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煩][허번]

 

心虛 則煩心 又肝 腎 脾虛 亦煩心.

經(玉機眞藏論篇 第十九)曰 夏脈者 心也 不及則令人煩心.

又 氣交變大論篇 第六十九云 肝虛 腎虛 脾虛 皆令人體重煩寃 是知煩多 生於虛也.

盖金攻肝虛 土攻腎虛 木攻脾虛 而爲煩也(綱目).

심이 허하면 가슴이 답답하다[].

또한 간과 신, 비가 허하여도 역시 가슴이 답답하다.

()에는 여름의 맥은 심()의 맥이 나타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가슴이 답답하다

또는 간과 신, 비가 허하면 몸이 무겁고 걷잡을 수 없이 가슴이 답답하다고 씌어 있다.

이것을 보아 가슴이 답답한 것은 흔히 허한데서 생긴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개 폐금(肺金)은 허한 간목(肝木)을 억제하고 비토(脾土)는 허한 신수를 억제하며

간목은 허한 비토를 억제하면 가슴이 답답하게 된다[강목].

 

虛煩者 心胸煩擾 而不寧也.

內經(調經論篇 第六十二)曰 陰虛則內熱 今之虛煩 多是 陰虛生內熱 所致

虛勞之人 腎虛 心旺 及傷寒吐下後 霍亂吐瀉後 津液枯渴 多有虛煩之證(醫鑒).

허번이란 가슴 속이 답답하여 편안치 않은 것이다.

내경에는 음이 허하면 속에서 열이 난다고 하였는데

지금 허번증은 흔히 음이 허하여 속에 열이 있는데서 생긴다.

허로증(虛勞證)이 있는 사람은 신이 허하고 심이 왕성한 것과 상한(傷寒)으로 토하게 하고 설사시킨 뒤나

곽란( )으로 토하고 설사한 다음에 진액이 고갈되면 흔히 허번증이 생긴다[의감].

 

獨熱者 虛煩也

與傷寒相似 但頭身不痛 脈不緊數 爲異 宜竹葉石膏湯方見寒門(保命).

단지 열만 나는 것이 허번증이다.

상한과 비슷하나 다만 머리와 몸이 아프지 않고 맥이 긴삭(緊數)하지 않는 것이 다르다.

이때는 죽엽석고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虛煩自利 手足冷 宜用旣濟湯(入門).

허번증이 있으면서 절로 설사하고 손발이 찬 데는 기제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虛煩 宜橘皮湯 人蔘竹葉湯 淡竹茹湯.

허번증에는 귤피탕, 인삼죽엽탕, 담죽여탕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潮熱][조열]  (0) 2020.06.28
[五心熱][오심열]  (0) 2020.06.28
[骨蒸不治證][골증불치증]  (0) 2020.06.28
[骨蒸熱][골증열]  (0) 2020.06.26
[紫雪][자설]  (0) 2020.06.26

[潮熱][조열]

 

潮熱者 有時而熱 不失其時

寒熱者 寒已而熱 相繼而發 至於發熱 則無時而熱也(醫鑒).

조열이란 일정한 시간에 열이 나고 그 시간을 어기지 않는 것이다.

한열이란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며 열이 난다는 것은 아무 때나 열만 나는 것이다[의감].

 

潮熱有時 爲內傷爲虛 潮熱無時 爲外感爲實(入門).

조열이 일정한 시간에 나는 것은 내상(內傷)이면서 허()한 것이고

조열이 때없이 나는 것은 외감(外感)이면서 실()한 것이다[입문].

 

平朝潮熱者 熱在行陽之分

肺氣主之 故用白虎湯方見寒門 方見上 肺熱條 以瀉氣中之火

날이 새자 조열이 나는 것은 열이 양분(陽分)에 있는 것이다.

이때는 폐기가 주관하므로 백호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써서 기()속의 화()를 사()해야 한다.

 

日晡潮熱者 熱在行陰之分

腎氣主之 故用地骨皮飮卽上東垣地骨皮散也

見上骨蒸熱以瀉血中之火(正傳).

해질 무렵에 조열이 나는 것은 열이 음분(陰分)에 있는 것이다.

이때는 심기(心氣)가 주관하므로 지골피음(동원의 처방에 있는 지골피산이다)을 써서

혈 속의 화를 사()해야 한다[정전].

 

氣虛 有汗潮熱 宜人蔘淸肌散方見上 骨蒸熱

()가 허하여 땀이 나고 조열이 나는 데는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血虛 有汗潮熱 宜人蔘養榮湯方見虛勞

기가 허하여 땀이 없이 조열이 나는 데는

인삼청기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血虛 無汗潮熱 宜茯苓補心湯方見血門

혈허(血虛)하여 땀이 나고 조열이 나는 데는

인삼양영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氣血兩虛 無汗潮熱 宜茯苓補心湯方見血門

혈허하여 땀이 없이 조열이 나는 데는

복령보심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氣血兩虛 有汗潮熱 宜加減逍遙散

기혈이 다 허한데 땀이 나고 조열이 나면 가감소요산을 쓰는 것이 좋다

 

血虛夜分潮熱 宜四物二連湯

혈허(血虛)하여 밤에 조열이 나는 데는 사물이련탕이 좋다.

 

參蘇飮方見寒門 大解潮熱 將欲成勞痰 咳喘熱 最妙(醫鑒).

삼소음(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은 조열을 잘 풀어준다.

가래를 뱉고 기침하며 숨이 차고 열이 나면서 허로(虛勞)가 되려는데 쓰면 아주 좋다[의감].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煩][허번]  (0) 2020.06.28
[五心熱][오심열]  (0) 2020.06.28
[骨蒸不治證][골증불치증]  (0) 2020.06.28
[骨蒸熱][골증열]  (0) 2020.06.26
[紫雪][자설]  (0) 2020.06.26

[五心熱][오심열]

 

五心煩熱者 是火鬱於地中也.

四肢者 脾土也 心火下陷 於脾土之中 鬱而不得伸 故也.

火鬱則發之 是也(東垣).

오심번열(五心煩熱)이란 화()가 비토(脾土) 속에 몰린 것이다.

팔다리는 비토에 속하는데 심화(心火)가 내리처져 비토 속에 몰려서 펴지 못하기 때문이다.

화가 몰리게 되면 가슴과 손발바닥에 번열이 생긴다.

 

凡男女 四肢熱 肌熱 筋熱 骨髓中熱 如燎 捫之烙手 此熱伏土中 由血虛而得

或過食冷物 抑遏陽氣於脾土之中 火鬱則發之 宜升陽散火湯 火鬱湯(東垣).

대개 남자나 여자의 팔다리가 달고 힘살과 힘줄도 달며 골수(骨髓) 속에 열이 있는 것이

불에 쪼이는 것 같고 만지면 손이 뜨거운 것은

열이 비토 속에 잠복되었다가 혈의 허한 틈을 타서 나오는 것이다.

혹은 찬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양기(陽氣)를 비토 속으로 눌러 버렸기 때문이다.

화가 몰린 것을 헤쳐지게 하는 데는 승양산화탕이나 화울탕을 쓰는 것이 좋다[동원].

 

虛損 手心脚心 發熱不可當 加減小柴胡湯 主之(醫鑒).

허손(虛損)으로 손바닥과 발바닥에 열이 나서 견딜 수 없을 때는 가감소시호탕을 쓴다[의감].

 

兩手大熱如火 是爲骨厥

양쪽 손이 몹시 달아서 불 같은 것을 골궐(骨厥)이라 한다(자세한 것은 침뜸문[鍼灸門]에 있다).

 

五心之熱 小兒傷食證也 大人亦然(資生).

가슴과 손발바닥이 다는 것은 어린이들이 음식에 체하였을 때의 증상이다. 어른도 역시 그렇다[자생].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煩][허번]  (0) 2020.06.28
[潮熱][조열]  (0) 2020.06.28
[骨蒸不治證][골증불치증]  (0) 2020.06.28
[骨蒸熱][골증열]  (0) 2020.06.26
[紫雪][자설]  (0) 2020.06.26

[骨蒸不治證][골증불치증]

 

骨蒸之極 聲嗄 咽痛 面黧

脈躁 直視 汗出如珠 喘乏 氣促

皮焦 唇反 皆爲不治之證(玄珠).

골증이 심하여 목쉰 소리가 나며 목 안이 아프고 얼굴빛이 검어지며

맥이 불규칙하고 눈을 곧추 떠보며 구슬 같은 땀이 나고 숨이 몹시 가쁘고

피부가 까실까실하며 입술이 뒤집어지는 것은 다 치료할 수 없는 증이다[현주].

 

其或骨間有熱 以至四肢緩弱不擧 此則骨痿 欲斯疾之 有瘳也 艱哉(直指).

혹시 뼈에 열이 있어 팔다리가 느른하고 약하여 들지 못하는 것은 골위증이 되려는 것이다.

이 병은 치료하기 어렵다[직지].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潮熱][조열]  (0) 2020.06.28
[五心熱][오심열]  (0) 2020.06.28
[骨蒸熱][골증열]  (0) 2020.06.26
[紫雪][자설]  (0) 2020.06.26
[積熱][적열]  (0) 2020.06.26

[骨蒸熱][골증열]

 

蒸病有五, 一曰 骨蒸 其根在腎 二曰 脈蒸 其根在心

三曰 皮蒸 其根在肺 四曰 外蒸 其根在脾

五曰 內蒸 其根在五藏六府

蒸病 皆因陰氣不足 血氣不榮 骨髓枯渴 而得之 腎主骨 以其先從骨熱 故曰骨蒸(類聚).

증병(蒸病)에는 5가지가 있다.

첫째로 골증인데 그 근본은 신()에 있고

둘째로 맥증(脈蒸)인데 그 근본은 심()에 있으며

셋째로 피증(皮蒸)인데 그 근본은 폐()에 있고

넷째로 외증(外蒸)인데 그 근본은 비()에 있으며

다섯째로 내증(內蒸)인데 그 근본은 56부에 있다.

증병은 다 음기가 부족하고 혈기가 영양하지 못하여 골수가 고갈되기 때문에 생긴다.

()은 뼈를 주관하는데 먼저 뼈에서 열이 나므로 골증이라고 한다[유취].

 

凡人 嗜慾無節 勞傷過度 眞水枯渴 陰火上炎 而發蒸蒸之潮熱

古方名曰 蒸病

其證 咳嗽 發熱 咯血 吐痰 白濁 白淫 遺精 盜汗 精神恍惚 日漸尫羸 漸成勞劇(正傳).

대개 주색(酒色)에 절도가 없거나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는 것 등으로

진수(眞水)가 마르고 음화(陰火)가 타올라 후끈후끈 다는 조열이 생긴다.

옛 의서에는 이것을 증병이라 하였다.

그 증상은 기침이 나고 열이 나며 피를 토하고 가래를 뱉으며 백탁(白濁), 백음(白淫), 유정(遺精),

식은땀 등이 있고 정신이 얼떨떨하며 점차적으로 여위어서 나중에는 노극(勞劇)이 된다[정전].

 

肺蒸 鼻乾

폐증(肺蒸)은 코가 마른다.

大腸蒸 右鼻孔痛

대장증(大腸蒸)은 오른쪽 콧구멍이 아프다.

皮蒸 舌白唾血

피증(皮蒸)은 혀가 희고 피를 뱉는다.

膚蒸 昏昧 嗜臥

부증(膚蒸)은 정신이 흐릿하고 눕기를 좋아한다.

氣蒸 鼻乾 喘促 氣熱

기증(氣蒸)은 코가 마르고 숨이 가쁘며 콧김이 뜨겁다.

心蒸 舌乾

심증(心蒸)은 혀가 마른다.

小腸蒸 下唇焦

소장증(小腸蒸)은 아래쪽 입술이 마른다.

血蒸 髮焦

혈증(血蒸)은 머리카락이 바스라진다.

脉蒸 唾白浪語 脈緩急不調

맥증(脈蒸)은 흰 가래를 뱉으며 말을 허투루 하고 맥은 완급(緩急)하며 고르지 않다.

脾蒸 唇焦

비증(脾蒸)은 입술이 탄다.

胃蒸 舌下痛

위증(胃蒸)은 혀 밑이 아프다.

肉蒸 食無味而嘔 煩躁不安

육증(肉蒸)은 밥맛이 없고 구역질하며 번조하여 편안치 못하다.

肝蒸 眼黑

간증(肝蒸)은 눈이 어둡다.

膽蒸 眼白失色

담증(膽蒸)은 눈의 흰자위에 제 빛이 없다.

筋蒸 爪甲焦

근증(筋蒸)은 손발톱이 마른다.

三焦蒸 乍熱乍寒

3초증(三焦蒸)은 금방 열이 났다 금방 추웠다 한다.

腎蒸 兩耳焦

신증(腎蒸)은 양쪽 귀가 마른다.

膀胱蒸 右耳焦

방광증(膀胱蒸)은 오른쪽 귀만 마른다.

腦蒸 頭眩 熱悶

뇌증(腦蒸)은 머리가 어지럽고 열이 나며 안타깝다.

髓蒸 髓枯 骨中熱

수증(髓蒸)은 골수가 마르고 뼛속에 열이 난다.

骨蒸 齒黑 腰痛 足逆冷

골증(骨蒸)은 이가 검고 허리가 아프며 발이 싸늘하다.

臀蒸 肢細 趺腫 藏府皆熱

둔증(臀蒸)은 팔다리가 가늘어지며 혹 붓기도 하고 56부에 다 열이 있다.

 

胞蒸 小便黃赤

俱宜五蒸湯 五蒸丸 麥煎散 地骨皮散 鱉甲飮 補天丸 逍遙散方見婦人 地仙散 團魚散.

骨蒸發熱 積病最多 先服荊蓬煎元方見積聚 後服淸骨散 暗合妙理(丹心)

포증(胞蒸)은 오줌이 누렇고 붉다.

이런 데는 오증탕, 오증환, 맥전산, 지골피산, 별갑음, 보천환, 소요산(처방은 부인문에),

지선산, 단어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

골증으로 열이 나는 것은 적병(積病)에 가장 많다.

먼저 형봉전원(처방은 적취문에 있다)을 먹고나서 청골산을 먹는 것은 원리에 잘 맞는다[단심].

 

婦人骨蒸 四物湯 加地骨皮牧丹皮煎服 牧丹皮 瀉包絡火, 地骨皮 瀉腎火

부인의 골증에는 사물탕에 지골피와 모란뿌리껍질(목단피)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

모란뿌리껍질(목단피)은 심포락의 화를 사하고 지골피는 신화(腎火)를 사한다.

 

骨蒸 用柴前梅連散 人蔘淸肌散(丹心).

골증에는 시전매련산, 인삼청기산을 쓴다[단심].

 

氣血虛甚 發熱成勞 補天丸 加骨蒸藥佐之 知母 黃栢 地骨皮

麥門冬 秦艽 靑蒿 鱉甲 石膏 竹葉 烏梅之類 是也(正傳).

기혈(氣血)이 몹시 허하여 열이 나며 허로가 되었으면 보천환에 골증의 좌약인 지모, 황백, 지골피,

맥문동, 진교, 제비쑥(청호), 자라등딱지(별갑), 석고, 참대잎(죽엽), 오매 같은 것들을 더 넣어 쓴다[정전].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心熱][오심열]  (0) 2020.06.28
[骨蒸不治證][골증불치증]  (0) 2020.06.28
[紫雪][자설]  (0) 2020.06.26
[積熱][적열]  (0) 2020.06.26
[通治三焦火][통치삼초화]  (0) 2020.06.26

[紫雪][자설]

 

治一切積熱 口舌生瘡 狂易叫走 內外煩熱不解 及野道熱毒(入門). 

黃金375g 寒水石 石膏各180g 玄參60g 犀角 羚羊角各37.5g

甘草30g 升麻22.5g 沈香 木香 丁香各18.75g

以水5升(10L)先煮 黃芩 及二石(寒水石 石膏) 至3升(6L) 入諸藥再煎 至1升(2L)

去滓 入芒硝120g 慢火煎 以柳枝不住手攪 候欲凝 入磁盆中 更下朱砂 麝香末11.25g

急攪不住 候冷凝成紫雪 每取3.75g 細細嚥之 或以井水 調下3.75g(入門).

 

일체 적열(積熱)로 입 안과 혀가 헐고 미쳐서 지절거리며 달아나고

안팎으로 번열(煩熱)이 풀리지 않는 것과 들이나 길가에서 받은 열독(熱毒)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400g, 한수석, 석고 각각 192g, 현삼 64g, 서각, 영양각 각각 40g,

감초 32g, 승마 24g, 침향, 목향, 정향 각각 20g.

먼저 물 5되에 속썩은풀(황금), 한수석, 석고를 넣고 달여

3되가 되면 나머지 약을 넣고 다시 달여 1되가 되면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망초 128g을 넣어 약한 불기운에 달이면서 버드나무가지로 쉬임없이 저어

엉키려 할 때에 사기그릇에 담은 다음 또 주사, 사향가루 각각 12g을 넣어

쉬임없이 빨리 저어 식으면 자설이 된다.

한번에 4g씩 잘 씹어먹는다.

혹은 깨끗한 물에 4g씩 타 먹는다[입문].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骨蒸不治證][골증불치증]  (0) 2020.06.28
[骨蒸熱][골증열]  (0) 2020.06.26
[積熱][적열]  (0) 2020.06.26
[通治三焦火][통치삼초화]  (0) 2020.06.26
[下焦熱][하초열]  (0) 2020.06.26

[積熱][적열]

 

藏府積熱 頰赤 煩渴 口舌生瘡 五心煩躁 便尿極澁

或溫壯連滯 致生瘡 癤癰疽(得效).

5장(五藏) 6부(六府)에 적열이 있으면 뺨이 붉고 번갈이 나며 입안과 혀가 헐며

가슴과 손발바닥이 달고 안타까워하며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다.

혹은 기가 돌지 않아 몰려서 열이 나고 헌데와 뾰두라지, 옹저(癰疽) 등이 생긴다[득효].

 

欲去積熱三黃湯·元 第一藥耳.

凡熱皆出於心. 熱甚則能傷血

熱出於心 洗心散 所不可闕

熱能傷血 四順淸凉飮 又不可無也

若酒後之麪飯 後之酒最易 生熱 又當防於未然(直指).

적열(積熱)을 없애려면 삼황탕, 삼황원이 제일 좋은 약이다.

대개 열이란 다 심(心)에서 나오는데 열이 심하면 피도 상한다.

열은 심에서 나오기 때문에 세심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꼭 써야 한다.

열은 피를 상하므로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야 한다.

만일 술을 마신 뒤에 국수를 먹거나 밥을 먹은 뒤에 술을 마시면 열이 생기기 아주 쉽다.

때문에 반드시 미리 막아야 한다[직지].

 

積熱 宜用三黃湯 三黃元 加減三黃元

凉膈散 紫雪 紅雪通中散 妙香丸.

적열에는 삼황탕, 삼황원, 가감삼황원(처방은 소갈문에 있다),

양격산, 자설, 홍설통중산, 묘향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骨蒸熱][골증열]  (0) 2020.06.26
[紫雪][자설]  (0) 2020.06.26
[通治三焦火][통치삼초화]  (0) 2020.06.26
[下焦熱][하초열]  (0) 2020.06.26
[中焦熱][중초열]  (0) 2020.06.26

[通治三焦火][통치삼초화]

 

宜用三黃湯 三黃元方見下 積熱條轉載 三補丸 加味金花丸 淸心丸 大金花丸

黃連解毒湯方見寒門 方見上火熱有實有虛 防風通聖散方見風門 淸火湯.

삼황탕, 삼황원(처방은 아래에 있다), 삼보환, 가미금화환, 청심환, 대금화환,

황련해독탕(처방은 상한문에), 방풍통성산(처방은 풍문에), 청화탕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雪][자설]  (0) 2020.06.26
[積熱][적열]  (0) 2020.06.26
[下焦熱][하초열]  (0) 2020.06.26
[中焦熱][중초열]  (0) 2020.06.26
[上焦熱][상초열]  (0) 2020.06.26

[下焦熱][하초열]

 

宜用大承氣湯方見寒門 方見上 中焦熱 立效散 八正散方見小便 五苓散方見寒門

防風當歸飮子 黃栢丸 回金丸 佐金丸.

대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입효산, 팔정산(처방은 오줌문에),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방풍당귀음자, 황백환, 회금환, 좌금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積熱][적열]  (0) 2020.06.26
[通治三焦火][통치삼초화]  (0) 2020.06.26
[中焦熱][중초열]  (0) 2020.06.26
[上焦熱][상초열]  (0) 2020.06.26
[火有上中下焦之異][화유상중하초지이]  (0) 2020.06.26

[中焦熱][중초열]

 

宜用調胃承氣湯方見上 火熱有實有虛 洗心散 四順淸凉飮方見上 熱有晝夜之分

當歸龍薈丸方見五藏 桃仁承氣湯方見寒門 白朮除濕湯 旣濟淸神散

조위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세심산, 사순청량음(처방은 위에),

당귀용회환(처방은 5장문에), 도인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백출제습탕, 기제청신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治三焦火][통치삼초화]  (0) 2020.06.26
[下焦熱][하초열]  (0) 2020.06.26
[上焦熱][상초열]  (0) 2020.06.26
[火有上中下焦之異][화유상중하초지이]  (0) 2020.06.26
[熱有晝夜之分][열유주야지분]  (0) 2020.06.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