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焦熱][상초열]

 

宜用凉膈散 龍腦飮子 抑靑丸 淸心湯 黃芩湯 淸金丸 朱砂凉膈丸 九味淸心元

黃連淸膈丸 上淸元 淸金降火丹 子芩散 旣濟解毒湯方見瘟疫 加減凉膈散

양격산(처방은 아래에 있다), 용뇌음자, 억청환, 청심탕, 황금탕, 청금환, 주사양격환, 구미청심원,

황련청격환, 상청원, 청금강화단, 자금산, 기제해독탕(처방은 온역문에), 가감양격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焦熱][하초열]  (0) 2020.06.26
[中焦熱][중초열]  (0) 2020.06.26
[火有上中下焦之異][화유상중하초지이]  (0) 2020.06.26
[熱有晝夜之分][열유주야지분]  (0) 2020.06.26
[火熱有實有虛][화열유실유허]  (0) 2020.06.26

[火有上中下三焦之異][화유상중하삼초지이]

 

熱在上焦者 因咳爲肺痿.

熱在中焦者 爲堅謂大便堅也.

熱在下焦者 爲尿血淋閉(仲景).

열이 상초(上焦)에 있으면 기침을 하다가 폐위(肺 )가 되고

열이 중초(中焦)에 있으면 대변이 굳어지며

열이 하초(下焦)에 있으면 피오줌[尿血]을 누거나 또는 잘 나오지 않는다[중경].

 

上焦有熱 眼目赤腫 頭項腫痛 口舌生瘡

상초에 열이 있으면 가슴이 번조(煩躁)하고 음식맛이 없다.

 

中焦有熱 胸膈煩躁 飮食不美

중초에 열이 있으면 가슴이 번조하고 음식맛이 없다.

 

下焦有熱 小便赤澁 大便秘結

하초에 열이 있으면 오줌이 붉으면서 잘 나가지 않고 변비가 생긴다.

 

五藏俱熱 乃三焦熱也

卽生廱癤 瘡痍 及五般痔疾(宣明).

5장에 다 열이 있는 것은 3초의 열이다.

즉 옹절(癰癤)과 헌데, 5가지 치질이 생긴다[선명].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焦熱][중초열]  (0) 2020.06.26
[上焦熱][상초열]  (0) 2020.06.26
[熱有晝夜之分][열유주야지분]  (0) 2020.06.26
[火熱有實有虛][화열유실유허]  (0) 2020.06.26
[審臟腑熱之部分][심장부열지부분]  (0) 2020.06.25

[熱有晝夜之分][열유주야지분]

 

晝熱則行陽25度 宜柴胡飮子方見上 肝熱條

夜熱則行陰25度 宜四順淸凉飮(海藏).

낮에 나는 열은 양분으로 25번 도는 것이므로 시호음자(처방은 위에 있다)가 좋고

밤에 나는 열은 음분으로 25번 도는 것이므로 사순청량음이 좋다[해장].

 

平旦發熱 熱在行陽之分 肺氣主之 故用白虎湯 方見上 肺熱條 以瀉 氣中之火.

日晡潮熱 熱在行陰之分 腎氣主之 故用地骨皮散 以瀉 血中之火(海藏).

아침에 열이 나는 것은 열이 양분(陽分)으로 돌고 폐기(肺氣)가 주관하므로

백호탕을 써서 기 속의 화를 사할 것이고

해질 무렵에 조열이 나는 것은 열이 음분(陰分)으로 돌고 신기(腎氣)가 주관하므로

지골피산을 써서 핏속의 화를 사(瀉)한다[해장].

 

夜則靜 晝發熱者 熱在氣分 小柴胡湯方見寒門 加梔子 黃連 知母 地骨皮,

晝則靜夜 則發熱者 熱在血分 四物湯 加知母 黃栢 黃連 梔子 柴胡 牧丹皮(回春).

밤이면 안정되고 낮이면 열이 나는 것은 열이 기분에 있으므로

소시호탕에 산치자, 황련, 지모, 지골피를 더 넣을 것이고

낮이면 안정되다가 밤이면 열이 나는 것은 열이 혈분(血分)에 있는 것이므로

사물탕에 지모, 황백, 황련, 산치자, 시호, 모란뿌리껍질(목단피)을 더 넣는다[회춘].

 

晝夜俱發熱 熱在氣血之分 四物湯合小柴胡湯 加黃連 梔子(回春).

밤낮 다 열이 나는 것은 열이 기분(氣分)과 혈에 있는 것이므로

사물탕과 소시호탕을 합한 데다 황련과 산치자를 더 넣는다[회춘].

 

氣分實熱 白虎湯 血分實熱 四順淸凉飮,

氣分虛熱 淸心蓮子飮方見消渴 血分虛熱 滋陰降火湯方見下 陰虛火動(入門).

기분(氣分)에 실열이 있으면 백호탕이 좋고

혈분에 실열이 있으면 사순청량음이 좋으며

기분에 허열이 있으면 청심연자음(처방은 소갈문에 있다)이 좋고

혈분에 허열(虛熱)이 있으면 자음강화탕이 좋다[입문].

 

凡 病晝病 在氣, 夜病 在血, 晝發少 而夜發多者 足太陽膀胱 血中浮熱 微有氣也

有時而發 有時而上 知邪氣不在表 不在裏 知在經絡 中也,

夜發多者 是邪氣下陷之深 當從熱入血室 而論之 宜瀉血湯 退熱湯(東垣).

대개 낮에 앓는 것은 병이 기에 있고 밤에 앓는 것은 혈분에 있다.

낮에는 열이 적고 밤에 열이 많은 것은 족태양방광(足太陽膀胱)의

혈분 중에 열이 떠 있는 데다 기분에도 열이 약간 겸한 것이다.

때로 열이 나고 때로 멎는 것은 사기가 표(表)에 있지도 않고

이(裏)에도 있지 않으며 경락(經絡) 속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밤에 열이 많이 나는 것은 사기가 아래로 처져 내려가고 깊이 들어간 것이므로

반드시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으로 취급해야 한다. 이때는 사혈탕, 퇴열탕이 좋다[동원].

 

 

[火熱有實有虛][화열유실유허]

 

能食而熱 口舌乾燥 大便難者 實熱也,

以辛苦大寒之劑下之 瀉熱補陰 脈洪盛而有力者 是已

不能食 而熱 自汗 氣短者 虛熱也,

以甘寒之劑 瀉熱補氣 脈虛弱 無力者 是已(東垣).

잘 먹으면서 열이 나고 입과 혀가 마르며 대변을 누기 어려운 것은 실열이다.

이때에는 맵고 쓰면서 성질이 몹시 찬약으로 설사시켜 열을 내리고 음을 보해야 한다.

맥(脈)이 홍성(洪盛)하고 힘이 있는 것은 실열(實熱)이다[동원].

먹지 못하면서 열이 나고 저절로 땀이 나며 숨이 가쁜 것은 허열이다.

이때는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열을 내리고 기를 보해야 한다.

맥이 허약하고 힘이 없는 것은 허열(虛熱)이다[동원].

 

五藏 陰也, 所主皆有形 骨 肉 筋 血 皮毛是也,

此五藏 皆陰 足陰足而熱 反勝之 是爲實熱,

若骨痿 肉爍 筋緩 血枯 皮聚 毛落者 陰不足 而有熱疾 是虛熱也(海藏).

5장(五藏)은 음(陰)인데 다 각기 주관하는 것이 있다.

즉 뼈, 살, 힘줄, 피, 피모 등을 주관한다. 5장은 다 음이 충족하다.

음이 충족하면서 열이 오히려 더 왕성한 것은 실열이다.

골위(骨 )가 되고 살이 빠지며 힘줄이 늘어지고 피가 마르며 피부가 쭈그러들고

털이 빠지는 것은 음이 부족하여 열이 있는 병이 생긴 것인데 이것은 허열이다[해장].

 

脈實數者 實熱也(丹心).

맥이 실삭(實數)한 것은 실열이다[단심].

 

實火 內外皆熱 口渴 日夜潮熱 大小便閉

熱在表 宜羗活沖和湯方見寒門 熱入裏 宜調胃承氣湯方見寒門

燥渴者 宜白虎湯方見寒門 虛火潮熱 有間口燥不渴

宜人蔘地骨皮散方見上或補中益氣湯方見內傷加芍藥 黃栢(入門).

실화(實火)는 안팎에 다 열이 있으며 갈증이 있고 밤낮으로 조열(潮熱)이 나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

열이 표에 있으면 강활충화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고

열이 이로 들어가면 조위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다.

갈증이 있는 데는 백호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다.

허화(虛火)로 조열이 이따금 있고 입은 말라도 물을 켜지 않는 데는

인삼지골피산(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보중익기탕에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황백을 더 넣어 쓰는 것이 좋다[입문].

 

實火可瀉 黃連解毒湯之類. 虛火可補 參朮 生甘草之類(丹心).

실화(實火)에는 황련해독탕 같은 것으로써 열을 내리고

허화에는 인삼, 흰삽주(백출), 감초(생것) 같은 것으로써 보해야 한다[단심].

 

[審臟腑熱之部分][심장부열지부분]

 

內經(刺熱篇 第三十二)曰 心熱病者 顔先赤顔卽額也,

脾熱病者 鼻先赤, 肝熱病者 左頰先赤, 肺熱病者 右頰先赤, 腎熱病者 頣先赤.

내경에는 심열병(心熱病)이면 얼굴(얼굴이란 곧 이마다)이 먼저 붉고

비열병(脾熱病)이면 코가 먼저 붉으며 간열병(肝熱病)이면 왼쪽뺨이 먼저 붉고

폐열병(肺熱病)이면 오른쪽뺨이 먼저 붉으며 신열병(腎熱病)이면 턱이 먼저 붉어진다.

 

心肺居胸背 心熱 則胸熱, 肺熱 則背熱.

심과 폐는 가슴과 잔등 사이에 있는데 심에 열이 있으면 가슴이 달고 폐에 열이 있으면 잔등이 단다.

 

肝膽居脇 肝膽熱 則當脇亦熱.

간담(肝膽)은 옆구리에 있는데 간담에 열이 있으면 옆구리도 또한 단다.

 

腎居腰 腎熱 則當腰亦熱.

신은 허리에 있는데 신에 열이 있으면 허리가 역시 단다.

 

胃居臍上 故胃熱 則臍以上 熱.

()는 배꼽 위에 있는데 위에 열이 있으면 배꼽 위가 단다.

 

腸居臍下 故腸熱 則臍以下 熱(綱目).

()은 배꼽 아래에 있는데 장에 열이 있으면 배꼽 아래가 단다[강목].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有晝夜之分][열유주야지분]  (0) 2020.06.26
[火熱有實有虛][화열유실유허]  (0) 2020.06.26
[手按辨熱深淺][수안변열심천]  (0) 2020.06.25
[腎熱][신열]  (0) 2020.06.25
[肺熱][폐열]  (0) 2020.06.25

[手按辨熱深淺][수안변열심천]

 

以手捫摸 有三法 輕手捫之 則熱 重按之則不熱 是熱在皮毛 血脈也(東垣).

손으로 눌러 보는 데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손으로 살짝 누르면 열이 있고 꾹 누르면 열이 없는 것은 열이 피모와 혈맥에 있는 것이다[동원].

 

重按至筋骨之分 則熱蒸 手極甚輕摸之 則不熱 是熱在筋骨間也(東垣).

힘줄과 뼈에 닿도록 꾹 눌러서 손 끝에 뜨거운 것이 알리고

살짝 만지면 뜨겁지 않은 것은 열이 힘줄과 뼈 사이에 있는 것이다[동원].

 

輕手捫之不熱 重手按之亦不熱 不輕不重 按之則熱

在筋骨之上 皮毛血脈之下 乃熱在肌肉也.

三黃丸 通治之(東垣).

살짝 눌렀거나 꾹 눌러도 뜨겁지 않다가 중등도로 누르면 열이 있는 것은

열이 힘줄과 뼈 위와 피모(皮毛), 혈맥 밑에 있는 것이므로 이는 열이 힘살에 있는 것이다.

이때는 삼황환으로써 두루 치료한다[동원].

 

輕手按之 熱甚 重手按之 不甚熱 此熱在肌表 宜淸之.

重手按之熱甚而烙手 輕手按之不覺熱 此熱在肌肉之內 宜發之(正傳).

살짝 누르면 열이 심하고 꾹 누르면 열이 심하지 않은 것은 열이 피부 표면에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열을 내리는 약을 쓰는 것이 좋고 꾹 누르면 열이 심하며

살짝 누르면 열이 느껴지지 않는 것은 열이 힘살에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발산시키는 것이 좋다[정전].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火熱有實有虛][화열유실유허]  (0) 2020.06.26
[審臟腑熱之部分][심장부열지부분]  (0) 2020.06.25
[腎熱][신열]  (0) 2020.06.25
[肺熱][폐열]  (0) 2020.06.25
[脾熱][비열]  (0) 2020.06.25

[腎熱][신열]

 

腎熱者 輕按之不熱 重按至骨 其熱蒸 手如火如灸

其證 骨蘇蘇然 如虫蝕 其骨困熱不任 亦不能 起於床

滋腎丸方見小便 六味地黃丸方見虛勞主之(東垣).

신열은 살짝 누르면 뜨겁지 않고 꾹 눌러 뼈에 닿도록 하면 손이 뜨거워 불 같고 뜸뜨는 것 같다.

그 증상으로는 뼈가 쏘는 것이 벌레가 무는 것 같고 뼈는 노그라져 오면서

열에 견디지 못하고 또한 자리에서 일어나지도 못한다.

이때는 자신환(처방은 오줌문에 있다), 육미지황환(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동원].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審臟腑熱之部分][심장부열지부분]  (0) 2020.06.25
[手按辨熱深淺][수안변열심천]  (0) 2020.06.25
[肺熱][폐열]  (0) 2020.06.25
[脾熱][비열]  (0) 2020.06.25
[心熱][심열]  (0) 2020.06.25

[肺熱][폐열]

 

肺熱者 輕手乃得 微按全無 瞥瞥然 見於皮毛 日西尤甚 乃皮毛之熱也

其證 必見喘咳 洒淅寒熱 輕者

宜瀉白散方見五藏 人蔘地骨皮散 重者 白虎湯方見寒門 凉膈散方見下(東垣).

폐열은 살짝 눌러 보면 나타나고 조금만 더 누르면 나타나지 않으며

걸핏하면 피모(皮毛) 밑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해가 기울어질 때 더욱 심하다.

이것은 피모의 열이다.

그 증상으로는 반드시 숨이 차고 기침하며 오싹오싹하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한다.

경하면 사백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 인삼지골피산이 좋고

중하면 백호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양격산이 좋다[동원].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按辨熱深淺][수안변열심천]  (0) 2020.06.25
[腎熱][신열]  (0) 2020.06.25
[脾熱][비열]  (0) 2020.06.25
[心熱][심열]  (0) 2020.06.25
[肝熱][간열]  (0) 2020.06.25

[脾熱][비열]

 

脾熱者 輕手捫之 不熱 重按至筋骨 亦不熱 不輕 不重

在輕手 重手之間 此熱在肥肉 遇夜尤甚.

其證 必怠惰嗜臥 四肢不收 無氣以動.

實熱則 用瀉黃散方見五藏 調胃承氣湯方見寒門.

虛熱則 用人蔘黃芪散方見虛勞 補中益氣湯方見內傷(東垣).

비열은 살짝 누르면 뜨겁지 않고 힘줄과 뼈에 닿도록 꾹 눌러도 뜨겁지 않으며

중등도로 눌러야 뜨거운데 이것은 열이 힘살에 있는 것이다.

밤이면 더욱 심하다.

그 증상으로는 나른하여 눕기를 좋아하며 팔다리를 거두지 못하고 맥없이 동작한다.

실열(實熱)이 있으면 사황산(瀉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조위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쓰고

허열이면 인삼황기산(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등을 쓴다[동원].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腎熱][신열]  (0) 2020.06.25
[肺熱][폐열]  (0) 2020.06.25
[心熱][심열]  (0) 2020.06.25
[肝熱][간열]  (0) 2020.06.25
[辨五臟熱證][변오장열증]  (0) 2020.06.25

[心熱][심열]

 

心熱者 微按至皮膚之下 肌肉之上 輕手乃得 微按至皮毛之下

則熱少 加力按之 則全不熱 是熱在血脈也 日中太甚

其證 煩心 心痛 掌中熱 而啘 宜導赤散方見五藏 黃連瀉心湯方見神部(東垣).

심열은 피부 밑의 힘살을 살짝 눌러보고 바로 알 수 있다.

약간 눌렀을 때 피모(皮毛)의 밑은 열이 적고 꾹 누르면 열이 전혀 없는 것은 혈맥에 있는 것이다.

한낮이면 더욱 심하다.

그 증상으로는 속이 답답하고 가슴이 아프며 손바닥이 달면서 안타깝다.

이때는 도적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 황련사심탕(처방은 신문에 있다)이 좋다[동원].

 

'[雜病篇] > [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肺熱][폐열]  (0) 2020.06.25
[脾熱][비열]  (0) 2020.06.25
[肝熱][간열]  (0) 2020.06.25
[辨五臟熱證][변오장열증]  (0) 2020.06.25
[脈法][맥법]  (0) 2020.06.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