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治血病藥餌][통치혈병약이]
一切失血諸病, 通用四物湯, 補榮湯, 保命生地黃散,

淸熱滋陰湯 方見上, 坎离膏, 固榮散, 血餘散, 側柏湯, 童子尿.
모든 출혈이 있는 병에는 사물탕, 보영탕, 보명생지황산,

청열자음탕(처방은 앞에 있다), 감리고, 고영산, 혈여산, 측백탕, 동자뇨를 두루 쓴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血藥法][치혈약법]   (0) 2019.10.27
[禁忌][금기]   (0) 2019.10.27
[黑藥止血][흑약지혈]   (0) 2019.10.27
[失血眩暈][실혈현훈]  (0) 2019.10.27
[九竅出血][구규출혈]   (0) 2019.10.27

[治血藥法][치혈약법]
丹溪曰, 凡用血藥, 不可單行單止.

又不可純用寒凉藥, 必加辛溫升藥. 如用凉藥, 用酒煮酒炒之類, 乃寒因熱用也.

又曰, 久患血證, 血不歸元, 久服藥而無效者, 以川芎爲君則效.
단계는 "혈을 치료하는 약을 쓸 때는 그저 피를 돌리는 약이나 막는 약만을 써서는 안 된다.

차고 서늘한 약만 써서도 안 되며, 반드시 맵고 따뜻하면서 위로 올라가는 약을 더하여서 쓴다.

서늘한 약을 쓸 때는 술에 찌거나 술에 축여 볶아 쓰는데,

이것은 약이 차기 때문에 덥게 하여 쓰는 것이다"

또 "혈증(血證)을 오래 앓아서 혈이 돌아갈 곳으로 돌아가지 못하여

약을 오래 먹어도 낫지 않는 데는 천궁을 군약(君藥)으로 쓰면 낫는다"고 하였다.
大凡血, 見熱則行, 見寒則凝, 見黑 一作灰 則止[丹心].
대체로 혈이 열을 만나면 잘 돌고 찬 기운을 받으면 엉기며

검은 것[黑](재(灰)라고 한 곳도 있다)을 만나면 그친다(단심).
凡嘔吐血, 若出未多, 必有瘀於胸膈者, 當先消瘀而凉之止之.

消瘀, 宜犀角地黃湯.

凉血, 宜陶氏生地芩連湯.

止澁, 宜側柏散, 狗膽丸[入門].
구혈(嘔血)이나 토혈(吐血)을 할 때 피가 많지 않으면 반드시 흉격에 어혈이 쌓인 것이니

먼저 어혈을 없앤 다음 피를 서늘하게 하여[凉血] 피를 그치게 하여야 한다.

어혈을 없애는 데는 서각지황탕을 쓰고, 혈을 서늘하게 하는 데는

도씨생지금련탕을 쓰고, 혈을 그치게[止澁] 하는 데는 측백산이나 구담환을 쓴다(입문).
桃仁, 紅花, 蘇木, 血竭, 牡丹皮者, 血滯所宜.

蒲黃, 阿膠, 地楡, 百草霜, 棕櫚灰者, 血崩所宜.

乳香, 沒藥, 五靈脂, 凌霄花者, 血痛所宜.

蓯蓉, 鎖陽, 牛膝, 枸杞子, 益母草, 夏枯草, 敗龜板者, 血虛所宜.

乳酪, 血液之物, 血燥所宜.

乾薑, 肉桂之屬, 血寒所宜.

生地黃, 苦蔘之屬, 血熱所宜[丹心].
도인, 홍화, 소목, 혈갈, 목단피는 혈이 막힌 데 좋고,

포황, 아교, 지유, 백초상, 종려회는 혈붕(血崩)에 좋고,

유향, 몰약, 오령지, 능소화는 혈로 인하여 아픈 데[血痛]에 좋고,

육종용, 쇄양, 우슬, 구기자, 익모초, 하고초, 패구판은 혈허(血虛)한 데 좋고,

유락이나 피 종류는 혈조(血燥)한 데 좋고,

건강, 육계 등은 혈한(血寒)한 데 좋고,

생지황, 고삼 등은 혈열(血熱)에 좋다(단심). 
治血防風爲上使,

連翹 一云黃連 爲中使,

地楡爲下使, 不可不知[丹心].

혈을 치료할 때 방풍은 상초(上焦)로 약 기운을 끌고 가고,

연교(어떤 곳에서는 황련이라고 하였다)는 중초(中焦)로 끌고 가고,

지유는 하초(下焦)로 끌고 간다는 것을 몰라서는 안 된다(단심).

凡血結之證, 皆用醋湯和之爲妙[直指].

혈이 맺힌 증상[血結]에는 모두 식초[醋] 끓인 물에 먹으면 좋다(직지).

灸甘草炮乾薑每三錢, 煎服.

治男女失血, 不能引氣歸元甚妙[丹心].

구감초와 구운 생강을 서 돈씩 달여 먹으면

남자나 여자가 출혈로 기가 근원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단심).

血不足, 須用甘草,

血色瘀黑, 用熟地黃.

血色鮮紅, 用生地黃.

若脈洪實, 痛甚, 用酒大黃.

和血止痛, 用當歸[東垣].

피가 부족한 데는 모름지기 감초를 써야 하며,

피 색깔이 검은 데는 숙지황을 쓰고,

피 색깔이 선홍색이면 생지황을 쓰고,

맥이 홍실(洪實)하고 심하게 아프면 술로 찐 대황을 쓰고,

피를 조화롭게 하고 아픈 것을 그치게 하려면 당귀를 쓴다(동원).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治血病藥餌][통치혈병약이]   (0) 2019.10.27
[禁忌][금기]   (0) 2019.10.27
[黑藥止血][흑약지혈]   (0) 2019.10.27
[失血眩暈][실혈현훈]  (0) 2019.10.27
[九竅出血][구규출혈]   (0) 2019.10.27

[禁忌][금기]
內經曰, 醎走血, 血病, 無多食醎.
又曰, 久視傷血.
凡血少血虛之人, 鍼刺出血過多, 皆爲禁忌.
내경에서는 "짠맛은 혈로 가므로 혈병에는 짠 것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고,
또 "오래 보면 혈을 상한다"고 하였다.
혈이 부족하거나 혈허한 사람에게 침을 놓아 피를 많이 내는 것은 금기이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治血病藥餌][통치혈병약이]   (0) 2019.10.27
[治血藥法][치혈약법]   (0) 2019.10.27
[黑藥止血][흑약지혈]   (0) 2019.10.27
[失血眩暈][실혈현훈]  (0) 2019.10.27
[九竅出血][구규출혈]   (0) 2019.10.27

[黑藥止血][흑약지혈]
綱目曰, 燒灰諸黑藥, 皆能止血.

經曰, 北方黑色, 入通於腎.
夫血者, 心之色也.

血見黑卽止者, 由腎水能制心火故也.
강목에서는 "불에 재가 되도록 태워 검게 된 약은 모두 피를 그치게 한다.

내경에서는 '북방에 속하는 검은색은 신(腎)과 통한다'고 하였다.

혈은 심(心)의 색인데, 피가 검은색을 만나 그치는 것은

신의 물 기운이 심의 불기운을 억제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止血宜五灰散, 十灰散, 十灰丸.

如百草霜松烟墨油髮灰新綿灰棕櫚灰.
梔子乾杮荊芥蓮房蝟皮牛角之類, 皆可燒灰單服.
지혈에는 오회산, 십회산, 십회환을 쓰고,

백초상, 송연묵, 유발회, 신면회, 종려회, 치자, 건시, 형개, 연방, 위피, 우각새 등은

모두 재가 되도록 태워 그것만 먹는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血藥法][치혈약법]   (0) 2019.10.27
[禁忌][금기]   (0) 2019.10.27
[失血眩暈][실혈현훈]  (0) 2019.10.27
[九竅出血][구규출혈]   (0) 2019.10.27
[血汗][혈한]   (0) 2019.10.26

[失血眩暈][실혈현훈]
海藏曰, 一切去血過多, 則必致眩暈悶絶.
凡崩中去血多, 拔牙齒去血多, 金瘡去血多, 産後去血多, 皆有此證.
宜大劑芎歸湯 方見婦人 煎服救之.  
왕호고는 "피를 너무 많이 흘린 모든 증상에는 반드시 어지럼증과 답답함이 생긴다.

붕루(崩漏)로 피를 많이 쏟거나 이를 빼고 피를 많이 흘리거나 쇠붙이에 찔려

피를 많이 흘리거나 아이를 낳고 피를 많이 쏟으면 모두 이런 증상이 생긴다"고 하였다.

궁귀탕(처방은 부인문에 있다)을 약 용량을 많이 하여[大劑] 달여 먹으면 낫는다.
吐衄太甚不止, 當防其血暈.

茅根燒烟, 將醋灑之, 令鼻嗅氣, 以遏其勢.

或驀然以冷水噀其面, 使驚則止[入門].
코피나 피를 토하는 것이 심하여 그치지 않으면

그것으로 인한 어지럼증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모근을 태울 때 식초를 뿌리고 코로 그 냄새를 들이마시게 하여 피가 나오는 기세를 막는다.

혹은 찬물을 입에 머금었다가 갑자기 얼굴에 내뿜어 놀라게 하면 그친다(입문).
失血多, 眩暈不省, 宜生地芩連湯救之.

又全生活血湯 方見胞門 亦佳[入門].
피를 많이 흘려 어지러워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데는 생지금련탕을 써서 치료하고,

또 전생활혈탕(처방은 포문에 있다)을 써도 좋다(입문).
血暈者, 皆因去血過多, 虛而成暈, 脈微澁也.

急用芎歸湯救之, 繼用加味四物湯[回春].
혈훈(血暈)은 모두 피를 많이 흘렸기 때문에 허해져서 어지러운 것인데 맥은 미삽(微澁)하다.

이럴 때는 급히 궁귀탕을 써서 구하고, 이어서 가미사물탕을 쓴다(회춘).
吐衄血過多, 昏迷不省, 生地黃三五斤, 取汁連飮,

不暇取汁, 則生吃呷汁, 以滓塞鼻, 神效.
又好墨濃磨汁飮之, 仍點入鼻中[本草].
피를 토하거나 코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정신이 혼미할 때는

생지황 세 근에서 다섯 근을 즙을 내어 연달아 마시고,

즙을 낼 여유가 없으면 날로 씹어 즙을 먹고 그 찌꺼기로 코를 막으면 아주 효과가 좋다.

또 좋은 먹을 진하게 갈아 마시고 이어 코에 찍어 넣는다(본초).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禁忌][금기]   (0) 2019.10.27
[黑藥止血][흑약지혈]   (0) 2019.10.27
[九竅出血][구규출혈]   (0) 2019.10.27
[血汗][혈한]   (0) 2019.10.26
[舌衄][설뉵]   (0) 2019.10.26

[九竅出血][구규출혈]
人卒大驚, 則九竅血皆溢出, 謂之九竅出血[本草].
사람이 갑자기 크게 놀라면 아홉 구멍[九竅]에서 모두 피가 넘쳐 나오게 되는데,

이를 '구규출혈(九竅出血)'이라고 한다(본초).
傷寒少陰證, 醫者不識,

强發其汗, 則伏熱逼血從九竅而出, 名爲下厥上竭, 不治 詳見寒門.
상한 소음증에 의사가 잘 알지 못하고

억지로 땀을 내면 숨어 있던 열이 혈을 억누르게 되어

아홉 구멍에서 피가 나오게 되니 이를 하궐상갈(下厥上竭)이라 하는데,

치료할 수 없다(자세한 것은 한문에 있다).
九竅出血, 宜側柏散 方見上.

又百草霜油髮灰龍骨末, 或吹入或糝之[入門].
아홉 구멍으로 피가 나오는 데는 측백산(처방은 앞에 있다)을 쓰며

백초상, 유발회, 용골가루를 불어넣거나 개어 붙인다(입문).
卒驚悸, 九竅血皆溢出, 新屠猪羊血, 熱飮二升卽止.
又人有九竅四肢指岐間出血, 乃暴驚所爲.

取新生犢子臍中屎, 燒灰和水服, 日三四次.
又小薊搗取汁一盞, 酒半盞調和頓服.

乾者爲末, 冷水調服[本草].
갑자기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아홉 구멍에서 피가 모두 넘쳐 나오면,
막 잡은 돼지나 양의 따뜻한 피를 두 되 마시면 곧 그친다.
또 아홉 구멍과 손가락, 발가락 사이에서 피가 나오는 것은 갑자기 놀란 까닭이니,
막 태어난 송아지 배꼽의 똥을 태워서 하루 서너 차례씩 물로 먹는다.
또 소계를 찧어 낸 즙 한 잔을 술 반 잔에 타서 단숨에 먹는다.
소계가 말랐으면 가루내어 찬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又法, 井華水, 卒噀其面, 勿令病人先知之[本草].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정화수를 입에 머금었다가

갑자기 환자의 얼굴에 내뿜되 환자가 먼저 이를 알지 못하도록 한다(본초).
指縫瘙痒, 成瘡有竅, 出血不止.

多年糞桶箍篾3)燒灰, 傅之卽止[得效].
손가락 사이가 가렵고 부스럼이 생겨 구멍이 나서 피가 그치지 않으면 오래된 똥통의

대껍질 테를 태워서 재를 만들어 피가 나는 손가락 사이에 붙이면 곧 그친다(득효).
血自皮膚間濺出, 用煮酒甁上紙, 碎揉如楊花, 以手捏在出血處, 卽止[入門].
피가 피부에서 물 뿌리는 것처럼 나오면, 술을 찔 때 시루 위에 덮었던 종이를

손으로 비벼서 버드나무 꽃같이 부드럽게 이겨 피가 난 곳에 붙이면 곧 그친다(입문).
膕中出血不止, 乃血虛也, 宜服十全大補湯[入門] 方見虛勞.
오금에서 피가 나와 그치지 않는 것은 혈이 허한 것이다.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藥止血][흑약지혈]   (0) 2019.10.27
[失血眩暈][실혈현훈]  (0) 2019.10.27
[血汗][혈한]   (0) 2019.10.26
[舌衄][설뉵]   (0) 2019.10.26
[齒衄][치뉵]   (0) 2019.10.26

[血汗][혈한]
內經曰, 少陰所至爲衄衊.

釋曰, 衊, 血汗也.
내경에서는 "소음(少陰)의 때에 이르면 육멸이 된다"고 하였는데,

왕빙은 주에서 "멸(衊)이란 혈한(血汗)이다"라고 하였다.
河間曰, 膽受熱, 血妄行爲衄衊, 幷血汗, 宜定命散.
하간은 "담(膽)이 열을 받아 혈이 제멋대로 돌아다녀 코피가 나고,

아울러 혈한[피땀]이 나게 되면 정명산을 쓴다"고 하였다.
三因曰, 無病者汗出汚衣, 甚如胚染, 名曰血汗, 亦曰紅汗.
由大喜傷心, 喜則氣散, 血隨氣行也.
宜黃芪建中湯 方見虛勞, 兼服妙香散 方見神門, 以金銀器入小麥麥門冬煎湯調下.
又産婦血汗, 宜葎草汁方.
삼인에서는 "병이 없던 사람이 땀으로 옷이 젖어 마치 엉겨 물든 것 같은 것을 혈한이라 하고,

또 홍한[뻘건 땀]이라고도 한다.

지나치게 기뻐하면 심을 상하게 되는데,

지나치게 기뻐하면 기가 밖으로 흩어지게 되고

혈은 기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홍한이 나는 것이다.

황기건중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면서 묘향산(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같이 먹는데,

금이나 은으로 만든 그릇에 소맥, 맥문동을 넣고 달인 후 타서 먹는다.

또 임산부가 혈한이 나면 율초즙방을 쓴다"고 하였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失血眩暈][실혈현훈]  (0) 2019.10.27
[九竅出血][구규출혈]   (0) 2019.10.27
[舌衄][설뉵]   (0) 2019.10.26
[齒衄][치뉵]   (0) 2019.10.26
[便血][변혈]   (0) 2019.10.26

[舌衄][설뉵]
入門曰, 血從舌出, 謂之舌衄, 宜蚊蛤散.  
입문에서는 "혀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설뉵이라고 한다"고 하였는데, 문합산을 쓴다.
又方, 浦黃炒爲末, 糝之卽止.
又槐花炒爲末, 糝之.
又赤小豆一升, 搗碎和水, 取汁服之[本草].
또 다른 처방으로는 포황을 볶아서 가루내어 개어 붙이면 곧 그친다.
또 괴화를 볶아 가루내어 붙이거나
적소두 한 되를 물과 함께 빻아서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又方, 髮灰二錢醋二合, 調服且糝之[綱目].
또 다른 처방으로 머리카락을 태워 두 돈씩 식초 두 홉에 타서 먹고 이에도 바른다(강목).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九竅出血][구규출혈]   (0) 2019.10.27
[血汗][혈한]   (0) 2019.10.26
[齒衄][치뉵]   (0) 2019.10.26
[便血][변혈]   (0) 2019.10.26
[尿血][요혈]   (0) 2019.10.26

[齒衄][치뉵]
入門曰, 血從齒齦出, 謂之齒衄.
又曰, 牙床屬胃, 牙齒屬腎.

如陽明傳入少陰, 二經相倂, 血出於牙縫.
如吐者, 人多不覺其爲牙血, 以凉水漱口則血止, 少頃又來者是.
外用綠袍散, 內服解毒湯方見傷寒 合犀角地黃湯, 或生地芩連湯 方見下.
입문에서는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뉵(齒衄)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또 "잇몸은 족양명위경에 속하고, 치아는 족소음신경에 속하니,

양명경에서 소음경으로 전해들어가 두 경(經)이 함께 어우러지면 잇몸에서 피가 나온다.

피를 토하면 사람들은 대부분

그것이 잇몸에서 나오는 것임을 알지 못하여 찬물로 양치질을 하는데,

그러면 피가 그치기는 하지만 잠시 후 다시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외용으로는 녹포산을 쓰고, 내복약으로는 해독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서각지황탕을 합방하거나, 생지금련탕(처방은 뒤에 있다)을 복용한다"고 하였다.
齒衄, 宜荊槐散, 鬱金散, 小薊散.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데는 형괴산이나 울금산, 소계산을 쓴다.
[又方][우방]
齒縫多出血, 以鹽湯, 常常漱口, 仍以鹽末塗之.
잇몸에서 피가 많이 나면 끓인 소금물로 자주 입 안을 헹군 후 소금가루를 바른다.
靑竹茹醋浸一宿, 含漱.

又竹葉濃煎, 入鹽含漱, 又濃煎茗湯含漱, 皆妙[本草].
청죽여를 하룻밤 식초에 담갔다가 양치질한다.

또 죽엽을 진하게 달인 물에 소금을 넣고 양치질한다.

또 차의 싹을 진하게 달인 물로 양치질하여도 되는데, 모두 효과가 있다(본초).
治牙疼, 牙宣出血, 香附子末薑汁浸一宿, 漱口後揩齒[得效].
이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잇몸에서 피가 나면 향부자가루를 생강즙에 하룻밤 재워서 양치한 다음 이를 닦는다(득효).
滿口齒出血, 地骨皮煎湯, 先漱後喫[綱目]. 
입 안 가득 잇몸에서 피가 나면 지골피를 달여 입 안을 양치한 다음 삼킨다(강목).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血汗][혈한]   (0) 2019.10.26
[舌衄][설뉵]   (0) 2019.10.26
[便血][변혈]   (0) 2019.10.26
[尿血][요혈]   (0) 2019.10.26
[咳血嗽血唾血咯血][해혈수혈타혈각혈]   (0) 2019.10.26

[便血][변혈]
內經曰, 結陰者, 便血一升, 再結二升, 三結三升.

釋曰, 結陰之病, 陰氣內結, 不得外行, 血無所稟, 滲入腸間, 故便血也.

其脈虛澁者是也, 因血結不行故下也.

平胃地楡湯, 結陰丹主之[綱目].

내경에서는 "결음(結陰)이라는 병은 대변을 보면서 피를 한 되 가량 쏟는 것인데,

두 번째 결음에는 두 되 쏟고 세 번째 결음에는 석 되 쏟는다"고 하였다.

낙용길의 주에 "결음이라는 병은 음기가 안으로 맺혀 밖으로 돌지 못하고

혈이 머무를 데가 없어서 창자 사이로 스며들므로 대변 출혈이 되는 것인데,

그 맥이 허(虛)하고 삽(澁)한 것이 바로 이 병이다.

이는 피가 맺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아래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평위지유탕, 결음단을 쓴다(강목).  

靈樞曰, 邪在五藏, 則陰脈不和, 陰脈不和, 則血留之.

盖邪犯五藏, 則三陰脈絡不和而結聚, 血因停留, 溢則滲入腸間而爲便血[入門]. 

영추에서는 "사기가 오장에 있으면 음맥(陰脈)이 조화롭지 못하고,

음맥이 조화롭지 못하면 혈이 한곳에 머무르게 된다"고 하였다.

대개 사기가 오장을 침범하면 삼음(三陰)의 맥과 낙(絡)이 조화가 안 되어 맺히게 되고,

혈이 한곳에 멈춰 머물러 넘치게 되면 그 피가 창자 사이로 스며들어가 대변 출혈이 된다(입문). 
仲景曰, 先便後血者, 遠血也, 黃土湯主之.

先血後便者, 近血也, 赤小豆當歸散主之.

장기(張機)는 "먼저 대변이 나오고 나중에 피가 나오는 것은

멀리서 나오는 피[遠血]로 황토탕이 주치하고,

먼저 피가 나오고 나중에 대변이 나오는 것은

가까운 곳에서 나오는 피[近血]로 적소두당귀산이 주치한다"고 하였다.

便血宜胃風湯 方見大便, 淸藏湯, 楡砂湯, 地楡散, 連殼丸, 加減四物湯, 槐花散.

有實熱者, 當歸承氣湯.

日久便血, 元氣下陷者, 厚朴煎, 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內傷飮食者, 平胃散 方見內傷 加枳殼槐花當歸烏梅.

酒毒便血, 酒蒸黃連丸[諸方].

대변 출혈에 위풍탕(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청장탕, 유사탕, 지유산, 연각환, 가감사물탕, 괴화산을 쓰고,

실열이 있으면 당귀승기탕을 쓰고,

오래도록 대변 출혈하여 원기가 아래로 꺼진 데는

후박전이나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쓰고,

음식으로 속을 상한 데는

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지각, 괴화, 당귀, 오매를 더하여 쓰고,

술독으로 대변 출혈하는 데는 주증황련환을 쓴다(제방).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舌衄][설뉵]   (0) 2019.10.26
[齒衄][치뉵]   (0) 2019.10.26
[尿血][요혈]   (0) 2019.10.26
[咳血嗽血唾血咯血][해혈수혈타혈각혈]   (0) 2019.10.26
[薄厥證][박궐증]   (0) 2019.10.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