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陽病][이양병]

 

內經(陰陽別論篇 第七)曰 二陽之病 發心脾 有不得隱曲 女子不月 其傳爲風消 其傳爲息賁者 死不治.

註曰 二陽 謂陽明大腸 及胃之脈也.

隱曲 謂隱蔽委曲之事也.

夫腸胃發病 心脾受之 心受之 則血不流 脾受之 則味不化 血不流 故女子不月 味不化

故男子少精 是以隱蔽委曲之事 不能爲也 由血虛精少 證屬虛勞(綱目).

내경에는 “이양의 병은 심(心)과 비(脾)에서 생기는데

은곡(隱曲)한 일을 하지 못하여 여자가 월경을 하지 못한다.

이것이 풍소(風消)㈜로 전변(傳 )되거나 식분(息賁)㈜으로 전변되면 치료하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이양(二陽)이란 족양명위경과 수양명대장경을 가리킨 것이고

은곡이란 남모르게 은근히 하는 일이다”고 씌어 있다.

대개 장위(腸胃)가 병들면 심과 비가 그 영향을 받는데 심이 받으면 혈이 잘 돌아가지 못하고

비가 받으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

혈이 잘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여자는 월경을 하지 못하고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남자는 정이 적어진다.

이러한 관계로 남모르게 은근히 하는 일을 하지 못한다.

혈이 허하고 정(精)이 적은 것은 허로증에 속한다[강목].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難治不治證][난치불치증]  (0) 2020.07.23
[注夏病][주하병]  (0) 2020.07.20
[解㑊證][해역증]  (0) 2020.07.20
[煎厥證][전궐증]  (0) 2020.07.20
[虛勞脈代證][허로맥대증]  (0) 2020.07.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