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尿血][요혈]
內經曰, 胞移熱於膀胱, 則癃尿血.
내경에서는 "포(胞)의 열이 방광으로 옮겨가면 융이나 요혈이 된다"고 하였다.
仲景曰, 熱在下焦則尿血.
중경에는 "열이 하초에 있으면 요혈이 된다"고 하였다.
凡小便血出, 成淋作痛, 或雜尿而出者, 從膀胱中來也.

如血出不痛, 乃心移熱於小腸, 從精竅中出也[正傳].
오줌에서 피가 나오는데 임병(淋病)이 되어 아프거나

오줌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은 방광에서 나온 것이다.
피가 나오면서도 아프지 않은 것은

심(心)의 열이 소장으로 옮겨져서 요도[精竅]로 나오는 것이다(정전).
小便出血而不痛者, 爲尿血, 非淋也.
是血從精竅中來, 乃心移熱於小腸,

四物湯 加 山梔, 滑石, 牛膝, 芩連, 或 髮灰散, 琥珀散[入門].
오줌으로 피가 나오더라도 아프지 않으면 요혈이지 임병이 아니다.
이것은 피가 요도로 나오는 것인데, 심의 열이 소장으로 옮겨가서 생긴 것이다.
사물탕에 치자·활석·우슬·황금·황련을 더하거나, 발회산, 호박산을 쓴다(입문).
小便出血, 是心伏熱在於小腸, 八正散 方見小便 加麥門冬煎服[鉤玄].
오줌으로 피가 나오는 것은 심의 열이 소장에 숨어 있는 것이다.

팔정산(처방은 소변문에 있다)에 맥문동을 더하여 달여 먹는다(구현).  
尿血, 宜淸腸湯, 淸熱滋陰湯, 小薊飮子, 薑蜜湯,

或四物湯合五苓散 方見寒門 煎服.

酒傷尿血, 茯苓調血湯.

色傷尿血, 鹿角膠丸, 腎氣丸 方見虛勞.

老人, 六味地黃丸 方見虛勞.

婦人, 當歸散. 小兒, 立效散.
요혈에는 청장탕, 청열자음탕, 소계음자, 강밀탕을 쓰거나,

사물탕에 오령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합방하여 달여 먹는다.

술에 상하여 오줌에 피가 나오면 복령조혈탕을 쓰고,

성 관계가 과도하여 오줌에 피가 나오면 녹각교환이나 신기환(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쓴다.

노인은 육미지황환(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고,

부인은 당귀산을 쓰고, 소아는 입효산을 쓴다.
有實熱, 當歸承氣湯下之 方見下.
실열이 있으면 당귀승기탕으로 설사시킨다(처방은 뒤에 있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齒衄][치뉵]   (0) 2019.10.26
[便血][변혈]   (0) 2019.10.26
[咳血嗽血唾血咯血][해혈수혈타혈각혈]   (0) 2019.10.26
[薄厥證][박궐증]   (0) 2019.10.25
[嘔血吐血][구혈토혈]   (0) 2019.10.25

[咳血.嗽血.唾血.咯血][해혈.수혈.타혈.각혈]
咳血者, 咳甚出血, 本於肺, 龍腦雞蘇丸, 雞蘇散 方見上, 玄霜膏.
해혈은 기침을 심하게 하여 피가 나오는 것으로, 그 근본은 폐에 있다.
용뇌계소환이나 계소산(처방은 앞에 있다), 현상고를 쓴다.
嗽血者, 痰嗽帶血, 本於脾, 六君子湯加桑白皮片芩枳角五味子.
有火者, 加味逍遙散 六君子湯, 方見痰飮.
수혈은 기침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으로, 그 근본은 비(脾)에 있다.

육군자탕에 상백피·편금·지각·오미자를 더하여 쓰고,

화기(火氣)가 있으면 가미소요산을 쓴다(육군자탕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唾血者, 鮮血隨唾而出, 本於腎, 滋陰降火湯 方見火門.

唾中有紅絲, 乃是肺痿, 難治.
타혈은 침을 뱉을 때 선홍색의 피가 나오는 것으로, 근본은 신에 있다.

자음강화탕(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쓴다.

침에 붉은 실처럼 피가 섞여나오는 것을 폐위(肺痿)라고 하는데, 치료가 어렵다.
咯血者, 咯出血屑, 或咯而不出, 甚咯則出, 或帶紅絲細如線, 此精血竭也.
四物湯加竹瀝薑汁童便靑黛, 或滋陰降火湯, 保命生地黃散 方見下, 聖餠子[入門].
각혈은 작은 핏덩이를 뱉어내는 것인데 뱉어도 나오지 않다가

심하게 뱉으면 나오기도 하고 마치 실처럼 가는 핏줄기를 띠고 있기도 하는데,

이는 정혈(精血)이 고갈되었기 때문이다.

사물탕에 죽력, 강즙, 동변, 청대를 더하여 쓰거나,

자음강화탕, 보명생지황산(처방은 뒤에 있다), 성병자를 쓴다(입문). 
先見紅後見痰, 多是陰虛火動, 痰不下降,

四物湯 加 貝母, 天花紛 以化痰, 山梔仁麥門冬牡丹皮以降火.
先痰嗽後見紅, 多是痰火積熱, 降痰火爲急, 宜山梔地黃湯.
먼저 피가 나오고 나중에 가래가 나오는 것은

대부분 음이 부족한 데 화(火)가 동(動)하여 가래가 내려가지 못한 것이다.

사물탕에 패모, 천화분을 더하여 담을 삭이고, 산치자, 맥문동, 목단피로 화를 내린다.

먼저 기침하면서 가래가 나오고 나중에 피가 나오는 것은

대부분 담화(痰火)와 열이 쌓여서 된 것으로, 담화를 내리는 것이 급하다.

산치지황탕을 쓴다.
痰嗽涎帶血出, 此胃口熱, 血蒸而出.

重者山梔, 輕者藍實[丹心]
가래 섞인 기침이 나오며 침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은

위(胃) 입구[胃口]의 열로 피가 훈증(熏蒸)되어 나오는 것이다.

심한 데는 산치자를 쓰고, 가벼운 데는 남실을 쓴다(단심).  
先吐痰後見血, 是積熱, 宜淸肺湯.

先吐血後見痰, 是陰虛, 宜滋陰降火湯[回春].  
먼저 가래를 토하고 나중에 피가 나오는 것은 열이 쌓인 것으로 청폐탕을 쓰고,

먼저 피를 토하고 나중에 가래가 나오는 것은 음허(陰虛)로 자음강화탕을 쓴다(회춘).  
咳嗽唾咯血, 宜龍腦雞蘇丸, 河間生地黃散, 淸火滋陰湯,

淸咳湯, 淸咯湯, 淸唾湯, 坎离膏 方見下, 玄霜雪梨膏, 恩袍散.
해혈, 수혈, 타혈, 각혈에는 용뇌계소환, 하간생지황산, 청화자음탕,

청해탕, 청각탕, 청타탕, 감리고(처방은 뒤에 있다), 현상설리고, 은포산을 쓴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便血][변혈]   (0) 2019.10.26
[尿血][요혈]   (0) 2019.10.26
[薄厥證][박궐증]   (0) 2019.10.25
[嘔血吐血][구혈토혈]   (0) 2019.10.25
[止衄法][지육법]   (0) 2019.10.25

[薄厥證][박궐증]
入門曰, 一人素無病, 忽吐血半斗, 脈弦急.

陳景魁示之曰, 薄厥證也, 得於大怒氣逆, 陰陽奔倂, 用六鬱湯而得愈 方見積聚.
입문에서는 "어떤 사람이 본래는 병이 없었는데

홀연히 피를 반 말이나 토하고 맥이 현급(弦急)하였다.

진경괴(陳景魁)가 이를 가리켜 박궐증(薄厥證)이라 하였는데,

이는 크게 성을 내어 기가 거꾸로 오르게 되어 음양이 함께 치밀어오르는 것이다.

육울탕(처방은 적취문에 있다)을 써서 나았다"고 하였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尿血][요혈]   (0) 2019.10.26
[咳血嗽血唾血咯血][해혈수혈타혈각혈]   (0) 2019.10.26
[嘔血吐血][구혈토혈]   (0) 2019.10.25
[止衄法][지육법]   (0) 2019.10.25
[衄血][육혈]   (0) 2019.10.25

[嘔血吐血][구혈토혈]
成椀有聲者爲嘔, 成盆無聲者爲吐[入門].
피를 한 사발 정도 토하면서 소리가 나면 구혈(嘔血)이라 하고,
피를 한 동이 정도 토하면서 소리가 없는 것을 토혈(吐血)이라 한다(입문).
嘔吐血出於胃.

實者, 犀角地黃湯.

虛者, 小建中湯 方見虛勞 加黃連主之[丹心].
구혈과 토혈은 위(胃)에서 나오는 것인데, 실증일 때는 서각지황탕을 쓰고,

허증일 때는 소건중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황련을 더하여 쓴다(단심).
千金曰, 吐血有三種, 有內衄有肺疽有傷胃.

內衄者, 出血如鼻衄, 但不從鼻孔出, 是近從心肺間流入胃中,

或如豆羹汁, 或如切, 血凝停胃中, 因滿悶便吐, 或數斗至一石者是也.

得之於勞倦飮食過傷也.

肺疽者, 或飮酒之後, 毒熱滿悶, 吐之時, 血從吐後出, 或一合半升一升是也.

傷胃者, 因飮食大飽之後, 胃冷不能消化, 便煩悶, 强嘔吐,

使所食之物與氣共上衝蹙, 因傷裂胃口, 吐血鮮赤, 腹亦絞痛自汗.

其脈緊而數者爲難治.
천금방에서는 "토혈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내뉵(內衄)과 폐저(肺疽)와 위(胃)가 상하여서 생기는 것[傷胃]이 그것이다.

내뉵은 피가 나는 것이 코피와 같지만 피가 코로는 나오지 않고

심과 폐 사이에서 위로 흘러 들어가는데,

팥죽 같기도 하고 썰어 놓은 선지 같은 피가 위 안에 뭉쳐서 머물러 있기 때문에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여 바로 토하게 되는데, 여러 말에서 한 섬까지 토하는 것이다.

이는 과로하거나 음식을 너무 많이 먹어서 생긴다.

폐저는 술을 먹은 다음 술의 독과 열로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여

음식이나 술을 토한 다음에 피가 나오는데, 한 홉에서 반 되 또는 한 되쯤 나오는 것이다.

위가 상하여서 생기는 것은 음식을 너무 많이 먹은 다음에

위가 차서 소화를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생기는데,

가슴이 답답하면서 억지로 토하면 먹은 것이 기(氣)[공기]와 함께

위로 치받아 위의 입구[胃口]가 찢어졌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이럴 때 토한 피는 선홍색으로 배는 쥐어짜듯이 아프고 저절로 땀이 난다.

맥이 긴(緊)하고 삭(數)하면 치료가 어렵다"고 하였다.
傷胃吐血, 宜理中湯 方見寒門 加川芎乾葛.

肺疽吐血, 宜葛黃丸.

內衄吐血, 實者三黃瀉心湯加生地黃, 虛者茯苓補心湯, 人蔘救肺散.
위가 상하여서 피를 토할 때는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에 천궁, 갈근을 더하여 쓰고,

폐저로 피를 토할 때는 갈황환을 쓰고,

내뉵으로 피를 토할 때 실증에는 삼황사심탕에 생지황을 더하여 쓰고,

허증에는 복령보심탕이나 인삼구폐산을 쓴다.
仲景曰, 酒客咳者, 必致吐血.

此因極飮過度所致, 卽肺疽之屬也.
중경에는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이 기침을 하면 반드시 피를 토하는 지경에 이르는데,

이는 너무 지나치게 마셨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곧 폐저에 속한다.
暴吐紫黑血成塊者, 此因熱傷, 血瘀於中, 吐出爲好, 四物湯合黃連解毒湯 方見寒門 調之.

又曰, 吐血, 覺胸中氣塞, 桃仁承氣湯 方見寒門 下之[丹心].
갑자기 검은 자줏빛 핏덩어리를 토하는 것은 열로 상하여 속에 어혈이 든 것이니

토해 내면 좋다. 사물탕에 황련해독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합방하여 다스린다.

또 토혈할 때 가슴이 막힌 것같이 느껴지면

도인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킨다(단심).
火載血上, 錯經妄行, 四物湯加山梔童便薑汁.

薑汁童便, 吐血要藥也[丹心].

화(火)가 혈에 실려서 제 길을 벗어나 어지러이 돌게 되면

사물탕에 산치자, 동변, 생강즙을 더하여 쓴다.

동변과 생강즙은 토혈의 중요한 약이다(단심).

吐血, 火病也. 雖挾痰, 只治火則血止[入門].

토혈은 화병이다. 비록 담을 겸하였다 하더라도 화만 다스리면 피는 그친다(입문).
汗乃心液, 熱則變紅而逆出上竅, 傷寒失汗, 則熱毒入藏, 化爲瘀血, 從口吐出, 多屬陽明.

凡見目紅骨熱, 神昏狂譫, 胸腹急滿, 皆血證也.

輕者, 犀角地黃湯加黃芩梔子茅根藕節.

重者, 桃仁承氣湯, 抵當湯丸 方見寒門[入門].
땀은 심(心)의 진액으로, 열을 받으면 붉게 되어 귀, 입, 눈, 코로 거슬러올라 나오게 되고,

상한에 땀내는 시기를 놓치면 열독이 장부로 들어가 어혈이 되어 입으로 토해내게 되는데,

이는 대부분 양명병에 속한다.

대개 눈이 충혈되거나, 뼛속에 열감이 있거나, 정신이 흐릿해지거나,

미쳐서 헛소리하거나, 가슴과 배가 그득하고 불러오는 것은 모두 혈증(血證)이다.

병이 가벼울 때는 서각지황탕에 황금, 치자, 모근, 우절을 더하여 쓰고,

심한 데는 도인승기탕, 저당탕이나 저당환(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吐血, 宜大薊飮子, 蓮心散, 是齋白朮散, 天門冬湯.

口鼻俱出, 宜四生丸, 蚌霜散, 黑神散, 側柏散, 藕汁散,

七生湯, 淸熱解毒湯, 花蘂石散, 五神湯, 狗膽丸.

토혈에는 대계음자, 연심, 시재백출산, 천문동을 쓰고, 입과 코 모두로 나올 때는 사생환, 방상산, 흑신, 측백산, 우즙, 칠생, 청열해독, 화예석, 오신탕, 구담을 쓴다.

[一方]

治吐血不止, 將本人血, 聞不臭, 可治. 若臭, 不可治也.

將本人吐的血取來, 用磁鍋焙乾爲末, 每服一錢,

或一錢二分, 以麥門冬煎湯調下, 血卽止[回春].

또 다른 처방에 피를 토하여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자기가 토한 피의 냄새를 맡지 못하면 치료할 수 있지만,

냄새를 맡을 수 있으면 치료할 수 없다.

자기가 토한 피를 자기(瓷器) 솥에 넣고 은근하게 구워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한 돈이나 한 돈 두 푼씩 맥문동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피가 금방 그친다(회춘).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咳血嗽血唾血咯血][해혈수혈타혈각혈]   (0) 2019.10.26
[薄厥證][박궐증]   (0) 2019.10.25
[止衄法][지육법]   (0) 2019.10.25
[衄血][육혈]   (0) 2019.10.25
[亡血脫血證][망혈탈혈증]   (0) 2019.10.24

[止衄法][지육법]
治鼻衄久不止, 諸藥無效, 神效.

以大白紙一張或二張, 作十數摺, 冷水浸濕, 置頂中, 以熱熨斗熨之.

至一二重紙乾, 則血立止[東垣].
코피가 오랫동안 그치지 않는데,

다른 모든 약이 효과가 없을 때 이 방법이 매우 효과가 좋다.

큰 흰 종이 한 장이나 두 장을 10여 번 접어 찬물에 적셔 정수리에 얹어놓고

뜨거운 다리미로 다리는데, 종이 한두 겹이 마를 때까지 다림질하면 피가 곧 그친다(동원).
治衄, 百藥不止, 用線緊扎手中指中節.

如左鼻出血, 扎右手中指, 右鼻出血, 扎左手中指, 如兩鼻出血, 左右俱扎之.

一方用色線[種杏].
코피가 어떤 약으로 치료하여도 그치지 않을 때는

실로 가운뎃손가락의 가운데 마디를 꽉 묶는다.

콧구멍 왼쪽에서 피가 나오면 오른손 가운데 마디를 묶고,

오른쪽에서 피가 나오면 왼손 가운데 마디를 묶는다.

양쪽에서 모두 나오면 양쪽 모두 묶는다.

어떤 방법에서는 색실을 쓴다(종행).
治衄不止, 白芨爲末, 冷水調塗山根上 兩眉間也, 立止.

仍以冷水調三錢服之, 尤妙.

又方, 大蒜一枚細硏, 作餠子如錢大, 左鼻出血, 貼左脚心,

右鼻出血, 貼右脚心, 如兩鼻皆出, 貼兩脚心. 血止, 卽洗去[本草].
코피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하려면,

백급을 가루내어 찬물에 개어 산근(山根) 위(양 눈썹 사이)에 바르면 곧 그친다.

그리고 이어서 찬물에 백급가루 서 돈을 타서 먹으면 더욱 좋다.

또 다른 처방으로는 마늘 한 개를 곱게 갈아 동전만 하게 떡을 만들어,

왼쪽 콧구멍에서 피가 나면 왼쪽 발바닥 가운데에 붙이고,

오른쪽에서 피가 나면 오른쪽 발바닥 가운데에 붙이고,

양쪽에서 모두 나오면 양쪽에 모두 붙여서 피가 그치면 곧 닦아낸다(본초).
洪寶丹, 治衄血不止, 取藥, 冷水調塗後頂上, 最絶血路 方見回春.
홍보단은 코피가 그치지 않을 때 쓰는데,

약을 찬물에 개어 뒤통수 가장 튀어나온 곳에 붙이면 피가 나오는 길이 아주 잘 막힌다,

(처방은 만병회춘에 있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薄厥證][박궐증]   (0) 2019.10.25
[嘔血吐血][구혈토혈]   (0) 2019.10.25
[衄血][육혈]   (0) 2019.10.25
[亡血脫血證][망혈탈혈증]   (0) 2019.10.24
[蓄血證][축혈증]   (0) 2019.10.24

[衄血][육혈]
鼻通於腦, 血上溢於腦, 所以從鼻而出. 兼以陽明熱鬱, 則口鼻俱出也.
又曰, 衄血出於肺, 宜莎芎散, 三黃補血湯, 雞蘇散,

陶氏生地芩連湯, 保命生地黃散 方見通治, 淸衄湯, 解鬱湯[入門].
코는 뇌와 통하여 있기 때문에 혈이 위로 올라가 뇌로 넘치면 코에서 피가 나오고,

더불어 양명경에 열이 몰려 가득 차면 입과 코 모두로 피가 나온다.

또 코피는 폐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사궁산, 삼황보혈탕, 계소산, 도씨생지금련탕, 보명생지황산(처방은 통치(通治)에 있다),

청뉵탕, 해울탕을 쓴다(입문).
丹溪曰, 衄血以凉血行血爲主.

犀角地黃湯, 入鬱金加片芩2)升麻.
단계는 "코피에는 피를 서늘하게[凉血] 하고 잘 돌게[行血]하는 것을 위주로 하는데,

서각지황탕에 울금·편금·승마를 더하여 쓴다"고 하였다.
東垣曰, 衄血出於肺, 犀角 升麻, 梔子, 黃芩, 芍藥, 生芐, 紫菀, 丹參, 阿膠 之類主之.
동원은 "코피는 폐에서 나오는데,

서각, 승마, 치자, 황금, 작약, 생지황, 자완, 단삼, 아교 등을 쓴다"고 하였다.
內經曰, 脾移熱於肝, 則爲驚衄.
又曰, 春善病鼽衄.
又曰, 少陰所至爲衄衊.
又曰, 陽明厥逆, 喘咳身熱, 善驚衄吐血.
내경에서는 "비(脾)의 열이 간으로 옮겨가면 잘 놀라고 코피가 난다"고 하였으며,
또 "봄에는 코가 막히고 피가 나오는 병이 잘 생긴다"고 하였다.
또 "소음(少陰)의 때에 이르면 코피가 심하게 나온다"고 하였고,
"양명궐역증(陽明厥逆症)에 숨차고 기침하며

몸에 열이 나며 잘 놀라고 코피가 나며 피를 토한다"고 하였다.
衄不止, 以麝香散及諸藥塞鼻.

又用止血諸方法.
코피가 그치지 않으면 사향산이나 다른 여러 약으로 코를 막는다.

또 지혈시키는 여러 방법을 쓴다.
傷寒當汗不汗, 熱盛迫血, 必爲衄.

宜麻黃升麻湯, 麻黃桂枝湯, 滑石丸.

鼻流涕久成衄, 宜犀角地黃湯[入門].
상한에 땀이 나야 하는데 땀이 나지 않으면

열이 성하여 혈을 억누르기 때문에 반드시 코피가 나오는데,

이때는 마황승마탕, 마황계지탕, 활석환을 쓰며,

콧물이 오랫동안 흘러서 코피가 나오면 서각지황탕을 쓴다(입문).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嘔血吐血][구혈토혈]   (0) 2019.10.25
[止衄法][지육법]   (0) 2019.10.25
[亡血脫血證][망혈탈혈증]   (0) 2019.10.24
[蓄血證][축혈증]   (0) 2019.10.24
[辨血色新舊][변형색신구]   (0) 2019.10.23

[亡血脫血證][망혈탈혈증]
靈樞曰, 鼻頭色白者, 亡血也.

又曰, 衝脈爲血之海, 血海不足則身少血色, 面無精光.

又曰, 血脫者, 色白夭然不澤, 其脈空虛.
영추에서는 "코끝이 흰 것은 망혈증이다"라고 하였다.

또 "충맥(衝脈)은 혈의 바다[血海]인데 혈해가 부족하면

몸에 핏기가 적고 얼굴에 화색[精光]이 없게 된다"고 하였다.

또 "혈탈(血脫)은 창백해지고 윤기가 없으며 맥은 텅 빈 듯하다"고 하였다.
內經曰, 臂多靑脈, 曰脫血.

又曰, 安臥脈盛, 謂之脫血.
내경에서는 "팔에 퍼런 줄이 서는 것은 탈혈(脫血)이다"라고 하였으며,

"편안히 누워 있어도 맥이 왕성한 것 또한 탈혈이다"라고 하였다.
東垣曰, 六脈弦細而澁, 按之空虛, 其色必白而夭不澤者, 脫血也.

通用四物湯 方見下, 三才丸.
동원은 "육맥(六脈)이 현세(弦細)하면서 삽(澁)한데 누르면 속이 빈 듯하고

얼굴색이 희기만 하고 윤기가 없는 것은 탈혈이다"라고 하였다.

사물탕(처방은 뒤에 있다)이나 삼재환을 쓴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止衄法][지육법]   (0) 2019.10.25
[衄血][육혈]   (0) 2019.10.25
[蓄血證][축혈증]   (0) 2019.10.24
[辨血色新舊][변형색신구]   (0) 2019.10.23
[失血諸證][실혈제증]   (0) 2019.10.23

[蓄血證][축혈증]  
蓄血, 卽瘀血積蓄也.
축혈이란 어혈이 쌓인 것이다.
傷寒熱病, 身黃屎黑, 如狂喜忘者, 爲蓄血也[仲景].
상한 열병에 몸이 누렇고 대변이 검으며 미친 것 같고,

잘 잊어버리는 것은 축혈 때문이다(중경).
海藏曰, 喜忘發狂, 身黃屎黑, 疾已甚也.

但小腹滿小便不利者, 輕也.
왕호고는 "잘 잊어버리고 미친 듯이 날뛰며 몸은 누렇고

대변이 검은 것은 병이 이미 심한 것이지만, 아랫배가 그득하고

오줌이 순조롭지 못한 것은 병이 가벼운 것이다"라고 하였다.
蓄血外證, 痰嘔燥渴, 昏聵迷忘, 常喜湯水漱口[直指].
축혈증일 때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은 가래가 나오며

목이 타는 듯이 마르고 정신이 흐려져 멍하니 보며,

미혹하여 잘 잊어버리며 항상 따뜻한 물로 입 안을 축이려 한다(직지).
凡病日輕夜重, 便是瘀血.

又常喜漱水而不欲下咽[入門].
병이 낮에는 가볍고 밤에는 심한 것은 바로 어혈 때문이다.

어혈이 있을 때는 늘 입에 물을 축이려고만 하지 삼키려고 하지는 않는다(입문).
凡蓄血, 有上中下之別, 以衄嘔唾吐血爲上部, 血結胸中爲中部, 蓄血下焦爲下部.

血蓄上焦則善忘, 宜犀角地黃湯 方見下.

血蓄中焦, 胸滿身黃, 漱水不欲嚥, 宜桃仁承氣湯 方見傷寒.

血蓄下焦, 則發狂糞黑, 小腹硬痛, 宜低當湯丸, 須取盡黑物爲效 方見傷寒.

又生地黃湯, 通治三焦蓄血[海藏].
축혈증은 상중하로 나눌 수 있는데,

코피, 구혈(嘔血), 타혈(唾血), 토혈(吐血)은 상부의 축혈이고,

가슴에 피가 맺힌 것은 중부의 축혈이고, 하초에 피가 쌓인 것은 하부의 축혈이다.

상초에 피가 쌓이면 잘 잊어버리는데, 서각지황탕(처방은 뒤에 있다)을 쓴다.

피가 중초에 쌓이면 가슴이 그득하고 몸이 누렇게 뜨고 물은 입에 적시기만 하고

삼키려 하지 않는데, 도인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피가 하초에 쌓이면 미친 듯이 날뛰고 대변이 검으며 아랫배가 딴딴하게 아프다.

이때는 저당탕이나 저당환을 쓰는데,

대변에 검은 것이 더 나오지 않으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생지황탕은 삼초에 피가 쌓인 것[三焦蓄血]을 두루 치료한다(해장).
綱目曰, 瘀血燥結, 宜用玉燭散 方見胞門.

下焦蓄血, 桃仁五靈脂生地黃大黃甘草, 利而逐之[直指].

강목에서는 "어혈이 말라 뭉친 데는 옥촉산(처방은 포문(胞門)에 있다)을 쓴다"고 하였다.

하초에 어혈이 몰려 있으면[下焦蓄血] 도인, 오령지, 생지황, 대황, 감초로

설사시켜[利] 어혈을 몰아낸다(직지).

沒藥蘇木水蛭虻蟲五靈脂留尖桃仁, 皆破瘀血[本草].

몰약, 소목, 수질[거머리], 맹충[등에], 오령지, 도인(뾰족한 꼭지를 그대로 둔 것)은

모두 어혈을 친다(본초).

生韭汁, 善治胸膈間瘀血, 甚效[丹心].

생구즙[날부추즙]은 가슴 부위의 어혈을 잘 다스리는데, 효과가 매우 좋다(단심).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衄血][육혈]   (0) 2019.10.25
[亡血脫血證][망혈탈혈증]   (0) 2019.10.24
[辨血色新舊][변형색신구]   (0) 2019.10.23
[失血諸證][실혈제증]   (0) 2019.10.23
[內傷失血][내상실혈]   (0) 2019.10.22

[辨血色新舊][변형색신구]
新血鮮紅, 舊血瘀黑.

又曰, 風證色靑, 寒證色黯, 暑證色紅, 濕證色如烟煤屋漏水[入門].
갓 생긴 피는 선홍색이고, 오래된 피는 엉기고 검다.

또한 풍증(風證)에는 색이 퍼렇고 한증(寒證)에는 색이 어둡고 서증(暑證)에는

색이 붉고 습증(濕證)에는 색이 그을음이나 썩은 이엉에서 새는 빗물의 색과 같다(입문).


陽證溢出鮮血, 陰證下如豚肝[綱目].
양증(陽證)에서는 선홍색의 피가 넘쳐나오고,

음증(陰證)에서는 돼지 간의 색과 같은 피가 흘러내린다(강목).


初便褐色者重, 再便深褐色者愈重, 三便黑色者爲尤重.

色變者, 以其火燥也, 如羊血在日色中, 須臾變褐色, 久則漸變而爲黑色, 卽此意也[海藏].
처음에 나오는 대변이 갈색이면 병이 위중하고,

두 번째로 나오는 대변이 짙은 갈색이면 더욱 위중하고,

세 번째로 나오는 대변이 검은색이면 몹시 위중한데,

색깔이 변하는 것은 화(火)와 조(燥) 때문이다.

양(羊)의 피를 햇볕에 놓아두면 금세 갈색으로 변하고,

오래되면 점차 변하여 검은색이 되는데 바로 이런 이치이다(해장).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亡血脫血證][망혈탈혈증]   (0) 2019.10.24
[蓄血證][축혈증]   (0) 2019.10.24
[失血諸證][실혈제증]   (0) 2019.10.23
[內傷失血][내상실혈]   (0) 2019.10.22
[七情動血][칠정동혈]   (0) 2019.10.22

[失血諸證][실혈제증]  
失血諸證, 妄行於上則吐衄, 衰涸於外則虛勞, 忘返於下則便紅,

積熱膀胱則癃閉尿血, 滲透腸間則爲腸風, 陰虛陽搏則爲崩中,

濕蒸熱瘀則爲滯下, 熱極腐化則爲膿血, 火極似水則血色紫黑,

熱勝於陰則發爲瘡瘍, 濕滯於血則發爲痛痒, 癮疹皮膚則爲冷痺,

蓄之在上其人喜忘, 蓄之在下其人喜狂[丹心]
여러 가지 출혈증에서 혈이 위로 제멋대로 가면 코피가 나거나 토혈하고,

혈이 겉에서 줄어들고 마르면 허로(虛勞)가 되고,

혈이 아래로 되돌아가기를 잊어버리면 제멋대로 아래로 돌아가면 대변 출혈이 되고,

방광에 열이 쌓이면 융폐(癃閉)나 피오줌이 나오고,

혈이 장(腸) 사이로 스며들면 장풍(腸風)이 되고,

음이 허한데 양이 [음을] 치면 붕중(崩中)이 되고,

습열이 훈증하여 뭉치게 되면 이질[滯下]이 되고,

열이 몹시 심하여 썩으면 농혈(膿血)이 되고,

화(火)가 극에 달하여 수(水)처럼 되면 피의 색이 검으면서 자주색이고,

열이 음을 억누르면 창양(瘡痒)이 되고,

습이 혈에서 뭉치면 가렵고 아프며 두드러기가 생기고,

피부는 냉비(冷痺)가 되고,

혈이 위에서 몰리면 잘 잊어버리게 되고, 아래에서 몰리면 잘 미친다(단심). 

其從肺而上溢于鼻者曰衄血, 從胃而上溢於口者曰嘔血吐血.

其咯血唾血者出於腎也.

咳血嗽血者出於肺也.

其痰帶血絲出者, 或從腎或從肺來也.

其出於小便者, 曰尿血曰血淋.

其出於大便者, 曰腸風曰血痔[正傳].

혈이 폐에서 나와 위[上]로 코에서 넘치는 것을 육혈이라 하고,

위(胃)에서 나와 위로 입에서 넘쳐나는 것을 구혈이나 토혈이라고 한다.

각혈(咯血)과 타혈(唾血)은 신(腎)에서 나온다.

해혈(咳血)과 수혈(嗽血)은 폐에서 나온다.

가래에 섞여나오는 실 같은 피는 신이나 폐에서 나오는 것이다.

오줌에 섞여나오는 피는 요혈(尿血)이나 혈림(血淋)이라 하고,

대변에 섞여나오는 피는 장풍(腸風)이나 혈치(血痔)라고 한다(정전).


從汗空出謂之肌衄, 從齒齦出謂之齒衄, 從舌出謂之舌衄,

從委中出謂之膕血, 從九竅皆出謂之九竅出血[入門].

땀구멍으로 피가 나오는 것을 기뉵(肌衄)이라 하고,

잇몸에서 나오는 것을 치뉵(齒衄)이라 하며,

혀에서 나오는 것을 설뉵(舌衄)이라 하고,

위중혈(委中穴)에서 나오는 것을 괵혈(膕血)이라 한다.

아홉 구멍[九竅]에서 모두 피가 나오는 것을 구규출혈(九竅出血)이라고 한다(입문).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蓄血證][축혈증]   (0) 2019.10.24
[辨血色新舊][변형색신구]   (0) 2019.10.23
[內傷失血][내상실혈]   (0) 2019.10.22
[七情動血][칠정동혈]   (0) 2019.10.22
[熱能傷血][열능상혈]   (0) 2019.10.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