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結胸不治證][결흉불치증]   
結胸脈浮大者, 不可下, 下之卽死[仲景].
결흉에 맥이 부대(浮大)하면 설사시키지 말아야 하는데, 설사시키면 죽는다(중경).
結胸證悉具, 煩躁者, 死[仲景].
결흉의 증상이 다 있으면서 답답하고 조급하게 되면 죽는다(중경).
結胸見陰脈, 陰證, 及喘急逆者, 亦死[入門].
결흉에 음맥(陰脈)과 음증이 나타나고 숨이 차며 딸꾹질하면 역시 죽는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熨結胸法][위결흉법]   (0) 2020.02.24
[盦結胸法][암결흉법]   (0) 2020.02.24
[支結][지결]   (0) 2020.02.24
[陰陽毒結胸][음양독결흉]   (0) 2020.02.24
[血結胸][혈결흉]  (0) 2020.02.24

[熨結胸法][위결흉법]
治陰證結胸, 手足厥逆.
大葱白 十莖, 生薑 一兩.
擣爛作餠灸熱, 貼臍中, 以熨斗, 火熨餠上.

待熱氣入內, 覺響卽住, 復用枳實理中丸之類 方見上[入門].
음증결흉(陰證結胸)으로 손발이 차가워지는 것을 치료한다.
총백(큰 것) 열 뿌리, 생강 한 냥.
위의 약들을 잘 찧어 떡처럼 만들어 뜨겁게 구운 다음

배꼽에 붙이고 다리미로 떡 위를 다림질한다.
열기가 안으로 들어가는 느낌이 나면 다림질을 멈추고

다시 지실이중환(처방은 앞에 있다) 같은 약을 먹는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結胸不治證][결흉불치증]   (0) 2020.02.24
[盦結胸法][암결흉법]   (0) 2020.02.24
[支結][지결]   (0) 2020.02.24
[陰陽毒結胸][음양독결흉]   (0) 2020.02.24
[血結胸][혈결흉]  (0) 2020.02.24

[盦結胸法][암결흉법]
用初出殼黃毛雞子一隻, 生薑四兩, 共擣爛,

炒微溫, 攤在胸前結實之處, 外以絹帛縛之.

候半日許, 覺腹中熱燥, 解去, 更以熱手揉之[入門].
금방 알에서 깬 노란 병아리 한 마리와 생강 넉 냥을 함께 잘 찧어 볶아서

약간 따뜻하게 하여 가슴의 결흉이 된 곳에 펼쳐 바르고 비단으로 싸맨다.

한나절 동안 두었다가 뱃속이 뜨겁고 마르는 듯함이 느껴지면

풀어버리고 서로 비벼서 따뜻해진 손으로 문질러준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結胸不治證][결흉불치증]   (0) 2020.02.24
[熨結胸法][위결흉법]   (0) 2020.02.24
[支結][지결]   (0) 2020.02.24
[陰陽毒結胸][음양독결흉]   (0) 2020.02.24
[血結胸][혈결흉]  (0) 2020.02.24

[支結][지결]
傷寒心下妨悶, 不滿不硬者, 謂之支結, 宜桂枝人蔘湯.
상한으로 명치가 막힌 듯 답답하고 그득하지도 단단하지도 않은 것을

지결(支結)이라고 하는데, 계지인삼탕을 쓴다.
傷寒, 未經下而胸膈氣塞滿悶者, 非痞, 亦非結胸也.

柴梗湯, 柴陳湯, 胃虛者, 半夏瀉心湯 方見寒門[入門].
상한병에 아직 설사시키지 않았는데

흉격의 기운이 막혀 그득하고 답답한 것은 비(痞)도 아니고 결흉도 아니다.
시경탕이나 시진탕을 쓰고, 위(胃)가 허하면 반하사심탕(처방은 한문에)을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熨結胸法][위결흉법]   (0) 2020.02.24
[盦結胸法][암결흉법]   (0) 2020.02.24
[陰陽毒結胸][음양독결흉]   (0) 2020.02.24
[血結胸][혈결흉]  (0) 2020.02.24
[水結胸][수결흉]   (0) 2020.02.23

[陰陽毒結胸][음양독결흉]
傷寒, 陰陽二毒伏逆變爲結胸, 有自利者, 有不得利者.

依結胸灸臍法, 以利之, 陽毒內服活龍散, 陰毒內服破結丹,

得泄則陰陽升降, 榮衛流行, 自然大汗而解矣.

若心下已結, 延至五日間, 斷不可治[入門].
상한으로 음독(陰毒)과 양독(陽毒)이 숨어 있다가 거꾸로 치밀어 결흉이 되는데,

설사하는 경우도 있고 설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결흉에 배꼽에 뜸뜨는 법을 써서 설사시키는데,

양독에는 활룡산을 먹고 음독에는 파결단을 먹어서 설사하게 되면

음양이 잘 오르내리고 영위(營衛)가 잘 돌아서 저절로 땀이 많이 나면서 풀린다.

만일 명치 부위가 뭉친 지 5일이 지났으면 절대로 치료할 수 없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盦結胸法][암결흉법]   (0) 2020.02.24
[支結][지결]   (0) 2020.02.24
[血結胸][혈결흉]  (0) 2020.02.24
[水結胸][수결흉]   (0) 2020.02.23
[熱實結胸][열실결흉]   (0) 2020.02.23

[血結胸][혈결흉]
婦人傷寒血結胸痛, 不可忍.

宜服海蛤散, 玄胡索散[入門]. 
부인이 상한병으로 혈결흉(血結胸)이 되어 참을 수 없이 아픈 데에는

해합산이나 현호색산을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支結][지결]   (0) 2020.02.24
[陰陽毒結胸][음양독결흉]   (0) 2020.02.24
[水結胸][수결흉]   (0) 2020.02.23
[熱實結胸][열실결흉]   (0) 2020.02.23
[寒實結胸][한실결흉]   (0) 2020.02.23

[水結胸][수결흉]
傷寒結胸, 無大熱者, 此爲水結在胸脇, 但頭微汗出[仲景].
상한으로 인한 결흉에서 열이 심하게 나지 않는 것은

수기(水氣)가 흉협(胸脇)에 몰린 것으로, 머리에서 땀만 약간 난다(중경).
傷寒飮水過多, 水停心下, 爲水結胸,

但頭汗出, 身無大熱, 心下滿, 揉之汨汨有聲, 謂之水結胸.

宜赤茯苓湯, 甚者, 大陷胸湯方見寒門[入門].
상한병에 물을 많이 마시면 수기가 명치에 머물러 수결흉(水結胸)이 된다.

머리에서만 땀이 날 뿐 몸에서는 심하게 열이 나지 않고 명치가 그득하며,

주무르면 꾸룩꾸룩 소리가 나는 것을 수결흉이라고 한다.

적복령탕을 쓰는데, 심하면 대함흉탕(처방은 한문에)을 쓴다(입문).
凡水結胸脇間, 頭必有汗[綱目].
일반적으로 수기가 가슴과 옆구리 사이에 맺히면 머리에서 반드시 땀이 난다(강목).
一人, 忽患微熱, 心下滿, 頭有汗.

衆醫以爲濕病, 或以爲食積. 孫兆曰, 水結胸, 用半夏茯苓湯, 遂差, 衆問其故.

答曰, 頭有汗, 心下滿, 非濕病, 乃水結胸脇也.

水旣去, 其病當愈, 若濕氣, 心下滿, 自當遍身汗, 若食積頭豈有汗乎. 故知之[綱目].
어떤 사람이 갑자기 미열이 나고 명치가 그득하며 머리에서 땀이 나는데

여러 의사들이 습으로 인한 병[濕病]이라고도 하고, 식적(食積)이라고도 하였다.

손조가 수결흉이라 하여 반하복령탕을 썼더니 곧 나았다.

여러 사람이 그 이유를 묻자 "머리에서 땀이 나고 명치가 그득하면

습으로 인한 병이 아니라 수기가 가슴과 옆구리에 맺힌 것이다.

수기만 없애면 병은 낫게 마련이다.

만일 습기 때문이라면 명치가 그득하면서 마땅히 온몸에서 땀이 날 것이고,

만일 식적 때문이라면 머리에서 어찌 땀이 나겠는가?

그러므로 이 병은 수결흉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강목).
水結, 宜枳朮湯.
수결흉에는 지출탕을 쓴다.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陽毒結胸][음양독결흉]   (0) 2020.02.24
[血結胸][혈결흉]  (0) 2020.02.24
[熱實結胸][열실결흉]   (0) 2020.02.23
[寒實結胸][한실결흉]   (0) 2020.02.23
[小結胸][소결흉]  (0) 2020.02.23

[熱實結胸][열실결흉]
者, 心下滿硬, 懊憹煩躁而渴, 宜加味陷胸湯 方見上, 柴陷湯[入門].
열실결흉(熱實結胸)은

명치가 그득하고 단단하며 오뇌(懊憹)하고 번조(煩躁)하며 갈증이 나는데,
가미함흉탕(처방은 앞에 있다)이나 시함탕을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血結胸][혈결흉]  (0) 2020.02.24
[水結胸][수결흉]   (0) 2020.02.23
[寒實結胸][한실결흉]   (0) 2020.02.23
[小結胸][소결흉]  (0) 2020.02.23
[大結胸][대결흉]   (0) 2020.02.23

[寒實結胸][한실결흉]
者, 身不熱, 口不渴, 只心中脹硬而痛, 無熱證.
宜枳實理中丸 方見上.

甚者, 三物白散 方見寒門[入門].
한실결흉(寒實結胸)은 몸에 열이 나지 않고 갈증이 없으면서

단지 가슴이 불러 오르고 단단하면서 아픈 것으로, 열증은 없다.
지실이중환(처방은 앞에 있다)을 쓰고,

심하면 삼물백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結胸][수결흉]   (0) 2020.02.23
[熱實結胸][열실결흉]   (0) 2020.02.23
[小結胸][소결흉]  (0) 2020.02.23
[大結胸][대결흉]   (0) 2020.02.23
[結胸][결흉]  (0) 2020.02.23

[小結胸][소결흉]
者, 按之方痛, 只心下硬. 宜小陷胸湯 方見寒門.
소결흉(小結胸)은 눌러야 비로소 아프고 명치 부위가 단단할 뿐이다.
소함흉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小結胸者, 正在心下, 按之則痛[仲景].
소결흉은 바로 명치 부위를 누르면 아픈 것이다(중경).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實結胸][열실결흉]   (0) 2020.02.23
[寒實結胸][한실결흉]   (0) 2020.02.23
[大結胸][대결흉]   (0) 2020.02.23
[結胸][결흉]  (0) 2020.02.23
[熨痞氣法][위비기법]  (0) 2020.02.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