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商陸][상륙 / 자리공]
通利大小腸 瀉十水腫
取白色者 末服 或丸服良(本草).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하여 10가지 수종(水腫)을 낫게 한다.
흰빛이 나는 것을 캐서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더 좋다[본초].
[商陸][상륙 / 자리공]
通利大小腸 瀉十水腫
取白色者 末服 或丸服良(本草).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하여 10가지 수종(水腫)을 낫게 한다.
흰빛이 나는 것을 캐서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더 좋다[본초].
[巴豆][파두]
去胃中寒積 利水穀道
去皮油 爲末 入丸散 用之(本草).
위(胃) 속에 몰린 한사[寒]를 없애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껍질을 버리고 기름을 뺀 다음 가루내서 알약이나 가루약에 넣어 쓴다[본초].
[芒硝][망초]
破積聚 利大小便
溫湯和服4~8g 或入丸散服(本草).
적취(積聚)를 삭이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한번에 4-8g씩 따뜻한 물에 타서 먹거나 알약이나 가루약에 섞어 먹는다[본초].
[郁李仁][욱리인 / 이스라치씨 / 산앵두]
通泄五藏 治關格不通
爲末飮調8g服 或丸服亦佳(本草).
5장(五臟)을 잘 통하게 하고 관격(關格)되어 통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芫花][원화]
利五藏 通水道
水煎服 或末服 丸服 幷佳(本草).
5장(五臟)을 잘 통하게 하고 오줌이 잘 나가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大戟][대극 / 버들옻]
破癥結 利大小腸
或剉12g 水煎服 或作丸作散服(本草).
징결( 結)을 삭이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썰어서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서 먹는다.
혹은 알약이나 가루약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본초].
[郁李仁][욱리인] (0) | 2020.05.05 |
---|---|
[芫花][원화] (0) | 2020.05.05 |
[甘遂][감수] (0) | 2020.05.05 |
[檳榔][빈랑] (0) | 2020.05.05 |
[黑牽牛子][흑견우자] (0) | 2020.05.05 |
[甘遂][감수]
破積聚 利水穀道
爲末調飮服 或作丸服(本草).
적취(積聚)를 삭이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檳榔][빈랑]
宣利藏府壅滯氣 細硏爲末 每8g蜜水 調下(本草).
장부(藏府)에 기(氣)가 몰려 막힌 것을 잘 통하게 한다.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꿀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大戟][대극] (0) | 2020.05.05 |
---|---|
[甘遂][감수] (0) | 2020.05.05 |
[黑牽牛子][흑견우자] (0) | 2020.05.05 |
[大黃][대황] (0) | 2020.05.05 |
[千金子][천금자] (0) | 2020.05.05 |
[黑牽牛子][흑견우자 / 나팔꽃검은씨]
黑者主水 白者主氣 取頭末8g 卽下利 作丸服亦良(本草).
검은씨는 수(水)기를 주로 다스리고 흰 씨는 기(氣)를 주로 다스린다.
맏물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먹으면 곧 설사가 난다.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甘遂][감수] (0) | 2020.05.05 |
---|---|
[檳榔][빈랑] (0) | 2020.05.05 |
[大黃][대황] (0) | 2020.05.05 |
[千金子][천금자] (0) | 2020.05.05 |
[桃花萼][도화악] (0) | 2020.05.04 |
[大黃][대황]
通利水穀 蕩滌腸胃
剉取20g 水煎服 或作丸服之亦可(本草).
음식이 잘 내리게 하고 장위(腸胃)를 깨끗하게 씻어낸다.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檳榔][빈랑] (0) | 2020.05.05 |
---|---|
[黑牽牛子][흑견우자] (0) | 2020.05.05 |
[千金子][천금자] (0) | 2020.05.05 |
[桃花萼][도화악] (0) | 2020.05.04 |
[脂麻油][지마유]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