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咳嗽][해수]

 

黃帝問曰

肺之令人?何也

岐伯對曰

五藏六府皆令人?非獨肺也

황제께서 물으셨다.

폐를 앓게 되면 기침이 나는 것은 어째서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기침이 나는 것은 폐의 병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56부의 이상이 모두 기침의 원인이 됩니다.

 

帝曰

願聞其狀

岐伯曰

皮毛者肺之合也

皮毛先受邪氣邪氣以從其合也

其寒飮食入胃從肺脈上至於肺

則肺寒肺寒則外內合邪

因而客之則爲肺?

五藏各以其時受病非其時各傳以與之

人與天地相參故五藏各以治時感於寒

則受病微則爲?甚者爲泄爲痛

乘秋則肺先受邪

乘春則肝先受之

乘夏則心先受之

乘至陰則脾先受之

乘冬則腎先受之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그에 대하여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먼저 폐해에 대하여 말씀드리면,

대저 피부 체모는 폐의 기가 모이는 곳입니다.

고로 피부가 먼저 사기를 받으면 폐로 전해집니다.

또한 차가운 음식물을 많이 섭취하면 위가 냉해집니다.

이 냉이 위에서 폐맥을 따라 올라가면 폐가 냉해집니다.

이렇게 사기가 밖과 안에서 들어가 폐에 머물면 폐해를 일으킵니다.

마찬가지로 5장은 각각 그것이 주관하는 4계절에 있어서 한사를 받아 앓게 되면 병사의 힘이 미할 때는 기침이 나고, 심할 때는 설사를 하거나 통증이 생기곤 합니다.

가을은 먼저 폐가 사를 받습니다.

봄철은 먼저 간이 사를 받습니다.

여름은 먼저 심장이 사를 받습니다.

장하에는 먼저 비가 사를 받습니다.

겨울은 먼저 신이 사를 받습니다.

 

帝曰.

何以異之

岐伯曰

?之狀?而喘息有音甚則唾血

?之狀?則心痛

喉中介介如梗狀. 甚則咽腫喉痺

?之狀. ? 則兩脇下痛

甚則不可以轉轉則兩?下滿

?之狀?則右脇下痛

陰陰引肩背甚則不可以動動則?

?之狀?則腰背相引而痛甚則?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5장의 기침의 구별은 어떻게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폐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고, 천명이 나며, 심해지면 침에 피가 섞입니다.

심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면 심장이 아프고, 목안에 가시가 걸린 것처럼 괴롭고, 심할 때는 목안이 부어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고, 목이 아파서 호흡이 곤란해집니다.

간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면 양쪽 옆구리의 아래쪽이 아프고, 심할 때는 누워서 몸을 뒤치지도 못할 정도로 아프며, 무리하게 몸을 뒤치면 양 옆구리의 하복부가 팽만해집니다.

비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면 우협의 하복부가 아파서 짓눌리듯이 괴롭고, 어깨나 등()으로 동통이 울립니다.

심할 때는 움직일 수도 없습니다.

무리하게 움직이면 기침이 더욱 심해집니다.

신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면 허리에서 등()에 걸쳐서 땅기고 아픕니다.

심할 때는 기침과 함께 군침을 흘립니다.

 

帝曰

六府之?奈何安所受病

岐伯曰

五藏之久?乃移於六府

?不已則胃受之

?之狀?而嘔嘔甚則長蟲出

?不已則膽受之膽 之狀?嘔膽汁

肺不?則大腸受之大腸???而遺失

?不已則小腸受之小腸???而失氣氣與?俱失

?不已則膀胱受之膀胱???而遺溺

?不已則三焦受之三焦??. ?而腹滿不欲食飮

此皆聚於胃關於肺使人多涕唾而面浮腫氣逆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6부의 기침은 어디서 사를 받아 나오는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5장의 기침이 오래 낫지 않으면 6부의 기침으로 이행합니다.

비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위가 그 사를 받아서 위해를 일으킵니다.

위해의 병증은 기침을 하고, 구역질이 나며 토합니다.

토할 때는 대개 회충을 토합니다.

간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담이 그 사를 받아서 담해를 발합니다.

담해의 병증은 기침을 하여 쓴 담즙을 토합니다.

폐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대장이 그 사를 받아서 대장해를 일으킵니다.

대장해의 병증은 기침을 하여 대변을 쌉니다.

심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소장이 그 사를 받아서 소장해를 일으킵니다.

소장해의 병증은 기침이 날 때 방귀를 뀝니다. 즉 방귀와 기침이 동시에 나옵니다.

신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방광이 그 사를 받아서 방광해를 일으킵니다.

방광해의 병증은 기침이 날 때 소변을 쌉니다.

오래 기침이 계속 되고 그치지 않을 때는 삼초가 그 사를 받아서 3초해를 일으킵니다. 3초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서 배가 팽만해지고, 식욕을 잃게 됩니다.

이들 56부의 기침은 모두 56부의 바다인 위에 그 기가 모여서 56부의 뚜껑인 폐가 관여하고 있습니다.

고로 공통의 병증이란 것은 비즙 이나 침이 많이 나오며, 안면이 붓고, 배에서 목으로 기가 상충합니다.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治藏者治其兪

治府者治其合

浮腫者治其經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치법은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장기를 치료하는 데는 유혈을 자침합니다.

부를 치료하는 데는 합혈을 자침합니다.

부종을 치료하는 데는 경혈을 자침합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厥][기궐]  (4) 2024.11.01
[刺虐][자학]  (9) 2024.10.25
[虐][학]  (4) 2024.10.20
[逆調][역조]  (4) 2024.10.15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氣厥][기궐]

 

黃帝問曰

五藏六府寒熱相移者何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56부 사이를 한사(寒邪)나 열사(熱邪)가 이동하는 상태는 어떠하오?

 

岐伯曰

腎移寒於肝癰腫少氣

脾移寒於肝癰腫筋攣

肝移寒於心狂隔中

心移寒於肺肺消

肺消者飮一?死不治

기백이 대답하였다.

먼저 한사의 경우를 말씀드리면,

한사가 신에서 비로 이동하면 기육에 종기가 생겨서 원기가 적어집니다.

한사가 비에서 간으로 이동하면 종기가 생겨서 근육이 땅기곤 합니다.

한사가 간에서 심장으로 이동하면 기가 이상하게 되어 격중이라 하여 양기가 순환하지 않게 되고, 음식물이 통하지 않는 병으로 됩니다.

한사가 심장에서 폐로 이동하면 폐는 한을 가장 싫어하는 장기이므로 증상이 심하여 폐소 라는 병으로 됩니다.

폐소란, 마신 물의 배()양이 소변으로 나오는 병증이며, 이에 걸리면 사증으로서 낫지 않습니다.

 

肺移寒於腎爲涌水

涌水者按腹不堅水氣客於大腸

疾行則鳴濯濯??漿水之病也

脾移熱於肝則爲驚?

肝移熱於心則死

心移熱於肺傳爲?

肺移熱於腎傳爲柔?

腎移熱於脾傳爲??死不可治

혹시 경증으로서 연명되어 한사가 폐에서 출발점인 신으로 다시 이동하면 용수라는 병으로 됩니다.

용수란, ()를 눌러도 단단하지 않지만, 수기가 대장에 괴어 있으므로 빠른 걸음으로 걷게 되면 마치 비대에 물을 넣은 것처럼 출렁출렁 소리가 나는 병입니다.

다음에 열사의 경우를 말씀드리면,

열사가 비에서 간으로 이동하면 신경과민으로 되어 놀라기 쉽고, 코피가 납니다.

열사가 간에서 심장으로 이동하면 심장은 열을 가장 싫어하는 장기이므로 사망합니다.

혹시 경증으로서 연명되어 열사가 심장에서 폐로 이동하면 격소라 하여 황막(횡격막) 부근에 열이 있고, 음식욕이 왕성해지는데, 야위는 병으로 됩니다.

열사가 폐에서 신으로 이동하면 유경이라 하여 발열해서 땀이 나고, 오한이 안 나는 경련 병으로 됩니다.

열사가 신에서 출발점인 비로 다시 이동하면 모든 장기가 허해 있으므로 심한 설사를 일으켜 사망합니다.

이를 고칠 수는 없습니다.

 

胞移熱於膀胱?溺血

膀胱移熱於小腸?腸不便上爲口?

小腸移熱於大腸??爲沈

大腸移熱於胃善食而?謂之食亦

胃移熱於膽亦曰食亦

膽移熱於腦則辛?鼻淵鼻淵者濁涕下不止也

傳爲??瞑目故得之氣厥也

또한 열사가 6부간 으로 이동할 때 포에 열사를 발하여 방광으로 이동하면 옹이라 하여 소변이 안 나오게 되고, 나올 때는 요에 혈이 섞입니다.

열사가 방광에서 소장으로 이동하면 격장이라 하는 병으로 되어 대변이 안 나오게 되며, 열이 높아져서 입안이 헐게 됩니다.

열사가 소장에서 대장으로 이동하면 뱃속에 숨은 덩이(?)가 생기거나, 깊은 곳에 치질이 생깁니다.

열사가 대장에서 위로 이동하면 잘 먹는데도 몸은 야윕니다.

이를 식역이라 합니다.

열사가 위에서 담으로 이동하면 역시 식역을 일으킵니다.

열사가 담에서 뇌로 이동하면 콧마루가 아프고, 비연을 일으킵니다.

비연이란, 흐린 비즙(鼻汁)이 흘러 내려 그치지 않는 병입니다.

그리하여 점차로 코피가 나거나, 눈이 어지러워집니다.

이상 말씀드린 것은 56부 사이를 한사나 열사가 이동할 때의 상태인데, 이러한 일이 생기는 것은 경맥의 기가 정상적으로 운행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咳嗽][해수]  (2) 2024.11.09
[刺虐][자학]  (9) 2024.10.25
[虐][학]  (4) 2024.10.20
[逆調][역조]  (4) 2024.10.15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刺虐][자학]

 

足太陽之?

令人腰痛頭重寒從背起

先寒後熱????

熱止汗出難已?中出血

족태양 방광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요통 두중이 있고,

오한이 등()에서 생겨 먼저 오한한 다음에 몹시 발열하고,

발열이 끝날 무렵에 이번에는 땀이 줄줄 흘러서 좀처럼 그치지 않는다.

위중을 자침하여 사혈하라.

 

足少陽之?

令人身體解漁寒不甚

熱不甚惡見人見人心??

熱多汗出甚刺足少陽

족소양 담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몸이 나른하고, 오한은 그다지 심하지 않으며,

발열도 또한 심하지 않다.

그러나 사람을 만나는 것을 싫어하며 만약 사람을 만나면 겁을 내고,

정신이 동요하여 발열하고, 땀을 몹시 낸다.

족소양 담경상을 자침하라.

 

足陽明之?

令人先寒??淅寒甚

久乃熱熱去汗出

喜見日月光火氣

乃快然刺足陽明?

족양명 위경상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슬오슬 오한이 심하고, 장시간 지난 다음에 발열한다.

열이 내리면 땀이 나고, 스스로 일광이나 불을 찾아서 접근하여 상쾌해진다.

족양명 위경의 충양을 자침하라.

足太陰之?

令人不樂好大息

不嗜食多寒熱汗出

病至則善嘔嘔已乃衰?取之

족태음 비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불쾌감에 빠져 잘 한숨을 쉬고,

식욕부진이 되어 한열도 땀도 심하여 발작이 생기면 괴로워서 잘 토하며,

구역질이 멎으면 편안해진다.

족태음 비경상을 취혈하라.

 

足少陰之?

令人嘔吐甚多寒熱

熱多寒少欲閉??而處其病難已

족소음 신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구토가 심하고, 또 가끔 오한 발열을 되풀이하는데,

발열이 심하고 오한은 적어 그래서 스스로 실내에 칩거하려고 한다.

이 병은 난치이다.

 

足厥陰之?

令人腰痛少腹滿

小便不利???

數便意恐懼氣不足

腹中??刺足厥陰

족궐음 간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요통이 생기며, 하복부가 팽만하고,

소변이 잘 안 나와서 폐뇨증과 같은데, 폐뇨증은 아니다.

즉 자주 변의가 생긴다.

정신적으로 겁을 내고 불안하며, 원기가 없다.

또한 뱃속이 뭔가 모르게 편안치 못하다.

족궐음 간경상을 자침하라.

 

?

令人心寒寒甚熱

熱間善驚如有所見者刺手太陰陽明

폐의 학인 경우

환자는 심장부에 냉감을 느끼고, 오한이 심하며, 또 발열한다.

발열하고 있는 동안은 놀라기 쉽고, 꿈을 꾸고 있는 것 같다.

수태음 폐경과 수양명 대장경을 자침하라.

 

?

令人煩心甚欲得?

反寒多不甚熱刺手少陰

심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가슴이 답답하고, 심장이 두근거리며, 냉수를 마시려고 하는데,

이번에는 오한이 나서 그다지 마실 수 없다.

이는 열이 심하지 않은 증거이다.

수소음 심경을 자침하라.

 

?

令人色蒼蒼然太息

?若死者刺足厥陰見血

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안면이 창백해지며, 한숨을 쉬고, 죽은 것처럼 보인다.

족궐음 간경을 자침하여 사혈하라.

 

?

令人寒腹中痛

熱則腸中鳴鳴已汗出刺足太陰

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한이 나고, 뱃속이 아프며,

발열시 에는 복명이 생기고 그것이 멎으면 땀이 난다.

족태음 비경을 자침하라.

 

?

令人??腰脊痛宛轉大便難

??手足寒

刺足太陽少陰

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슬오슬 오한이 나고,

허리나 등()이 아파서 몸을 움직이면 괴롭고,

대변이 잘 안 나오고, 눈을 깜박이며, 수족이 냉하다.

족태양 방광경과 족소음 신경을 자침하라.

 

?

令人且病也善飢而不能食

食而支滿腹大刺足陽明太陰??出血

위의 학인 경우

환자는 발작이 생길 때 흔히 배가 고픈데, 먹고자 해도 먹을 수 없다.

만약 무리해서 먹으면 배가 아래서 치밀듯이 팽만해진다.

족양명 위경과 족태음 비경을 자침하고, 가로 뻗은 낙맥으로부터 사혈하라.

 

?發身方熱?上動?開其空出其血立寒.

학병이 발작을 일으켜서 몸에 열이 나려고 할 때는

충양의 맥동부를 찔러서 침공을 넓혀 사혈하면 즉시 해열된다.

 

?方欲寒刺手陽明太陰足陽明太陰

학병으로 오한이 시작하려고 할 때는

수양명 대장경과 수태음 폐경과 족양명 위경과 족태음 비경을 찔러라.

 

??滿大急刺背兪

用中鍼傍伍?兪各一

適肥?出其血也

??小實急灸脛少陰

刺指井??滿大急刺背兪

用五?兪背兪各一適行至於血也

??緩大?便宜用藥不宜用鍼

凡治?先發如食頃

乃可以治過之則失時也

??不見刺十指間出血

血去必已先視身之赤如小豆者盡取之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충실하고 크며, 긴장되었을 때는

배유를 자침하라.

또한 중정도의 침으로 5장의 배유의 제3 행선상을 알맞게 1개소씩

취혈 하여 환자의 비수의 상태에 따라서 사혈하라.

학병의 발작이 일어나서 맥이 작고 충실하며, 긴장될 때는

경부의 족소음 신경상에 뜸을뜰 것, 그리고 정혈을 자침하라.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충실하고 크며, 긴장되었을 때는

배유를 자침하라.

또한 5장의 배유의 제3 행선상과 배유와를 각각 하나씩 취혈 하여

알맞게 찔러서 혈을 순환케 하라.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완만하고 크며, 게다가 공허할 때는 약물 요법을 실시하라. 자법을 실시해서는 안된다.

일반적으로 학병을 치료하는데는 발작 전 20분 정도를 겨누어 실시하라.

이 때를 지나면 치법의 시기를 잃는다.

여러 가지 학병의 경우 맥상을 잘 모를 때는 수족의 10지지 사이를 찔러서 사혈하라. 피가 나오면 반드시 낫는다.

혹은 신체상의 붉은 팥알 크기의 울혈을 찾아서 모두 사혈하라.

 

十二?其發各不同時

察其病形以知其何?之病也

先其發時如食頃而刺之

一刺則衰二刺則知三刺則已

不已刺舌下兩?出血

不已?中盛經出血

又刺項已下?脊者必已

舌下兩?廉泉也

상술한 12종의 학병은 발작의 시기가 동일하지 않다.

그 병증을 봐서 어느 경맥 혹은 어느 장기의 학인지를 알아라.

또한 발작 전 20분 가량을 겨누어 찌르면 1자로써 병세가 쇠퇴하고,

2자로써 주효하며, 3자로써 치유된다.

만약 낫지 않을 때는 설하의 양맥에서 사혈하라.

그래도 낫지 않으면 위중의 솟아오른 맥에서 사혈하라.

또한 항에서 요에 이르는 태양경의 2 3행선을 자침하면 반드시 낫는다.

설하의 양맥이란 염천을 말한다.

 

?必先問其病之所先發者先刺之

先頭痛及重者先刺頭上及兩額兩眉間出血

先項背痛者先刺之

先腰脊痛者先刺?中出血

先手臂痛者先刺手少陰陽明十指間

先足脛?痛者先刺足陽明十指間出血

또한 학병을 자침할 때는 발작시 먼저 병증을 일으키는 부위를 문진하여

그 부위부터 찔러라.

즉 먼저 두통 두중하는 자는 두상과 양협과 미간을 찔러서 사혈하라.

먼저 항배가 아픈 자는 우선 거기를 찔러라.

먼저 요배가 아픈 자는 우선 위중을 찔러서 사혈하라.

먼저 수완이 아픈 자는 우선 수소음 심경과 수양명 대장경과 10지간을 자침하라.

먼저 족경이 무직하고 나른하면서 아픈 자는 우선 족양시 위경과 10지간을 자침해서 사혈하라.

 

??發則汗出惡風

刺三陽經背兪之血者

??痛甚按之不可名曰?髓病

?鍼鍼絶骨出血立已

身體小痛刺至陰諸陰之井無出血間日一刺

??間日而作刺足太陽

?而間日作刺足少陽

??汗不出爲五十九刺

풍학은 발작 시에 땀이 나서 오풍 한다.

수족의 3양경맥상과 배유의 울혈을 자침하라.

족경이 무직하고 나른하면서 아픔이 심하여 눌러도 경쾌하지 않는 것은 경의 수가 손상된 것이라 한다.

창침 으로 절골(현종)을 찔러서 사혈하면 곧 낫는다.

신체가 조금 아플 때는 지음을 자침하라.

모든 음경맥의 정혈을 찌를 때는 출혈시켜서는 안된다.

또한 날짜의 간격을 두고 찔러야 하며, 매일 찔러서는 안된다.

학으로 물을 마시려 하지 않고, 하루 걸러 발작이 생기는 자는 족태양 방광경상을 자침하라.

학으로서 갈증이 생겨 물을 마시려 하고, 하루 걸러 발작이 생기는 자는 족소양 담경상을 자침하라.

온학으로서 아무리 해도 발한하지 않을 때는 59자를 행하라.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咳嗽][해수]  (2) 2024.11.09
[氣厥][기궐]  (4) 2024.11.01
[虐][학]  (4) 2024.10.20
[逆調][역조]  (4) 2024.10.15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

 

黃帝問曰

??皆生於風其蓄作有時者何也

岐伯對曰?之始發也

先起於毫毛伸欠乃作

寒慄鼓?腰脊?寒去則?外皆熱

頭痛如破?欲冷飮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대저 해학인 학질병은 모두 그 근원이 풍에 손상되었기 때문일 것인데,

그 오한 발열이 앓다가 낫다가 하는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질의 발작이 생기려고 할 때는 먼저 털이 곤두서고 하품을 하며,

이윽고 와들와들 떨기 시작하며, 턱이 떨리게 됩니다.

허리나 등이 모두 아프고, 그 오한 전률이 끝나면 온몸이 화끈 발열하여

머리가 쪼개지는 것 같이 아프고, 목이 말라서 찬 음료를 요구하게 됩니다.

 

帝曰

何氣使然願聞其道

岐伯曰

陰陽上下交爭?實更作陰陽相移也

?於陰則陰實而陽?陽明?則寒慄鼓?

巨陽?則腰背頭項痛

三陽??則陰氣勝陰氣勝則骨寒而痛

寒生於?故中外皆寒

陽盛則外熱??

?皆熱則喘而?故欲冷飮也

此皆得之夏傷於暑熱氣盛

藏於皮膚之?腸胃之外此榮氣之所舍也

此令人汗空疏?理開因得秋氣汗出遇風

及得之以浴水氣舍於皮膚之???

?氣者晝日行於陽夜行於陰此氣得陽而外出

得陰而??外相薄是以日作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떠한 기의 작용이 그와 같은 병증을 일으키게 하는지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음양 상하 내외 모두 부조화하게 되어 허와 실이 서로 되풀이하여 성쇠 되고, 음양의 기가 연이어 교체되기 때문입니다.

양기가 음경맥에 모이면 음경맥이 실하고, 양경맥이 허해집니다.

그 족양명 위경이 허해지면 턱이 와들와들하여 전율하게 됩니다.

그 족태양 방광경이 허해지면 허리나 등()이나 머리나 목덜미()가 아픕니다.

3양경맥이 모두 허하면 음기가 완전히 이기게 됩니다.

음기가 이기면 골이 냉하여 아픕니다.

즉 한중에서 생기므로 내외가 모두 냉해집니다.

양기가 왕성해지면 밖()이 열해집니다.

음기가 허해지면 속()이 열해집니다.

안팎이 열해지면 호흡이 거칠게 되어 목이 마릅니다.

그러므로 찬 음료를 요구합니다.

이들은 모두 여름철 서기에 상해되어 열기가 넘쳐서

피부의 안쪽과 영기가 있어야 할 위장의 바깥쪽에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고로 한혈이 벌어지고, 피부의 긴장이 나빠지므로

가을이 되어 땀이 났을 때 우연히 냉풍을 쐬거나,

혹은 가을이 되어 땀이 나서 물을 몸에 끼얹으면 풍이나 수의 사기가 피부의 안쪽에 머물러 위기와 동거합니다.

대체로 위기란 것은 주간에는 양분을 순환하고, 야간에는 음분을 순환하는 것입니다.

사기도 낮과 밤의 양기나 음기에 끌려서 드나들어 위기와 부딪칩니다.

그러므로 하루에 1회 발작을 일으킵니다.

 

帝曰

其間日而作者何也

岐伯曰

其氣之舍深?薄於陰陽氣獨發陰邪?

陰與陽爭不得出是以間日而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매일이 아니고 하루걸러 발작을 일으키는 학질이 있는데,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가 머물러 있는 부위가 깊이 음분에까지 들어가면 위기만이 밖을 순환하여

사기는 내부에 붙어 있으므로 위기와 사기가 매일 부딪치지 않으므로 하루걸러

부딪쳐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善

其作日晏與其日早者何氣使然

岐伯曰

邪氣客於風府?而下?氣一日一夜

大會於風府其明日日下一節

故其作也晏此先客於脊背也

?至於風府?理開?理開則邪氣入

邪氣入則病作以此日作稍益晏也

其出於風府日下一節二十五日下至?

二十六日入於脊?注於伏??

其氣上行九日出於缺盆之中

其氣日高故作日益早也

其間日發者由邪氣?薄於五藏?連募原也

其道遠其氣深其行遲

不能與??不得皆出故間日乃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그 발작이 매일 조금씩 늦는 경우와 빠른 경우가 있는데,

어떠한 기의 작용이 그렇게 만드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는 풍부에 머물러서 배골을 따라 내려가서 위기와 24시간에 1회 풍부에서 대회 합니다.

그 익일부터는 1절씩 배골을 내려가므로 그 발작이 늦어집니다.

즉 이는 먼저 사기는 배골에 머물러 위기가 순환하여 풍부에 이르면 피부의 살결이 이완되어 모공이 벌어지므로 사기가 침입하여 발작을 일으킵니다.

그러므로 하루씩 발작시간에 차이가 생깁니다.

사기가 풍부에서 나와 하루에 1절씩 내리면 25일 만에 미저골에 이릅니다.

26일째는 배골의 이측에 들어가서 거기에 흐르고 있는 복려의 맥으로 들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매일 매일 상행하여 9일째에는 쇄골상와의 결분 속으로 나옵니다.

이와 같이 사기의 머무는 곳이 나날이 상행하므로 이번에는 발작이 조금씩 빨라집니다.

또한 하루걸러 발작을 일으키는 것은 사기가 안으로 깊이 침입하여 5장에까지 이르러 복막에 붙으면 머무는 곳이 너무 깊으므로 늦어져서 위기와 부딪칠 수 없습니다.

고로 이 날에는 발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帝曰

夫子言??至於風府

?理乃發發則邪氣入入則病作

?氣日下一節其氣之發也

不當風府其日作者奈何

岐伯曰

此邪氣客於頭項?而下者也

?實不同邪中異所則不得當其風府也

故邪中於頭項者氣至頭項而病

中於背者氣至背而病

中於腰脊者氣至腰脊而病

中於手足者氣至手足而病

?氣之所在與邪氣相合則病作

故風無常府?氣之所發

必開其?邪氣之所合則其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선생은 지금 위기가 풍부혈에 이르렀을 때

피부의 살결이 이완되어 사기가 들어가서 발작이 생긴다고 하셨다.

또한 위기와 사기의 대회가 하루에 1절씩 내려가서 발작이 늦어진다고도 했는데, 그래서는 풍부혈에서 위기와 사기가 부딪치지 않는 것이 아니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는 사기가 처음에 두항의 풍부혈에 머무는데 배골(背骨)을 따라 내려갑니다.

그러므로 사기가 머무는 곳이 매일 달라져서 언제나 풍부혈에 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고로 사기가 두항에 있을 때는 위기가 두항에 이르렀을 때에 발작이 생기며, 배골에 있을 때는 위기가 배골에 이르렀을 때에 발작이 생깁니다.

(사기가 허리() 혹은 수족에 있을 때는 위기가 허리 혹은 수족에 이르렀을 때풍의 부 즉 풍부라고 하는 것이며, 독맥상의 풍부혈의 의미는 아닙니다.)

 

帝曰善

夫風之與?

相似同類而風獨常在?得有時而休者何也

岐伯曰

風氣留其處故常在

?氣隨經絡沈以??氣應乃作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풍과 학은 유사한데, 풍에 손상되었을 때만은 언제나 병증이 계속되어 있고, 학의 경우는 병증에 발작이 있어서 병의 상태가 연속되지 않는데,

그것은 대체 어찌된 까닭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풍기는 그 손상된 부위에 머물러서 그다지 이동하지 않습니다.

학기는 경맥이나 낙맥을 따라서 이동하여 내부로 들어가므로 위기와 부딪쳤을 때만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

?先寒而後熱者何也

岐伯曰

夏傷於大暑其汗大出?理開發

因遇夏氣?滄之水寒藏於?理皮膚之中

秋傷於風則病成矣

夫寒者陰氣也風者陽氣也

先傷於寒而後傷於風故先寒而後熱也

病以時作名曰寒?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학병으로서 먼저 오한한 다음에 발열하는 것은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여름철 대서에 상해되어 땀이 많이 나와서 피부가 이완되었을 때에 냉수를 끼얹으면 냉의 사기가 피부의 안쪽에 잠복합니다.

이것이 가을이 되어 풍에 손상되면 발병합니다.

대저 한은 음기이며, 풍은 양기입니다.

먼저 한사에 손상된 곳에 후에 풍사의 손상을 당하면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발열하게 됩니다.

이 때 발작하는 병을 한학이라 합니다.

 

帝曰

先熱而後寒者何也

岐伯曰

此先傷於風而後傷於寒故先熱而後寒也

亦以時作名曰??

其但熱而不寒者陰氣先絶陽氣獨發

則少氣煩寃手足熱而欲嘔名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먼저 발열하고, 후에 오한이 나는 것은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경우는 먼저 풍사에 손상된 다음에 한사에 손상된 것이며,

먼저 발열한 다음에 오한이 납니다.

이것도 발작이 생기는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온학 이라 합니다.

이 병으로서 단지 발열할 뿐이고, 오한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음기가 먼저 절감 상태가 되고, 양기만이 홀로 발작을 일으킵니다.

즉 발작이 생기면 호흡은 힘이 없이 얕고 가슴이 답답하며,

수족이 뜨거워지고, 구역질이 납니다.

이는 열만의 학질로서 달학 이라 합니다.

 

帝曰

夫經言有餘者寫之不足者補之

今熱爲有餘寒爲不足

?者之寒湯火不能?

及其熱?水不能寒也此皆有餘不足之類

當此之時良工不能止

必須其自衰乃刺之其故何也願聞其?

岐伯曰

經言無刺??之熱無刺渾渾之?

無刺??之汗故爲其病逆未可治也

?之始發也陽氣?於陰當是之時

?而陰盛外無氣故先寒慄也

陰氣逆極則復出之陽陽與陰復?於外

則陰?而陽實故先熱而?

?氣者?於陽則陽勝?於陰則陰勝

陰勝則寒陽勝則熱

?風寒之氣不常也病極則復至病之發也

如火之熱如風雨不可當也

故經言曰方其盛時?因其衰也

事必大昌此之謂也

?之未發也陰未?陽未?

因而調之眞氣得安邪氣乃亡

故工不能治其已發爲其氣逆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전에 유여는 사하고, 부족은 보하라고 되어 있다.

가령 열을 유여로 보고, 한을 부족이라 한다면 학병의 한기는 탕이나 불로써도 이를 따뜻하게 할 수 없고, 열기는 얼음이나 물로써도 이를 차게 할 수 없는데, 이들은 모두 유여 부족의 부류이며, 명의일지라도 이것만은 멈출 수가 없다.

반드시 병사가 쇠퇴한 다음에 자법을 가하는 것 같은데 어째서인지 그 이유를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치열한 발열시 에는 자침하지 말라.

흐름이 극단으로 심한 맥상일 때는 자침하지 말라.

급류처럼 땀이 흐를 때는 자침하지 말라 라고 경전에 씌어 있습니다.

고로 병사가 한창 역습해 오는 동안은 치법을 실시해서는 안됩니다.

대저 학병의 발작이 생길 때는 양기가 음에 모입니다.

이 때는 양이 허하고, 음기가 왕성해지므로 체표에는 양기가 없어서 반드시 오한 전율하는 것입니다.

음기가 성대의 극한에 이르면 바뀌어 음기가 양으로 집중합니다.

그러면 음이 허하고, 양기가 왕성해지므로 체표는 뜨겁고, 내부도 음기가 허해지므로 발열하여 목이 마르고 수를 마시려 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학의 사기가 양 즉 체표에 모이면 양기가 이기고, 음 즉 체내에 모이면 음기가 이깁니다.

음기가 이겼을 때는 오한이 나고, 양기가 이기면 발열합니다.

학은 풍한의 사기인데, 병증이 일정하게 계속되지 않고 발행을 되풀이하는 것이며,

오한이 극한에 이르면 또 발열하게 됩니다.

병의 발작이 생겨서 발열하면 불과 같이 뜨거워서 이 때만은 풍우의 침으로써도 식힐 수 없을 정도입니다.

고로 경전에 병세가 치열할 때 자법을 가하면 실패한다.

병세가 쇠퇴함을 틈타서 자법을 가하면 주효한다 라고 되어 있음은 이 사실을 말합니다.

또한 학병이 발작을 일으키지 않는 동안 즉 음기가 아직 양에 집중하지 않을 때 혹은 양기가 음에 아직 집중하지 않을 때 자법을 가하여 조화를 꾀하면 진기가 안태하며, 사기는 달아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의사가 학의 발작시를 고칠 수 없는 것은 병사의 역습이 치열하기 때문입니다.

 

帝曰善

攻之奈何早晏何如

岐伯曰

?之且發也陰陽之且移也必從四末始也

陽已傷陰從之故先其時堅束其處

令邪氣不得入陰氣不得出

審候見之在孫絡盛堅而血者

皆取之此眞往而未得?者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이 사기를 공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지? 그 치료 시기는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병의 발작이 생기려고 할 때는 음양의 기가 교류하는 수족의 말단에서 시작합니다.

양기가 손상되어 음기가 횡포를 부리기에 앞서서 거기를 단단히 결박하면 사기가 침입할 수 없으며, 음기도 나와서 바께서 횡포를 부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시기를 포착하여 자세히 찰진하고, 손락이 솟아올라서 단단해진 울혈이 있는 곳에서 모두 사혈합니다.

즉 진기인 위기가 사기와 부딪치기 전에 이 법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帝曰

?不發其應何如

岐伯曰

?氣者必更盛更?當氣之所在也

病在陽則熱而?

在陰則寒而?極則陰陽??氣相離故病得休

?氣集則復病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학병이 발작을 일으키지 않을 경우는 어떠한 상태에 있소?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의 사기가 횡포를 부릴 때는 교대로 양이 실하면 음이 허해지고, 음이 실해지면

양이 허해지게 됩니다.

사기가 양에 있으면 발열하여 맥이 거칠어집니다.

사기가 음에 있으면 오한하여 맥이 조용해집니다.

발작이 극한에 이르면 음도 양도 함께 쇠퇴하는데, 이는 위기가 학사와의 싸움을 중지했을 때이며, 병상은 휴전 상태로 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서 위기가 모여 학사와 전투를 개시하면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時有間二日

或至數日發?或不?其故何也

岐伯曰

其間日者邪氣與?客於六府

而有時相失不能相得故休數日乃作也

?陰陽更勝也或甚或不甚故或?或不?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이 학병의 상태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있어서 2일 걸러 혹은 수일 걸러서 발작이 생기거나, 또는 목이 마르기도 하고, 갈증이 안 생기기도 하는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날짜를 걸러 발작이 생기는 것은 사기가 체내 깊이 6부에 머물면 위기와 부딪치는

시기를 잃어서 수일 쉬고, 다시 부딪쳤을 때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또한 학병은 교대로 음이 왕성해지다가 양이 왕성해지다가 하므로 어떤 병증이 심해졌다가 멈추었다가 하여 목이 몹시 탈 때 물을 마시고자 할 때가 있는가 하면 물을 요구하지 않을 때도 있게 됩니다.

 

帝曰

論言夏傷於暑

秋必病??不必應者何也

岐伯曰

此應四時者也其病異形者反四時也

其以秋病者寒甚

以冬病者寒不甚

以春病者惡風

以夏病者多汗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전에 여름철 더위에 손상되어 곧 발병하지 않더라도 반드시 가을에 학병의 소인으로 된다 라고 되어 있는데, 지금 학병을 보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는 4계절에 의한 발병의 전형적인 경우이며, 이와 다른 것은 4계절에

부적기 하였기 때문에 앓는 것입니다.

가을에 앓게 되면 한이 심하고,

겨울에 앓게 되면 한이 심하지 않으며,

봄철에 앓게 되면 풍을 싫어하고,

여름에 앓게 되면 땀이 많이 납니다.

 

帝曰

夫病??與寒?而皆安舍舍於何藏

岐伯曰

??得之冬中於風寒氣藏於骨髓之中

至春則陽氣大發邪氣不能自出

因遇大暑腦髓?肌肉消?理發泄

或有所用力邪氣與汗皆出此病藏於腎

其氣先從?出之於外也

如是者?而陽盛陽盛則熱矣

衰則氣復反入入則陽??則寒矣

故先熱而後寒名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온학과 달학은 각각 사기가 어디에 머물며, 또 어느 장기에 머무는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온학은 겨울에 풍한의 기에 손상되어 사기가 골수 속에 숨어 있어서 봄철이 되어

양기가 크게 발동하여도 골수 속에서 나올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여름이 되어 대서를 만나면 골수나 기육이 소모되어 피부가 이완되고, 혹은 노동을 하여 땀을 내면 사기가 겨우 나갈 수 있습니다.

대저 이 사기는 깊이 골수나 신에 숨어 있으므로 이러한 환경이 되어서 겨우 안에서 밖으로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치로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해지는 것은 당연하며, 양이 성하면 발열합니다. 이것이 극한에 이르면 음으로 들어가 버리므로 이번에는 양이 허해집니다.

양이 허하면 오한이 시작됩니다.

고로 온학은 먼저 발열하고, 후에 오한이 오는 것입니다.

 

帝曰

??何如

岐伯曰

??肺素有熱氣盛於身厥逆上衝

中氣實而不外泄因有所用力?理開

風寒舍於皮膚之?分肉之間而發

發則陽氣盛陽氣盛而不衰則病矣

其氣不及於陰故但熱而不寒?藏於心

而外舍於分肉之間令人消??

故命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달학은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달학의 경우는 이 환자는 폐에 원래부터 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열기가 온몸에 왕성하며, 수족에서 기가 상충하므로 체내에 열기가 충실하며, 피부에서 배출이 안됩니다.

이러할 때 노동하여 피부가 이완되고, 거기에서 풍한의 사기가 침입하여 피부의 내측이나 기육의 갈라진 틈에 머물러 횡포를 부리면 더욱 열기가 성해져서 쇠퇴하지 않으므로 앓게 됩니다.

이 사기는 음에까지 들어가지 않으므로 단지 열기만이 강하고, 오한이 안 납니다.

비록 사기가 속으로 들어가더라도 양중의 양인 심장에 숨어서 양기가 심하고, 밖에서는 기육의 갈라진 틈에 머물므로 기육이 요진 되어 점점 야위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를 달학 즉 열의 학질이라 합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厥][기궐]  (4) 2024.11.01
[刺虐][자학]  (9) 2024.10.25
[逆調][역조]  (4) 2024.10.15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刺虐][자학]  (8) 2024.10.07

[逆調][역조]

 

黃帝問曰

人身非常?非常熱也

爲之熱而煩滿者何也

岐伯對曰

陰氣少而陽氣勝故熱而煩滿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온병이나 열병을 앓고, 이상하게 발열하며,

가슴이 꽉 차서 괴로운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것은 음기가 적어서 양기가 이기기 때문에 발열하여

가슴이 꽉 차서 괴로워지는 것입니다.

 

帝曰

人身非衣寒也中非有寒氣也寒從中生者何

岐伯曰

是人多痺氣也

陽氣少陰氣多故身寒如從水中出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의복을 특히 얇게 입었다고도 생각되지 않고,

또 한기에 손상되었다고도 생각되지 않는데,

한이 체내에서 생기는 것처럼 생각되는 수가 있는데,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양기의 순환이 나쁘고, 비기가 많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즉 양기가 적고 음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마치 물 속에서 나왔을 때와 같이 신체가 냉해집니다.

 

帝曰

人有四支熱逢風寒如炙如火者何也

岐伯曰

是人者陰氣?陽氣盛四支者陽也

兩陽相得而陰氣?少水不能滅盛火

而陽獨治獨治者不能生長也

獨勝而止耳逢風而如炙如火者是人當肉?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수족이 열을 가지고 풍기나 한기를 만나면 도리어

불을 쬔 듯이 화끈거려 불과 같이 뜨겁게 되는 사람이 있는데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체내의 음기가 허하고 양기가 왕성하기 때문입니다.

수족은 원래 양기가 왕성한 곳입니다.

이 두 가지 양기가 연합되므로 음기는 더욱 허해져서 적어집니다.

즉 수가 적으므로 활활 타는 불을 소화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양기가 독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기가 독재하면 음기가 교류하지 않으므로 만물은 생겨나는 것도,

성장하여 번영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 사람의 신체 속도 이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풍에 쐬어 수족이 불을 쬔 듯이 뜨거워지는 사람은

이는 육락의 병이며, 기육이 열때문에 다 타버려서 야위고 있습니다.

 

帝曰

人有身寒湯火不能熱

厚衣不能?然不凍慄是爲何病

岐伯曰

是人者素腎氣勝以水爲事

太陽氣衰腎脂枯不長

一水不能勝兩火腎者水也

而生於骨腎不生則髓不能滿故寒甚至骨也

所以不能凍慄者

肝一陽也心二陽也腎孤藏也

一水不能勝二火故不能凍慄

病名曰骨痺是人當攣節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신체가 한냉하여 탕이나 불로써 수족을 덥혀도 따뜻해지지 않고,

의복을 두껍게 입어도 따습게 않되는데, 그렇다고 추워 떨지도 않는다.

이러한 병은 무엇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원래 신기가 강하고, 신의 성질인 수가 독재하므로

양기가 소모되어 족태양 방광경의 기가 쇠퇴하여 적고,

이때문에 족소음 신경의 기와 교류하기 어렵게 됩니다.

음기만으로는 역시 모든 것이 성장하여 번영할 수가 없습니다.

이 경우도 신의 기름()이 증가되지 않고 소모되어 마르고,

골수의 근원이 적어집니다.

신은 수성입니다. 그리고 골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골의 지배가 나빠지면 골수가 뼛속에 차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추워서 골까지 냉해집니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추워서 떨게 되는 일이 없다는 것은

간은 족소양 담경과 배우하고, 심장은 수태양 소장경과 배우하고 있는데,

신장만은 족태양 방광경이 쇠퇴하여 있으므로 고립되어 있습니다.

강하다고 해도 신의 1음으로는 간과 심장의 2양에 이기지 못하므로

추워서 떨게 되는 일만은 없습니다. 이 병은 골비라고 부릅니다.

즉 골에 양기가 순환하지 않게 되어 기능 불량을 일으킨 병입니다.

이 병증은 관절이 땅기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帝曰

人之肉苛者雖近衣絮?苛也是謂何疾

岐伯曰榮氣??氣實也

榮氣?則不仁??則不用

???則不仁且不用肉如故也

人身與志不相有曰死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기육이 무겁고 나른하여 괴로운 환자가 있다.

천이나 솜에 닿는 것만으로도 무직하게 느끼는 것 같은데,

이는 무슨 병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환자는 영기가 허쇠하고, 위기가 충실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영기가 허하면 지각마비를 일으킵니다.

위기가 허하면 운동마비를 일으킵니다.

영기 위기가 함께 허하면 지각마비, 운동마비를 동시에 나타냅니다.

이와 같이 되어 또한 육체가 발병 전에 비하여 야위지 않는 것은

육체와 정신이 이산되어 조화되지 않기 때문이며, 죽게 된다고 합니다.

 

帝曰

人有逆氣不得臥而息有音者

有不得臥而息無音者

有起居如故而息有音者

有得臥行而喘者

有不得臥不能行而喘者

有不得臥臥而喘者皆何藏使然願聞其故

岐伯曰

不得臥而息有音者是陽明之逆也

足三陽者下行今逆而上行故息有音也

陽明者胃?胃者六府之海其氣亦下行

陽明逆不得從其道故不得臥也

下經曰胃不和則臥不安

此之謂也

夫起居如故而息有音者此肺之絡?逆也

?不得隨經上下故留經而不行

?之病人也微故起居如故而息有音也

夫不得臥臥則喘者是水氣之客也

夫水者循津液而流也

腎者水藏主津液主臥與喘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맥 혹은 낙맥의 기가 역행하기 때문에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호흡 시에 소리가 나는 자가 있으며, 괴로워서 눕지는 못하지만,

호흡 시에는 소리가 나지 않는 자가 있고,

기와는 발병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호흡 시에 소리가 나는 자가 있으며,

누울 수는 있으나 걸으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고,

눕지도 못하고 걷지도 못하며,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으며,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눕게 되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다.

이들은 모두 어느 장부가 어떻게 되어 이러한 병을 일으키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호흡 시에 소리를 내는 자는

족양명 위경의 맥기가 역행하기 때문입니다.

족의 3양경맥은 모두 하행하고 있는데,

만약 이것이 거꾸로 상행하면 호흡시에 소리를 내게 됩니다.

족양명은 위의 경맥입니다.

위는 6부의 바다라고 하여 이 기도 하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거꾸로 상행하면 정규의 순환을 못합니다. 그러므로 눕지 못합니다.

하경에 위가 화하지 않으면 와하여도 기가 편안치 못하다 라고 한 것은 이를 말합니다.

기와는 발병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호흡 시에 소리를 내는 자는

이는 폐의 낙맥이 역행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낙맥이 경맥의 흐름과 동조하여 상하로 흐를 수 없을 때는

혈기가 낙맥에 머물게 됩니다.

낙맥의 이상으로 병증을 일으키는 것은 그 나타남이 경미 하므로

기거는 앓기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그러나 호흡음을 내게 됩니다.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무리하게 누우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는

수기의 사에 의한 것입니다.

수는 진액 즉 체액에 따라서 흐르고 있습니다.

신은 수를 주관하는 장기입니다. 그러므로 진액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고로 눕게 되면 식식하면서 호흡이 거칠게 되는 것은

신에 근원이 있는 것입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虐][자학]  (9) 2024.10.25
[虐][학]  (4) 2024.10.20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刺虐][자학]  (8) 2024.10.07
[虐][학]  (7) 2024.10.01

[評熱病][평열병]

 

黃帝問曰

有病?

汗出輒復熱?躁疾

不爲汗衰狂言不能食病名爲何

岐伯對曰

病名陰陽交交者死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온병의 환자로서 땀이 나서 해열되자마자 또 발열하여 맥이 거칠고 빠르며, 땀을 내도 전혀 병세가 쇠퇴하지 않으며, 게다가 광인과 같이 헛소리를 하고, 음식물을 삼키지 못하는 자가 있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 병은 음양교라고 부릅니다. 사증입니다.

 

帝曰

願聞其?

岐伯曰

人所以汗出者皆生於穀穀生於精

今邪氣交爭於骨肉而得汗者是邪却而精勝也

精勝則當能食而不復熱復熱者邪氣也汗者精氣也

今汗出而輒復熱者是邪勝也不能食者精無?

病而留者其壽可立而傾也

且夫熱論曰汗出而??躁盛者死

?不與汗相應此不勝其病也其死明矣

狂言者是失志失志者死

今見三死不見一生雖愈必死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대저 환자가 땀을 내는 것은 정기의 작용입니다.

정기는 음식물의 정미입니다.

지금 사기와 정기가 체내에서 상쟁하여 땀이 나는 것은

즉 정기가 이기고 사기가 패하여 달아나는 증거입니다.

만약 정기가 이기면 당연히 식욕이 생겨서 다시 발열하는 일은 없습니다.

다시 발열하게 되면 이는 사기가 달아난 것이 아니고,

땀에 의해 배설된 것은 정기뿐입니다.

땀이 나고, 얼마 안 가서 발열하는 것은 정기가 이겼기 때문이 아니고,

사기가 이긴 것입니다.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는 것은 정기가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온사가 머물면 수명이 매우 위험해집니다.

열론에 땀이 나도 여전히 맥이 거칠고 성대함이 제거되지 않는 자는

사증이다 라고 되어 있는 것처럼 이 경우도 맥상과 땀이 나는 상태가 상응하지 않습니다.

이는 병사에 패했기 때문이므로 사증임이 확실합니다.

또 광인과 같이 헛소리를 하는 자는 정기의 작용인 지로서의 정신 요소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가 없어진 자는 사망할 수밖에 도리가 없습니다.

3례가 있다면 3례 모두 사망합니다.

결코 1례만이라도 살아 남는 일이 없습니다.

비록 일시 호전된 것처럼 보여도 반드시 사망합니다.

 

帝曰

有病身熱汗出煩滿煩滿不爲汗解此爲何病

岐伯曰

汗出而身熱者風也

汗出而煩滿不解者厥也病名曰風厥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환자로서 온몸이 뜨겁고 땀이 나는데도 불구하고

가슴이 꽉 찬 것처럼 괴로움이 사라지지 않는다.

이러한 병을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땀이 나 있는데, 온몸이 뜨거운 자는 풍의 탓입니다.

땀이 나는데도 가슴이 꽉차서 괴로움이 제거되지 않는 것은 궐 때문입니다.

고로 이를 풍궐 이라 합니다.

 

帝曰

願卒聞之

岐伯曰

巨陽主氣故先受邪

少陰與其爲表裏也得熱則上從之從之則厥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좀더 소상하게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족태양 방광경은 기를 주관하고 있습니다.

고로 먼저 이 경맥이 사를 받습니다.

족소음 신경은 그와 표리의 관계에 있으므로 족소음 신경이 족태양 방광경의 풍열을 받으면 그 기는 모두 족태양 방광경 쪽으로 올라갑니다.

신의 기가 올라가면 발이 냉해서 궐의 상태로 됩니다.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表裏刺之飮之服湯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이 풍궐은 어떻게 치료하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족태양 방광경과 족소음 신경과의 표리에 함께 자법을 가하여 약탕을 복용시킵니다.

 

帝曰

勞風爲病何如

岐伯曰

勞風法在肺下其爲病也

使人?上冥視唾出若涕

惡風而振寒此爲勞風之病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노풍의 병이란 어떠한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노풍의 병은 폐와 신에 이화를 초래합니다.

이 병증은 머리나 목덜미가 뻣뻣하고, 눈이 흐려지며,

침이 콧물처럼 철철 흐르고, 바람을 쐬는 것을 싫어하며, 와들와들 떱니다.

이것이 방사과도, 혹은 과중한

노동 후에 바람에 손상되었기 때문에 일어나는 노풍 이라는 병입니다.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以救?

巨陽引

精者三日中年者五日

不精者七日????如膿

大如彈丸從口中若鼻中出

不出則傷肺傷肺則死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치법은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호흡 요법과 도인법으로써 실시합니다.

젊고 정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3, 중년인 자는 5,

노인은 7일 실시하면 입 또는 코에서 탄환 크기의 청황색의 농과 같은 즙을 기침과 함께 토합니다.

나오지 않을 때는 농즙이 폐에 괴어서 폐를 상해하고 죽는 수가 있습니다.

 

帝曰

有病腎風者??然壅害於言可刺不

岐伯曰

?不當刺不當刺而刺後五日其氣必至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신풍이라는 병이 있어서 이 환자는 안면이 부어오르며,

말도 알아듣기 어렵게 흐려진다.

이 경우는 자법을 가해야 할 것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정기가 허해 있는 환자는 자법을 가해서는 안됩니다.

만약 잘못 자침하면 5일 후에 반드시 반응이 생깁니다.

 

帝曰

其至何如

岐伯曰

至必少氣時熱

時熱從胸背上至頭汗出手熱口乾苦?

小便?目下腫腹中鳴

身重難以行月事不來煩而不能食

不能正偃正偃則?病名曰風水論在刺法中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떠한 반응이 생기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반응이라 하는 것은 호흡이 얕게 되고, 발열하는 수가 있습니다.

발열하면 가슴이나 등에서 머리까지 땀이 나서 손바닥에 열을 띠고,

입안이 말라서 물을 자꾸 요구합니다.

소변이 황색으로 되며, 눈 아래가 붓고, 배에 복명이 생기며,

몸이 무거워서 걷기 어렵게 됩니다. 여자의 경우는 월경이 폐지되고,

가슴이 답답하여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으며, 바로 앙와할 수 없습니다.

바로 누우면 기침이 납니다.

이를 풍수라 합니다.

상세한 것은 자법중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帝曰.

願聞其?

岐伯曰

邪之所湊其氣必??

陽必湊之故少氣時熱而汗出也

小便?少腹中有熱也

不能正偃者胃中不和也

正偃則?上迫肺也

諸有水氣者微腫先見於目下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그 설을 들려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가 모여 있는 곳은 반드시 정기가 허해 있습니다.

음기가 허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양기가 모입니다.

고로 정기가 허하여 호흡이 얕게 되고, 양기가 모여서 발열하여 땀이 납니다.

소변이 황색임은 하복부에 열이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앙와할 수 없는 것은 위 속에 물이 괴어서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며,

무리하게 앙와위를 취하면 폐를 위에서 압박하여 심하게 기침이 나게 됩니다.

여러 가지 수기병의 환자는 부종이 우선 첫째로 눈 아래 생깁니다.

 

帝曰

何以言

岐伯曰

水者陰也目下亦陰也腹者至陰之所居

故水在腹者必使目下腫也

眞氣上逆故口苦舌乾

臥不得正偃正偃則??水也

諸水病者故不得臥臥則驚驚則?甚也

腹中鳴者病本於胃也

薄脾則煩不能食食不下者胃脘隔也

身重難以行者?在足也

月事不來者?閉也

?屬心而絡於胞中今氣上迫肺

心氣不得下通故月事不來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째서 그러한 설명으로 되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수는 음입니다. 눈 아래도 음입니다.

()도 또한 지음인 비가 있는 곳입니다.

그러므로 수가 복에 있으면 반드시 눈 아래가 붓게 됩니다.

또한 진기가 그 작용을 않고 역상하면 입안이 쓰고, 혀가 건조하여

바로 앙와할 수 없습니다.

무리하게 앙와위를 취하면 기침이 나서 물과 같은 액체를 토합니다.

그러므로 각종 수기병의 환자는 앙와를 하기 어렵습니다.

앙와위를 취하면 놀라고 기침을 몹시 하게 됩니다.

뱃속에 복명이 생기는 자는 원인이 위의 수에 있습니다.

이 수가 비에 삼투되면 괴로워져서 음식물을 취할 수 없습니다.

음식을 취할 수 없는 것은 양기가 체단 되어 위에 순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몸이 무겁고 걷기 어려운 것은 양명 위경이 족에 있기 때문입니다.

월경이 폐지되는 것은 내부의 생식기의 맥인 표맥의 기능이 저해되었기 때문입니다.

표맥은 심장에서 내려 와서 내부 생식기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진기가 역상하여 폐로 치밀면 정상시 처럼 심장에서 표맥 으로는 진기가 전해지지 않습니다.

고로 월경이 나오지 않습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虐][학]  (4) 2024.10.20
[逆調][역조]  (4) 2024.10.15
[刺虐][자학]  (8) 2024.10.07
[虐][학]  (7) 2024.10.01
[逆調][역조]  (7) 2024.09.22

[刺虐][자학]

 

足太陽之?

令人腰痛頭重寒從背起

先寒後熱????

熱止汗出難已?中出血

족태양 방광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요통 두중이 있고,

오한이 등()에서 생겨 먼저 오한한 다음에 몹시 발열하고,

발열이 끝날 무렵에 이번에는 땀이 줄줄 흘러서 좀처럼 그치지 않는다.

위중을 자침하여 사혈하라.

 

足少陽之?

令人身體解漁寒不甚

熱不甚惡見人見人心??

熱多汗出甚刺足少陽

족소양 담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몸이 나른하고, 오한은 그다지 심하지 않으며,

발열도 또한 심하지 않다.

그러나 사람을 만나는 것을 싫어하며 만약 사람을 만나면 겁을 내고,

정신이 동요하여 발열하고, 땀을 몹시 낸다.

족소양 담경상을 자침하라.

 

足陽明之?

令人先寒??淅寒甚

久乃熱熱去汗出

喜見日月光火氣

乃快然刺足陽明?

족양명 위경상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슬오슬 오한이 심하고, 장시간 지난 다음에 발열한다.

열이 내리면 땀이 나고, 스스로 일광이나 불을 찾아서 접근하여 상쾌해진다.

족양명 위경의 충양을 자침하라.

足太陰之?

令人不樂好大息

不嗜食多寒熱汗出

病至則善嘔嘔已乃衰?取之

족태음 비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불쾌감에 빠져 잘 한숨을 쉬고,

식욕부진이 되어 한열도 땀도 심하여 발작이 생기면 괴로워서 잘 토하며,

구역질이 멎으면 편안해진다.

족태음 비경상을 취혈하라.

 

足少陰之?

令人嘔吐甚多寒熱

熱多寒少欲閉??而處其病難已

족소음 신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구토가 심하고, 또 가끔 오한 발열을 되풀이하는데,

발열이 심하고 오한은 적어 그래서 스스로 실내에 칩거하려고 한다.

이 병은 난치이다.

 

足厥陰之?

令人腰痛少腹滿

小便不利???

數便意恐懼氣不足

腹中??刺足厥陰

족궐음 간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요통이 생기며, 하복부가 팽만하고,

소변이 잘 안 나와서 폐뇨증과 같은데, 폐뇨증은 아니다.

즉 자주 변의가 생긴다.

정신적으로 겁을 내고 불안하며, 원기가 없다.

또한 뱃속이 뭔가 모르게 편안치 못하다.

족궐음 간경상을 자침하라.

 

?

令人心寒寒甚熱

熱間善驚如有所見者刺手太陰陽明

폐의 학인 경우

환자는 심장부에 냉감을 느끼고, 오한이 심하며, 또 발열한다.

발열하고 있는 동안은 놀라기 쉽고, 꿈을 꾸고 있는 것 같다.

수태음 폐경과 수양명 대장경을 자침하라.

 

?

令人煩心甚欲得?

反寒多不甚熱刺手少陰

심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가슴이 답답하고, 심장이 두근거리며, 냉수를 마시려고 하는데,

이번에는 오한이 나서 그다지 마실 수 없다.

이는 열이 심하지 않은 증거이다.

수소음 심경을 자침하라.

 

?

令人色蒼蒼然太息

?若死者刺足厥陰見血

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안면이 창백해지며, 한숨을 쉬고, 죽은 것처럼 보인다.

족궐음 간경을 자침하여 사혈하라.

 

?

令人寒腹中痛

熱則腸中鳴鳴已汗出刺足太陰

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한이 나고, 뱃속이 아프며,

발열시 에는 복명이 생기고 그것이 멎으면 땀이 난다.

족태음 비경을 자침하라.

 

?

令人??腰脊痛宛轉大便難

??手足寒

刺足太陽少陰

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슬오슬 오한이 나고,

허리나 등()이 아파서 몸을 움직이면 괴롭고,

대변이 잘 안 나오고, 눈을 깜박이며, 수족이 냉하다.

족태양 방광경과 족소음 신경을 자침하라.

 

?

令人且病也善飢而不能食

食而支滿腹大刺足陽明太陰??出血

위의 학인 경우

환자는 발작이 생길 때 흔히 배가 고픈데, 먹고자 해도 먹을 수 없다.

만약 무리해서 먹으면 배가 아래서 치밀듯이 팽만해진다.

족양명 위경과 족태음 비경을 자침하고, 가로 뻗은 낙맥으로부터 사혈하라.

 

?發身方熱?上動?開其空出其血立寒.

학병이 발작을 일으켜서 몸에 열이 나려고 할 때는

충양의 맥동부를 찔러서 침공을 넓혀 사혈하면 즉시 해열된다.

 

?方欲寒刺手陽明太陰足陽明太陰

학병으로 오한이 시작하려고 할 때는

수양명 대장경과 수태음 폐경과 족양명 위경과 족태음 비경을 찔러라.

 

??滿大急刺背兪

用中鍼傍伍?兪各一

適肥?出其血也

??小實急灸脛少陰

刺指井??滿大急刺背兪

用五?兪背兪各一適行至於血也

??緩大?便宜用藥不宜用鍼

凡治?先發如食頃

乃可以治過之則失時也

??不見刺十指間出血

血去必已先視身之赤如小豆者盡取之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충실하고 크며, 긴장되었을 때는

배유를 자침하라.

또한 중정도의 침으로 5장의 배유의 제3 행선상을 알맞게 1개소씩

취혈 하여 환자의 비수의 상태에 따라서 사혈하라.

학병의 발작이 일어나서 맥이 작고 충실하며, 긴장될 때는

경부의 족소음 신경상에 뜸을뜰 것, 그리고 정혈을 자침하라.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충실하고 크며, 긴장되었을 때는

배유를 자침하라.

또한 5장의 배유의 제3 행선상과 배유와를 각각 하나씩 취혈 하여

알맞게 찔러서 혈을 순환케 하라.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완만하고 크며, 게다가 공허할 때는 약물 요법을 실시하라. 자법을 실시해서는 안된다.

일반적으로 학병을 치료하는데는 발작 전 20분 정도를 겨누어 실시하라.

이 때를 지나면 치법의 시기를 잃는다.

여러 가지 학병의 경우 맥상을 잘 모를 때는 수족의 10지지 사이를 찔러서 사혈하라. 피가 나오면 반드시 낫는다.

혹은 신체상의 붉은 팥알 크기의 울혈을 찾아서 모두 사혈하라.

 

十二?其發各不同時

察其病形以知其何?之病也

先其發時如食頃而刺之

一刺則衰二刺則知三刺則已

不已刺舌下兩?出血

不已?中盛經出血

又刺項已下?脊者必已

舌下兩?廉泉也

상술한 12종의 학병은 발작의 시기가 동일하지 않다.

그 병증을 봐서 어느 경맥 혹은 어느 장기의 학인지를 알아라.

또한 발작 전 20분 가량을 겨누어 찌르면 1자로써 병세가 쇠퇴하고,

2자로써 주효하며, 3자로써 치유된다.

만약 낫지 않을 때는 설하의 양맥에서 사혈하라.

그래도 낫지 않으면 위중의 솟아오른 맥에서 사혈하라.

또한 항에서 요에 이르는 태양경의 2 3행선을 자침하면 반드시 낫는다.

설하의 양맥이란 염천을 말한다.

 

?必先問其病之所先發者先刺之

先頭痛及重者先刺頭上及兩額兩眉間出血

先項背痛者先刺之

先腰脊痛者先刺?中出血

先手臂痛者先刺手少陰陽明十指間

先足脛?痛者先刺足陽明十指間出血

또한 학병을 자침할 때는 발작시 먼저 병증을 일으키는 부위를 문진하여

그 부위부터 찔러라.

즉 먼저 두통 두중하는 자는 두상과 양협과 미간을 찔러서 사혈하라.

먼저 항배가 아픈 자는 우선 거기를 찔러라.

먼저 요배가 아픈 자는 우선 위중을 찔러서 사혈하라.

먼저 수완이 아픈 자는 우선 수소음 심경과 수양명 대장경과 10지간을 자침하라.

먼저 족경이 무직하고 나른하면서 아픈 자는 우선 족양시 위경과 10지간을 자침해서 사혈하라.

 

??發則汗出惡風

刺三陽經背兪之血者

??痛甚按之不可名曰?髓病

?鍼鍼絶骨出血立已

身體小痛刺至陰諸陰之井無出血間日一刺

??間日而作刺足太陽

?而間日作刺足少陽

??汗不出爲五十九刺

풍학은 발작 시에 땀이 나서 오풍 한다.

수족의 3양경맥상과 배유의 울혈을 자침하라.

족경이 무직하고 나른하면서 아픔이 심하여 눌러도 경쾌하지 않는 것은 경의 수가 손상된 것이라 한다.

창침 으로 절골(현종)을 찔러서 사혈하면 곧 낫는다.

신체가 조금 아플 때는 지음을 자침하라.

모든 음경맥의 정혈을 찌를 때는 출혈시켜서는 안된다.

또한 날짜의 간격을 두고 찔러야 하며, 매일 찔러서는 안된다.

학으로 물을 마시려 하지 않고, 하루 걸러 발작이 생기는 자는 족태양 방광경상을 자침하라.

학으로서 갈증이 생겨 물을 마시려 하고, 하루 걸러 발작이 생기는 자는 족소양 담경상을 자침하라.

온학으로서 아무리 해도 발한하지 않을 때는 59자를 행하라.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逆調][역조]  (4) 2024.10.15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虐][학]  (7) 2024.10.01
[逆調][역조]  (7) 2024.09.22
[評熱病][평열병]  (14) 2024.09.14

[][]

 

黃帝問曰

??皆生於風其蓄作有時者何也

岐伯對曰?之始發也

先起於毫毛伸欠乃作

寒慄鼓?腰脊?寒去則?外皆熱

頭痛如破?欲冷飮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대저 해학인 학질병은 모두 그 근원이 풍에 손상되었기 때문일 것인데,

그 오한 발열이 앓다가 낫다가 하는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질의 발작이 생기려고 할 때는 먼저 털이 곤두서고 하품을 하며,

이윽고 와들와들 떨기 시작하며, 턱이 떨리게 됩니다.

허리나 등이 모두 아프고, 그 오한 전률이 끝나면 온몸이 화끈 발열하여

머리가 쪼개지는 것 같이 아프고, 목이 말라서 찬 음료를 요구하게 됩니다.

 

帝曰

何氣使然願聞其道

岐伯曰

陰陽上下交爭?實更作陰陽相移也

?於陰則陰實而陽?陽明?則寒慄鼓?

巨陽?則腰背頭項痛

三陽??則陰氣勝陰氣勝則骨寒而痛

寒生於?故中外皆寒

陽盛則外熱??

?皆熱則喘而?故欲冷飮也

此皆得之夏傷於暑熱氣盛

藏於皮膚之?腸胃之外此榮氣之所舍也

此令人汗空疏?理開因得秋氣汗出遇風

及得之以浴水氣舍於皮膚之???

?氣者晝日行於陽夜行於陰此氣得陽而外出

得陰而??外相薄是以日作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떠한 기의 작용이 그와 같은 병증을 일으키게 하는지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음양 상하 내외 모두 부조화하게 되어 허와 실이 서로 되풀이하여 성쇠 되고, 음양의 기가 연이어 교체되기 때문입니다.

양기가 음경맥에 모이면 음경맥이 실하고, 양경맥이 허해집니다.

그 족양명 위경이 허해지면 턱이 와들와들하여 전율하게 됩니다.

그 족태양 방광경이 허해지면 허리나 등()이나 머리나 목덜미()가 아픕니다.

3양경맥이 모두 허하면 음기가 완전히 이기게 됩니다.

음기가 이기면 골이 냉하여 아픕니다.

즉 한중에서 생기므로 내외가 모두 냉해집니다.

양기가 왕성해지면 밖()이 열해집니다.

음기가 허해지면 속()이 열해집니다.

안팎이 열해지면 호흡이 거칠게 되어 목이 마릅니다.

그러므로 찬 음료를 요구합니다.

이들은 모두 여름철 서기에 상해되어 열기가 넘쳐서

피부의 안쪽과 영기가 있어야 할 위장의 바깥쪽에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고로 한혈이 벌어지고, 피부의 긴장이 나빠지므로

가을이 되어 땀이 났을 때 우연히 냉풍을 쐬거나,

혹은 가을이 되어 땀이 나서 물을 몸에 끼얹으면 풍이나 수의 사기가 피부의 안쪽에 머물러 위기와 동거합니다.

대체로 위기란 것은 주간에는 양분을 순환하고, 야간에는 음분을 순환하는 것입니다.

사기도 낮과 밤의 양기나 음기에 끌려서 드나들어 위기와 부딪칩니다.

그러므로 하루에 1회 발작을 일으킵니다.

 

帝曰

其間日而作者何也

岐伯曰

其氣之舍深?薄於陰陽氣獨發陰邪?

陰與陽爭不得出是以間日而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매일이 아니고 하루걸러 발작을 일으키는 학질이 있는데,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가 머물러 있는 부위가 깊이 음분에까지 들어가면 위기만이 밖을 순환하여

사기는 내부에 붙어 있으므로 위기와 사기가 매일 부딪치지 않으므로 하루걸러

부딪쳐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善

其作日晏與其日早者何氣使然

岐伯曰

邪氣客於風府?而下?氣一日一夜

大會於風府其明日日下一節

故其作也晏此先客於脊背也

?至於風府?理開?理開則邪氣入

邪氣入則病作以此日作稍益晏也

其出於風府日下一節二十五日下至?

二十六日入於脊?注於伏??

其氣上行九日出於缺盆之中

其氣日高故作日益早也

其間日發者由邪氣?薄於五藏?連募原也

其道遠其氣深其行遲

不能與??不得皆出故間日乃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그 발작이 매일 조금씩 늦는 경우와 빠른 경우가 있는데,

어떠한 기의 작용이 그렇게 만드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는 풍부에 머물러서 배골을 따라 내려가서 위기와 24시간에 1회 풍부에서 대회 합니다.

그 익일부터는 1절씩 배골을 내려가므로 그 발작이 늦어집니다.

즉 이는 먼저 사기는 배골에 머물러 위기가 순환하여 풍부에 이르면 피부의 살결이 이완되어 모공이 벌어지므로 사기가 침입하여 발작을 일으킵니다.

그러므로 하루씩 발작시간에 차이가 생깁니다.

사기가 풍부에서 나와 하루에 1절씩 내리면 25일 만에 미저골에 이릅니다.

26일째는 배골의 이측에 들어가서 거기에 흐르고 있는 복려의 맥으로 들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매일 매일 상행하여 9일째에는 쇄골상와의 결분 속으로 나옵니다.

이와 같이 사기의 머무는 곳이 나날이 상행하므로 이번에는 발작이 조금씩 빨라집니다.

또한 하루걸러 발작을 일으키는 것은 사기가 안으로 깊이 침입하여 5장에까지 이르러 복막에 붙으면 머무는 곳이 너무 깊으므로 늦어져서 위기와 부딪칠 수 없습니다.

고로 이 날에는 발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帝曰

夫子言??至於風府

?理乃發發則邪氣入入則病作

?氣日下一節其氣之發也

不當風府其日作者奈何

岐伯曰

此邪氣客於頭項?而下者也

?實不同邪中異所則不得當其風府也

故邪中於頭項者氣至頭項而病

中於背者氣至背而病

中於腰脊者氣至腰脊而病

中於手足者氣至手足而病

?氣之所在與邪氣相合則病作

故風無常府?氣之所發

必開其?邪氣之所合則其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선생은 지금 위기가 풍부혈에 이르렀을 때

피부의 살결이 이완되어 사기가 들어가서 발작이 생긴다고 하셨다.

또한 위기와 사기의 대회가 하루에 1절씩 내려가서 발작이 늦어진다고도 했는데, 그래서는 풍부혈에서 위기와 사기가 부딪치지 않는 것이 아니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는 사기가 처음에 두항의 풍부혈에 머무는데 배골(背骨)을 따라 내려갑니다.

그러므로 사기가 머무는 곳이 매일 달라져서 언제나 풍부혈에 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고로 사기가 두항에 있을 때는 위기가 두항에 이르렀을 때에 발작이 생기며, 배골에 있을 때는 위기가 배골에 이르렀을 때에 발작이 생깁니다.

(사기가 허리() 혹은 수족에 있을 때는 위기가 허리 혹은 수족에 이르렀을 때풍의 부 즉 풍부라고 하는 것이며, 독맥상의 풍부혈의 의미는 아닙니다.)

 

帝曰善

夫風之與?

相似同類而風獨常在?得有時而休者何也

岐伯曰

風氣留其處故常在

?氣隨經絡沈以??氣應乃作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풍과 학은 유사한데, 풍에 손상되었을 때만은 언제나 병증이 계속되어 있고, 학의 경우는 병증에 발작이 있어서 병의 상태가 연속되지 않는데,

그것은 대체 어찌된 까닭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풍기는 그 손상된 부위에 머물러서 그다지 이동하지 않습니다.

학기는 경맥이나 낙맥을 따라서 이동하여 내부로 들어가므로 위기와 부딪쳤을 때만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

?先寒而後熱者何也

岐伯曰

夏傷於大暑其汗大出?理開發

因遇夏氣?滄之水寒藏於?理皮膚之中

秋傷於風則病成矣

夫寒者陰氣也風者陽氣也

先傷於寒而後傷於風故先寒而後熱也

病以時作名曰寒?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학병으로서 먼저 오한한 다음에 발열하는 것은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여름철 대서에 상해되어 땀이 많이 나와서 피부가 이완되었을 때에 냉수를 끼얹으면 냉의 사기가 피부의 안쪽에 잠복합니다.

이것이 가을이 되어 풍에 손상되면 발병합니다.

대저 한은 음기이며, 풍은 양기입니다.

먼저 한사에 손상된 곳에 후에 풍사의 손상을 당하면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발열하게 됩니다.

이 때 발작하는 병을 한학이라 합니다.

 

帝曰

先熱而後寒者何也

岐伯曰

此先傷於風而後傷於寒故先熱而後寒也

亦以時作名曰??

其但熱而不寒者陰氣先絶陽氣獨發

則少氣煩寃手足熱而欲嘔名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먼저 발열하고, 후에 오한이 나는 것은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경우는 먼저 풍사에 손상된 다음에 한사에 손상된 것이며,

먼저 발열한 다음에 오한이 납니다.

이것도 발작이 생기는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온학 이라 합니다.

이 병으로서 단지 발열할 뿐이고, 오한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음기가 먼저 절감 상태가 되고, 양기만이 홀로 발작을 일으킵니다.

즉 발작이 생기면 호흡은 힘이 없이 얕고 가슴이 답답하며,

수족이 뜨거워지고, 구역질이 납니다.

이는 열만의 학질로서 달학 이라 합니다.

 

帝曰

夫經言有餘者寫之不足者補之

今熱爲有餘寒爲不足

?者之寒湯火不能?

及其熱?水不能寒也此皆有餘不足之類

當此之時良工不能止

必須其自衰乃刺之其故何也願聞其?

岐伯曰

經言無刺??之熱無刺渾渾之?

無刺??之汗故爲其病逆未可治也

?之始發也陽氣?於陰當是之時

?而陰盛外無氣故先寒慄也

陰氣逆極則復出之陽陽與陰復?於外

則陰?而陽實故先熱而?

?氣者?於陽則陽勝?於陰則陰勝

陰勝則寒陽勝則熱

?風寒之氣不常也病極則復至病之發也

如火之熱如風雨不可當也

故經言曰方其盛時?因其衰也

事必大昌此之謂也

?之未發也陰未?陽未?

因而調之眞氣得安邪氣乃亡

故工不能治其已發爲其氣逆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전에 유여는 사하고, 부족은 보하라고 되어 있다.

가령 열을 유여로 보고, 한을 부족이라 한다면 학병의 한기는 탕이나 불로써도 이를 따뜻하게 할 수 없고, 열기는 얼음이나 물로써도 이를 차게 할 수 없는데, 이들은 모두 유여 부족의 부류이며, 명의일지라도 이것만은 멈출 수가 없다.

반드시 병사가 쇠퇴한 다음에 자법을 가하는 것 같은데 어째서인지 그 이유를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치열한 발열시 에는 자침하지 말라.

흐름이 극단으로 심한 맥상일 때는 자침하지 말라.

급류처럼 땀이 흐를 때는 자침하지 말라 라고 경전에 씌어 있습니다.

고로 병사가 한창 역습해 오는 동안은 치법을 실시해서는 안됩니다.

대저 학병의 발작이 생길 때는 양기가 음에 모입니다.

이 때는 양이 허하고, 음기가 왕성해지므로 체표에는 양기가 없어서 반드시 오한 전율하는 것입니다.

음기가 성대의 극한에 이르면 바뀌어 음기가 양으로 집중합니다.

그러면 음이 허하고, 양기가 왕성해지므로 체표는 뜨겁고, 내부도 음기가 허해지므로 발열하여 목이 마르고 수를 마시려 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학의 사기가 양 즉 체표에 모이면 양기가 이기고, 음 즉 체내에 모이면 음기가 이깁니다.

음기가 이겼을 때는 오한이 나고, 양기가 이기면 발열합니다.

학은 풍한의 사기인데, 병증이 일정하게 계속되지 않고 발행을 되풀이하는 것이며,

오한이 극한에 이르면 또 발열하게 됩니다.

병의 발작이 생겨서 발열하면 불과 같이 뜨거워서 이 때만은 풍우의 침으로써도 식힐 수 없을 정도입니다.

고로 경전에 병세가 치열할 때 자법을 가하면 실패한다.

병세가 쇠퇴함을 틈타서 자법을 가하면 주효한다 라고 되어 있음은 이 사실을 말합니다.

또한 학병이 발작을 일으키지 않는 동안 즉 음기가 아직 양에 집중하지 않을 때 혹은 양기가 음에 아직 집중하지 않을 때 자법을 가하여 조화를 꾀하면 진기가 안태하며, 사기는 달아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의사가 학의 발작시를 고칠 수 없는 것은 병사의 역습이 치열하기 때문입니다.

 

帝曰善

攻之奈何早晏何如

岐伯曰

?之且發也陰陽之且移也必從四末始也

陽已傷陰從之故先其時堅束其處

令邪氣不得入陰氣不得出

審候見之在孫絡盛堅而血者

皆取之此眞往而未得?者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이 사기를 공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지? 그 치료 시기는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병의 발작이 생기려고 할 때는 음양의 기가 교류하는 수족의 말단에서 시작합니다.

양기가 손상되어 음기가 횡포를 부리기에 앞서서 거기를 단단히 결박하면 사기가 침입할 수 없으며, 음기도 나와서 바께서 횡포를 부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시기를 포착하여 자세히 찰진하고, 손락이 솟아올라서 단단해진 울혈이 있는 곳에서 모두 사혈합니다.

즉 진기인 위기가 사기와 부딪치기 전에 이 법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帝曰

?不發其應何如

岐伯曰

?氣者必更盛更?當氣之所在也

病在陽則熱而?

在陰則寒而?極則陰陽??氣相離故病得休

?氣集則復病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학병이 발작을 일으키지 않을 경우는 어떠한 상태에 있소?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의 사기가 횡포를 부릴 때는 교대로 양이 실하면 음이 허해지고, 음이 실해지면

양이 허해지게 됩니다.

사기가 양에 있으면 발열하여 맥이 거칠어집니다.

사기가 음에 있으면 오한하여 맥이 조용해집니다.

발작이 극한에 이르면 음도 양도 함께 쇠퇴하는데, 이는 위기가 학사와의 싸움을 중지했을 때이며, 병상은 휴전 상태로 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서 위기가 모여 학사와 전투를 개시하면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時有間二日

或至數日發?或不?其故何也

岐伯曰

其間日者邪氣與?客於六府

而有時相失不能相得故休數日乃作也

?陰陽更勝也或甚或不甚故或?或不?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이 학병의 상태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있어서 2일 걸러 혹은 수일 걸러서 발작이 생기거나, 또는 목이 마르기도 하고, 갈증이 안 생기기도 하는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날짜를 걸러 발작이 생기는 것은 사기가 체내 깊이 6부에 머물면 위기와 부딪치는

시기를 잃어서 수일 쉬고, 다시 부딪쳤을 때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또한 학병은 교대로 음이 왕성해지다가 양이 왕성해지다가 하므로 어떤 병증이 심해졌다가 멈추었다가 하여 목이 몹시 탈 때 물을 마시고자 할 때가 있는가 하면 물을 요구하지 않을 때도 있게 됩니다.

 

帝曰

論言夏傷於暑

秋必病??不必應者何也

岐伯曰

此應四時者也其病異形者反四時也

其以秋病者寒甚

以冬病者寒不甚

以春病者惡風

以夏病者多汗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전에 여름철 더위에 손상되어 곧 발병하지 않더라도 반드시 가을에 학병의 소인으로 된다 라고 되어 있는데, 지금 학병을 보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는 4계절에 의한 발병의 전형적인 경우이며, 이와 다른 것은 4계절에

부적기 하였기 때문에 앓는 것입니다.

가을에 앓게 되면 한이 심하고,

겨울에 앓게 되면 한이 심하지 않으며,

봄철에 앓게 되면 풍을 싫어하고,

여름에 앓게 되면 땀이 많이 납니다.

 

帝曰

夫病??與寒?而皆安舍舍於何藏

岐伯曰

??得之冬中於風寒氣藏於骨髓之中

至春則陽氣大發邪氣不能自出

因遇大暑腦髓?肌肉消?理發泄

或有所用力邪氣與汗皆出此病藏於腎

其氣先從?出之於外也

如是者?而陽盛陽盛則熱矣

衰則氣復反入入則陽??則寒矣

故先熱而後寒名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온학과 달학은 각각 사기가 어디에 머물며, 또 어느 장기에 머무는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온학은 겨울에 풍한의 기에 손상되어 사기가 골수 속에 숨어 있어서 봄철이 되어

양기가 크게 발동하여도 골수 속에서 나올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여름이 되어 대서를 만나면 골수나 기육이 소모되어 피부가 이완되고, 혹은 노동을 하여 땀을 내면 사기가 겨우 나갈 수 있습니다.

대저 이 사기는 깊이 골수나 신에 숨어 있으므로 이러한 환경이 되어서 겨우 안에서 밖으로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치로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해지는 것은 당연하며, 양이 성하면 발열합니다. 이것이 극한에 이르면 음으로 들어가 버리므로 이번에는 양이 허해집니다.

양이 허하면 오한이 시작됩니다.

고로 온학은 먼저 발열하고, 후에 오한이 오는 것입니다.

 

帝曰

??何如

岐伯曰

??肺素有熱氣盛於身厥逆上衝

中氣實而不外泄因有所用力?理開

風寒舍於皮膚之?分肉之間而發

發則陽氣盛陽氣盛而不衰則病矣

其氣不及於陰故但熱而不寒?藏於心

而外舍於分肉之間令人消??

故命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달학은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달학의 경우는 이 환자는 폐에 원래부터 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열기가 온몸에 왕성하며, 수족에서 기가 상충하므로 체내에 열기가 충실하며, 피부에서 배출이 안됩니다.

이러할 때 노동하여 피부가 이완되고, 거기에서 풍한의 사기가 침입하여 피부의 내측이나 기육의 갈라진 틈에 머물러 횡포를 부리면 더욱 열기가 성해져서 쇠퇴하지 않으므로 앓게 됩니다.

이 사기는 음에까지 들어가지 않으므로 단지 열기만이 강하고, 오한이 안 납니다.

비록 사기가 속으로 들어가더라도 양중의 양인 심장에 숨어서 양기가 심하고, 밖에서는 기육의 갈라진 틈에 머물므로 기육이 요진 되어 점점 야위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를 달학 즉 열의 학질이라 합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刺虐][자학]  (8) 2024.10.07
[逆調][역조]  (7) 2024.09.22
[評熱病][평열병]  (14) 2024.09.14
[刺熱][자열]  (8) 2024.09.08

[逆調][역조]

 

黃帝問曰

人身非常?非常熱也

爲之熱而煩滿者何也

岐伯對曰

陰氣少而陽氣勝故熱而煩滿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온병이나 열병을 앓고, 이상하게 발열하며,

가슴이 꽉 차서 괴로운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것은 음기가 적어서 양기가 이기기 때문에 발열하여

가슴이 꽉 차서 괴로워지는 것입니다.

 

帝曰

人身非衣寒也中非有寒氣也寒從中生者何

岐伯曰

是人多痺氣也

陽氣少陰氣多故身寒如從水中出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의복을 특히 얇게 입었다고도 생각되지 않고,

또 한기에 손상되었다고도 생각되지 않는데,

한이 체내에서 생기는 것처럼 생각되는 수가 있는데,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양기의 순환이 나쁘고, 비기가 많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즉 양기가 적고 음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마치 물 속에서 나왔을 때와 같이 신체가 냉해집니다.

 

帝曰

人有四支熱逢風寒如炙如火者何也

岐伯曰

是人者陰氣?陽氣盛四支者陽也

兩陽相得而陰氣?少水不能滅盛火

而陽獨治獨治者不能生長也

獨勝而止耳逢風而如炙如火者是人當肉?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수족이 열을 가지고 풍기나 한기를 만나면 도리어

불을 쬔 듯이 화끈거려 불과 같이 뜨겁게 되는 사람이 있는데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체내의 음기가 허하고 양기가 왕성하기 때문입니다.

수족은 원래 양기가 왕성한 곳입니다.

이 두 가지 양기가 연합되므로 음기는 더욱 허해져서 적어집니다.

즉 수가 적으므로 활활 타는 불을 소화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양기가 독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기가 독재하면 음기가 교류하지 않으므로 만물은 생겨나는 것도,

성장하여 번영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 사람의 신체 속도 이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풍에 쐬어 수족이 불을 쬔 듯이 뜨거워지는 사람은

이는 육락의 병이며, 기육이 열때문에 다 타버려서 야위고 있습니다.

 

帝曰

人有身寒湯火不能熱

厚衣不能?然不凍慄是爲何病

岐伯曰

是人者素腎氣勝以水爲事

太陽氣衰腎脂枯不長

一水不能勝兩火腎者水也

而生於骨腎不生則髓不能滿故寒甚至骨也

所以不能凍慄者

肝一陽也心二陽也腎孤藏也

一水不能勝二火故不能凍慄

病名曰骨痺是人當攣節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신체가 한냉하여 탕이나 불로써 수족을 덥혀도 따뜻해지지 않고,

의복을 두껍게 입어도 따습게 않되는데, 그렇다고 추워 떨지도 않는다.

이러한 병은 무엇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원래 신기가 강하고, 신의 성질인 수가 독재하므로

양기가 소모되어 족태양 방광경의 기가 쇠퇴하여 적고,

이때문에 족소음 신경의 기와 교류하기 어렵게 됩니다.

음기만으로는 역시 모든 것이 성장하여 번영할 수가 없습니다.

이 경우도 신의 기름()이 증가되지 않고 소모되어 마르고,

골수의 근원이 적어집니다.

신은 수성입니다. 그리고 골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골의 지배가 나빠지면 골수가 뼛속에 차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추워서 골까지 냉해집니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추워서 떨게 되는 일이 없다는 것은

간은 족소양 담경과 배우하고, 심장은 수태양 소장경과 배우하고 있는데,

신장만은 족태양 방광경이 쇠퇴하여 있으므로 고립되어 있습니다.

강하다고 해도 신의 1음으로는 간과 심장의 2양에 이기지 못하므로

추워서 떨게 되는 일만은 없습니다. 이 병은 골비라고 부릅니다.

즉 골에 양기가 순환하지 않게 되어 기능 불량을 일으킨 병입니다.

이 병증은 관절이 땅기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帝曰

人之肉苛者雖近衣絮?苛也是謂何疾

岐伯曰榮氣??氣實也

榮氣?則不仁??則不用

???則不仁且不用肉如故也

人身與志不相有曰死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기육이 무겁고 나른하여 괴로운 환자가 있다.

천이나 솜에 닿는 것만으로도 무직하게 느끼는 것 같은데,

이는 무슨 병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환자는 영기가 허쇠하고, 위기가 충실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영기가 허하면 지각마비를 일으킵니다.

위기가 허하면 운동마비를 일으킵니다.

영기 위기가 함께 허하면 지각마비, 운동마비를 동시에 나타냅니다.

이와 같이 되어 또한 육체가 발병 전에 비하여 야위지 않는 것은

육체와 정신이 이산되어 조화되지 않기 때문이며, 죽게 된다고 합니다.

 

帝曰

人有逆氣不得臥而息有音者

有不得臥而息無音者

有起居如故而息有音者

有得臥行而喘者

有不得臥不能行而喘者

有不得臥臥而喘者皆何藏使然願聞其故

岐伯曰

不得臥而息有音者是陽明之逆也

足三陽者下行今逆而上行故息有音也

陽明者胃?胃者六府之海其氣亦下行

陽明逆不得從其道故不得臥也

下經曰胃不和則臥不安

此之謂也

夫起居如故而息有音者此肺之絡?逆也

?不得隨經上下故留經而不行

?之病人也微故起居如故而息有音也

夫不得臥臥則喘者是水氣之客也

夫水者循津液而流也

腎者水藏主津液主臥與喘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맥 혹은 낙맥의 기가 역행하기 때문에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호흡 시에 소리가 나는 자가 있으며, 괴로워서 눕지는 못하지만,

호흡 시에는 소리가 나지 않는 자가 있고,

기와는 발병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호흡 시에 소리가 나는 자가 있으며,

누울 수는 있으나 걸으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고,

눕지도 못하고 걷지도 못하며,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으며,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눕게 되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다.

이들은 모두 어느 장부가 어떻게 되어 이러한 병을 일으키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호흡 시에 소리를 내는 자는

족양명 위경의 맥기가 역행하기 때문입니다.

족의 3양경맥은 모두 하행하고 있는데,

만약 이것이 거꾸로 상행하면 호흡시에 소리를 내게 됩니다.

족양명은 위의 경맥입니다.

위는 6부의 바다라고 하여 이 기도 하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거꾸로 상행하면 정규의 순환을 못합니다. 그러므로 눕지 못합니다.

하경에 위가 화하지 않으면 와하여도 기가 편안치 못하다 라고 한 것은 이를 말합니다.

기와는 발병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호흡 시에 소리를 내는 자는

이는 폐의 낙맥이 역행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낙맥이 경맥의 흐름과 동조하여 상하로 흐를 수 없을 때는

혈기가 낙맥에 머물게 됩니다.

낙맥의 이상으로 병증을 일으키는 것은 그 나타남이 경미 하므로

기거는 앓기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그러나 호흡음을 내게 됩니다.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무리하게 누우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는

수기의 사에 의한 것입니다.

수는 진액 즉 체액에 따라서 흐르고 있습니다.

신은 수를 주관하는 장기입니다. 그러므로 진액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고로 눕게 되면 식식하면서 호흡이 거칠게 되는 것은

신에 근원이 있는 것입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虐][자학]  (8) 2024.10.07
[虐][학]  (7) 2024.10.01
[評熱病][평열병]  (14) 2024.09.14
[刺熱][자열]  (8) 2024.09.08
[熱][열]  (0) 2024.08.25

[評熱病][평열병]

 

黃帝問曰

有病?

汗出輒復熱?躁疾

不爲汗衰狂言不能食病名爲何

岐伯對曰

病名陰陽交交者死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온병의 환자로서 땀이 나서 해열되자마자 또 발열하여 맥이 거칠고 빠르며, 땀을 내도 전혀 병세가 쇠퇴하지 않으며, 게다가 광인과 같이 헛소리를 하고, 음식물을 삼키지 못하는 자가 있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 병은 음양교라고 부릅니다. 사증입니다.

 

帝曰

願聞其?

岐伯曰

人所以汗出者皆生於穀穀生於精

今邪氣交爭於骨肉而得汗者是邪却而精勝也

精勝則當能食而不復熱復熱者邪氣也汗者精氣也

今汗出而輒復熱者是邪勝也不能食者精無?

病而留者其壽可立而傾也

且夫熱論曰汗出而??躁盛者死

?不與汗相應此不勝其病也其死明矣

狂言者是失志失志者死

今見三死不見一生雖愈必死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대저 환자가 땀을 내는 것은 정기의 작용입니다.

정기는 음식물의 정미입니다.

지금 사기와 정기가 체내에서 상쟁하여 땀이 나는 것은

즉 정기가 이기고 사기가 패하여 달아나는 증거입니다.

만약 정기가 이기면 당연히 식욕이 생겨서 다시 발열하는 일은 없습니다.

다시 발열하게 되면 이는 사기가 달아난 것이 아니고,

땀에 의해 배설된 것은 정기뿐입니다.

땀이 나고, 얼마 안 가서 발열하는 것은 정기가 이겼기 때문이 아니고,

사기가 이긴 것입니다.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는 것은 정기가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온사가 머물면 수명이 매우 위험해집니다.

열론에 땀이 나도 여전히 맥이 거칠고 성대함이 제거되지 않는 자는

사증이다 라고 되어 있는 것처럼 이 경우도 맥상과 땀이 나는 상태가 상응하지 않습니다.

이는 병사에 패했기 때문이므로 사증임이 확실합니다.

또 광인과 같이 헛소리를 하는 자는 정기의 작용인 지로서의 정신 요소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가 없어진 자는 사망할 수밖에 도리가 없습니다.

3례가 있다면 3례 모두 사망합니다.

결코 1례만이라도 살아 남는 일이 없습니다.

비록 일시 호전된 것처럼 보여도 반드시 사망합니다.

 

帝曰

有病身熱汗出煩滿煩滿不爲汗解此爲何病

岐伯曰

汗出而身熱者風也

汗出而煩滿不解者厥也病名曰風厥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환자로서 온몸이 뜨겁고 땀이 나는데도 불구하고

가슴이 꽉 찬 것처럼 괴로움이 사라지지 않는다.

이러한 병을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땀이 나 있는데, 온몸이 뜨거운 자는 풍의 탓입니다.

땀이 나는데도 가슴이 꽉차서 괴로움이 제거되지 않는 것은 궐 때문입니다.

고로 이를 풍궐 이라 합니다.

 

帝曰

願卒聞之

岐伯曰

巨陽主氣故先受邪

少陰與其爲表裏也得熱則上從之從之則厥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좀더 소상하게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족태양 방광경은 기를 주관하고 있습니다.

고로 먼저 이 경맥이 사를 받습니다.

족소음 신경은 그와 표리의 관계에 있으므로 족소음 신경이 족태양 방광경의 풍열을 받으면 그 기는 모두 족태양 방광경 쪽으로 올라갑니다.

신의 기가 올라가면 발이 냉해서 궐의 상태로 됩니다.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表裏刺之飮之服湯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이 풍궐은 어떻게 치료하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족태양 방광경과 족소음 신경과의 표리에 함께 자법을 가하여 약탕을 복용시킵니다.

 

帝曰

勞風爲病何如

岐伯曰

勞風法在肺下其爲病也

使人?上冥視唾出若涕

惡風而振寒此爲勞風之病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노풍의 병이란 어떠한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노풍의 병은 폐와 신에 이화를 초래합니다.

이 병증은 머리나 목덜미가 뻣뻣하고, 눈이 흐려지며,

침이 콧물처럼 철철 흐르고, 바람을 쐬는 것을 싫어하며, 와들와들 떱니다.

이것이 방사과도, 혹은 과중한

노동 후에 바람에 손상되었기 때문에 일어나는 노풍 이라는 병입니다.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以救?

巨陽引

精者三日中年者五日

不精者七日????如膿

大如彈丸從口中若鼻中出

不出則傷肺傷肺則死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치법은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호흡 요법과 도인법으로써 실시합니다.

젊고 정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3, 중년인 자는 5,

노인은 7일 실시하면 입 또는 코에서 탄환 크기의 청황색의 농과 같은 즙을 기침과 함께 토합니다.

나오지 않을 때는 농즙이 폐에 괴어서 폐를 상해하고 죽는 수가 있습니다.

 

帝曰

有病腎風者??然壅害於言可刺不

岐伯曰

?不當刺不當刺而刺後五日其氣必至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신풍이라는 병이 있어서 이 환자는 안면이 부어오르며,

말도 알아듣기 어렵게 흐려진다.

이 경우는 자법을 가해야 할 것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정기가 허해 있는 환자는 자법을 가해서는 안됩니다.

만약 잘못 자침하면 5일 후에 반드시 반응이 생깁니다.

 

帝曰

其至何如

岐伯曰

至必少氣時熱

時熱從胸背上至頭汗出手熱口乾苦?

小便?目下腫腹中鳴

身重難以行月事不來煩而不能食

不能正偃正偃則?病名曰風水論在刺法中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떠한 반응이 생기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반응이라 하는 것은 호흡이 얕게 되고, 발열하는 수가 있습니다.

발열하면 가슴이나 등에서 머리까지 땀이 나서 손바닥에 열을 띠고,

입안이 말라서 물을 자꾸 요구합니다.

소변이 황색으로 되며, 눈 아래가 붓고, 배에 복명이 생기며,

몸이 무거워서 걷기 어렵게 됩니다. 여자의 경우는 월경이 폐지되고,

가슴이 답답하여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으며, 바로 앙와할 수 없습니다.

바로 누우면 기침이 납니다.

이를 풍수라 합니다.

상세한 것은 자법중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帝曰.

願聞其?

岐伯曰

邪之所湊其氣必??

陽必湊之故少氣時熱而汗出也

小便?少腹中有熱也

不能正偃者胃中不和也

正偃則?上迫肺也

諸有水氣者微腫先見於目下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그 설을 들려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가 모여 있는 곳은 반드시 정기가 허해 있습니다.

음기가 허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양기가 모입니다.

고로 정기가 허하여 호흡이 얕게 되고, 양기가 모여서 발열하여 땀이 납니다.

소변이 황색임은 하복부에 열이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앙와할 수 없는 것은 위 속에 물이 괴어서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며,

무리하게 앙와위를 취하면 폐를 위에서 압박하여 심하게 기침이 나게 됩니다.

여러 가지 수기병의 환자는 부종이 우선 첫째로 눈 아래 생깁니다.

 

帝曰

何以言

岐伯曰

水者陰也目下亦陰也腹者至陰之所居

故水在腹者必使目下腫也

眞氣上逆故口苦舌乾

臥不得正偃正偃則??水也

諸水病者故不得臥臥則驚驚則?甚也

腹中鳴者病本於胃也

薄脾則煩不能食食不下者胃脘隔也

身重難以行者?在足也

月事不來者?閉也

?屬心而絡於胞中今氣上迫肺

心氣不得下通故月事不來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째서 그러한 설명으로 되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수는 음입니다. 눈 아래도 음입니다.

()도 또한 지음인 비가 있는 곳입니다.

그러므로 수가 복에 있으면 반드시 눈 아래가 붓게 됩니다.

또한 진기가 그 작용을 않고 역상하면 입안이 쓰고, 혀가 건조하여

바로 앙와할 수 없습니다.

무리하게 앙와위를 취하면 기침이 나서 물과 같은 액체를 토합니다.

그러므로 각종 수기병의 환자는 앙와를 하기 어렵습니다.

앙와위를 취하면 놀라고 기침을 몹시 하게 됩니다.

뱃속에 복명이 생기는 자는 원인이 위의 수에 있습니다.

이 수가 비에 삼투되면 괴로워져서 음식물을 취할 수 없습니다.

음식을 취할 수 없는 것은 양기가 체단 되어 위에 순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몸이 무겁고 걷기 어려운 것은 양명 위경이 족에 있기 때문입니다.

월경이 폐지되는 것은 내부의 생식기의 맥인 표맥의 기능이 저해되었기 때문입니다.

표맥은 심장에서 내려 와서 내부 생식기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진기가 역상하여 폐로 치밀면 정상시 처럼 심장에서 표맥 으로는 진기가 전해지지 않습니다.

고로 월경이 나오지 않습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虐][학]  (7) 2024.10.01
[逆調][역조]  (7) 2024.09.22
[刺熱][자열]  (8) 2024.09.08
[熱][열]  (0) 2024.08.25
[陽明脈解][양명맥해]  (0) 2024.08.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