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結胸][대결흉]
者, 不按而痛, 胸連臍腹痛硬, 手不可近, 不大便, 日哺潮熱.

宜大陷胸湯, 大陷胸丸 方並見寒門, 穿結散.
대결흉(大結胸)은 누르지 않아도 아프며 가슴에서 배꼽 주위까지 손을 대지 못할 정도로

아프고 단단하며 대변을 보지 못하고 저녁 무렵에 조열(潮熱)이 난다.
대함흉탕, 대함흉환(두 처방 모두 한문에 있다), 천결산 등을 쓴다.
大結胸者, 心下滿而硬痛, 手不可按[仲景].
대결흉은 손을 대지 못할 정도로 명치가 그득하며 단단하고 아프다(중경).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實結胸][한실결흉]   (0) 2020.02.23
[小結胸][소결흉]  (0) 2020.02.23
[結胸][결흉]  (0) 2020.02.23
[熨痞氣法][위비기법]  (0) 2020.02.23
[盦痞氣法][암비기법]   (0) 2020.02.23

[結胸][결흉]
傷寒, 病發於陽, 而反下之,

熱入因作結胸, 病發於陰, 而反下之,

因作痞, 所以成結胸者, 以下之太早故也[仲景].  
상한병에 양(陽)에 병이 생겼는데 도리어 설사시키면

열사(熱邪)가 속으로 들어가 결흉(結胸)이 된다.

음(陰)에 병이 생겼는데 도리어 설사시키면 비(痞)가 된다.

결흉이 된 것은 설사를 너무 일찍 시켰기 때문이다(중경).  
結胸之證, 當心緊痛而煩, 水漿不入, 但能仰而不能俛, 項强如柔痓5)狀[入門].  
결흉의 증상은 명치가 당기며 아프고 답답하며 물이나 미음을 먹을 수 없고,

단지 몸을 뒤로 젖힐 수는 있으나 앞으로 구부리지 못하고 목이 뻣뻣한 것이

마치 유치(柔痓)의 증상과 같다(입문).
心下滿而硬痛, 爲結胸, 滿而不痛, 爲痞.

半夏瀉心湯 方見寒門 主之[仲景].
명치가 그득하며 단단하고 아프면 결흉이고, 그득하지만 아프지 않으면 비이다.

반하사심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으로 치료한다(중경).
有大結胸, 小結胸, 寒實結胸, 熱實結胸, 水結胸, 血結胸, 陰陽毒結胸, 又有支結證.
대결흉, 소결흉, 한실결흉, 열실결흉, 수결흉, 혈결흉, 음양독결흉, 지결증 등이 있다.
桔梗枳殼湯, 治結胸痞氣通用[入門].
길경지각탕은 결흉과 비기(痞氣)를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結胸][소결흉]  (0) 2020.02.23
[大結胸][대결흉]   (0) 2020.02.23
[熨痞氣法][위비기법]  (0) 2020.02.23
[盦痞氣法][암비기법]   (0) 2020.02.23
[痞證治法][비증치법]   (0) 2020.02.23

[熨痞氣法][위비기법]
治心胸痞, 及一切胸膈, 寒結, 熱結, 水結, 食結, 痰結, 痞結, 皆治之. 
生薑一斤, 擣取汁另貯, 只取渣炒熱帛包, 熨心胸脇下, 其痛豁然而愈.

若薑冷, 再拌汁炒再熨之.

若熱結不用炒[入門]. 
가슴이 답답한 것, 흉격에 찬 기운이 뭉친 것, 열이 뭉친 것, 수(水)가 뭉친 것,

음식이 뭉친 것, 담이 뭉친 것, 비결 등을 모두 치료한다.
생강 한 근을 찧어 즙을 내어 따로 두고 찌꺼기를 뜨겁게 볶아

비단으로 싸서 가슴과 옆구리를 찜질하면 아프던 것이 시원하게 낫는다.
생강이 식으면 다시 생강즙으로 버무려 볶아서 다시 찜질한다.

열이 뭉친 경우에는 볶지 않고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結胸][대결흉]   (0) 2020.02.23
[結胸][결흉]  (0) 2020.02.23
[盦痞氣法][암비기법]   (0) 2020.02.23
[痞證治法][비증치법]   (0) 2020.02.23
[痞宜吐下][비의토하]   (0) 2020.02.23

[盦痞氣法][암비기법]  
蘿葍子 三合, 生薑 二兩, 葱白 七莖, 橘葉 一握, 白麪 半合.

共擣勻, 炒令溫, 盦痞滿之處, 外用絹帛縛之, 候半日許, 胸中煩熱, 卽解去, 復以熱手揉之.

不拘寒熱虛實, 並用之.

無橘葉, 代椒葉[入門] 
나복자 서 홉, 생강 두 냥, 총백 일곱 뿌리, 귤엽 한 줌,

밀가루 반 홉을 같이 고루 찧어서 볶아 따뜻하게 하여 비만(痞滿)이 생긴 곳에 덮고

겉을 비단으로 싸맨 다음 한나절 동안 두었다가

가슴에 번열(煩熱)이 나면 풀어버리고 따뜻한 손으로 문질러준다.  

한(寒), 열(熱), 허(虛), 실(實)에 관계없이 쓴다.

귤엽이 없으면 초엽(椒葉)을 대신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結胸][결흉]  (0) 2020.02.23
[熨痞氣法][위비기법]  (0) 2020.02.23
[痞證治法][비증치법]   (0) 2020.02.23
[痞宜吐下][비의토하]   (0) 2020.02.23
[痞有虛實][비유허실]   (0) 2020.02.23

[痞證治法][비증치법]
心下痞, 須用枳實炒黃連.
심하비(心下痞)에는 반드시 지실(볶은 것), 황련을 쓴다.
如稟實氣實而痞, 宜 枳實 黃連 靑皮 陳皮 枳殼.
타고난 바도 실하고 기(氣)도 실한데

비(痞)가 생기면 지실, 황련, 청피, 진피, 지각을 쓴다.
如稟弱氣弱, 飮食不化而痞, 宜 白朮 山査 神麴 麥芽 陳皮.
타고난 바도 약하고 기도 약하여 음식이 소화되지 않아

비가 생기면 백출, 산사, 신곡, 맥아, 진피를 쓴다.
如肥人心下痞, 乃濕痰, 宜 蒼朮 半夏 縮砂 茯苓 滑石.
살찐 사람의 심하비는 습담 때문이므로 창출, 반하, 사인, 복령, 활석을 쓴다.
如瘦人心下痞, 乃鬱熱, 宜 枳實 黃連 葛根 升麻.
마른 사람의 심하비는 울열 때문이므로 지실, 황련, 갈근, 승마를 쓴다.
如感寒, 食不化, 心下痞, 宜 藿香 草豆蔲 縮砂 吳茱萸.
식후에 찬 기운이 들어와 소화되지 않아서

심하비가 생기면 곽향, 초두구, 사인, 오수유를 쓴다.
痞挾血成窠囊, 宜 桃仁 紅花 香附 大黃[丹心].
비에 어혈이 겹쳐 주머니 같은 것이 생기면 도인, 홍화, 향부자, 대황을 쓴다(단심).
王道消補, 不輕吐下.

故古人治痞, 用 黃連 黃芩 枳實之苦, 以泄之,

厚朴 生薑 半夏之辛, 以散之,

人蔘 白朮 之甘溫, 以補之,

猪苓 茯苓 澤瀉之淡, 以滲之,

大槩與濕同治, 使上下分消其濕可也[正傳].
가장 좋은 치료법은 소보(消補)이므로 함부로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옛사람들이 비를 치료할 때는

황련, 황금, 지실의 쓴맛으로 설사시키고,

후박, 생강, 반하의 매운맛으로 흩어주고,

인삼, 백출의 달며 따뜻한 맛과 성질로 보해주고,

저령, 복령, 택사의 담담한 맛으로 스며 나오게 하는데,

대개 습(濕)을 치료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치료하여

아래위로 나누어 그 습을 없애주어야 한다(정전).
傷寒, 本無痞, 應發汗, 醫反下之, 遂成痞.

枳實理中丸 方見上, 最良. 審知是痞, 先用桔梗枳殼湯, 尤妙, 枳桔能行氣故也[活人].
상한에는 원래 비가 없지만 땀을 내야 하는데 도리어 설사시키면 비가 된다.

지실이중환(처방은 앞에 있다)이 가장 효과가 좋다.

잘 살펴서 비인줄 알게 되어 먼저 길경지각탕을 쓰면 효과가 더욱 좋은데,

이것은 지각과 길경이 기를 잘 돌게 하기 때문이다(활인).
盖痞自血中來, 治痞獨益脾土, 以血藥治之, 其法無以加矣[海藏].

대개 비는 혈(血)에서 비롯되므로 비를 치료하는데,

단지 비토(脾土)를 더해줄 뿐만 아니라 혈약(血藥)으로 치료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다(해장).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熨痞氣法][위비기법]  (0) 2020.02.23
[盦痞氣法][암비기법]   (0) 2020.02.23
[痞宜吐下][비의토하]   (0) 2020.02.23
[痞有虛實][비유허실]   (0) 2020.02.23
[痞有寒熱][비유한열]   (0) 2020.02.23

[痞宜吐下][비의토하]
飮食過傷, 心胸痞悶, 兀兀欲吐者, 宜吐之[東垣].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메슥거리면서 토하려고 하면 토하게 하여야 한다(『동원).
飮食傷脾痞滿,

輕者, 黃連消痞丸 方見上, 橘皮枳朮丸 方見內傷,

甚者, 微下之吐之.

下者, 枳實導滯丸, 加檳榔, 木香 方見內傷, 煮黃丸 方見上,

吐者, 二陳湯 方見痰飮, 瓜蔕散 方見吐門[丹心].
음식으로 비(脾)가 상하여 비만(痞滿)이 되었는데

가벼우면 황련소비환(처방은 앞에 있다)이나 귤피지출환(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쓰고,

심하면 약하게 설사시키거나 토하게 한다.

설사시키는 데는

지실도체환(내상문)에 빈랑과 목향을 더 넣은 것이나 자황환(처방은 앞에)을 쓰고,

토하게 하는 데는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이나 과체산(처방은 토문에 있다)을 쓴다(단심).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盦痞氣法][암비기법]   (0) 2020.02.23
[痞證治法][비증치법]   (0) 2020.02.23
[痞有虛實][비유허실]   (0) 2020.02.23
[痞有寒熱][비유한열]   (0) 2020.02.23
[胸痞][흉비]   (0) 2020.02.23

[痞有虛實][비유허실]
痞有虛實之殊.

實痞, 大便閉, 厚朴枳實湯 方見大便 主之.

虛痞, 大便利, 芍藥陳皮湯主之[東垣].
비(痞)에는 허증과 실증의 차이가 있다.

실비(實痞)에는 대변이 막히므로 후박지실탕(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쓴다.

허비(虛痞)에는 대변을 자주 보므로 작약진피탕을 쓴다(동원).  
痞有虛有實,

大便易而利者, 爲虛, 大便難而閉者, 爲實[入門].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는데

대변을 보기 쉽거나 잘 나오면 허증이고,

대변 보기가 힘들거나 막히면 실증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痞證治法][비증치법]   (0) 2020.02.23
[痞宜吐下][비의토하]   (0) 2020.02.23
[痞有寒熱][비유한열]   (0) 2020.02.23
[胸痞][흉비]   (0) 2020.02.23
[龜胸][구홍]   (0) 2020.02.23

[痞有寒熱][비유한열]
寒痞, 不渴, 脈遲.

宜辛甘散之, 枳實理中丸之類 方見上.

熱痞, 煩渴脈數.

宜苦寒泄之, 黃連消痞丸, 加味陷胸湯之類 方並見上[綱目].
한비(寒痞)는 갈증이 없고 맥이 지(遲)하다.

맵고 단 약으로 흩어주어야 하는데 지실이중환(처방은 앞에 있다) 같은 것을 쓴다.

열비(熱痞)는 답답하며 갈증이 나고 맥이 삭(數)하다.

쓰고 차가운 약으로 설사시켜야 하는데

황련소비환이나 가미함흉탕(두 처방 모두 앞에 있다) 같은 것을 쓴다(강목).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痞宜吐下][비의토하]   (0) 2020.02.23
[痞有虛實][비유허실]   (0) 2020.02.23
[胸痞][흉비]   (0) 2020.02.23
[龜胸][구홍]   (0) 2020.02.23
[飮食禁忌][음식금기]   (0) 2020.02.23

[胸痞][흉비]
胸滿而不痛者, 爲痞, 滿而痛者, 爲結胸,

痞悶比之結胸爲輕, 始末用藥俱同, 但有輕重之殊耳[入門].

가슴이 그득하지만 아프지 않은 것은 비(痞)이고,

가슴이 그득하면서 아픈 것은 결흉(結胸)이다.

비는 답답한 것이 결흉에 비하여 가볍지만,

비와 결흉의 약 쓰는 법이 처음부터 끝까지 같고 단지 경중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입문).

痞者, 心下滿而不痛, 是也.

太陰濕土主壅塞, 乃土來心下而爲痞也, 傷寒下之早, 亦爲痞, 乃寒傷榮血.

心主血, 邪入於本, 故爲心下痞.

仲景瀉心湯數方, 皆用黃連瀉心下之土邪, 其效如響應桴[東垣].   

비는 명치가 그득하지만 아프지 않은 것이다.

태음습토(太陰濕土)의 기는 막는 것을 주관하므로 습토의 사기가 명치로 오면 비가 된다.

상한에 설사를 너무 일찍 시켜도 또한 비가 된다.

이것은 한사가 영혈(榮血)을 상하게 한 것이다.

심(心)은 혈을 주관하는데 사기가 심에 들어갔기 때문에 심하비(心下痞)가 되는 것이다.

장기의 여러 사심탕이 모두 황련으로 명치에 있는 토(土)의 사기를 없애는데,

그 효과가 북채로 북을 치면 소리가 나듯이 확실하다(동원).

酒積雜病, 下之過, 亦作痞, 盖胸中之氣, 因虛而下陷于心之分野, 故致心下痞,

宜升胃氣以血藥兼之.

若全用氣藥導之, 則氣愈下降, 必變爲中滿鼓脹矣[東垣].

주적(酒積)이나 잡병(雜病)에 너무 설사시켜도 비가 되는데,

이는 가슴 속의 기가 허한 틈을 타서 심이 관할하는 분야로 내려갔기 때문에

심하비가 되는 것이다.

위기(胃氣)를 끌어올리고 혈약(血藥)을 겸해서 치료하여야 한다.

만약 오로지 기약(氣藥)만을 써서 끌어내려고 한다면

기는 더욱 아래로 내려가 반드시 중만(中滿), 고창(鼓脹)으로 변하게 된다(동원).

痞滿, 與脹滿不同. 脹滿, 內脹而外亦形.

痞, 則內覺痞悶而外無脹急之形也.

盖由陰伏陽蓄氣血不運而成, 位于心下之中, 塡滿痞塞, 皆土邪之所爲耳[丹心].

비만(痞滿)과 창만(脹滿)은 같지 않다.

창만은 속이 부르면서 겉으로도 부른 모양이 나타나는 것이고,

비만은 속으로는 막히고 답답한 것을 느끼나 겉으로는 부른 모양이 없는 것이다.

대개 비는 음기가 속으로 숨고 양기가 쌓여서 기혈이 잘 돌지 못하여 생기는데,

명치 부위에 자리잡아 그득하고 막히게 되는 것은 습토(濕土)의 사기 때문이다(단심).

內經曰, 太陰所至, 爲積飮痞隔.

내경에서는 "태음의 기운이 이르면 적음(積飮)과 비격(痞隔)이 생긴다"고 하였다.

痞者, 否也, 如易所謂天地不交之否, 內柔外剛, 萬物不通之義也.

物不可以終否, 故痞久, 則成脹滿, 而莫能療焉[正傳].

비(痞)는 '비(否)'로, 마치 주역에서 말하는 천지의 기운이 교류하지 못하는

비괘(否卦)가 안은 부드럽고 겉은 강하여 만물이 통하지 못한다는 뜻과 같다.

만물은 끝까지 막혀 있으면 안 되므로 비가 오래되면 창만이 되어 치료하지 못한다(정전).

痞者, 胸膈飽悶而不舒暢也[醫鑑].

비는 흉격이 그득하며 답답하여서 통하지 못하는 것이다(『고금의감』).
寒痞, 枳實理中元. 熱痞, 加減陷胸湯.

痰痞, 柴梗半夏湯. 痞痛, 瓜蔞實丸.

久痞, 黃連消痞丸. 食已心下痞, 平補枳朮丸. 虛痞, 枳實消痞丸.

飮食不消痞, 橘皮枳朮丸 方見內傷, 或二陳湯 方見痰飮, 加山査, 神麴, 麥芽.

陰伏陽蓄爲痞. 香砂養胃湯. 加味枳朮丸 方見上.

한비(寒痞)에는 지실이중원을 쓰고, 열비(熱痞)에는 가미함흉탕을 쓰고,

담비(痰痞)에는 시경반하탕을 쓰고, 비통(痞痛)에는 과루실환을 쓰고,

비(久痞)에는 황련소비환을 쓰고, 먹고 나면 생기는 심하비에는 평보지출환을 쓰고,

허비(虛痞)에는 지실소비환을 쓰고,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는 비(痞)에는 귤피지출환(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쓰거나

혹은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산사, 신곡. 맥아를 더 넣어 쓰고,

음기가 속으로 숨고 양기가 쌓여 생긴 비에는 향사양위탕, 가미지출환(처방 앞에)을 쓴다.

通用桔梗枳殼湯, 解鬱和中湯, 二陳湯加減.
길경지각탕, 해울화중탕, 이진탕가감 등을 두루 쓴다.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痞有虛實][비유허실]   (0) 2020.02.23
[痞有寒熱][비유한열]   (0) 2020.02.23
[龜胸][구홍]   (0) 2020.02.23
[飮食禁忌][음식금기]   (0) 2020.02.23
[心胃痛宜下][심위통의하]   (0) 2020.02.23

[龜胸][구홍]
詳見小兒門.
소아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痞有寒熱][비유한열]   (0) 2020.02.23
[胸痞][흉비]   (0) 2020.02.23
[飮食禁忌][음식금기]   (0) 2020.02.23
[心胃痛宜下][심위통의하]   (0) 2020.02.23
[心胃痛宜吐][심위통의토]   (0) 2020.02.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