治法][삼초병치법]   (0) 2019.12.06
[三焦病證][삼초병증]   (0) 2019.12.06
[三焦外候][삼초외후]  (0) 2019.12.06
[三焦傳受][삼초전수]   (0) 2019.12.06
[三焦部位][삼초부위]   (0) 2019.1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