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結胸][수결흉]
傷寒結胸, 無大熱者, 此爲水結在胸脇, 但頭微汗出[仲景].
상한으로 인한 결흉에서 열이 심하게 나지 않는 것은
수기(水氣)가 흉협(胸脇)에 몰린 것으로, 머리에서 땀만 약간 난다(중경).
傷寒飮水過多, 水停心下, 爲水結胸,
但頭汗出, 身無大熱, 心下滿, 揉之汨汨有聲, 謂之水結胸.
宜赤茯苓湯, 甚者, 大陷胸湯方見寒門[入門].
상한병에 물을 많이 마시면 수기가 명치에 머물러 수결흉(水結胸)이 된다.
머리에서만 땀이 날 뿐 몸에서는 심하게 열이 나지 않고 명치가 그득하며,
주무르면 꾸룩꾸룩 소리가 나는 것을 수결흉이라고 한다.
적복령탕을 쓰는데, 심하면 대함흉탕(처방은 한문에)을 쓴다(입문).
凡水結胸脇間, 頭必有汗[綱目].
일반적으로 수기가 가슴과 옆구리 사이에 맺히면 머리에서 반드시 땀이 난다(강목).
一人, 忽患微熱, 心下滿, 頭有汗.
衆醫以爲濕病, 或以爲食積. 孫兆曰, 水結胸, 用半夏茯苓湯, 遂差, 衆問其故.
答曰, 頭有汗, 心下滿, 非濕病, 乃水結胸脇也.
水旣去, 其病當愈, 若濕氣, 心下滿, 自當遍身汗, 若食積頭豈有汗乎. 故知之[綱目].
어떤 사람이 갑자기 미열이 나고 명치가 그득하며 머리에서 땀이 나는데
여러 의사들이 습으로 인한 병[濕病]이라고도 하고, 식적(食積)이라고도 하였다.
손조가 수결흉이라 하여 반하복령탕을 썼더니 곧 나았다.
여러 사람이 그 이유를 묻자 "머리에서 땀이 나고 명치가 그득하면
습으로 인한 병이 아니라 수기가 가슴과 옆구리에 맺힌 것이다.
수기만 없애면 병은 낫게 마련이다.
만일 습기 때문이라면 명치가 그득하면서 마땅히 온몸에서 땀이 날 것이고,
만일 식적 때문이라면 머리에서 어찌 땀이 나겠는가?
그러므로 이 병은 수결흉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강목).
水結, 宜枳朮湯.
수결흉에는 지출탕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