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誤呑諸蟲][오탄제충]
誤呑蜈蚣, 在喉悶甚, 急取生猪血, 令病人吃, 須臾以淸油灌口中,

其蜈蚣滾在血中卽吐出, 繼以雄黃末, 水調服, 解其毒[綱目].

잘못하여 지네를 먹어 목구멍에 걸리면 가슴이 몹시 답답한데 이때에는

빨리 살아 있는 돼지의 피를 환자에게 마시게 한 다음

바로 참기름을 입에 흘려 넣으면 토하는데,

지네가 돼지 피 속에 섞여 나온다.

이어서 웅황가루를 물에 타서 먹어 지네의 독을 없앤다(강목). 
誤呑水蛭入腹, 久必生育, 食人肝血.

腹痛不可忍, 面目黃瘦, 能令人死.

用田中乾泥一小塊, 小死魚三四箇, 將猪脂熔勻, 用巴豆十枚 去皮 硏爛,

入泥內爲丸, 菉豆大, 用田中冷水呑下十丸, 須臾大小水蛭皆下.

却以四物湯 方見血門 加黃芪煎服, 調補[入門].

잘못하여 거머리를 삼켰는데

그것이 배에 들어가 오래 있으면 반드시 새끼를 쳐서 간의 피를 빨아먹는다.

그러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배가 아프고 얼굴과 눈이 누렇게 되며 말라 죽게 된다.

논의 마른 진흙 덩어리(작은 것) 한 개,

죽은 물고기(작은 것) 서너 마리를 녹인 돼지비계와 섞어서 

파두(껍질을 깐 것) 열 개를 잘 갈아서 이 진흙에 넣어 녹두대의 알약을 만든다.

논에서 뜬 찬물로 열 알을 먹으면 잠시 후 크고 작은 거머리가 모두 나온다.

그런 다음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황기를 넣어 달여 먹어 몸을 조리한다(입문).
水蛭入腹, 濃茶多服, 自下[種杏].

거머리가 배에 들어갔을 때 진하게 차를 많이 마시면 저절로 나온다(종행).
誤呑水蛭, 宜食蜜, 卽化爲水.

又田中泥作丸櫻桃大, 白水和下一丸, 蛭卽下[回春].
잘못하여 거머리를 삼켰을 때에 꿀을 먹으면 녹아서 물이 된다.  

또 논의 진흙으로 앵도대의 알약을 만들어 맹물로 한 알을 먹으면 거머리가 나온다(회춘).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誤呑諸物][오탄제물]   (0) 2020.02.18
[禳法][양법]   (0) 2020.02.18
[呪法][주법]   (0) 2020.02.18
[獸骨骾][수골경]   (0) 2020.02.18
[魚骨鯁][어골경]  (0) 2020.02.18

[誤呑諸物][오탄제물]
誤呑金銀物, 在腹中, 取水銀服之, 令消烊出也[綱目].

잘못하여 금이나 은으로 만든 물건을 삼켜

뱃속에 있으면 수은을 먹어서 물건이 녹아 나오게 한다(강목).
金見水銀, 則如泥.

故呑金銀物者, 服半兩, 卽消出[本草].

금이 수은을 만나면 진흙처럼 된다.

그래서 금이나 은으로 만든 물건을 삼켰을 때

수은 반 냥을 먹으면 바로 삭아서 나온다(본초).
誤呑金銀及銅錢, 縮砂濃煎湯, 飮之, 其銅自下.

又葧薺硏爛服之, 其銅自化.

又堅炭爲末, 米飮調服, 從大便瀉出, 如烏梅狀[入門].

잘못하여 금이나 은, 구리 동전을 삼켰을 경우에는

사인을 진하게 달여 마시면 구리 동전이 저절로 나온다.

그리고 발제를 문드러지게 갈아서 먹어도 구리 동전이 저절로 녹는다.

또는 단단한 석탄을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어도 오매 모양과 같이 대변으로 나온다(입문).
誤呑銅錢鐵物, 葧薺恣食, 須臾自化去.

試將一錢, 幷葧薺四五枚同嚼, 其錢立碎[類聚].

잘못하여 구리 동전이나 쇠붙이를 삼켰을 경우에는

발제를 내키는 대로 먹으면 잠시 후에 저절로 녹아서 없어진다.

시험삼아 구리 동전 하나와 발제 네다섯 개를 함께 씹으면 동전이 잘게 부수어진다(유취).
多食胡桃, 其銅自爛[回春].

호두를 많이 먹으면 구리 동전이 저절로 문드러진다(회춘).
胡粉一兩水調, 分再服, 亦出[本草].

호분 한 냥을 물에 타서 두 번에 나누어 먹어도 나온다(본초).
誤呑錢, 服煉蜜二升, 卽出.

又飴糖一斤, 漸漸盡食之, 便出.

誤呑環及釵者, 服之, 亦出[本草].

잘못하여 동전을 삼켰을 때 졸인 꿀 두 되를 먹으면 바로 나온다.

또 엿 한 근을 천천히 다 먹으면 바로 나온다.

잘못하여 반지나 비녀를 삼켰을 때 먹어도 나온다(본초).
誤呑銀釵簪或竹木, 不得出, 多食白糖至數斤, 當裹物, 自出[類聚].

잘못하여 은비녀나 참댓개비, 대나무가치를 삼켜 나오지 않을 때에는

흰 사탕가루 몇 근을 먹으면 물체가 설탕에 싸여 저절로 나온다(유취).
小兒呑錢不出, 煮葵汁, 冷飮卽出.

根葉子同功[本草].

어린아이가 동전을 삼켜 나오지 않을 때 아욱 달인 즙을 식혀 먹으면 바로 나온다.

뿌리나 잎, 씨도 효과는 같다(본초).
誤呑釵, 薤白暴令萎黃, 煮熟, 勿切, 食一大束, 釵卽隨出[本草].

잘못하여 비녀를 삼키면 염교 흰밑을 햇빛에 누렇게 시들도록 말려서

푹 삶은 다음 썰지 않고 한 묶음을 먹으면 비녀가 바로 나온다(본초).
誤呑鍼, 磁石如棗核大, 磨令光鑽, 作竅絲穿, 令含, 鍼自出[本草].
잘못하여 바늘을 삼키면 대추씨만한 자석을 광택이 나도록 갈아서

구멍을 내어 실을 꿴 다음 입에 머금고 있으면 바늘이 자석에 끌려나온다(본초).
又方, 用蠶豆煮熟, 同韭菜喫之, 鍼與菜從大便而出.

一方, 用豌豆[入門].

또 다른 처방으로 잠두콩을 푹 삶아 부추와 함께 먹으면 바늘이 부추와 함께 대변으로 나온다.

어떤 처방에서는 완두콩을 썼다(입문).
誤呑竹木槍, 喉不下, 故鋸燒赤, 淬酒中, 熱飮之.

一法, 鐵斧磨水, 灌下, 亦效[本草].

잘못하여 대나무나 나무가치를 삼켜 목구멍에서 내려가지 않으면

오래된 톱을 술에 담금질하여 그 술이 뜨거울 때 마신다.

또 한 가지 방법으로 쇠도끼 간 물을 흘려 넣어도 효과가 있다(본초).
誤呑釘幷箭鏃鍼錢等物, 多食猪羊肉肥脂, 必自裹出[本草].

잘못하여 못이나 화살촉, 바늘, 동전 등의 물건을 삼켰을 때

돼지나 양의 비계를 많이 먹으면 반드시 비계가 물건을 싸가지고 저절로 나온다(본초).
誤呑銅鐵等物, 多食肥猪肉葵菜, 自出[類聚].

잘못하여 구리나 철 등을 삼켰을 때

살찐 돼지고기와 아욱을 많이 먹으면 저절로 나온다(유취).
誤呑鉤連線者, 莫引之急.

以珠璫, 或琥珀珠, 水晶珠, 薏苡子輩, 貫着線, 推至鉤處, 引之自出[類聚].

잘못하여 줄이 달린 낚싯바늘을 삼켰을 경우에는 급하게 잡아당겨서는 안 된다.

옥 구슬이나 호박 구슬, 수정 구슬, 율무 등을 실에 꿰어 낚싯바늘이 있는 곳까지

밀어 넣은 다음 잡아당겨야 저절로 나온다(유취).
誤呑桃李, 骾喉不下, 狗頭煮湯, 摩頭上, 差[本草].

복숭아나 오얏을 잘못 삼켜 목구멍에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개 대가리 삶은 물로 머리 위를 문지르면 낫는다(본초).
誤呑髮, 繞喉不出, 亂髮灰, 水調一錢服.

又舊木油梳, 燒爲末, 酒調服[本草].
잘못하여 삼킨 머리카락이 목구멍에 붙어 내려가지 않으면

빠진 머리카락 태운 재 한 돈을 물에 타서 먹는다.

또 묵은 목유(木油)나 빗을 태워 가루낸 다음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誤呑諸蟲][오탄제충]   (0) 2020.02.18
[禳法][양법]   (0) 2020.02.18
[呪法][주법]   (0) 2020.02.18
[獸骨骾][수골경]   (0) 2020.02.18
[魚骨鯁][어골경]  (0) 2020.02.18

[禳法][양법]
治鯁不下.
另取魚骨一根, 揷於患人頭髮內, 不必言, 須臾卽下[種杏].
생선 가시가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먹다 남은 생선 가시 하나를 환자의 머리카락 속에 꽂아 놓는데 절대 알려주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잠시 뒤에 내려간다(종행).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誤呑諸蟲][오탄제충]   (0) 2020.02.18
[誤呑諸物][오탄제물]   (0) 2020.02.18
[呪法][주법]   (0) 2020.02.18
[獸骨骾][수골경]   (0) 2020.02.18
[魚骨鯁][어골경]  (0) 2020.02.18

[呪法][주법]
治諸鯁不下.
以淨器盛新汲水一盞, 捧之, 面東默念云, 謹請太上東流順水急急, 如南方火帝律令勑.

一氣念七遍, 卽吹一口氣入水中. 如此七次, 以水與患人飮, 立下.

或云, 用此呪水, 可以食鍼幷竹刺[醫鑑].
여러 가지 생선 가시가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깨끗한 그릇에 새로 길어온 물을 가득 담아 물 한 잔을 받쳐 들고 동쪽을 향하여 마음속으로

조용히 "근청태상동류순수급급, 여남방화제율령칙

[태상님께 삼가 바라건대 동쪽의 순하게 흐르는 물이

남쪽 화제의 법령이 내리듯이 빨리빨리 잘 흐르게 하소서]"이라고

단숨에 일곱 번을 읊고 물속에서 숨을 내쉰다.

이렇게 일곱 번을 하고 이 물을 환자가 마시게 하면 바로 내려간다.

이 주수(呪水)는 바늘이나 대나무 가시를 삼켰을 때도 쓴다고 하였다(의감).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誤呑諸物][오탄제물]   (0) 2020.02.18
[禳法][양법]   (0) 2020.02.18
[獸骨骾][수골경]   (0) 2020.02.18
[魚骨鯁][어골경]  (0) 2020.02.18
[咽喉不治證][인후불치증]   (0) 2020.02.18

[獸骨骾][수골경]
在咽不下, 象牙磨水嚥下. 梳笏皆可用[得效].
동물 뼈가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으면 상아를 물에 갈아서 먹는다.

상아로 만든 빗이나 홀을 갈아서 써도 된다(득효).
桑木上虫屑, 米醋煎, 灌漱, 自下[得效].
뽕나무좀을 가루내어 쌀로 만든 식초에 달여

목구멍에 흘려 넣거나 양치를 하면 저절로 내려간다(득효).
將狗倒吊起, 涎出盛椀, 徐徐嚥下, 其骨化爲水如神.

以狗善食諸骨也[回春].
개를 거꾸로 매달아 개가 흘린 침을 그릇에 받아 천천히 삼키면 그 뼈가 물같이 잘 녹는다.

이는 개가 여러 가지 뼈를 잘 먹기 때문이다(회춘).
諸肉骨鯁, 雞足一對, 燒灰, 水調服[類聚].
여러 가지 동물 뼈가 목에 걸리면 닭발 한 쌍을 불에 태워 그 재를 물에 타서 먹는다(유취).
獸骨鯁, 虎骨爲末, 水調服.

狸骨亦可煮汁服, 亦佳[本草].
동물의 뼈가 목에 걸리면 호랑이 뼈를 가루내어 물에 타서 먹는다.

살쾡이의 뼈를 달여 국물을 마셔도 좋다(본초).
雞骨魚骨鯁, 白梅肉搥成大丸子, 綿裹, 用綿穿在內, 冷藥送下,

住線頭在手, 一嘔卽出[回春].
닭의 뼈나 생선 가시가 목에 걸리면 하얀 분이 서린 백매육을 두드려서

알약을 만들어 면에 싼 다음 끈을 매달아 차가운 차로 삼키는데,

실의 한쪽 끝을 손에 잡고 있다가 끌어올린다.

구역질을 한 번 하면 바로 나온다(회춘).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禳法][양법]   (0) 2020.02.18
[呪法][주법]   (0) 2020.02.18
[魚骨鯁][어골경]  (0) 2020.02.18
[咽喉不治證][인후불치증]   (0) 2020.02.18
[咽喉閉通治][인후폐통치]   (0) 2020.02.18

[魚骨鯁][어골경]
凡骨鯁在咽不下, 用玉屑無憂散[三因].

일반적으로 생선 가시가 목구멍에 걸려 내려가지 않으면 옥설무우산을 쓴다(삼인).

凡治鯁之法, 皆以類推.

如鸕鶿治魚鯁, 磁石治鍼哽, 髮灰治髮哽, 狸虎骨治骨哽, 各從其類也[三因].

일반적으로 생선 가시가 걸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은 같은 유(類)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가마우지는 생선 가시가 걸린 것을 치료하고,

자석은 바늘이 걸린 것을 치료하고,

머리카락 태운 재는 머리카락이 걸린 것을 치료하며,

살쾡이나 호랑이의 뼈는 동물의 뼈가 걸린 것을 치료하는데,

이는 각기 같은 유에 따른 것이다(삼인).

諸魚膽皆下骨鯁. 鱖魚蠡魚鯽魚膽, 皆可用, 臘月收者, 尤佳.

取一皂子許, 溫酒化呷之, 若得吐, 便出, 未吐, 更飮溫酒. 但以吐爲妙, 未出更服[本草].

모든 생선의 쓸개는 생선 가시를 내려가게 한다.

쏘가리, 가물치, 붕어 등의 쓸개를 모두 쓸 수 있는데 음력 섣달에 잡은 것이 더욱 좋다.

쥐엄나무 열매 한 알만큼씩 따뜻한 술에 타서 먹고 토하면 가시가 곧 나온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따뜻한 술을 마신다.

하지만 토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나오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본초).

南鵬砂噙化, 其骨脫然而失[得效].

남붕사를 입에 머금어 녹여 먹으면 가시가 깨끗이 없어진다(득효).

貫衆濃煎一盃半, 分三服連進, 片時一咯而骨出[得效].

관중을 진하게 달인 물 한 잔 반을 세 번에 나누어 연달아 먹으면

잠시 뒤에 구역질을 하며 가시가 나온다(득효).

縮砂甘草末, 綿裹含嚥, 卽吐出[丹心].

사인과 감초의 가루를 면으로 싸서 입에 머금고 고인 침을 삼키면

바로 가래를 토하면서 나온다(단심).

野苧根, 洗淨爛擣如泥, 取櫻桃大. 如雞骨, 以雞羹化下, 如魚骨, 以魚羹化下, 立出[丹心].

야생 모싯대의 뿌리를 깨끗이 씻은 다음 진흙처럼 잘 찧어서 이를 앵두 크기만큼씩 먹는데,

닭의 뼈가 걸렸으면 닭죽으로 먹고 생선 가시가 걸렸으면 생선죽으로 먹으면 바로 나온다(단심).

魚骨橫喉中, 鯉魚鱗皮, 燒作屑, 和水服, 卽出[本草].

생선 가시가 목구멍 옆으로 걸렸으면 잉어의 비늘과 껍질을 태워 가루낸 다음

물에 타서 먹으면 바로 나온다(본초).

魚骨在肚中刺痛, 煎吳茱萸汁一盞飮之, 骨軟而出[綱目].

생선 가시가 뱃속에 있어 콕콕 찔러 아프면 달인 오수유즙 한 잔을 마시면

가시가 흐물흐물해져서 나온다(강목).

萱草根汁飮之, 卽下[綱目].

원추리 뿌리즙을 마시면 바로 내려간다(강목).

海獺皮煮汁飮水獺, 亦可.

又鸕鶿或魚狗鳥燒灰, 和飮服, 卽下[本草].

바다 수달의 껍질 끓인 즙을 마시거나, 그냥 수달의 껍질도 된다.

또 가마우지나 물총새를 태워 그 재를 타서 마셔도 바로 내려간다(본초).

鳳仙花子, 水硏取汁, 以匙送入咽呷下, 勿犯齒. 無子, 用根[醫鑑].

봉선화 씨를 물에 갈아 그 즙을 숟가락으로 떠서 삼키는데

이[齒]에 닿지 않게 목구멍 속으로 넣는다.

씨가 없으면 뿌리를 써도 된다(의감).

皂角末, 吹鼻得嚏, 卽出[類聚].

조각가루를 코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하면 바로 나온다(유취).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呪法][주법]   (0) 2020.02.18
[獸骨骾][수골경]   (0) 2020.02.18
[咽喉不治證][인후불치증]   (0) 2020.02.18
[咽喉閉通治][인후폐통치]   (0) 2020.02.18
[咽喉急閉宜吐][인후급폐의토]  (0) 2020.02.18

[咽喉不治證][인후불치증]
凡咽喉閉, 毒氣歸心, 胸前腫滿, 氣煩促, 下部洞泄不止者, 死[得效].

일반적으로 인후가 막혔는데 독기(毒氣)가 심(心)으로 들어가서

가슴이 붓고 그득하며 숨이 차고 답답하면서 아래로 설사가 그치지 않으면 죽는다(득효).
凡喉痺初發, 胸隔氣促, 咽喉腫痛, 手足厥冷, 氣閉不通, 卽死[入門].

일반적으로 후비 초기에 가슴이 꽉 막혀 숨이 가쁘고 인후가 붓고 아프며,

손발이 차가워지면서 숨이 막혀 통하지 않으면 바로 죽는다(입문).
凡咽喉痺, 不可純用凉藥草藥目前取效, 上熱未除, 中寒復起, 毒氣乘入腹,

胸前高腫, 上喘下泄, 手足爪甲靑紫, 七日後, 全不食, 口如魚口者, 死[入門].
일반적으로 인후비에는 찬약이나 초약만을 써서 당장의 효과를 보려해서는 안 된다.

상초(上焦)의 열은 없어지지 않고 중초(中焦)의 한기는 다시 생겨 독기가 그 틈을 타서 배로

들어가 가슴이 몹시 부어오르고 위로는 숨이 차고 아래로는 설사를 하며 손발톱이 파래지는데,

7일이 지나서는 전혀 먹지 못하고 입이 물고기 입처럼 되면 죽는다(입문).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獸骨骾][수골경]   (0) 2020.02.18
[魚骨鯁][어골경]  (0) 2020.02.18
[咽喉閉通治][인후폐통치]   (0) 2020.02.18
[咽喉急閉宜吐][인후급폐의토]  (0) 2020.02.18
[咽喉急閉宜鍼][인후급폐의침]   (0) 2020.02.18

[咽喉閉通治][인후폐통치]
火性急速, 故病發則暴悍.

或鍼或吐, 以宣其毒, 此急則治標之法也.

必須兼以內經從治之法,

以 桔梗 甘草 玄參 升麻 防風 羌活 荊芥 人蔘 白朮 茯苓之類,

少加乾薑附子爲嚮導, 徐徐頻與, 不可頓服.

此爲治之大法也.

切不可驟用寒凉之藥.

殊不知上熱未除, 中寒復生, 至於發喘發脹, 皆爲不治之證[正傳]  

화(火)의 성질은 빠르므로 병이 갑자기 생기고 변화도 빠르다.

침으로 찌르거나 토하게 하는 방법으로 그 독을 흩어지게 하는데,

이것이 '급하면 표(標)를 치료한다'는 원칙이다.

따라서 반드시 내경의 종치법을 함께 써야 하는데,

길경, 감초, 현삼, 승마, 방풍, 강활, 형개, 인삼, 백출, 복령 같은 것을 쓰되

건강, 부자를 조금 넣어 약의 기운을 이끌어가게 하며,

약은 천천히 자주 먹어야지 한 번에 다 먹어서는 안 된다.

이것이 치료의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또 찬약을 절대 성급하게 써서는 안 된다.

특히 상초에 열이 다 없어지지 않고 중초에 한사(寒邪)가 다시 생긴 것을 모르고

찬약을 쓰면 천식과 창만(脹滿)이 생기게 되는데,

모두 치료하지 못하는 증상이 된다(정전).

喉痛必用荊芥, 陰虛火炎必用玄參[丹心].

후비에는 반드시 형개를 쓰고 음(陰)이 허하여 화(火)가 치솟으면 반드시 현삼을 쓴다(단심).

咽喉腫痛諸證, 皆用淸凉散 方見上, 加減用之[回春].

인후가 붓고 아픈 모든 병에는 청량산(처방은 앞에 있다)을 가감하여 쓴다(회춘).

通用氷梅丸, 龍腦川芎元, 淸咽利膈散, 必用方甘桔湯 方見上,

龍腦破毒散方見上, 金鎖匙 方見上, 琥珀犀角膏 方見口舌. 

빙매환, 용뇌천궁환, 청인이격산, 필용방감길탕(처방은 앞에 있다),

용뇌파독산(처방은 앞에 있다), 금쇄시(처방은 앞에 있다),

호박서각고(처방은 구설문에 있다) 등을 두루 쓴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魚骨鯁][어골경]  (0) 2020.02.18
[咽喉不治證][인후불치증]   (0) 2020.02.18
[咽喉急閉宜吐][인후급폐의토]  (0) 2020.02.18
[咽喉急閉宜鍼][인후급폐의침]   (0) 2020.02.18
[天行喉痺][천행후비]   (0) 2020.02.17

[咽喉急閉宜吐][인후급폐의토]
凡喉痺, 勿論大人小兒, 非吐不可.

如膽礬石綠之類爲末, 薄荷汁入醋同調, 以雞翎蘸藥, 送入喉內, 徐徐引痰吐出, 爲佳[湯氏].

일반적으로 후비에는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토하게 하여야 한다.

담반이나 석록과 같은 약을 가루내어 박하즙과 함께 식초에 갠 다음

닭의 깃털에 묻혀 목구멍에 흘려 넣어 서서히 담을 끌어올려 토하게 하면 좋다(탕씨).

喉痺多屬痰, 宜用吐法[丹心].

후비는 대개 담에 의하여 생기는데 토법을 쓴다(단심).

宜用吹喉散, 引痰眞捷法, 去涎方, 或用好醋噙漱, 吐痰, 亦妙.

취후산, 인담진첩법, 거연방 등을 쓰며,

좋은 식초를 입에 머금고 양치하여 담을 토하는 것도 좋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咽喉不治證][인후불치증]   (0) 2020.02.18
[咽喉閉通治][인후폐통치]   (0) 2020.02.18
[咽喉急閉宜鍼][인후급폐의침]   (0) 2020.02.18
[天行喉痺][천행후비]   (0) 2020.02.17
[喉痺失音][후비실음]  (0) 2020.02.17

[咽喉急閉宜鍼][인후급폐의침]
咽喉急閉, 皆屬相火.

惟砭刺出血, 最爲上策[正傳].

인후가 갑자기 막히는 것은 모두 상화 때문으로,

침으로 찔러 피를 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정전).

喉痺, 因惡血不散故也.

凡治此疾, 暴者必先發散, 發散不愈, 次取痰, 取痰不愈, 次去汚血, 宜鍼之[綱目].

후비는 나쁜 피가 흩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병 중 갑자기 생긴 것은 반드시 먼저 사기를 흩뜨리고[發散]

흩뜨려도 낫지 않으면 담을 다스리고 담을 다스려도 낫지 않으면

나쁜 피를 없애서 치료하여야 하므로 침으로 찔러 피를 내야 한다(강목).

凡喉閉急證, 速用鍼刺出血, 幷豁吐痰涎爲要. 若遲緩不救, 則死[回春].

일반적으로 급성으로 생긴 후폐는 빨리 침으로 찔러 피를 내고

아울러 담연을 삭이거나 토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시간을 끌거나 너무 완만하게 치료하여 고치지 못하면 죽는다(회춘).

火鬱則發之. 砭刺出血, 卽汗之之義也.

血出多則愈, 有鍼瘡者, 薑汁調熟水, 時時呷之.

凡關上血泡, 最宜鍼, 關下不見者, 令病人含水一口, 用蘆管尖刺鼻孔出血, 妙[入門].

화(火)가 뭉친 것은 밖으로 나오게 하여야 한다.

삼릉침[砭]으로 찔러 피를 내는 것은 땀을 내는 것과 같다.

피가 많이 나오면 병이 낫는데, 침 맞은 곳이 헐면 생강즙을 끓인 물에 타서 자주 마신다.

일반적으로 목구멍의 보이는 곳에 생긴 뭉친 피[血泡]는

침으로 찌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보이지 않는 곳에 생긴 것은 환자에게 물을 한 모금 머금게 한 다음

갈대 대롱의 끝으로 콧구멍을 찔러 피를 내면 좋다(입문).

一婦人, 患喉生蛾, 不肯鍼.

范九思云, 我有一藥, 須新筆點之, 乃藏鍼在筆頭內, 刺血出, 卽愈[入門].

어떤 부인이 목구멍에 유아(乳蛾)가 생겼는데 침을 맞으려고 하지 않았다.

그래서 범구사가 "나에게 약이 한 가지 있는데 새 붓에 찍어 발라야 한다"고 하면서

붓 끝 속에 침을 숨겨서 목구멍에 넣고 찔러 피를 내니 바로 나았다(입문).

咽喉腫痛, 惟腎傷寒及帝鍾風者, 忌鍼[入門].

인후가 붓고 아픈 것 중에서도 신상한과 제종풍만은 침을 놓아서는 안 된다(입문).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咽喉閉通治][인후폐통치]   (0) 2020.02.18
[咽喉急閉宜吐][인후급폐의토]  (0) 2020.02.18
[天行喉痺][천행후비]   (0) 2020.02.17
[喉痺失音][후비실음]  (0) 2020.02.17
[咽喉瘡][인후창]   (0) 2020.02.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