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病通治藥餌][신병통치약이]
牛黃淸心元, 八物定志元, 十四友元, 朱砂安神丸, 平補鎭心丹, 育魂丹, 丑寶丸, 安神丸,

琥珀定智丸, 天王補心丹, 金箔鎭心丸, 辰砂寧志丸, 加味寧神丸, 辰砂妙香散, 加減溫膽湯,

補心丸, 皆通治心神之病[諸方].
우황청심원, 팔물정지원, 십사우원, 주사안신환, 평보진심단, 육혼단, 축보환, 안신환,

호박정지환, 천왕보심단, 금박진심환, 진사영지환, 가미영신환, 진사묘향산, 가감온담탕,

보심환이 심신(心神)의 병을 두루 치료한다(제방).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病用藥訣][신병용약결]  (0) 2019.10.15
[神病不治證][신병불치증]  (0) 2019.10.15
[五志相勝爲治][오지상승위치]   (0) 2019.10.15
[脫營失精證][탈영실정증]   (0) 2019.10.15
[大下愈狂][대하유광]   (0) 2019.10.15

[神病用藥訣][신병용약결]  
人之所主者心, 心之所養者血, 心血一虛, 神氣不守, 此驚悸之所肇端也.

驚者, 恐怖之謂.

悸者, 怔忪之謂. 驚者與之豁痰定驚之劑, 悸者與之逐水消飮之劑.

怔忪, 卽怔忡也[直指].

사람을 주재하는 곳은 심(心)이고 심을 기르는 것은 혈(血)인데,

심과 혈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허하면 신기(神氣)가 제자리를 지키지 못한다.

이것이 경계가 생기는 원인이다.

경(驚)은 두려워하는 것을 말하며, 계(悸)는 심장이 뛰는 것을 말한다.

경에는 담을 삭이고 놀란 것을 안정시키는 약을 주어야 하고,

계에는 수를 몰아내고[逐水] 음(飮)을 없애는 약을 주어야 한다.

정종은 바로 정충이다(직지).


健忘者, 心脾二藏血少神虧故也. 宜養血安神以調之[醫鑑].

건망증은 심(心)과 비(脾), 두 장(臟)의 혈(血)이 적고

신(神)이 모자라기 때문에 생기므로 혈을 기르고 신을 편안하게 하여 다스린다(의감).


狂爲痰火實盛, 癲爲心血不足, 多爲求望高遠, 不得志者有之.

癎病, 獨主乎痰, 因火動之所作也.

治法, 癎宜乎吐, 狂宜乎下, 癲則宜乎安神養血, 兼降痰火[正傳].

광(狂)은 담화(痰火)가 너무 성하여서 생기고 전(癲)은 심혈(心血)이 부족하여서 생기는데,

대개 높고 원대한 꿈을 가졌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여 생긴다.

간병(癎病)은 오직 담에서 생기는데, 이 담은 화(火)가 움직여서 만들어진 것이다.

치료 방법은 간(癎)은 토하게 하고, 광(狂)은 설사[下]시켜야 하며,

전(癲)은 신(神)을 편안하게 하고 혈(血)을 기르면서 담화(痰火)를 내려야 한다(정전).


癲狂久不愈, 三聖散吐之 方見吐門, 後用三承氣湯 方見寒門 大下之[保命].

전광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삼성산(처방은 토문에 있다)으로 토하게 한 다음

세 가지 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으로 크게 설사시킨다(보명).


河間曰, 五志過極, 皆爲火也.

盖氣爲陽而主輕微, 諸所動亂勞傷, 皆爲陽化之火.

神狂氣亂而爲病, 熱者多矣.

하간은 "다섯 가지 지(志)가 너무 지나치면 모두 화(火)가 된다.

기는 양이어서 가볍고 미세한 것을 주관하는데, 어지럽게 움직이고

지나치게 힘을 써 상하면 양이 그것을 변화시켜 화(火)가 된다.

그래서 신(神)이 미치고 기가 어지러워져서 병이 된 것은 대개 열이 많다"고 하였다.


子和曰, 河間治五志, 獨得言外之意.


凡見喜怒悲思恐之證, 皆以平心火爲主.

至於勞者傷於動, 動便屬陽.

驚者駭於心, 心便屬火.

二者亦皆以平心火爲主也[丹心].

자화는 "하간은 다섯 가지 지를 치료하는 데 있어 혼자만이 그 깊은 뜻을 알았다.

기뻐하는 것, 화내는 것, 슬퍼하는 것, 생각하는 것,

두려워하는 것 때문에 생긴 증상은 모두 심화(心火)를 고르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정신이 피곤한 것은 정신을 지나치게 요동시켜[動] 상한 것으로,

요동하는 것은 양(陽)에 속한다.

놀라는 것은 심에서 놀라는 것으로, 심 또한 화(火)에 속한다.

이 두 가지 역시 심화를 고르게 하는 치료법을 쓴다"고 하였다(단심).   

[神病不治證][신병불치증]
內經曰, 得神者昌, 失神者亡.

失神者, 謂失精神而昏亂者也.

내경에서는 "신(神)이 있으면 살고, 신이 없으면 죽는다"고 하였는데,

신이 없다는 것은 정(精)과 신이 없어 혼란한 것을 말한다.


靈樞曰, 癲疾嘔多沃沫, 氣下泄, 不治.

 영추에서는 "전질(癲疾)에 게거품을 많이 토하고 기가 아래로 빠져나가면 치료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癲癎之病, 乍作乍醒者, 甦. 不食迷痴者, 死[得效].

전간이라는 병은 발작하였다가 깨어나면 살고, 밥을 먹지 않고 바보같이 되면 죽는다(득효).


凡癲狂癎之病, 若神脫而目瞪如愚痴者, 不可治[正傳].

전(癲), 광(狂), 간(癎)이라는 병은 신이 빠져나가 모자란 사람처럼 멍한 눈이 되면 치료할 수 없다(정전).

靈樞曰, 癲疾者, 疾發如狂, 死不治.

영추에서는 "전질이 광(狂)처럼 발작하면 죽어도 고치지 못한다"고 하였다.

[五志相勝爲治][오지상승위치]
內經曰, 肝在志爲怒, 怒傷肝, 悲勝怒.

心在志爲喜, 喜傷心, 恐勝喜.

脾在志爲思, 思傷脾, 怒勝思.

肺在志爲憂, 憂傷肺, 喜勝憂.

腎在志爲恐, 恐傷腎, 思勝恐.

내경에서는 "간의 지(志)는 화를 내는 것이다.

지나치게 화를 내면 간을 상하는데, 슬퍼하는 것[金]이 화내는 것[木]을 이긴다.

심의 지는 기뻐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기뻐하면 심을 상하는데, 두려워하는 것[水]이 기뻐하는 것[火]을 이긴다.

비(脾)의 지는 골똘히 생각하는 것이다.

골똘히 생각하면 비를 상하는데, 화내는 것[木]이 생각하는 것[土]을 이긴다.

폐의 지는 걱정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걱정하면 폐를 상하는데, 기뻐하는 것[火]이 걱정하는 것[金]을 이긴다.

신의 지는 두려워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두려워하면 신을 상하는데, 생각하는 것이 두려워하는 것을 이긴다"고 하였다. 


丹溪曰, 五志之火, 鬱而成痰爲癲狂, 宜以人事制之.

如怒傷肝者, 以憂 一作悲 勝之, 以恐解之.

喜傷心者, 以恐勝之, 以怒解之.

思傷脾者, 以怒勝之, 以喜解之.

憂傷肺者, 以喜勝之, 以思解之.

恐傷腎者, 以思勝之, 以憂解之.

驚傷膽者, 以憂勝之, 以恐解之.

悲傷心包者, 以恐勝之, 以怒解之.

此法惟賢者能之.

단계는 "다섯 가지 지(志)의 화(火)가 뭉쳐 담을 만들어 전광(癲狂)이 되면 인간 관계[人事]로써 다스려야 한다.

지나치게 화를 내어 간을 상하면 걱정하게 하여(어떤 곳에서는 슬퍼하게 한다고 하였다) 누르고 두려워하게 하여 풀어준다.

지나치게 좋아하여 심을 상하면 두려워하게 하여 누르고 화내게 하여 풀어준다.

골똘히 생각하여 비를 상하면 화내게 하여 누르고 좋아하게 하여 풀어준다.

지나치게 걱정하여 폐를 상하면 좋아하게 하여 누르고 화내게 하여 풀어준다.

지나치게 두려워하여 신을 상하면 잘 생각하게 하여 누르고 걱정하게 하여 풀어준다.

지나치게 놀라 담(膽)을 상하면 걱정하게 하여 누르고 두려워하게 하여 풀어준다.

지나치게 슬퍼하여 심포(心包)를 상하면 두려워하게 하여 누르고 화내게 하여 풀어준다.

이러한 치료 방법은 현명한 사람만이 할 수 있다"고 하였다.

一婦人, 飢不欲食, 常好怒罵, 欲殺左右, 惡言不輟, 衆醫不效.

戴人視之曰, 此難以藥治.

乃使二娼各塗丹粉, 作伶人狀, 其婦大笑.

次日又作角觝, 又大笑.

其傍常以兩箇能食之婦, 誇其食美, 病婦亦索食而爲一嘗之.

不數日怒減食增, 不藥而差. 後生一子.

夫醫貴有才, 無才則何以應變無窮[子和].
어떤 부인이 배가 고파도 먹을 생각을 않고 늘 화를 내고 욕을 하며 주위 사람을 죽이려 하고 듣기 싫은 소리를 그치지 않아 여러 의사가 치료를 하였지만 효과가 없었다.

장종정이 이를 보고 "이것은 약으로 치료하기가 어렵다"고 하면서 기생 두 명을 울긋불긋하게 화장하여 몸종으로 삼자 부인이 크게 웃었다.

다음날 또 두 사람으로 하여금 씨름을 하게 하자 크게 웃었다.

그리고 잘 먹는 부인을 늘 양 옆에 두고 맛있다고 자랑하게 하였더니 환자가 음식을 찾아 하나씩 맛보기 시작하였다.

며칠이 지나지 않아 화내는 것이 줄고 먹는 양이 늘더니 약을 쓰지 않고도 나았다.

후에는 아들 하나를 낳았다.

의사는 타고난 재능이 있음을 귀하게 여기는데, 재능이 없으면 어찌 무궁한 병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겠는가(자화).

一女許婚後, 夫經商二年不歸.

其女因不食, 困臥如痴, 無他病, 多向裏床坐, 此思想氣結也, 藥獨難治, 得喜可解, 不然令其怒.

予自往激之, 大怒而哭至三時許, 令父母解之, 與藥一貼, 卽求食矣.

予曰, 病雖愈, 必得喜方已.

乃紿以夫回, 旣而果然病不擧矣.

盖脾主思, 過思則脾氣結而不食.

怒屬肝木, 怒則木氣升發, 而衝開脾氣矣[丹溪].
어떤 여자가 결혼을 한 뒤 남편이 장사를 떠나 2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그녀가 밥을 먹지 않고 멍청하게 누워만 있는데,

다른 증상은 없었으며 대개 방 안쪽을 향하여 앉아 있기만 하였다.

이것은 지나치게 남편을 그리워하여[思想] 기가 맺힌 것으로,

약만 가지고는 낫지 않으니 기뻐할 일이 생겨야 풀릴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화를 내게 하여야 한다.

내가 가서 충동질하니 그 부인이 크게 화를 내면서 3시간 정도를 울었다.

그런 다음 부모에게 달래주라 하고 약 한 첩을 먹이자 밥을 달라고 하였다.

주진형이 "병은 비록 나았지만 반드시 기뻐할 일이 있어야 한다.

지금은 괜찮지만 다시 병이 생긴다"고 하면서,

남편이 돌아오고 있다고 속이니 과연 병이 다시 생기지 않았다.

비(脾)는 생각[思]을 주관하므로 생각이 지나치면 비기(脾氣)가 맺혀 먹지 않게 되고,

화내는 것은 간목(肝木)에 속하므로 화를 내면 목기(木氣)가 왕성하게 올라가 비기를 쳐서 열어준 것이다(단계).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病用藥訣][신병용약결]  (0) 2019.10.15
[神病不治證][신병불치증]  (0) 2019.10.15
[脫營失精證][탈영실정증]   (0) 2019.10.15
[大下愈狂][대하유광]   (0) 2019.10.15
[癲狂][전광]   (0) 2019.10.14

[脫營失精證][탈영실정증]
內經曰, 嘗貴後賤, 名曰脫營. 嘗富後貧, 名曰失精.

雖不中邪, 病從內生, 身體日減, 氣虛無精. 病深無氣, 洒洒然時驚.

病深者, 以其外耗於衛, 內奪於榮.

註云, 血爲憂煎, 氣隨悲減, 故外耗於衛, 內奪於榮.

내경에서는 "높은 자리에 있던 사람이 천해져 생긴 병을 탈영이라 하고,

부자였던 사람이 가난해져 생긴 병을 실정이라 한다.

사기에 맞지 않아도 병이 안에서 생기어 몸이 날로 마르고 기가 허해지고 정이 없어진다.

병이 깊어지면 기가 없어져 으슬으슬하고 자주 놀란다.

병이 심하면 밖으로는 위기(衛氣)가 줄어들고 안으로는 영기(榮氣)가 마른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석에서는 "혈(血)은 걱정하면 끓고, 기는 슬퍼하면 줄어든다.

그래서 밖으로 위기가 줄어들고 안으로 영기가 마른다"고 하였다.

是證令人飮食無味, 神倦肌瘦, 內服交感丹 方見氣門, 外用香鹽散 方見牙齒 擦牙[入門].

이러한 병에는 밥맛이 없고 정신이 나른하고 몸이 마르는데,

내복약으로는 교감단(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먹고,

외용약으로는 향염산(처방은 아치문에 있다)으로 이[齒]를 문지른다(입문).


宜服天王補心丹 方見下, 加減鎭心丹, 升陽順氣湯, 淸心補血湯 方見上.

천왕보심단(처방은 뒤에 있다), 가감진심단, 승양순기탕, 청심보혈탕(처방은 앞에 있다)을 쓴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病不治證][신병불치증]  (0) 2019.10.15
[五志相勝爲治][오지상승위치]   (0) 2019.10.15
[大下愈狂][대하유광]   (0) 2019.10.15
[癲狂][전광]   (0) 2019.10.14
[癲癎][전간]   (0) 2019.10.14

[大下愈狂][대하유광]
一人病陽厥, 狂怒罵詈, 或歌或哭, 六脉無力, 身表如氷石, 發則呌呼高聲.

易老曰, 奪食則已.

因不與食, 又以大承氣湯 方見寒門, 下之五七行, 瀉渣穢數斗, 身溫脉生而愈[綱目].

어떤 사람이 양궐(陽厥)로 미친 듯이 화를 내며

욕을 해대고 마구 노래를 부르다가는 울고,

여섯 부위의 맥이 힘이 없고 몸의 겉이 얼음장 같았는데,

발작하면 울부짖고 크게 소리를 질렀다.

역로에서는 "먹을 것을 주지 않으면 낫는다"고 하여 음식을 주지 않고

또 대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으로 설사[下]시켰다.

다섯에서 일곱 차례 설사를 하여 대변 몇 말을 보자

몸이 따뜻해지고 맥이 살아나 병이 나았다(강목).


一叟値徭役煩擾, 而暴發狂, 口鼻覺如蟲行, 兩手爬搔, 數年不已. 脈皆洪大如絙.

戴人斷之曰, 肝主謀, 膽主決.

徭役迫遽, 財不能支, 則肝屢謀而膽屢不能決.

屈無所伸, 怒無所泄, 心火盤礴, 乘陽明金.

然胃本屬土, 而肝屬木, 膽屬相火, 火隨木氣而入胃, 故暴發狂.

乃置燠室中, 涌而汗出三次.

又以調胃承氣湯 方見寒門, 大下二十餘行, 血水與瘀血相雜而下數升, 來日乃康.

後以通聖散調其後[儒門事親].

한 노인이 부역을 크게 걱정스러워 하다가 갑자기 광증(狂症)이 생기고

입과 코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 같아 두 손으로 긁는데, 몇 년이 지나도 낫지 않았다.

맥은 모두 끈목처럼 홍대(洪大)하였다.

장종정이 진단하여 말하기를 "간은 꾀하는 것[謀慮]을 주관하고,

담은 결단하는 것을 주관한다.

부역은 갑자기 닥치고 부역 대신 낼 돈이 없어서 간은 꾀를 내지만

담은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굽히기만 하고 펼 수가 없다.

화난 것이 풀리지 않으므로 심화(心火)가 가득 차 양명금(陽明金)을 타고 오르게 된다.

위(胃)는 원래 토(土)에 속하고 간은 목(木)에 속하며 담은 상화(相火)에 속하는데,

화(火)가 목기(木氣)를 따라 위에 들어갔기 때문에 갑자기 광이 생긴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환자를 따뜻한 방에 들어가 3번 땀을 줄줄 흘리게 하고

조위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으로 20여 번 크게 설사[下]시켰다.

핏물과 어혈이 섞인 설사가 몇 되 나오고 다음날 나았다.

그런 다음 통성산으로 조리시켰다(유문사친).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志相勝爲治][오지상승위치]   (0) 2019.10.15
[脫營失精證][탈영실정증]   (0) 2019.10.15
[癲狂][전광]   (0) 2019.10.14
[癲癎][전간]   (0) 2019.10.14
[心澹澹大動][심담담대동]   (0) 2019.10.14

[癲狂][전광]
內經曰, 黃帝問曰, 有病怒狂者, 此病安生.

岐伯對曰, 生於陽也.

帝曰, 陽何以使人狂.

岐伯曰, 陽氣者, 因暴折而難決, 故善怒也, 病名曰陽厥.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奪其食卽已. 夫食入於陰, 長氣於陽, 故奪其食卽已.

使之服以生鐵落爲飮. 夫生鐵落者, 下氣疾也.

又曰, 多喜曰癲, 多怒曰狂.

又曰, 陰不勝其陽, 則脉流薄疾, 幷乃狂.

又曰, 衣被不斂, 言語善惡, 不避親疎, 此神明之亂也.
내경에서 "황제가 '노광(怒狂)이란 병을 앓는 사람이 있으니

이 병은 어디에서 생기는가?' 하고 묻자

기백이 '양(陽)에서 생긴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양(陽)이 어떻게 하여 사람을 미치게 하는가?' 하고 묻자

기백이 '양기가 갑자기 막혀서 잘 통하지 않기 때문에 자주 화를 내게 된다.

이런 병을 양궐(陽厥)이라 한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치료는 어떻게 하는가?' 하고 묻자

기백이 '먹이지 않으면 낫는다.

먹는 음식은 음으로 들어가 양에서 기를 기르기 때문에 먹이지 않으면 낫는 것이다.

그리고 생철락을 물에 타서 먹이는데,

생철락은 기를 빠르게 내린다'라고 대답하였다"고 하였다.

또 "너무 자주 기뻐하는 것을 전(癲)이라 하고,

너무 자주 화내는 것을 광(狂)이라 한다"고 하였으며,

"음(陰)이 양(陽)을 누르지 못하면 맥이 얇고 빠르게[薄疾] 흐르는데

그러면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

또 "옷을 추스르지 않고 말을 함부로 하며

피붙이와 남을 가리지 못하는 것은 신명(神明)이 어지럽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又帝曰, 陽明病甚, 則棄衣而走, 登高而歌,

或至不食數日, 踰垣上屋, 所上之處, 皆非其素所能也, 病反能者何也.

岐伯曰, 四肢者, 諸陽之本也, 陽盛則四肢實, 實則能登高也.

帝曰, 其棄衣而走者何也.

岐伯曰, 熱甚於身, 故棄衣欲走也.

帝曰, 其妄言罵詈, 不避親疎而歌者何也.

岐伯曰, 陽盛則使人妄言罵詈, 不避親疎, 而不欲食, 不欲食, 故妄走也.

又曰, 邪入於陽則狂.
또 "황제가 '양명병이 심하면 옷을 벗어던지고 달리며,

높은 곳에 올라가 노래를 하거나 음식을 며칠 동안 먹지 않고도

담을 뛰어넘고 지붕을 올라가는데, 올라가는 장소가 모두 보통때는 올라갈 수 없는 곳이다.

그런데 병이 들면 도리어 올라갈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고 묻자

기백이 '팔다리는 모든 양(陽)이 작용하는 곳이다.

양이 지나치게 성하면 팔다리가 실(實)하고 실하면 높은 곳을 오를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옷을 벗어던지고 달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고 묻자

기백이 '몸에 열이 심하기 때문에 옷을 벗어던지고 달리고 싶은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헛소리를 하고 욕을 하며 피붙이와 남을 가리지 않으며

노래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고 묻자

기백이 '양이 지나치게 성하면 헛소리를 하고 욕을 하며

피붙이와 남을 가리지 않으며 음식을 먹으려고 하지 않는다.

음식을 먹으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미친 듯이 달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고 하였으며,

또 "사기가 양에 들어가면 미친다"고 하였다.


難經曰, 重陽者狂, 重陰者癲.

又曰, 狂之始發, 少臥而多起, 自高賢也, 自辨智也, 自貴倨也, 妄笑好歌樂, 妄行不休是也.

癲疾始發, 意不樂, 直視僵仆, 其脉三部陰陽俱盛者是也.

난경에서는 "()이 거듭 몰리면 광()이 되고,

()이 거듭 몰리면 전()이 된다"고 하였다.

"()이 처음 생길 때는 잘 자지 않고 깨어 있으며

늘 돌아다니고 스스로 높고 현명하다고 생각하고

스스로 지혜롭다고 생각하고 스스로 귀하다고 생각하며

거만하게 굴며 까닭 없이 웃고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고 제멋대로 돌아다니면서 쉬지 않는다.

전질(癲疾)이 처음 생길 때는 즐거워하지 않고 멍하니 한곳만을 바라보다가 뻣뻣이 쓰러지며,

맥은 삼부(三部)의 음양이 모두 지나치게 성하다"라고 하였다.


癲者, 異常也, 精神痴呆, 言語失倫.

狂者, 凶狂也, 輕則自高自是, 好歌好舞, 甚則棄衣走而踰垣上屋,

又甚則披頭大, 不避水火, 且欲殺人. 此痰火壅盛而然[入門].

()은 평소와 다른 것으로, 멍청해지면서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이다.

()은 흉하게 날뛰는 것으로, 가벼울 때는 스스로 높은 사람이라 여기고

자기만이 옳다고 하며 노래하고 춤추는 것을 좋아한다.

심하면 옷을 벗어던지고 달리며 담을 넘고 지붕을 올라간다.

더 심하면 머리를 풀어헤치고 큰 소리를 지르며 물과 불을 피하지 않고

또 사람을 죽이려고 한다.

이것은 담화(痰火)가 막히고 지나치게 성하여 그러한 것이다(입문).


陽虛陰實則癲, 陰虛陽實則狂.

又曰, 陽盛則狂, 狂者欲奔走. 陰盛則癲, 癲者眩倒不省[百要].

양이 허하고 음이 실하면 전()이 되며, 음이 허하고 양이 실하면 광()이 된다.

"양이 지나치게 성하면 광이 되는데, 광은 돌아다니거나 소리를 지르려고 한다.

음이 지나치게 성하면 전이 되는데,

전은 눈앞이 캄캄해지면서 쓰러져 정신을 잃는다"고 하였다(백요).

 

狂謂妄言妄走也, 癲謂僵仆不省也.

經有言狂癲疾者, 又言癲疾爲狂者, 是癲狂爲兼病也[綱目].

()은 허튼 말을 하고 허투루 내달리는 것을 말하고,

()은 뻣뻣이 쓰러져 정신을 잃는 것을 말한다.

"()은 전질(癲疾)이다"라는 말이 있고, "전질은 광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전과 광이 같이 나타나는 병이기 때문이다(강목).


火盛癲狂, 宜當歸承氣湯, 三黃瀉心湯 方見寒門, 黃連瀉心湯, 牛黃瀉心湯.

痰火鬱塞癲狂, 宜牛黃淸心元 方見風門, 淸心滾痰丸 方見上.

風痰迷心癲狂, 宜鐵粉散, 鬱金丸, 通泄散.

因驚喪心亡魂失魄爲癲狂, 宜鎭心丹, 抱膽丸, 葉氏雄朱丸, 一醉膏.

勞神過度甚至癲狂, 宜辰砂寧志丸, 寧志化痰湯, 養血淸心湯, 牛車肉.

癲狂, 不得睡臥, 宜寧志膏 方見夢部, 辰砂散[諸方].

()가 지나치게 왕성하여 생긴 전광에는 당귀승기탕, 삼황사심탕(처방은 한문에 있다),

황련사심탕, 우황사심탕을 쓰고, 담화(痰火)가 뭉치고 막혀서 생긴 전광에는

우황청심원(처방은 풍문에 있다), 청심곤담환(처방은 앞에 있다)을 쓰고,

풍담(風痰)이 심()을 어지러이 막아서 생긴 전광에는 철분산, 울금환, 통설산을 쓰고,

놀라서 상심(喪心)하고 넋이 빠져 전광이 된 데는 진심단, 포담환, 섭씨웅주환,

일취고를 쓰고, ()을 지나치게 써서 전광이 된 데는 진사영지환, 영지화담탕,

양혈청심탕, 우거육(牛車肉)을 쓰고, 전광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데는

영지고(처방은 몽문에 있다), 진사산을 쓴다(제방).  


癲者, 顚倒錯亂, 於癎於狂, 皆兼病也.

()은 쓰러지면서 정신이 어지러운 것으로, ()과 광()에 모두 나타난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脫營失精證][탈영실정증]   (0) 2019.10.15
[大下愈狂][대하유광]   (0) 2019.10.15
[癲癎][전간]   (0) 2019.10.14
[心澹澹大動][심담담대동]   (0) 2019.10.14
[健忘][건망]   (0) 2019.10.13

[癲癎][전간]
黃帝問曰, 人生而有病巓疾者, 病名曰何, 安所得之.

岐伯對曰, 病名爲胎病, 此得之在母腹中時,

其母有所大驚, 氣上而不下, 精氣幷居, 故令子發爲巓疾也[內經].

又曰, 厥成爲癲疾. 又曰, 邪搏陽則爲癲疾.

황제가 "사람이 태어나면서 전질(巓疾)을 앓는 사람이 있는데,

그 병의 이름이 무엇이고 어떻게 하여 생겼는가?" 하고 물었다.

기백이 그 이름은 태병(胎病)이며, 이 병은 태아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어머니가 크게 놀라는 일이 있어 기가 위로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아 정(精)과

기가 위에 함께 몰려 있기 때문에 그 자식이 전질을 앓게 된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내경).

또 궐(厥)이 전질이 된다.고 하였고,

 사기(邪氣)가 양기(陽氣)와 싸우면 전질이 된다. 고도 하였다.


風眩之病, 起於心氣不足, 胸上蓄熱實, 痰熱相感而動風,

風心相亂則悶瞀, 故謂之風眩[資生].
풍현(風眩)이라는 병은 심기(心氣)가 부족한 데서 생긴다.

가슴 위에 열이 쌓여 있어 실(實)해지면 담(痰)과 열이 서로 작용하여서[感] 풍(風)이 생기고,

풍과 심이 서로를 어지럽히면 가슴이 답답하고 눈앞이 캄캄해지므로 풍현이라고 한다(자생).

痰在膈間, 則眩微不仆.

痰溢膈上, 則眩甚仆倒於地而不知人, 名之曰癲癎.

大人曰癲, 小兒曰癎, 其實一也.

又曰, 仆倒不省, 皆由邪氣逆上陽分, 而亂於頭中也.

담(痰)이 횡격막[膈] 사이에 있으면 약간 어지럽지만 쓰러지지는 않는다.

담이 횡격막 위로 넘치면 심하게 어지러워 쓰러지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데 이를 전간(癲癎)이라 한다.

어른은 전(癲)이라 하고, 소아는 간(癎)이라 하는데 그 내용은 같다.

또 "쓰러져 정신을 잃는 것은 모두 사기가 양분(陽分)으로 거꾸로 올라가

머리를 어지럽혔기 때문이다.



癲癎者, 痰邪逆上也.

痰邪逆上, 則頭中氣亂, 頭中氣亂, 則脉道閉塞, 孔竅不通, 故耳不聞聲, 目不識人, 而昏眩倒仆也.以其病在頭巓, 故曰癲疾[綱目].

전간은 담(痰)이라는 사기가 치받아 오른 것이다.

담사(痰邪)가 거꾸로 치받아 올라가면 머리의 기가 어지러워지고

머리의 기가 어지러워지면 맥의 길이 막히고 구멍[孔竅]이 통하지 않으므로

귀로는 소리를 듣지 못하고 눈으로는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며 어지러워 쓰러진다.

그 병이 머리 꼭대기[巓]에 있으므로 전질(癲疾)이라 한다"고 하였다(강목).



癎有五, 肝曰雞癎, 心曰馬癎, 脾曰牛癎, 肺曰羊癎, 腎曰猪癎, 以病狀偶類, 故爲名.

其實痰火與驚三者而已[入門].

간(癎)에는 다섯 가지가 있어서 간(肝)은 계간, 심은 마간,

비는 우간, 폐는 양간, 신은 저간이라고 하는데,

병의 상태를 오행귀류(五行歸類)에 맞추어 이름 붙인 것이지

실제로는 담(痰)과 화(火), 경(驚) 세 가지일 뿐이다(입문).



大率多因痰結於心胸間, 宜開痰鎭心神.

若神不守舍, 狂言妄作, 經年不愈, 如心經蓄熱, 當淸心除熱.

如痰迷心竅, 當去痰寧心.

宜大吐大下而愈[正傳].

대개 전간은 담이 심(心)과 가슴 사이에 뭉쳐서 많이 생기는데,

이때는 담이 심신(心神)을 억누르고 있는 것을 열어주고[開痰], 심신을 안정시켜야 한다.

신(神)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면 미친 소리나 헛된 짓을 하는데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경우,

심경(心經)에 열이 쌓여 생긴 것은 심을 서늘하게 하고 열을 없애야 하며,

담(痰)이 심의 구멍을 어지러이 막은 것은 담을 없애고 심을 편안하게 하여야 하며,

강하게 토법(吐法)이나 하법(下法)을 써야 낫는다(정전).

凡癲癎仆時, 口中作聲.

將省時吐涎沫, 省後又復發, 時作時止而不休息.

中風中寒中暑尸厥之類, 則仆時無聲, 省時無涎, 後不再發[綱目].

전간은 쓰러질 때는 입에서 소리를 지르고 깨어날 때는 게거품[涎沫]을 물며

깨어난 후에도 다시 발작하고 멈추었다 다시 발작하기를 계속한다.

중풍, 중한(中寒), 중서(中暑), 시궐(尸厥) 같은 것은 쓰러질 때 소리가 없고

깨어날 때도 게거품이 없으며 다시 발작하지도 않는다(강목).



癲者, 異常也, 平日能言, 癎則沈默, 平日不言, 癲則呻吟.

甚則僵仆直視, 心常不樂, 言語無倫, 如醉如痴.

癎者卒然暈倒, 咬牙作聲, 吐涎沫, 不省人事, 隨後醒醒.
전(癲)은 평상시와 다른 것으로, 평소에는 말을 잘 하다가도 간(癎)이 발작하면 말을 하지 않고,

평소 말을 하지 않다가도 전(癲)이 발작하면 신음 소리를 낸다.

심하면 몸이 뻣뻣해지면서 쓰러지며, 눈을 치켜뜨고 한곳만 보며, 마음이 늘 편안하지 않고,

위아래를 가리지 않고 말을 함부로 하며 술에 취한 것 같거나 멍청이 같다.

간은 갑자기 어지러워 쓰러지는데, 어금니를 악다물고 소리를 내며

게거품을 물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며 그런 다음에는 말짱하게 깨어난다.


胎癎, 宜燒丹丸.

又身熱脉浮爲陽癎, 宜妙香丸 方見火門.

身凉脉沈爲陰癎, 宜五生丸.

肥人多痰, 宜追風祛痰丸, 加味壽星元, 引神歸舍丹.

瘦人火盛, 宜淸心滾痰丸, 龍腦安神丸.

痰迷心竅, 宜金箔鎭心丸, 控涎丸.

痰火俱盛者, 宜甘遂散吐下之.

因驚者, 宜驚氣元, 抱膽丸.

因怒者, 宜寧神導痰湯 方見風門.

當歸龍 方見火門.

心藏虛損, 氣血不足, 宜滋陰寧神湯, 淸心溫膽湯, 歸神丹.

婦人宜加味逍遙散 方見婦人, 朱砂膏 見上.

五癎通治, 宜龍腦安神丸, 五癎丸, , 錢氏五色丸, 育魂丹, 丑寶丸, 그림입니다.

頭丸, 活虎丹, 蝙蝠散, 礬丹丸. 癎愈復發, 宜斷癎丹[諸方]. 

태간(胎癎)에는 소단환을 쓰고, 몸에 열이 나고 맥이 부()한 것은

양간(陽癎)으로 묘향환(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쓰고, 몸이 차고

맥이 침()한 것은 음간(陰癎)으로 오생환을 쓴다.

뚱뚱한 사람은 담이 많으므로 추풍거담환, 가미수성원, 인신귀사단을 쓰고,

마른 사람은 화()가 많으므로 청심곤담환, 용뇌안신환을 쓴다.

담이 심()의 구멍을 어지러이 막은 데는 금박진심환, 공연환을 쓰고,

()과 화()가 모두 지나치게 왕성한 데는 감수산으로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킨다.

놀라서 생긴 데는 경기원, 포담환을 쓰고,

화를 내서 생긴 데는 영신도담탕(처방은 풍문에 있다),

당귀용회환(처방은 간장문에 있다)을 쓴다.

심장이 허손(虛損)하고 기혈(氣血)이 부족한 데는 자음영신탕, 청심온담탕, 귀신단을 쓰고,

부인은 가미소요산(처방은 부인문에 있다), 주사고(처방은 앞에 있다)를 쓴다.

오간(五癎)을 두루 치료하는 데는 용뇌안신환, 오간환, 육진단, 전씨오색환, 육혼단,

축보환, 치두환, 활호단, 편복산, 반단환을 쓴다.

간이 나았다가 다시 생기면 단간단을 쓴다(제방).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下愈狂][대하유광]   (0) 2019.10.15
[癲狂][전광]   (0) 2019.10.14
[心澹澹大動][심담담대동]   (0) 2019.10.14
[健忘][건망]   (0) 2019.10.13
[怔忡][정충]   (0) 2019.10.13

[心澹澹大動][심담담대동]
綱目曰, 心澹澹動者, 因痰動也, 謂不怕驚而心自動也.

驚恐, 亦曰心中澹澹, 謂怕驚而心亦動也.

강목에서는 "심장이 크게 두근거리는 것[心澹澹動]은 담(痰)이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두려워하거나 놀라지 않아도 심장이 스스로 뛰는 것을 말한다.

놀라거나 두려워하여도 심장이 두근거리는데[心中澹澹],

이는 두려워하거나 놀라서 심장이 뛰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


靈樞曰, 手厥陰之脉是動, 則心中澹澹大動.

又曰, 膽病者, 心中澹澹, 恐如人將捕.

영추에서는 "수궐음맥이 뛰면[是動] 심장이 크게 두근거린다"고 하였고,

또 "담병(膽病)이 들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누가 잡으러올 것처럼 두려워한다"고 하였다.


內經曰, 太陽司天寒淫所勝, 則病心澹澹大動, 是寒傷心主.

내경에서는 "태양(太陽)이 사천(司天)하여 한사(寒邪)가 지나치게 성하면

가슴이 크게 두근두근거리는 병이 생기는데,

이는 한사가 심주(心主)을 상하였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釋曰, 澹澹, 水搖貌, 此屬飮病, 當用逐水消飮之劑, 二陳湯, 芎夏湯皆是也.

어떤 주석에서는 "담담(澹澹)이란 물이 흔들리는 모양으로,

이는 음병(飮病)이다"라고 하였다.

수를 몰아내고[逐水] 음(飮)을 없애는 약을 쓰는데, 이진탕, 궁하탕이 바로 그런 약이다.

心忪, 非心忪也.

內經曰, 胃之大絡, 名曰虛里.

貫膈絡肺出於左乳下, 其動應衣. 脉, 宗氣也.

虛而有痰則動, 更須臾發一陣熱者, 是也[資生].

심종(心忪)은 심장이 두근거리는 것[忪]이 아니다.

내경에서는 "위(胃)의 대락(大絡)을 허리(虛里)라 하는데,

횡격막을 뚫고 폐에 연결되어 왼쪽 젖 밑으로 나와 그 뛰는 것이 옷 위로 드러난다.

원래 그 맥은 종기(宗氣)이다"라고 하였으므로,

허하면서 담(痰)이 있으면 종기가 움직여 갑자기 한바탕 열이 나곤 하는 것이 심종이다(자생).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癲狂][전광]   (0) 2019.10.14
[癲癎][전간]   (0) 2019.10.14
[健忘][건망]   (0) 2019.10.13
[怔忡][정충]   (0) 2019.10.13
[常法治驚][상법치경]   (0) 2019.10.13

[健忘][건망]
靈樞曰, 黃帝問, 人之善忘者, 何氣使然.

岐伯對曰, 上氣不足, 下氣有餘, 腸胃實而心肺虛, 虛則榮衛留於下, 久之不以時上, 故善忘也.

又曰, 腎盛怒而不止則傷志, 志傷則喜忘其前言.

영추에서는 "황제가 '사람이 잘 잊어버리는 것[健忘]은

어떤 기가 그렇게 만드는 것인가' 하고 묻자

기백이 '올라가는 기가 부족하고 내려가는 기가 남아돌면 장위(腸胃)는 실(實)하고

심폐(心肺)는 허하게 된다.

허하면 영위의 기가 아래에 머무르고 오래되면 올라가야 할 때 올라가지 못하므로

잘 잊어버리게 된다'고 대답하였다"고 하였다.

또 "신(腎)은 [지(志)를 장(藏)하는데] 크게 화를 내서 그치지 않으면 지(志)를 상한다.

지가 상하면 앞에 하였던 말을 잘 잊어버린다"고 하였다.


內經曰, 血幷於下, 氣幷於上, 亂而喜忘.

내경에서는 "혈이 아래로 몰리고 기가 위로 올라가면

기의 소통이 어지러워져서 잘 잊어버린다"고 하였다.


丹溪曰, 健忘之證, 精神短少者多, 亦有痰者.

단계는 "건망이라는 증(證)은 정(精)과 신(神)이 부족한 경우가 많고,

담이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하였다.


戴氏曰, 健忘者, 爲事有始無終, 言談不知首尾, 此以爲病之名, 非生成之愚頑不知人事者.

대씨는 "건망증은 일을 시작만 하고 끝을 내지 못하며 이야기에 앞뒤가 없는 것인데,

이것은 병의 이름을 말한 것이지 타고나기를 어리석고 우둔하게 타고나서

물정을 모르는 것과는 다르다"고 하였다.

健忘者, 陟然7)而忘其事, 盡心力思量不來也.

主心脾二經. 盖心之官則思, 脾之官亦主思.

此由思慮過多, 心傷則血耗散, 神不守舍, 脾傷則胃氣衰憊, 而慮愈深.

二者皆令人事卒然而忘也.

治法, 必先養其心血, 理其脾土, 以凝神定智之劑調理之, 亦當以幽閑之處,

安樂之中, 使其絶於憂慮, 遠其六淫七情, 如此則日漸以安矣[醫鑑].
건망증은 갑자기 그 일을 잊어버려 아무리 생각하려 하여도 기억나지 않는 것인데,

심경(心經)과 비경(脾經)에 원인이 있다.

보통 심(心)이라는 기관이 사(思)를 주관하는데, 비(脾)도 사(思)를 주관한다.

이것은 지나치게 생각하여 생기는 것인데,

심이 상하면 혈이 소모되고 흩어져서 신(神)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게 되고,

비가 상하면 위기(胃氣)가 약해져서 그럴수록 쓸데없는 생각이 더욱 깊어진다.

이 두 가지 때문에 갑자기 잊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치료하는 방법은 반드시 먼저 심의 혈을 북돋아주고[養], 비토(脾土)를 잘 다스려준다[理].

그리고 나서 신(神)을 모으고 지(智)를 안정시키는 약으로 조리한다.

또 한적하고 조용한 곳에서 편안하고 즐겁게 있어 걱정,

근심을 끊고 여섯 가지 사기[六淫]와 일곱 가지 감정[七情]을 멀리한다.

이와 같이 하면 나날이 조금씩 낫게 된다(의감).

怔忡久則健忘, 由心脾血少神虧, 引神歸舍丹主之.

或所稟陰魄不足, 善忘者, 宜定志丸, 開心散.

如年老善忘者, 宜加減固本丸[入門].

정충이 오래되면 건망증이 되는데,

이는 심비(心脾)의 혈이 적어지고 신(神)이 손상되었기 때문이다.

인신귀사단이 주치한다.

또한 타고난 음백(陰魄)이 부족하여 잘 잊어버리는 데는

정지환, 개심산을 쓰고, 나이가 들어 잘 잊어버리는 데는 가감고본환을 쓴다(입문).


健忘, 宜服加味茯苓湯, 聰明湯, 歸脾湯,

加減補心湯, 天王補心丹 方見下, 降心丹, 壯元丸, 加味壽星元, 朱子讀書丸[諸方].

건망증에는 가미복령탕, 총명탕, 귀비탕, 가감보심탕,

천왕보심단(처방은 뒤에 있다), 강심단, 장원환, 가미수성원, 주자독서환을 쓴다(제방).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癲癎][전간]   (0) 2019.10.14
[心澹澹大動][심담담대동]   (0) 2019.10.14
[怔忡][정충]   (0) 2019.10.13
[常法治驚][상법치경]   (0) 2019.10.13
[驚悸][경계]   (0) 2019.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