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漬藥酒法][지약주법.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
凡漬藥酒 皆須細切 生絹袋 盛之 乃入酒密封
春五 夏三 秋七 冬十日 視其濃烈 便可漉出 取淸 服之
滓可暴燥爲粗末 更淸飮而(本草).
술에 약을 담글 때에는 다 잘게 썰어서 비단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담근 다음 잘 막아서
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가을에는 7일, 겨울에는 10일동안 두었다가
진하게 우러난 다음에 걸러서 윗술만 받아 마셔야 한다.
그리고 찌꺼기는 햇볕에 말려 거칠게 가루내서 다시 술에 담가 놓고

그 윗술을 받아 마셔야 한다[본초].
一甁酒浸 粗末藥120g 爲正(俗方).
술 1병에 약은 거칠게 가루내서 120g을 담그는 것이 좋다[속방].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見火藥][불견화약]   (0) 2019.02.10
[相反藥][상반약]   (0) 2019.02.10
[忌銅鐵藥][기동철약]   (0) 2019.02.10
[服藥食忌][복약식기]   (0) 2019.02.10
[諸經引導][제경인도]   (0) 2019.02.10

[不見火藥][불견화약.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
桑寄生 勿令見火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는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檳榔 勿經火 恐無力 若熟 使不如不用
빈랑도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약 기운이 없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을 법제하여 쓰면 쓰지 않는 것만 못하다.
茵蔯 勿令見火
더위지기(인진)는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蛇含草 勿犯火
사함초는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丁香 不見火 一云 諸香並勿見火(本草入門).
정향은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향기가 나는 약은 다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본초, 입문].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漬藥酒法][지약주법]   (0) 2019.02.10
[相反藥][상반약]   (0) 2019.02.10
[忌銅鐵藥][기동철약]   (0) 2019.02.10
[服藥食忌][복약식기]   (0) 2019.02.10
[諸經引導][제경인도]   (0) 2019.02.10

[相反藥][상반약]
相反爲害 甚於相惡者 謂彼雖惡我 我無忿心
猶牛黃 惡龍骨而龍骨得牛黃更良 此有以制伏故也
相反者則彼我交讎 必不宜合 今畵家用雌黃 胡粉 相近
便自黯妬 粉得黃卽黑黃得粉 亦變此.
盖相反之證也(本草).
상반약을 함께 쓰면 그 해로움이 상오약(相惡藥)을 함께 쓰는 것보다 더하다.
상오라는 것은 그는 나를 싫어하지만 나는 좋지 않은 마음이 없다는 뜻이다.
즉 우황은 용골을 싫어하나 용골은 지황을 만나면 더 좋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센 것을 제약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상반이란 그와 나는 서로 원수지간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함께 쓸 수 없다.
지금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은 자황과 호분을 쓰는데

그것을 한데 섞어 놓으면 곧 저절로 거멓게 된다.
호분에 자황을 섞어도 곧 거멓게 되고 자황에 호분을 섞어도 역시 빛이 변한다.
이것이 상반된다는 증거이다[본초].
人蔘 丹蔘 沙蔘 苦蔘 玄蔘 紫蔘 細辛 芍藥 皆與藜蘆 相反
인삼, 단삼, 너삼, 더덕, 현삼, 자삼, 족두리풀, 집함박꽃뿌리는 다 박새뿌리와 상반되는 약이다.
半夏 瓜蔞 貝母 白蘞 白芨 俱與烏頭 相反
끼무릇, 하늘타리씨, 패모, 가위톱, 백급은 다 오두와 상반되는 약이다.
大戟 芫花 甘遂 海藻 皆與甘草 相反
버들옻, 원화, 감수, 듬북은 다 감초와 상반되는 약이다.
石決明 反雲母
전복껍질은 운모와 상반되는 약이다.
硫黃 反朴硝
유황은 망초와 상반되는 약이다.
烏頭 反犀角
오두는 서각과 상반되는 약이다.
人蔘 反五靈脂
인삼은 오령지와 상반되는 약이다.
水銀 反砒霜
수은은 비상과 상반되는 약이다.
巴豆 反牽牛
파두는 나팔꽃씨(견우)와 상반되는 약이다.
丁香 反鬱金
정향은 울금과 상반되는 약이다.
牙硝 反三菱
마아초는 삼릉과 상반되는 약이다.
官桂 反石脂
육계는 석지와 상반되는 약이다.
狼毒 怕密陀僧
오독도기는 밀타승을 꺼린다.
醋 不可與蛤肉同食相反
식초와 조갯살을 함께 먹을 수 없는데 그것은 서로 상반되기 때문이다.
猬皮與桔梗 麥門冬 相惡
고슴도치가죽은 도라지, 맥문동과 상오되는 약이다.
牛乳與酸物 生魚相反令人 腹中結癖
우유는 신맛이 나는 것[酸物]이나 생선과 상반되는데 뱃속에 징벽이 생기게도 한다.
藜蘆 反酒
박새뿌리(여로)는 술과 상반되는 약이다.
葱與蜜 相反 食之殺人一云 燒葱和蜜 食則促人氣 必殺人
파는 꿀과 상반되는 약이므로 같이 먹으면 죽을 수 있다.
혹은 구운 파를 꿀에 섞어서 먹으면 숨이 몹시 차지다가 반드시 죽는다고도 한다.
韭不可與蜜 同食相反
부추와 꿀을 같이 먹지 말아야 하는데 그것은 상반되는 약이기 때문이다.
黃顙魚 反荊芥 同食則殺人 卽鮎魚之類也(本草入門).
자가사리는 형개와 상반되는 약이므로 같이 먹으면 죽을 수 있다.
자가사리란 바로 메기같은 종류를 말한다[본초, 입문].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漬藥酒法][지약주법]   (0) 2019.02.10
[不見火藥][불견화약]   (0) 2019.02.10
[忌銅鐵藥][기동철약]   (0) 2019.02.10
[服藥食忌][복약식기]   (0) 2019.02.10
[諸經引導][제경인도]   (0) 2019.02.10

[忌銅鐵藥][기동철약.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
凡藥不得見 銅鐵氣者 緣肝氣惡之也(得效).
대체로 약에 구리와 쇠를 꺼려야 하는 것은 간기(肝氣)가 그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득효].
黃栢 地黃之類 俱忌鐵器 蒸搗何歟 曰 “地黃 黃栢 皆腎經藥也”.
[錢仲陽]曰 腎有補而無瀉 又曰虛者 補其母 實者 瀉其子 所以鐵器者
防其伐木瀉肝 恐子能令母虛也 竟無他說(正傳).
황백, 지황 같은 약들은 다 쇠그릇[鐵器]에 넣고 찌거나 가루내지 말아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 약들은 다 신경의 약[腎經藥]이다.
전중양(錢仲陽)이 “신(腎)을 보(補)할 수는 있느나 사(瀉)할 수는 없다.
또한 허할 때에는 그 어머니격인 것을 보하고 실할 때에는

그 아들격인 것을 사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쇠그릇을 쓰지 말아야 간목(肝木)을 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렇게 하지 않아서 간이 약해지면 그 어머니격인 신이 허해질 우려가 있다.
이외에 다른 뜻은 없다[정전].
桑白皮 忌鐵與鈆 不可近之. 桑枝同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은 쇠와 연을 꺼리는데 뽕나무가지도 마찬가지이다.
桑寄生 忌鐵 以銅刀剉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는 쇠를 꺼리므로 구리칼로 썰어야 한다.
地黃 勿犯銅鐵器 令人腎消幷髮白 男損榮 如損衛
지황은 구리나 쇠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만약 구리나 쇠에 닿았던 것을 쓰면 신기(腎氣)가 소모되고 머리털이 희어진다.
그리고 남자는 영기(榮氣)가 상하고 여자는 위기(衛氣)가 상한다.
菖蒲 不可犯鐵 令人 吐逆 宜以銅刀 或竹刀刮切
쇠에 닿았던 석창포를 쓰면 토하고 구역이 난다.
그러므로 구리칼이나 참대칼로 썰어야 한다.
益母草 忌鐵 切用銀竹刀 煎用銀磁器
익모초는 쇠를 꺼린다.
그러므로 은칼이나 참대칼로 썰어서 은그릇이나 사기그릇에 넣어 달여야 한다.
木瓜 勿令犯鐵及鈆 宜以銅刀削皮
모과는 쇠나 연에 닿지 않게 하고 구리칼로 껍질을 깎아 내야 한다.
石榴皮葉根 並勿令犯鐵
석류의 껍질, 잎, 뿌리는 쇠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何首烏 忌銅鐵 以苦竹刀切
은조롱(하수오)은 구리와 쇠를 꺼린다.
그러므로 참대칼로 썰어야 한다.
香附子 於石臼中搗 勿令犯鐵用之 切忌
향부자는 돌절구에 찧어야 하고 쇠그릇에 닿지 않게 하며 구리칼로 썰어야 한다.
茜根勿犯鐵與鈆 以銅刀剉
꼭두선이뿌리는 쇠와 연을 꺼리기 때문에 구리칼로 썰어야 한다.
玄蔘 勿令犯銅鐵餌之 噎人喉 喪人目
현삼은 구리와 쇠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구리나 쇠에 닿았던 것을 쓰면 목구멍이 막히고 눈이 상한다.
牧丹皮 採根以銅刀劈去骨
모란뿌리껍질은 캐서 구리칼로 쪼개고 나무심[骨]을 빼내야 한다.
杜冲 瓦上乾於木臼中搗則 忌鐵明矣
두충은 기와위에다 놓고 말리고 나무절구에 찧어야 하며 쇠를 꺼려야 한다.
知母 黃栢並勿令犯鐵器
지모와 황백은 쇠그릇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知母 桑白皮 天門冬 生熟地黃 何首烏 俱忌鐵器 用竹刀切之 犯鐵則必患三消
지모, 뽕나무뿌리껍질,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찐지황, 은조롱은

다 쇠그릇을 꺼리므로 참대칼로 썰어야 한다.
쇠에 닿았던 것을 쓰면 반드시 3가지 소갈증[三消]이 생길 수 있다.
肉荳蔲 勿令犯銅
육두구는 구리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忍冬草 忌犯鐵
인동초는 쇠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柴胡 忌銅鐵
시호는 구리와 쇠를 꺼린다.
沒石子 勿令犯銅鐵
몰식자는 구리와 쇠를 꺼린다.
白馬莖 以銅刀劈破忌犯鐵
백마경(白馬莖)은 구리칼로 썰어야 하며 쇠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草龍膽 忌鐵 以銅刀刮
용담초는 쇠를 꺼리므로 구리칼로 썰어야 한다.
桃奴 以銅刀刮 取肉
도노(桃奴)의 살은 구리칼로 발라내야 한다.
骨碎補 以銅刀削去毛
골쇄보의 솜털은 구리칼로 긁어내야 한다.
地骨皮 忌鐵
지골피는 쇠를 꺼린다.
猪苓 以銅刀 削去黑皮用之
저령의 거먼 껍질(黑皮)은 구리칼로 벗겨버리고 써야 한다.
凡一切角大 忌塩(本草入門).
여러 가지 뿔로 된 약을 법제할 때에는 소금을 쓰지 말아야 한다[본초, 입문].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見火藥][불견화약]   (0) 2019.02.10
[相反藥][상반약]   (0) 2019.02.10
[服藥食忌][복약식기]   (0) 2019.02.10
[諸經引導][제경인도]   (0) 2019.02.10
[五臟補瀉][오장보사]  (0) 2019.02.09

[服藥食忌][복약식기.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
凡服藥 不可多食 生胡荽 及蒜 雜生菜
又不可食 諸滑物 果實等
又不可食 肥猪犬肉 油膩 肥羹 魚膾 腥臊等物.
服藥通忌 見死尸 及産婦淹穢 等事(本草).
약을 먹을 때에는 생고수(生胡 )나 마늘 등 여러 가지 생채(生菜)를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여러 가지 미끄러운 음식[滑物], 과실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돼지고기, 개고기, 기름진 것, 고깃국, 생선회와 비린내나 노린내가 나는 것을

먹지 말야야 한다.
그리고 약을 먹을 때 죽은 사람이나 더러운 것을 보지 말아야 한다[본초].
服諸藥 不可多食醋
약을 먹을 때에는 식초[醋]를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大都服藥 通忌生菜(本草).
약을 먹을 때에는 생채(生菜)를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有朮 勿食桃李 雀 蛤 胡荽 大蒜 靑魚鮓.
흰삽주(朮)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복숭아, 추리(李), 참새고기, 조개, 고수,

마늘, 청어, 생선회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有半夏 菖蒲 勿食 飴糖 羊肉 海藻
끼무릇, 석창포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강엿, 양고기, 듬북을 먹지 말아야 한다.
有地黃 勿食葱蒜 蘿葍
지황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파, 마늘, 무우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服地黃 何首烏 人食蘿葍則能耗諸血 令人髭髮早白
지황이나 은조롱(何首烏)을 먹을 때에 무를 먹으면 혈이 줄어들고 수염과 머리털이

일찍 희어진다.
有何首烏 勿食無鱗魚
은조롱(하수오)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비늘이 없는 물고기(無鱗魚)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有巴豆 勿食蘆笋羹 野猪肉 及醬豉 冷水
파두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갈순국(蘆荀), 메돼지고기, 된장, 찬 물을 먹지 말아야 한다.
有黃連 桔梗 勿食猪肉 服黃連 不得食猪肉 若服至3年 不得食猪肉一生
황련과 도라지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황련을 먹을 때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만일 황련을 3년 동안 먹었으면 일생동안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黃連 又忌冷水
황련은 또한 찬물[冷水]을 꺼린다.
胡黃連 忌猪肉 食之則漏精
호황련을 먹을 때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하는데 만약 먹으면 누정(漏精)이 생긴다.
有細辛 勿食生菜
족두리풀(세신)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생채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有藜蘆 勿食狸
박새뿌리(여로)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삵의 고기(狸肉)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有牧丹 勿食生胡荽
모란뿌리껍질(목단)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생고수(生胡 )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有商陸 勿食犬肉
자리공(상륙)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개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有常山 勿食生葱 生菜(一作菘菜).
상산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생파(生 ), 생채(生菜, 배추( 菜)라고 한 데도 있다)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有朱砂 空靑 勿食生血物
주사와 공청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피가 있는 것[血物]을 생채로 먹지 말아야 한다.
有茯苓 勿食醋酸物(一云忌米醋).
솔풍령(복령)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식초나 신맛이 나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쌀초(米醋)도 먹지 말아야 한다.
盖服茯苓 人喫醋則前功俱廢
대체로 솔풍령을 먹을 때 식초를 먹으면 먼저 약효까지 다 없어진다.
有甘草 勿食菘菜 海藻 猪肉(一云服甘草而食菘卽令病不除
감초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배추, 듬북,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혹 감초를 먹고 배추를 먹으면 병이 낫지 않는다고도 한다.
有鱉甲 勿食莧菜 今取鱉甲 細剉 置水濕處卽變生鱉 是其驗也
자라등딱지(별갑)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비름나물( 菜)을 먹지 말아야 한다.
자라등딱지를 잘게 썰어서 축축한 곳에 둬두면 변하여 자라같이 된다고 한다.
有天門冬 勿食 鯉魚 服天門冬 誤食鯉魚中毒 浮萍解之
천문동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잉어를 먹지 말아야 한다.
천문동을 먹은 다음 잘못하여 잉어를 먹으면 중독되는데

이때에는 개구리밥(부평)으로 독을 풀어야 한다.
有水銀 輕粉 忌一切血
수은과 경분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모든 피[一切血]를 먹지 말아야 한다.
陽起石 忌羊血
양기석은 양피[羊血]를 꺼린다.
服黃精 人禁食梅實
낚시둥굴레(황정)를 먹을 때에는 매화열매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有牛膝 勿食牛乳 當歸 惡熱麴
쇠무릎(우슬)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쇠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당귀는 더운 국수를 꺼린다.
烏頭 天雄 忌豉汁
오두와 천웅은 약전국즙을 꺼린다.
牧丹皮 忌蒜
모란뿌리껍질(목단피)은 마늘을 꺼린다.
有桂 勿食生葱
계피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생파를 먹지 말아야 한다.
有麥門冬 勿食鯽魚 

맥문동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붕어를 먹지 말아야 한다.

厚朴 忌豆食之者動氣

후박은 콩을 꺼리는데 만약 함께 먹으면 기(氣)가 동(動)한다.

威靈仙 忌茗及麪湯

으아리(위령선)는 차와 밀가루 끓인 것을 꺼린다.

有蒼耳 忌食猪肉 米泔

도꼬마리가(창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돼지고기, 쌀 씻은 물을 먹지 말아야 한다.

乾漆 忌油脂

마른옻(건칠)은 기름(油脂)을 꺼린다.

拘杞與乳酪 相惡

구기자와 졸인 젖(乳酪)은 상오(相惡)관계에 있다.

龍骨 忌魚

용골은 물고기를 꺼린다.

麝香 禁食大蒜

사향은 마늘을 꺼린다.

破故紙 忌羊肉

파고지는 양고기를 꺼린다.

蓮花 忌地黃 蒜

연꽃은 지황과 마늘을 꺼린다.

杏仁 忌粟米

살구씨는 좁쌀(속미)을 꺼린다.

蜜 忌葱及萵苣

꿀은 파와 부루를 꺼린다.

猪肉 殺藥 猪膏 忌烏梅

돼지고기는 약의 효과가 나지 못하게 한다. 돼지고기는 오매를 꺼린다.

餌藥之人 食鹿肉 必不得藥力

약을 먹을 때 사슴의 고기를 먹으면 반드시 효과를 볼 수 없다.

盖鹿恒食 解毒草 能制諸藥耳

사슴은 늘 독을 푸는 풀을 먹기 때문에 모든 약의 효과를 없앤다.

恒食名草者 葛花 鹿 葱白 藥苗 白蒿 水芹 甘草 蒼耳 薺苨

늘 먹는 풀은 칡꽃, 녹총(鹿 ), 백약싹(白藥苗), 백호, 미나리, 감초, 도꼬마리, 모시대 등이다.


凡使 一切角 大忌塩(本草入門).

대체로 여러 가지 뿔(角)을 쓸 때에는 소금을 몹시 꺼려야 한다[본초, 입문].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相反藥][상반약]   (0) 2019.02.10
[忌銅鐵藥][기동철약]   (0) 2019.02.10
[諸經引導][제경인도]   (0) 2019.02.10
[五臟補瀉][오장보사]  (0) 2019.02.09
[用根梢法][용근초법]   (0) 2019.02.09

[諸經引導][제경인도]    [引經藥][인경약(引經藥)은 다음과 같다.]
太陽經 手羗活 足黃栢 太陰經 手桔梗 足白芍藥 陽明經 手白芷 升麻 足石膏
少陰經 手獨活 足知母 少陽經 手柴胡 足靑皮 厥陰經 手柴胡 足靑皮(東垣).
수태양경(手太陽經)의 인경약은 강호리, 족태양경(足太陽經)의 인경약은 황백이다.
수태음경(手太陰經)의 인경약은 도라지, 족태음경(足太陰經)의 인경약은 집함박꽃뿌리이다.
수양명경(手陽明經)의 인경약은 구릿대, 승마, 족양명경(足陽明經)의 인경약은 석고이다.
수소음경(手少陰經)의 인경약은 따두릅, 족소음경(足少陰經)의 인경약은 지모이다.
수소양경(手少陽經)의 인경약은 시호, 족소양경(足少陽經)의 인경약은 선귤껍질이다.
수궐음경(手厥陰經)의 인경약은 시호이고 족궐음경(足厥陰經)의 인경약은 선귤껍질이다[동원].

[歌曰]
小腸膀胱屬太陽 藁本羗活是本鄕 三焦膽與肝包絡 少陽厥陰柴胡强
陽明大腸兼足胃 葛根白芷升麻當 太陰肺脈中焦起 白芷升麻葱白鄕
脾經少與肺經異 升麻芍藥白芷詳 少陰心經獨活主 腎經獨活加桂良
通經用此藥爲使 更有何病到膏肓(東垣).
노래에는 다음과 같이 씌어 있다.
소장방광 태양엔 고본강활 본약이네 3초담간 심포소양 궐음엔 시호좋네
대장양명 양명위엔 갈근백지 승마좋네 태음폐경 중초시작 백지승마 총백본약
비경폐경 다르니 승마작약 백지쓰네 소음심경 독활주약 신경엔 독활계피
통경약에 이 약들을 좌사약 넣으면 어떤 병도 다시는 생기지 못하리라[동원].

[引經]
肝引經 柴胡 川芎(上行). 靑皮(下行). 心引經 獨活 細辛.
간의 인경약은 시호, 궁궁이(위로 간다), 선귤껍질(아래로 간다)이다.
담의 인경약은 시호, 궁궁이(위로 간다), 선귤껍질(아래로 간다)이다.
심경의 인경약은 따두릅, 족두리풀이다.
小腸引經 藁本 羗活(上行). 黃栢(下行). 脾引經 升麻 酒白芍藥
소장경의 인경약은 고본, 강호리(위로 간다), 황백(아래로 간다)이다.
비경의 인경약은 승마, 집함박꽃뿌리(술로 법제한 것)이다.
胃引經 葛根 升麻 白芷(上行). 石膏(下行). 肺引經 白芷 升麻 葱白
위경의 인경약은 칡뿌리, 승마, 구릿대(위로 간다), 석고(아래로 간다)이다.
폐경의 인경약은 구릿대, 승마, 파밑이다.
大腸引經 葛根 升麻(上行). 白芷 石膏(下行). 腎引經 獨活 肉桂 塩酒
대장경의 인경약은 칡뿌리, 승마(위로 간다), 구릿대, 석고(아래로 간다)이다.
신경의 인경약은 따두릅, 육계, 소금, 술이다.
膀胱引經 藁本 羗活(上行). 黃栢(下行). 心包引經 柴胡(上行). 川芎 靑皮(下行).
방광경의 인경약은 고본, 강호리(위로 간다), 황백(아래로 간다)이다.
심포경의 인경약은 시호(위로 간다), 궁궁이, 선귤껍질(아래로 간다)이다.
三焦引經 柴胡 川芎(上行). 靑皮(下行).(回春).
3초경의 인경약은 시호, 궁궁이(위로 간다), 선귤껍질(아래로 간다)이다[회춘].
附子 爲百藥之長 通行經諸藥(入門).
부자는 여러 가지 약에서 첫째 가는 것인데 모든 경락으로 다 들어간다[입문].
頭痛 須用川芎 頂巓痛 須用藁本
머리가 아픈 데[頭痛]는 반드시 궁궁이(川芎)를 써야 한다.
정수리가 아픈 데[頂 痛]는 반드시 고본을 써야 한다.
肢節痛 須用羗活 腹痛 須用芍藥 惡寒 加桂 惡熱 加黃栢
팔다리 마디가 아픈 데[肢筋痛]는 반드시 강호리를 써야 한다.
배가 아픈 데[腹痛]는 반드시 집함박꽃뿌리를 쓰되 오한이 있을 때에는 계피,

오열이 있을 때에는 황백을 넣어서 쓴다.
飮水多 須用白朮 茯苓 猪苓 驚悸 恍惚 須用茯神
물을 많이 마신 데는 반드시 흰삽주, 솔풍령, 저령을 써야 한다.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정신이 어리둥절한 데[驚悸恍惚]는 반드시 복신을 써야 한다.
心下痞 須用枳實 黃連 肌熱 須用黃芩 腹脹 須用厚朴 脇下痛 寒熱 須用柴胡
명치밑이 트직한 데[心下 ]는 반드시 지실과 황련을 써야 한다.
살이 다는 데[肌熱]는 반드시 속썩은풀(黃芩)을 써야 한다.
배가 불러 오르는 데[腹脹]는 반드시 후박을 써야 한다.
옆구리가 아프면서 춥다가 열이 나는 데[脇下痛寒熱]는 반드시 시호를 써야 한다.
脾胃有濕痰 怠惰 須用白朮 破滯氣 須用枳殼 破滯血 須用桃仁 蘇木
비위(脾胃)에 습담이 있어서 나른한 데[怠情]는 반드시 흰삽주를 써야 한다.
체기(滯氣)를 헤치는 데는 반드시 지각을 써야 한다.
몰린 피[滯血]를 헤치는 데는 반드시 복숭아씨와 소목을 써야 한다.
血不足 須用甘草 去痰 須用半夏 熱 加黃芩 風 加南星 寒痰痞塞 須用陳皮 白朮
혈이 부족한 데[血不足]는 반드시 감초를 써야 한다.
담을 없애는 데[去痰]는 반드시 끼무릇을 써야 하는데

열이 있으면 속썩은풀을 더 넣고 풍증이 있으면 천남성을 더 넣는다.
한담(寒痰)이 막힌 데는 반드시 귤껍질과 흰삽주를 써야 한다.

腹中窄狹 須用蒼朮 調氣 須用木香 補氣 須用人蔘 和血 須用當歸

뱃속에 좁아진 데[腹中窄狹]는 반드시 삽주를 써야 한다.

기를 고르게 하는 데[調氣]는 반드시 목향을 써야 한다.

기를 보하는 데[補氣]는 반드시 인삼을 써야 한다.

혈을 고르게 하는 데[和血]는 반드시 당귀를 써야 한다.

下焦濕熱 幷膀胱有火邪 須用酒洗防己 草龍膽 黃栢 知母 內傷虛寒 須用黃芪

하초에 습열이 있고 방광에 화사(火邪)가 있는 데는

반드시 술에 씻은 방기(酒洗防己), 용담초, 황백, 지모를 써야 한다.

내상으로 허한이 나는 데[內傷虛寒]는 반드시 단너삼을 써야 한다.

上焦熱 須用片芩 中焦濕熱 須用黃連 去滯氣 須用靑皮 渴 須用乾葛 茯苓

상초에 열이 있는 데[上焦熱]는 반드시 속썩은풀(黃芩)을 써야 한다.

중초에 습열이 있는 데는 반드시 황련을 써야 한다.

체기를 없애는 데[去滯氣]는 반드시 선귤껍질(靑皮)을 써야 한다.

갈증이 있는 데는 칡뿌리(乾葛)와 솔풍령(茯 )을 써야 한다.

嗽 須用五味子 喘 須用阿膠 宿食不消 須用黃連 枳實 胸中煩熱 須用梔子

기침[嗽]에는 반드시 오미자를 써야 한다.

숨이 찬 데[喘]는 반드시 갖풀(阿膠)을 써야 한다.

오랜 식체가 삭지 않는 데[宿食不消]는 반드시 황련과 지실을 써야 한다.

가슴 속에 번열(煩熱)이 있는 데는 반드시 산치자를 써야 한다.

水瀉 須用 白朮 茯苓 芍藥 氣刺痛 須用枳殼 血刺痛 須用當歸

물같은 설사[水瀉]를 하는 데는 반드시 흰삽주, 솔풍령, 집함박꽃뿌리를 써야 한다.

기로 쑤시는 것같이 아픈 데[氣刺痛]는 반드시 지각을 써야 한다.

혈로 쑤시는 것같이 아픈 데[血刺痛]는 반드시 당귀를 써야 한다.

瘡痛 須用黃連 黃芩 黃栢 眼痛 須用黃連 當歸並酒製 小便黃 須用黃栢

헌데가 생겨 아픈 데[瘡痛]는 반드시 황련, 속썩은풀, 황백을 써야 한다.

눈이 아픈 데[眼痛]는 반드시 황련과 당귀를 쓰되 다 술에 법제하여 써야 한다.

오줌빛이 누런 데[小便黃]는 반드시 황백을 써야 한다.

小便澁數 須用澤瀉 腹中實痛 須用大黃 芒硝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잦은 데[小便澁數]는 반드시 택사를 써야 한다.

뱃속이 다면서 아픈 데[腹中熱痛]는 반드시 대황과 망초를 써야 한다.

小腹痛須用靑皮 莖中痛須用甘草梢 胃脘痛須用草豆埼

아랫배가 아픈 데[小腹痛]는 반드시 선귤껍질을 써야 한다.

음경속이 아픈 데[莖中痛]는 반드시 감초(잔뿌리)를 써야 한다.

위가 아픈 데[胃脘痛]는 반드시 초두구를 써야 한다.

凡用純寒純熱必用甘草以緩其力寒熱相雜亦以此調和之 [東垣]

대체로 성질이 순수 찬약[純寒]이나 순수 열[純熱]한 약만을 쓸 때에는

반드시 감초를 함께 넣어 써서 약 기운을 완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성질이 찬약과 더운약을 섞어서 쓸 때에도

역시 감초를 함께 넣어 써서 조화시켜야 한다[동원].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忌銅鐵藥][기동철약]   (0) 2019.02.10
[服藥食忌][복약식기]   (0) 2019.02.10
[五臟補瀉][오장보사]  (0) 2019.02.09
[用根梢法][용근초법]   (0) 2019.02.09
[寒沈藏][한침장]   (0) 2019.02.09

[五臟補瀉][오장보사] [오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

虛則補其母實則瀉其子假如肝乃心之母心虛當補肝脾乃心之子心實當瀉脾餘經倣此[難經]

()하면 그 어머니격인 장기를 보()하고 실()하면 그 아들격인 장기를 사()해야 한다. 즉 간()은 심()의 어머니격이므로 심이 허약할 때에는 간을 보해야 하고 비()는 심의 아들격이므로 심이 실할 때에는 비를 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장기도 이와 같다[난경].

肝膽味辛補酸瀉氣溫補凉瀉

간과 담은 매운 맛으로 보하고 신맛으로 사해야 한다.

그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보하고 서늘한 약으로 사해야 한다.

心小腸味鹹補甘瀉氣熱補寒瀉三焦命門補瀉同

, 소장은 짠 맛으로 보하고 단맛으로 사해야 하며 성질이 열한 약으로 보하고 찬약으로 사해야 한다. 3, 명문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도 이와 같다.

脾胃味甘補苦瀉氣溫補寒瀉

, 위는 단맛으로 보하고 쓴 맛으로 사해야 하며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보하고 찬약으로 사해야 한다.

肺大腸味酸補辛瀉氣凉補溫瀉

폐와 대장은 신맛으로 보하고 매운 맛으로 사해야 하며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보하고 따뜻한 약으로 사해야 한다.

腎膀胱味苦補鹹瀉氣寒補熱瀉[東垣]

신과 방광은 쓴 맛으로 보하고 짠 맛으로 사해야 하며 성질이 찬약으로 보하고 열한 약으로 사해야 한다[동원].

補瀉在味髓時換氣[東垣]

보하는 약인가 사하는 약인가 하는 것은 주로 약의 맛을 보고 알 수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약의 성질을 보고도 알 수 있다[동원].

 

[][심]

溫用當歸芍藥吳茱萸肉桂蒼朮白朮石菖蒲凉用犀角生地黃牛黃竹葉朱砂麥門冬黃連連翹補用遠志茯神天麥門冬兎絲子人參金銀箔炒檩瀉用黃連苦參貝母前胡鬱金

더운약으로는 당귀, 집함박꽃뿌리(芍藥), 오수유, 육계, 삽주(蒼朮), 흰삽주(白朮), 석창포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서각, 생지황, 우황, 참대잎(竹葉), 주사, 맥문동. 황련, 연교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원지, 복신, 천문동, 맥문동, 새삼씨, 인삼, 금박, 은박, 닦은 소금을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황련, 너삼(苦蔘), 패모, 전호, 울금을 쓴다.

 

[小腸][소장]  

溫用巴戟茴香烏藥益智凉用茅根通草黃芩天花粉滑石車前子補用牡蠣石斛甘草梢瀉用蔥白蘇子續隨子大黃

더운약으로는 파극, 회향, 오약, 익지인을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띠뿌리(茅根), 통초, 속썩은풀(黃芩), 하늘타리뿌리(天花粉), 곱돌(滑石), 길짱구씨(車前子)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굴조개껍질(牡蠣), 석곡, 감초를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파밑( ), 차조기씨(蘇子), 속수자, 대황을 쓴다.

 

[][간]  

溫用木香肉桂半夏肉豆埼陳皮檳峹禕撥凉用鱉甲黃芩黃連草龍膽草決明柴胡羚羊角補用木瓜阿膠川芎黃妉山茱萸酸棗仁五加皮瀉用靑皮芍藥柴胡前胡犀角秦皮草龍膽

더운약으로는 목향, 육계, 끼무릇(半夏), 육두구, 귤껍질(陳皮), 빈랑, 필발을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자라등딱지(鱉甲), 속썩은풀(黃芩), 황련, 용담초(草龍膽), 결명씨(草決明), 시호, 영양각을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모과, 갖풀(阿膠), 궁궁이(川芎), 단너삼(), 산수유, 메대추씨(酸棗仁), 오갈피(五加皮)를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선귤껍질(靑皮), 집함박꽃뿌리(芍藥), 시호, 전호, 서각, 물푸레껍질(秦皮), 용담초(草龍膽)를 쓴다.

 

[][담]  

溫用橘皮半夏生薑川芎桂皮凉用黃連黃芩竹茹柴胡草龍膽補用當歸山茱萸酸棗仁五味子瀉用靑皮柴胡黃連木通芍藥  

더운약으로는 귤껍질(橘皮), 끼무릇(半夏), 생강, 궁궁이(川芎), 계지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황련, 속썩은풀(黃芩), 참대속껍질(竹茹), 시호, 용담초(草龍膽)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당귀, 산수유, 메대추씨(酸棗仁), 오미자를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선귤껍질(靑皮), 시호, 황련, 으름덩굴(木通), 집함박꽃뿌리(芍藥)를 쓴다.

 

[][비]

溫用香附子縮砂薑桂木香肉豆埼益智藿香丁香附子凉用梔子黃連石膏白芍藥升麻連翹黃芩苦茶補用人參黃妉白朮茯巔陳皮半夏乾薑麥芽山藥瀉用巴豆三稜枳實赤芍藥大黃靑皮神麴山査子  

더운약으로는 향부자, 사인, 건강, 계피, 목향, 육두구, 익지인, 곽향, 정향, 부자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산치자, 황련, 석고, 집함박꽃뿌리(白芍藥), 승마, 연교, 속썩은풀(黃芩), 작설차(苦茶)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인삼, 단너삼(), 흰삽주(白朮), 솔풍령(), 귤껍질(陳皮), 끼무릇(半夏), 건강, 보리길금(麥芽), (山藥)를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파두, 삼릉, 지실, 함박꽃뿌리(赤芍藥), 대황, 선귤껍질(靑皮), 약누룩(神麴), 찔광이(山 子)를 쓴다.

 

[][위]   

 溫用丁香白豆埼草豆埼乾薑厚朴益智吳茱萸凉用石膏連翹滑石升麻乾葛天花粉梔子黃芩補用白朮山藥蓮實咯仁白扁豆人參黃妉縮砂瀉用巴豆大黃枳實芒硝厚朴牽牛子  

더운약으로는 정향, 백두구, 초두구, 건강, 후박, 익지인, 오수유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석고, 연교, 건강, 곱돌(滑石), 승마, 칡뿌리(葛根), 하늘타리뿌리(天花粉), 산치자(梔子), 속썩은풀(黃芩)을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흰삽주(白朮), (山藥), 연밥(連實), 가시연밥( ), 까치콩(白扁豆), 인삼, 단너삼(), 사인(縮砂)을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파두, 대황, 지실, 망초, 후박, 나팔꽃씨(牽牛子)를 쓴다.

 

[][폐] 

 溫用陳皮半夏生薑款冬花白豆埼杏仁蘇子川椒凉用知母貝母瓜蔞仁桔梗天門冬片芩梔子石膏補用人參黃妉阿膠五味子天門冬沙參山藥鹿角膠瀉用熖嵫子桑白皮防風杏仁麻黃枳殼紫蘇葉  

더운약으로는 귤껍질(陳皮), 끼무릇(半夏), 생강, 관동화, 백두구, 살구씨(杏仁), 차조기씨(蘇子), 조피열매(川椒)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지모, 패모, 하늘타리씨(瓜蔞仁), 도라지(桔梗), 천문동, 속썩은풀(片芩), 산치자(梔子), 석고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인삼, 단너삼(), 갖풀(阿膠), 오미자, 천문동, 더덕(沙蔘), (山藥), 녹각교를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꽃다지씨( ), 뽕나무뿌리껍질(桑白皮), 방풍, 살구씨(杏仁), 마황, 지각, 차조기잎(紫蘇葉)을 쓴다.

 

[大腸][대장]  

 溫用人參薑桂半夏木香胡椒吳茱萸凉用黃芩槐花天花粉梔子連翹石膏補用楾粟殼五倍子牡蠣肉豆埼木香訶子瀉用芒硝大黃續隨子桃仁麻仁枳殼檳峹蔥白牽牛子  

더운약으로는 인삼, 건강, 계피(桂皮), 끼무릇(半夏), 목향, 후추(胡椒), 오수유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속썩은풀(黃芩), 홰나무꽃(槐花), 하늘타리뿌리(天花粉), 산치자, 연교, 석고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앵속각(罌粟殼), 오배자, 굴조개껍질(牡蠣), 육두구, 목향, 가자를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망초, 대황, 속수자, 복숭아씨(桃仁), 삼씨(麻仁), 지각, 빈랑, 파밑( ), 나팔꽃씨(牽牛子)를 쓴다.

 

[][신] 

溫用沈香兎絲子附子肉桂破故紙栢子仁烏藥巴戟凉用知母黃栢牡丹皮地骨皮玄參生地黃補用熟地黃枸杞子鹿茸龜板五味子肉瘴蓉牛膝杜沖瀉用澤瀉茯巔猪巔琥珀木通

腎本無實不可瀉用茯巔澤瀉只伐其邪水邪火也  

더운약으로는 침향, 새삼씨(兎絲子), 부자, 육계, 파고지, 측백씨(柏子仁), 오약, 파극을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지모, 황백, 모란뿌리껍질(牡丹皮), 지골피, 현삼, 생지황을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찐지황(熟地黃), 구기자, 녹용, 남생이배딱지(龜板), 오미자, 육종용, 쇠무릎(牛膝), 두충을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택사, 솔풍령(), 저령, 호박, 으름덩굴(木通)을 쓴다.

 신병(腎病)에는 본래 실증이 없으므로 사()할 수 없는데 솔풍령(), 택사를 쓰는 것은 오직 사수(邪水)와 사화(邪火)를 치료하자는데 있다.

 

[膀胱][방광]  

溫用茴香烏藥肉桂沈香吳茱萸凉用生地黃防己黃栢知母滑石甘草梢補用益智菖蒲續斷瀉用車前子瞿麥滑石芒硝澤瀉猪巔木通  

더운약으로는 회향, 오약, 육계, 침향, 오수유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생지황, 방기, 황백, 지모, 곱돌(滑石), 감초(잔뿌리)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익지인, 석창포, 속단을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길짱구씨(車前子), 패랭이꽃(瞿麥), 곱돌(滑石), 망초, 택사, 저령, 으름덩굴(木通)을 쓴다.

 

[命門][명문]

溫用附子肉桂破故紙茴香沈香烏藥乾薑凉用黃栢梔子柴胡知母滑石芒硝補用肉瘴蓉沈香黃妉肉桂兎絲子破故紙瀉用烏藥枳殼大黃芒硝黃栢梔子  

더운약으로는 부자, 육계, 파고지, 회향, 침향, 오약, 건강을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황백, 산치자(梔子), 시호, 지모, 곱돌(滑石), 망초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육종용, 침향, 단너삼(), 육계, 새삼씨(兎絲子), 파고지를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오약, 지각, 대황, 망초, 황백, 산치자를 쓴다.

 

[三焦][삼초]   

溫用附子破故紙當歸熟地黃兎絲子吳茱萸茴香凉用知母草龍膽木通車前子地骨皮黃栢梔子補用人參黃妉乾薑甘草白朮桂枝益智瀉用黃栢梔子猪巔澤瀉赤茯巔大黃檳峹  

더운약으로는 부자, 파고지, 당귀, 찐지황(熟地黃), 새삼씨(兎絲子), 오수유, 회향을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지모, 용담초, 으름덩굴(木通), 길짱구씨(車前子), 지골피, 황백, 산치자(梔子)를 쓴다.

보하는 약으로는 인삼, 단너삼(), 건강, 감초, 흰삽주(白朮), 계지, 익지인을 쓴다.

사하는 약으로는 황백, 산치자(梔子), 저령, 택사, 벌건솔풍령(赤茯 ), 대황, 빈랑을 쓴다.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服藥食忌][복약식기]   (0) 2019.02.10
[諸經引導][제경인도]   (0) 2019.02.10
[用根梢法][용근초법]   (0) 2019.02.09
[寒沈藏][한침장]   (0) 2019.02.09
[燥降收][조강수]   (0) 2019.02.09

[用根梢法][용근초법]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 
凡諸藥根 在土者 中半以上者 氣脈上行 以生苗者爲根 中半以下者 氣脈下行
以入土者 爲梢 病在中焦者 用身 盖上焦用根 下焦用梢者 根升而梢降 故也(東垣).
모든 약뿌리[藥根]에서 흙 속에 있는 뿌리의 절반 위의 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싹이 나게 한다. 이 부분을 뿌리[根]라고 한다.
절반 아래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서 땅 속으로 들어가는데 이 부분을 잔뿌리[梢]라고 한다.
중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약뿌리에서 몸통을 쓰고 상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뿌리를 스며

하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잔뿌리를 써야 한다.
그것은 뿌리의 기운은 올라가고 잔뿌리의 기운은 내려가기 때문이다[동원].
大凡 藥根有上中下 人之身 半以上 用頭 在中焦則用身 身半以下則用梢 
대체로 약뿌리를 상, 중, 하로 나누는데

윗도리[人之身半以上]의 병에는 약뿌리의 대가리쪽을 쓰고

중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몸통을 쓰며 아랫도리에 병이 있을 때에는 잔뿌리를 쓴다.
凡用藥 以頭身梢 分爲上中下用者 乃述類象形也(丹心). 
모든 약은 쓸 때에 대가리, 몸통, 잔뿌리를 상, 중, 하로 나누어 쓰는데

이것은 물체의 형태를 갈라서 그에 맞게 쓰는 것이다[단심].
當歸一物 頭 止血 上行, 身 養血 中守, 梢 破血 下流 
당귀 하나를 보아도 대가리 부분을 피를 멎게 하고 약 기운이 위로 올라가게 하며

몸통 부분은 혈을 보하면서 약 기운이 중초에 머물러 있게 하고

잔뿌리 부분은 궂은 피를 헤치며[破血] 약 기운이 아래로 내려가게 한다.
黃芩 上截虛者 以降肺火 下截實者 以瀉大腸火.
防風 桔梗之類 亦然(正傳). 
속썩은풀(黃芩)의 속이 빈 윗부분은 폐화(肺火)를 내리고

속이 비지 않은 아래 부분은 대장의 화를 내린다.
방풍이나 도라지 같은 것도 이와 같다[정전].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經引導][제경인도]   (0) 2019.02.10
[五臟補瀉][오장보사]  (0) 2019.02.09
[寒沈藏][한침장]   (0) 2019.02.09
[燥降收][조강수]   (0) 2019.02.09
[濕化成][습화성]   (0) 2019.02.09

[寒沈藏][한침장 /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
味之厚者 陰中之陰 味厚則泄
맛이 센 것[味之厚者]은 음 가운데 음[陰中之陰]에 속한다.
그러므로 맛이 센 것은 설사가 나게 한다.
大黃 黃栢 草龍膽 黃芩 黃連 石膏 生地黃 知母 防己 茵蔯 牡蠣

瓜蔞根 朴硝 玄蔘 山梔子 川練子 香豉 地楡(東垣).
대황, 황백, 용담초, 속썩은풀, 황련, 석고, 생지황, 지모, 방기, 더위지기, 굴조개껍질,

하늘타리뿌리, 박초, 현삼, 산치자, 천련자, 약전국, 오이풀 같은 것이 그런 약이다[동원].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臟補瀉][오장보사]  (0) 2019.02.09
[用根梢法][용근초법]   (0) 2019.02.09
[燥降收][조강수]   (0) 2019.02.09
[濕化成][습화성]   (0) 2019.02.09
[熱浮長][열부장]   (0) 2019.02.09

[燥降收][조강수 /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
氣之薄者 陽中之陰 氣薄則發泄
냄새가 약한 것[氣之薄者]은 양 가운데 음[陽中之陰]에 속한다.
그러므로 냄새가 약한 것은 발산시켜서 나가게 한다.
茯苓 澤瀉 猪苓 滑石 瞿麥 車前子 木通 燈心 五味子 桑白皮

白芍藥 犀角 天門冬 烏梅 牧丹皮 地骨皮 枳殼 琥珀 連翹 枳實 麥門冬(東垣).
솔풍령, 택사, 저령, 곱돌, 패랭이꽃, 길짱구씨, 으름덩굴, 골풀속살,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

집함박꽃뿌리, 서각, 천문동, 오매, 모란뿌리껍질, 지골피, 지각, 호박, 연교, 지실, 맥문동

같은 것이 그런 약이다[동원].

'[湯液篇] > [序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用根梢法][용근초법]   (0) 2019.02.09
[寒沈藏][한침장]   (0) 2019.02.09
[濕化成][습화성]   (0) 2019.02.09
[熱浮長][열부장]   (0) 2019.02.09
[風升生][풍승생]   (0) 2019.0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