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名, [曲折]. 在肘內廉節後陷中(銅人). 일명 곡절(曲折)이라고 하는데 팔굽 안쪽 변두리 관절 뒤의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在肘內 大骨外 去肘端五分(綱目). 팔굽 안쪽 대골외측 팔꿈치 끝에서 5푼 떨어져 있다[강목]. 在肘內廉節後陷中 動脈應手 屈肘得之(資生). 팔굽 안쪽 관절 뒤 우묵한 곳의 맥이 뛰는 곳에 있는데 팔굽을 구부리고 잡는다[자생]. 手少陰脈之所入爲合. 鍼入三分 可灸三壯(銅人). 수소음경의 합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狪內廉橫紋頭盡處 陷中曲手向頭取之[入門] 팔굽 안쪽 가로간 금 끝의 우묵한 가운데 있다. 팔을 구부려 손이 머리에 닿게 한 다음 침혈을 잡는다[입문].
在腕後一寸 手少陰絡別走太陽. 鍼入三分 可灸三壯(銅人). 손목 뒤에서 1치 위에 있으며 수소음경의 낙혈이다. 여기서 갈라져 수태양경맥으로 간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手少陰之別 名曰通里][수소음지별 명왈통리] 去腕一寸半 別而上行 循經入於心中 繫舌本 屬目系. 其實則支膈 虛則不能言. 取之所別也(靈樞 經脈 第十) 손목에서 1치 5푼 뒤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태양소장경으로 갔으며 제경을 따라 심으로 들어가 혀뿌리에 연계되고 목계(目系)에 속하였다. 병이 실하면 지격(支膈)이 되고 허하면 말을 못한다. 이 때에는 이 침혈을 잡아서 놓는다[영추].
在掌後脈中 去腕五分(銅人). 손바닥 뒤 맥이 뛰는 곳에 있으며 손목에서 5푼 올라가 있다[동인]. 在掌後五分 動脈中 手少陰郄. 鍼入三分 可灸七壯(入門). 손바닥 뒤에서 위로 5푼 올라가 맥이 뛰는 가운데 있으며 수소음경의 극혈이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7장을 뜬다[입문].
一名 [銳衝], [中都]. 在掌後銳骨之端 動脈陷中. 手少陰脈之所注爲腧. 鍼入三分 留七呼 可灸七壯(銅人). 일명 예충(兌衝) 또는 중도(中都)라고도 하는데 손바닥 뒤 예골끝 맥이 뛰는 우묵한 곳에 있다. 수소음경의 유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7장을 뜬다[동인]. 內經言“心藏堅固 邪不能容 故手少陰 獨無輸. 其外經病而藏不病者 獨取其經於掌後銳骨之端 神門穴“ 是也(綱目). 내경에 심은 든든하여 사기가 들어가지 못하므로 수소음경맥만은 유혈이 없다. 그러므로 그 밖의 경맥에는 병들고 심에는 병들지 않았을 때 이 경맥이 지나간 손바닥 뒤 예골끝에서 침혈을 잡으라고 하였는데 그 침혈이 바로 신문혈이다[강목].
手少陰之脈 起於心中出屬心系 下膈絡小腸 其支者從心系上挾咽喉繫目 其直者復從心系却上肺下 出腋下 下循臑內後廉行太陰心主之後下肘內(少海穴) 循臂內後廉(靈道穴)抵掌後銳骨之端(神門穴)入掌內後廉(少府穴) 循小指之內 出其端(少衝穴 自此交入手太陽). 수소음경맥은 심에서 시작하여 심계(心系)에 속하고 가름막을 뚫고 내려가
소장에 연락하고 한 가지는 심계로부터 울대를 끼고 올라가 눈에서 끝났다. 곧바로 가는 가지는 다시 심계로부터 폐로 올라갔다가 겨드랑이 밑으로 나와서
팔죽지 뒤쪽을 따라 수태음경맥과 수궐음심포락경맥의 뒤로 가서 팔굽안(소해혈)으로
내려와 팔뚝 안쪽 뒤(영도혈)를 따라 손바닥 뒤 뾰족한 뼈의 끝(신문혈)에 이르고
손바닥 안쪽 뒤(소부혈)로 들어가 새끼손가락 안쪽으로 따라
그 끝(소충혈이며 여기서부터 수태양경에 연계되었다)에 가서 끝났다. 是動則病 嗌乾 心痛 渴而欲飮 是謂臂厥 是主心所生病者 目黃 脇痛 臑臂內後廉痛 厥掌中熱 盛者寸口大再倍於人迎. 虛者寸口反小於人迎也(靈樞 經脈 第十) 시동병(是動病)은 목이 마르고 가슴이 아프며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비궐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로 심과 관련된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눈이 누렇고 옆구리가 아프며
팔죽지와 팔뚝 안쪽 뒤 변두리가 아프고 차며 손바닥이 단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두배가 크고 허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오히려 작다[영추]. 午時自大包 交與極泉 循臂行 至小指 少衝穴止(入門) 이 경맥의 경기는 오시(11-13시)에 대포혈로부터 시작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