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難治不治證][난치불치증]

 

虛勞之疾 不受補者 難治.

喉中生瘡 聲啞者 難治.

久臥生胝瘡者 難治(回春).

허로병에 보약이 받지 않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목 안이 헐고 목이 쉰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오랫동안 누운 관계로 욕창이 생긴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회춘].

 

虛極之病 火炎面紅 發喘痰多 身熱如火 跗腫溏泄 脈緊 不食者死(入門).

허로병이 심해서 화가 떠올라 얼굴이 붉고 숨이 차며 담이 많고 몸이 불같이 달며

발이 붓고 심한 설사를 하며 맥이 긴(緊)하고 먹지 못하는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五敗死證.

手足腫無交紋 心敗

唇反黑無紋 肺敗

面黑有瘡 肝敗

陰腫囊縮 腎敗

臍突腫滿 脾敗

5가지 패증(敗證)은 죽는다.

손발이 부어서 손금과 발금이 보이지 않는 것은 심패(心敗)이다.

입술이 오히려 검어지고 입술금이 보이지 않는 것은 폐패(肺敗)이다.

얼굴빛이 검고 헌데가 나는 것은 간패(肝敗)이다.

음부가 붓고 음낭이 줄어든 것은 신패(腎敗)이다.

배꼽이 도드라져 나오고 배가 부어서 그득한 것은 비패(脾敗)이다.

 

九死候者.

⑴. 手足靑. ⑵. 手足久腫.

⑶. 脈枯齒乾. ⑷. 語聲散鼻虛張.

⑸. 唇寒冷宣露. ⑹. 唇腫齒焦.

⑺. 手循衣縫. ⑻. 汗出不流.

⑼. 舌卷囊縮.

9가지 죽는 증후로는 첫째로, 손발이 푸른 것, 둘째로, 손발이 오랫동안 부어있는 것,

셋째로, 맥이 몹시 약하고 이가 마른 것, 넷째로, 목소리가 갈리고 코를 벌름거리는 것,

다섯째로, 입술이 차고 이를 들어내놓은 것, 여섯째로, 입술이 붓고 이가 마른 것,

일곱째로,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는 것, 여덟째로, 땀이 맺히면서 흐르지 않는 것,

아홉째로, 혀가 말려들고 음낭이 졸아든 것들이다.

 

十絶證者

⑴ 氣短目視 亭亭無精光 心絶.

⑵ 口鼻虛張 氣復短 肺絶.

⑶ 面靑 眼視人不直 數出淚 肝絶.

⑷ 面黑 眼睛黃 素汁流 腎絶.

⑸ 泄涎唾 不覺 時時忘語 脾絶.

⑹ 爪甲靑 惡罵不休 膽絶.

⑺ 背脊痠疼 腰重反覆難 骨絶.

⑻ 面無精光 頭髮自落 血絶.

⑼ 舌卷縮如紅丹 嚥唾不得 足踝小腫 肉絶.

⑽ 髮直如麻 汗出不止 腸絶也(千金方).

십절증(十絶證)이란 숨이 가쁘고 눈을 곧추 뜨며 정기가 없고 심기(心氣)가 끊어진 것이다.

입을 벌리고 코를 벌름거리며 숨이 가쁜 것은 폐기(肺氣)가 끊어진 것이다.

얼굴빛이 푸르고 가로 보며 자주 눈물을 흘리는 것은 간기(肝氣)가 끊어진 것이다.

얼굴빛이 검고 눈알이 누르며 정액이 절로 흐르는 것은 신기(腎氣)가 끊어진 것이다.

침을 흘리는 것을 알지 못하며 때때로 헛소리하는 것은 비기(脾氣)가 끊어진 것이다.

손톱이 푸르고 성내어 욕설만 하는 것은 담기(膽氣)가 끊어진 것이다.

등뼈가 시리고 아프며 허리가 무거워서 돌아눕기 곤란한 것은 뼈기운이 끊어진 것이다.

얼굴에 정기가 없고 머리털이 절로 빠지는 것은 혈기가 끊어진 것이다.

혀가 말려들고 몹시 빨가며 침을 삼키지 못하고 복사뼈가 조금 붓는 것은 살기운이 끊어진 것이다.

머리털이 꼿꼿하여 삼 같으며 계속 땀이 나는 것은 장(腸)기운이 끊어진 것이다[천금방].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陽病][이양병]  (0) 2020.07.23
[注夏病][주하병]  (0) 2020.07.20
[解㑊證][해역증]  (0) 2020.07.20
[煎厥證][전궐증]  (0) 2020.07.20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0) 2020.07.20

[二陽病][이양병]

 

內經(陰陽別論篇 第七)曰 二陽之病 發心脾 有不得隱曲 女子不月 其傳爲風消 其傳爲息賁者 死不治.

註曰 二陽 謂陽明大腸 及胃之脈也.

隱曲 謂隱蔽委曲之事也.

夫腸胃發病 心脾受之 心受之 則血不流 脾受之 則味不化 血不流 故女子不月 味不化

故男子少精 是以隱蔽委曲之事 不能爲也 由血虛精少 證屬虛勞(綱目).

내경에는 “이양의 병은 심(心)과 비(脾)에서 생기는데

은곡(隱曲)한 일을 하지 못하여 여자가 월경을 하지 못한다.

이것이 풍소(風消)㈜로 전변(傳 )되거나 식분(息賁)㈜으로 전변되면 치료하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이양(二陽)이란 족양명위경과 수양명대장경을 가리킨 것이고

은곡이란 남모르게 은근히 하는 일이다”고 씌어 있다.

대개 장위(腸胃)가 병들면 심과 비가 그 영향을 받는데 심이 받으면 혈이 잘 돌아가지 못하고

비가 받으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

혈이 잘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여자는 월경을 하지 못하고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남자는 정이 적어진다.

이러한 관계로 남모르게 은근히 하는 일을 하지 못한다.

혈이 허하고 정(精)이 적은 것은 허로증에 속한다[강목].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難治不治證][난치불치증]  (0) 2020.07.23
[注夏病][주하병]  (0) 2020.07.20
[解㑊證][해역증]  (0) 2020.07.20
[煎厥證][전궐증]  (0) 2020.07.20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0) 2020.07.20

[注夏病][주하병]

 

平人 脈大 爲勞 極虛亦爲勞.

夫勞之爲病 其脈浮大 手足煩熱 陰寒精自出 脚痠削 不能行

小腹虛滿 春夏劇 秋冬瘥 俗謂之 注夏病(仲景).

보통사람의 맥이 대(大)한 것은 허로병(虛勞病)이고 몹시 허한 것도 허로병이다.

대개 허로병의 증상으로는 그 맥이 부대(浮大)하고 손발에 번열이 나며

음낭부위가 차며 정액이 저절로 나가고 다리가 시고 여위어 잘 걷지 못한다.

또 아랫배가 그득한 것이 봄과 여름철에 더 심하며 가을과 겨울철에 덜한 것을 주하병이라고 한다[중경].

 

大者 熱邪也 極虛者 氣損也 春夏極者 時助邪也 秋冬瘥者 時勝邪也

黃芪建中湯方見上 虛勞通治藥 主之(東垣).

맥이 대(大)한 것은 열병이고 몹시 허한 것은 기가 상한 것이다. 

봄과 여름철에 심한 것은 절기가 사기(邪氣)를 도와주는 것이고 

가을과 겨울철에 덜해진다는 것은 절기가 사기에 억제하는 것이다. 

이런 데는 황기건중탕(黃 建中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동원]. 

 

屬陰虛 元氣不足 補中益氣湯 加減用之. 詳見暑門

음이 허하다는 것은 원기가 부족하다는 것인데

이때에는 보중익기탕을 가감하여 쓴다(자세한 것은 서문(暑門)에 있다).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難治不治證][난치불치증]  (0) 2020.07.23
[二陽病][이양병]  (0) 2020.07.23
[解㑊證][해역증]  (0) 2020.07.20
[煎厥證][전궐증]  (0) 2020.07.20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0) 2020.07.20

[解㑊證][해역증]

 

內經(平人氣象論篇 第十八)曰 尺脈緩澁 謂之解㑊.

釋曰 尺爲陰部 肝腎主之. 緩爲熱中 澁爲無血 故謂之 解㑊.

解㑊者 寒不寒 熱不熱 弱不弱 壯不壯 儜不可名 謂之 解㑊也.

내경에는 “척맥(尺脈)이 완삽(緩澁)한 것을 해역이라 한다”고 씌어 있다.

주석에는 “척맥은 음부분인 간과 신을 주관한다.

완맥(緩脈)은 속에 열이 있는 것이고 삽맥은 혈이 적은 것이기 때문에 해역이라고 한다.

해역이란 것은 한증같지만 한증이 아니고 열증같지만 열증이 아니며 약한 것 같지만 약하지 않고

튼튼한 것 같지만 튼튼하지 못하여 무어라고 이름을 붙일지 모르는 증을 해역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髓傷 則消爍胻 痠體 解㑊 然不去矣. 不去 謂不能行去也(靈樞).

골수[髓]가 상하면 말라서 다리가 시고 몸을 움직이기 싫어하고 걷지 못한다[영추]. 

 

解者 肌肉解散 㑊者 筋不束骨.

其證 似寒非寒 似熱非熱 四肢骨節解散 怠惰煩疼 飮食不美 或因傷酒 或中濕 或感冒風寒

或房事過多 婦人經事不調 以此得病 宜通其氣血 踈其腠理 以內傷 兼外感藥調之(入門).

해(解)란 살이 늘어지는 것 같은 것이고 역이란 힘줄이 뼈를 가누지 못하는 것이다.

그 증상으로는 한증(寒證)같으나 한증이 아니고 열증(熱證)같으나 열증이 아니며

팔다리의 뼈마디들이 물러나는 것같고 나른하며 안타까우며 아프고 음식맛이 없다.

이것은 술에 상했거나 습에 상하였거나 풍한에 감촉되었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였거나

혹은 월경이 고르지 못한 데서 생긴 병이므로 기혈(氣血)을 통하게 하고 주리( 理)를 열리게 하되

내상(內傷)에 외감(外感)을 겸했을 때에 쓰는 약으로써 치료해야 한다[입문].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陽病][이양병]  (0) 2020.07.23
[注夏病][주하병]  (0) 2020.07.20
[煎厥證][전궐증]  (0) 2020.07.20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0) 2020.07.20
[虛勞生死證][허로생사증]  (0) 2020.07.20

[煎厥證][전궐증]

 

內經(生氣通天論篇 第三)曰 陽氣者 煩勞則張 精絶

辟積於夏 使人煎厥 目盲 不可以視 耳閉 不可以聽 潰潰乎 若壞都汨汨乎 不可止.

註曰 以煎迫而氣逆 因以煎厥 爲名厥 謂氣逆也.

夫目盲 所視 耳閉厥聽 大矣哉 房之爲患也.

治法 與陰虛火動同.

當用滋陰降火之藥(入門).

내경에는 “양기가 허약하여 밖으로 떠오르게 되면 그에 따라서 정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것이 쌓여서 여름철에 가서 전궐(煎厥)이 된다. 전궐증은 눈이 어두워 잘 보지 못하며

귀가 메서 잘 듣지를 못하여 윙윙 소리가 나는 것 같은 것이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음을 졸여서 기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전궐이라고 하였다”고 씌어 있다.

궐이라는 것은 기운이 위로 치민다는 말이다.

대개 눈이 어두워져서 보지를 못하며 귀가 메서 잘 듣지 못하는 것은 성생활을 지나치게 해서 그렇게 된 것이다.

치료하는 법은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것과 같으므로 반드시 음을 불쿠어 주고 화를 내리는 약을 써야 한다[입문].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注夏病][주하병]  (0) 2020.07.20
[解㑊證][해역증]  (0) 2020.07.20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0) 2020.07.20
[虛勞生死證][허로생사증]  (0) 2020.07.20
[虛勞調理藥][허로조리약]  (0) 2020.07.20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虛勞不足 汗出而悶 脈結代 心動悸 行動如常 不出百日 死.

急者 十餘日 死 宜用炙甘草湯方見脈部 救之(仲景).

허로로 허해져서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맥이 결대(結代)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행동이 보통 때와 같다 하여도 백일 안으로 죽을 수 있다.

그러나 위급한 것은 십여 일에 죽을 수 있으므로

구감초탕을 써서 치료할 것이다(처방은 맥부문에 있다)[중경].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解㑊證][해역증]  (0) 2020.07.20
[煎厥證][전궐증]  (0) 2020.07.20
[虛勞生死證][허로생사증]  (0) 2020.07.20
[虛勞調理藥][허로조리약]  (0) 2020.07.20
[虛勞通治藥][허로통치약]  (0) 2020.07.20

[虛勞生死證][허로생사증]

 

難經曰 七傳者 邪間藏者生 何謂也?.

然.七傳者 傳其所勝也 間藏者 傳其者也 何以言之?.

假令 心病傳肺 肺病傳肝 肝病傳脾 脾病傳腎

腎病傳心 一藏不再傷 故言七傳者 死也.

間藏者 傳其所生也

假令 心傳脾 脾傳肺 肺傳腎 腎傳肝 肝傳心.

是子母相傳 周而復始 如環無端 故言生也.

今考之 經文 所謂 七傳者 只六傳而已 謂一藏 不再傷.

按其數 乃有四藏 不再受傷也.

夫此條言 虛勞之證也

其所謂 七傳者 心病上必脫腎病 傳心一句 其一藏 不再傷 當作三藏 不再傷.

皆傳寫之誤耳.

盖虛勞之證 必始於腎經 五藏從相剋 而逆傳已盡.

又復傳於腎與心 則水絶滅而火太旺 故死而不復再傳 彼之三藏矣.

其有從相生 而順傳者 有生生不息之義 故間藏者 生也(正傳).

난경에 “7전(七傳)하는 사람은 죽고 간장(間藏)하는 사람은 산다고 한 것은 무슨 말인가”

대답하기를 “7전이란 자기가 이기는[勝] 장기에 전하는 것이고

간장이란 자기가 생하여 주는 장기에 전하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무슨 말인가 하면 가령 심병(心昞)이 폐(肺)에 전하고 폐병(肺病)이 간(肝)에 전하며

간병(肝病)이 비(脾)에 전하고 비병(脾病)이 신(腎)에 전하며

신병(腎病)이 심(心)에 전하는 것인데 한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기 때문에 7전이라 하는데 위험하다.

간장이란 자기가 생(生)하여 주는 장기에 전하는 것인데 가령 심병이 비에 전하고

비병이 폐에 전하며 폐병이 신에 전하고 신병이 간에 전하며 간병이 심에 전하는 것이다.

이것은 어머니와 아들간에 전하는 것이다.

때문에 암만 전해져도 하나의 고리가 끝이 없는 것과 같으므로 산다고 했다.

경문을 보면 7전이란 단지 6전일 뿐이다.

또 한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그 수를 참작해 보면 네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는 것이다.

대개 이 조항은 허로의 증을 말한 것인데 7전이란 것은 심의 병이라 할 때,

위에 반드시 신의 병이 심에 전한다는 한 구절이 빠진 것이고 한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는다는 것은

반드시 세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쓸 때에 잘못된 것이다. 대개 허로증은 반드시 신경에서 시작하여 다섯 장기가 상극하는데

따라 거슬러 전하는 것이 끝나면 또 다시 신과 심에 전하게 된다.

그러면 수기가 없어지고 화기가 왕성해지기 때문에 재차 나머지 세 장기에 전하지 못하고 죽게 되는 것이다.

서로 생하여 주는 장기에 따라서 병이 전하는 것은 낳고

또 낳고 하여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간장하는 사람은 사는 것이다[정전].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煎厥證][전궐증]  (0) 2020.07.20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0) 2020.07.20
[虛勞調理藥][허로조리약]  (0) 2020.07.20
[虛勞通治藥][허로통치약]  (0) 2020.07.20
[腎虛藥][신허약]  (0) 2020.07.19

[虛勞調理藥][허로조리약]

 

宜用淸神甘露丸 天地煎 三才丸方見血門 補精膏 補髓膏

陰陽煉秋石丹 方見上 腎虛藥 固眞飮子方見上 陰陽俱虛用藥衛生湯 陰分生陽湯.

청신감로환, 천지전, 삼재환(처방은 혈문에 있다), 보정고, 보수고,

음양련추석단(처방은 위에 있다), 고진음자(처방은 위에 있다), 위생탕, 음분생양탕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0) 2020.07.20
[虛勞生死證][허로생사증]  (0) 2020.07.20
[虛勞通治藥][허로통치약]  (0) 2020.07.20
[腎虛藥][신허약]  (0) 2020.07.19
[肺虛藥][폐허약]  (0) 2020.07.19

[虛勞通治藥][허로통치약]

 

凡人 四肢痿弱 無力多困 未知陰陽 夏 可用六味地黃元 春秋 宜腎氣丸 冬 宜八味丸(保命)

대체로 팔다리가 몹시 허약해져서 힘이 없고 매우 노곤해하는데 음과 양,

그 어느 것이 먼저 상했는가를 알 수 없을 때에는 여름이면 육미지황원,

봄과 가을이면 신기환, 겨울에는 팔미환(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보명].  

 

虛勞通用 千金延壽丹 玄珠耘苗丹 神仙巨勝子元 神仙不老丸 膃肭補天丸 二神交濟丹

無比山藥元 神仙旣濟丹 五補元 補天大造丸 瓊玉膏

小建中湯 大建中湯 十四味建中湯 黃芪益損湯 秦芃鱉甲散 沈香鱉甲散 黃芪鱉甲散 瑞蓮元

當歸膏 益壽固眞丹.   

허로에는 천금연수단, 현주운묘단, 신선거승자원, 신선불로환, 올눌보천환, 이신교제단,

무비산약원, 신선기제단, 오보원, 보천대조환(처방은 위에 있다), 경옥고(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소건중탕, 대건중탕, 십사미건중탕, 황기익손탕, 진교별갑산, 침향별갑산, 황기별갑산, 서련원,

당귀고, 익수고진단 등을 두루 쓴다.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勞生死證][허로생사증]  (0) 2020.07.20
[虛勞調理藥][허로조리약]  (0) 2020.07.20
[腎虛藥][신허약]  (0) 2020.07.19
[肺虛藥][폐허약]  (0) 2020.07.19
[脾虛藥][비허약]  (0) 2020.07.19

[腎虛藥][신허약]

 

腎藏 有二 左爲腎 右爲命門

腎屬水 水不足 則爲陰虛

命門屬火 火不足 則爲陽虛.

신(腎)은 둘이 있는데 왼쪽은 신(腎)이고 오른쪽은 명문(命門)이다.

신은 수(水)에 속하였으므로 수가 부족하면 음이 허해진다.

명문은 화(火)에 속하였으므로 화가 부족하면 양이 허해진다.

 

腎虛 宜用六味地黃元 太極丸 陰煉秋石丹 八味補腎丸 冷補丸 腎氣丸 三一腎氣丸

延年益壽不老丹方見身形 無比山藥元 補腎養脾丸

신이 허한 데는 육미지황원, 태극환, 음련추석단, 팔미보신환, 냉보환, 신기환, 삼일신기환,

연년익수불로단(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무비산약원, 보신양비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命門虛 宜用八味丸 加減八味丸二方並見五藏 小兎絲子元 三味安腎丸 九味安腎丸

小安腎丸 加減內固丸 陽煉秋石丹 秋石五精丸 增益歸茸元.

명문이 허한 데는 팔미환, 가감팔미환(2가지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소토사자원, 삼미안신환, 구미안신환, 

소안신환, 가감내고환(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양련추석단, 추석오정환, 증익귀용원 등을 쓰는 것이 좋다. 

 

腎與命門俱虛 宜用玄菟固本丸 班龍丹 陰陽煉秋石丹 茸珠丸.

신과 명문이 다 허한 데는 현토고보환, 반룡단, 음양련추석단, 용주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勞調理藥][허로조리약]  (0) 2020.07.20
[虛勞通治藥][허로통치약]  (0) 2020.07.20
[肺虛藥][폐허약]  (0) 2020.07.19
[脾虛藥][비허약]  (0) 2020.07.19
[肝虛藥][간허약]  (0) 2020.07.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