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飮後卽小便][음후즉소변]
內經曰, 飮入於胃, 游溢精氣, 上輸於脾, 脾氣散精, 上歸於肺.

病人飮入胃, 遽覺至臍下, 便欲小便, 由精氣不輸於脾, 不歸於肺,

故心火上攻, 便口燥咽乾, 宜補中益氣湯[東垣].

내경에서는 "마신 것이 위(胃)에 들어가면 정기가 넘쳐 위로 비에 옮겨가고,

비기(脾氣)는 정을 퍼뜨려 위로 폐에 돌아간다"고 하였다.

그런데 아픈 사람의 경우, 마신 것이 위(胃)에 들어가면 곧장 배꼽 아래에서 느껴지면서

곧 오줌이 마려운 것은 정기가 비로 옮겨가지 못하고 폐에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심화(心火)가 위로 치밀어 곧 입이 마르고 목구멍이 마른다.

보중익기탕을 쓴다(동원).


靈樞曰, 人飮酒, 酒入胃, 穀未熟而小便獨先下何也.

盖酒者, 熟穀之液, 其氣悍以淸, 故後穀而入, 先穀而液出焉.

영추에서는 사람이 술을 마시면 술은 위(胃)로 들어가는데

곡식이 소화가 되기 전에 오줌만 먼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

술은 이미 발효된 곡식의 액체로, 그 기가 빠르고 맑기 때문에

곡식보다 나중에 들어가도 곡식보다 먼저 그 액체가 나온다. 고 하였다.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多寡][소변다과]   (0) 2019.12.22
[交腸證][교장증]   (0) 2019.12.22
[莖中痒痛][경중양통]   (0) 2019.12.22
[脬痺證][포비증]   (0) 2019.12.22
[蠱病白滛][고병백음]  (0) 2019.12.22

[小便多寡][소변다과]
老人與壯年飮水, 無異多寡, 壯年小便甚少, 而老者小便甚多, 何也.
曰, 壯者如春夏之氣, 升者多而降者少.
老者如秋冬之氣, 降者多而升者少, 故不同耳[正傳].
노인이나 젊은이나 마시는 물의 양은 다르지 않은데,

젊은이는 오줌이 매우 적고 노인은 오줌이 매우 많은 것은 어떻게 된 것인가?
젊은이는 봄과 여름의 기와 같아서 올라가는 것이 많고 내려가는 것이 적다.

노인은 가을과 겨울의 기와 같아서 내려가는 것이 많고 올라가는 것이 적다.

그래서 다른 것이다"(정전).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飮後卽小便][음후즉소변]   (0) 2019.12.22
[交腸證][교장증]   (0) 2019.12.22
[莖中痒痛][경중양통]   (0) 2019.12.22
[脬痺證][포비증]   (0) 2019.12.22
[蠱病白滛][고병백음]  (0) 2019.12.22

[交腸證][교장증]
婦人小便中出大便, 名交腸證, 服五苓散效.

如未愈, 舊幞頭燒灰, 酒調服之[得效].
부인의 오줌 속에 대변이 섞여나오는 것을 교장증이라고 한다.

오령산을 먹으면 효과가 있다.

만약 효과가 없으면 오래된 건두를 태워 술에 타서 먹는다(득효).
一婦人病愈後, 小便出屎, 此陰陽失於傳送, 名爲大小腸交也.

先服五苓散 方見寒門 二劑, 又用補中益氣湯而愈[回春].
한 부인이 병이 나은 뒤에 오줌에 대변이 섞여나왔다.

이것은 음양이 전송하는 기능을 잃어버린 것으로 대소장교(大小腸交)라고 한다.

먼저 오령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두 제 복용시키고 다시 보중익기탕을 쓰니 나았다(회춘).
一婦人性嗜酒, 常痛飮不醉, 忽糟粕出前竅, 溲尿出後竅,

六脈皆沈澁, 與四物湯加海金沙木香檳榔木通桃仁服之而愈.

此人酒多, 氣升不降, 陽極虛.

又酒濕積久生熱, 煎熬其血, 陰亦太虛,

陰陽俱虛而暫時活者, 以其形實, 酒中穀氣尙在故也.

三月後必死, 果然[丹溪].
한 부인이 술을 좋아하여 항상 마음껏 마셔도 취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요도에서는 대변이 나오고, 항문에서는 오줌이 나오며

여섯 부위의 맥이 모두 침삽(沈澁)하였다.

사물탕에 해금사, 목향, 빈랑, 목통, 도인을 넣어 복용하니 나았다.

그러나 이 사람은 술을 많이 마셔 기가 올라가기만 하고

내려가지 않아 양(陽)이 매우 허해졌고.

또 술의 습(濕)한 기운이 오랫동안 쌓여 열이 생기고

그 열이 피[血]를 졸여서 음도 매우 허약해졌다.

음양이 모두 허약한데도 잠시 살 수 있었던 것은

그 사람의 몸이 튼튼하고 술 속에 곡기(穀氣)가 있었기 때문이다.

3개월 뒤에 반드시 죽는다고 하였는데, 진짜 그렇게 되었다(단계).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飮後卽小便][음후즉소변]   (0) 2019.12.22
[小便多寡][소변다과]   (0) 2019.12.22
[莖中痒痛][경중양통]   (0) 2019.12.22
[脬痺證][포비증]   (0) 2019.12.22
[蠱病白滛][고병백음]  (0) 2019.12.22

[莖中痒痛][경중양통]
童兒精未盛而御女, 老人陰已痿而思色, 以降其精,

則精不出而內敗, 莖中痛澁而爲淋, 八味丸料加車前子牛膝煎服[入門].
아이가 정(精)이 아직 왕성해지지 않았는데 성생활을 하거나

노인이 발기가 되지 않으면서도 여자 생각을 하여 정을 내보내려 하면

정은 나오지 않고 안에서 상하여 음경 속이 아프고,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며 임병이 된다. 

팔미환의 약 재료에 차전자, 우슬을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若精已竭而復耗之, 則大小便道牽疼,

愈疼則愈欲大小便, 愈便則愈疼, 八味丸 方見五藏 倍附子救之.

凡此當滋化源, 不可誤用知柏淡滲之劑, 旣瀉眞陽, 復損眞陰[入門].
정이 이미 말랐는데도 다시 정을 소모시키면 항문과 요도가 뻐근하게 아프다.

아플수록 대소변을 더 보고 싶고 대소변을 보면 볼수록 더욱 아프다.

팔미환(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에서 부자의 양을 2배로 하여 치료한다.

이것은 당연히 오줌의 근원을 불려주어야지[滋化],

지모나 황백처럼 오줌을 나가게 하는 맛이 심심한 약[淡滲之劑]을 써서는 안 된다.

이는 이미 진양(眞陽)이 손상되어 있는데 다시 진음(眞陰)까지 손상하게 되기 때문이다(입문).
肝經氣滯有熱, 玉莖引脇刺痛, 宜參苓琥珀湯[入門].
간경(肝經)의 기가 막히고 열이 있으면 음경에서 옆구리까지 당기면서 찌르는 것같이 아프다.

삼령호박탕을 쓴다(입문).
病淋而莖中痛不可忍, 六君子湯 方見痰飮 加知母黃柏滑石石葦琥珀煎服[丹心].
임병에 음경이 아파 참을 수 없는 데는

육군자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지모, 황백, 활석, 석위·, 호박을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莖中痛出白津, 小便閉時作痒, 小柴胡湯 方見寒門

加梔子澤瀉黃連炒木通龍膽草赤茯苓煎服,

兼服六味地黃丸 方見五藏 爲妙[回春].

음경 속이 아프고 허연 진액이 나오며 오줌이 막히고 때때로 가려운 데는

소시호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에

치자, 택사, 황련(볶은 것), 목통, 용담초, 적복령을 넣고 달여 먹는데,

육미지황환(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을 같이 먹으면 더욱 좋다(회춘).

小便淋澁, 莖中作痛, 屬肝經濕熱, 用龍膽瀉肝湯[回春] 方見前陰.

오줌이 찔끔찔끔 껄끄럽게 나오고 음경 속이 아픈 것은

간경의 습열(濕熱)이므로 용담사간탕(처방은 전음문에 있다)을 쓴다(회춘).

精竭不痛莖痒者, 八味丸.

熱盛莖中澁痛, 導赤散 方見五藏 加梔子大黃[入門].

정(精)이 고갈되고 아프지 않으면서 음경이 가려운 데는

팔미환을 쓰고, 열이 왕성하여 음경 속이 껄끄럽고[澁] 아픈 데는

도적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에 치자와 대황을 넣고 쓴다(입문).

莖中痒出白津, 多因脾土不足, 不能滋生金水, 以致肝經血虛火燥,

宜補中益氣湯與淸心蓮子飮間服.

盖脾胃爲肝腎之源, 心實主之[入門].

음경 속이 가렵고 허연 진액이 나오는 것은

대개 비토(脾土)가 부족하여 금(金)과 수(水)를 잘 돋구어 기르지[滋生] 못하여

간경의 혈이 허해져서 화(火)가 있고 조(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보중익기탕과 청심연자음을 번갈아 먹는다.

비위(脾胃)는 간신(肝腎)의 근원이지만 심(心)이 실제로 주관한다(입문).

陰莖痛乃厥陰經氣滯兼熱, 用甘草梢, 盖欲緩其氣耳[正傳].

음경이 아픈 것은 즉, 궐음경의 기가 막히고 열이 있는 것이므로 감초초를 쓰는데,

이는 그 기를 풀어주고자 한 것일 뿐이다(정전).  

[一方]

治淋, 莖中痛.

甘草梢, 木通 各二錢, 靑皮, 黃柏, 澤瀉 各一錢.

右剉作一貼, 空心水煎服[丹心]. 

임병으로 음경 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감초초, 목통 각 두 돈,

청피, 황백, 택사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多寡][소변다과]   (0) 2019.12.22
[交腸證][교장증]   (0) 2019.12.22
[脬痺證][포비증]   (0) 2019.12.22
[蠱病白滛][고병백음]  (0) 2019.12.22
[赤白濁][적백탁]   (0) 2019.12.22

[脬痺證][포비증]
內經曰, 脬痺者, 小腹膀胱按之內痛, 若沃以湯, 澁于小便, 上爲淸涕.

내경에서는 "포비란 아랫배의 방광 부위를 누르면 뜨거운 물을 부은 듯이 속이 아프고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며 위로는 맑은 콧물이 나온다"고 하였다.

夫膀胱者, 津液之府, 氣化則能出.

今風寒濕邪氣客于脬中, 則氣不能化出, 故脬滿而水道不通也.

足太陽之經, 從巓入絡腦, 腦氣下灌, 出於鼻爲涕也[綱目].

방광은 진액을 저장하는 곳으로 기화(氣化)하면 오줌이 나올 수 있다.

그런데 풍한습의 사기가 포(脬)에 침입하면 기화하여 내보낼 수 없으므로

포가 가득 차고 요도[水道]가 통하지 않게 된다.

족태양경은 정수리에서 뇌 속으로 들어가 얽고

뇌의 기가 아래로 흘러 코로 나오는 것이 콧물이다(강목).

脬痺卽寒淋之類也, 屬風寒濕.

宜巴戟丸, 溫腎湯[入門].

포비는 한림(寒淋)의 한 종류로, 풍한습에 속한다.

파극환, 온신탕을 쓴다(입문).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交腸證][교장증]   (0) 2019.12.22
[莖中痒痛][경중양통]   (0) 2019.12.22
[蠱病白滛][고병백음]  (0) 2019.12.22
[赤白濁][적백탁]   (0) 2019.12.22
[小兒藥毒成淋][소아약독성림]   (0) 2019.12.21

[蠱病白滛][고병백음]
內經曰, 脾傳之腎, 病名曰疝瘕, 小腹寃熱而痛出白, 一名曰蠱

註曰, 腎脈貫脊屬腎絡膀胱, 故小腹寃熱而痛, 溲出白液也.

寃熱內結, 消蝕脂肉, 如虫之蝕, 日內損削, 故云交接漸微也.
내경에서는 "비(脾)가 신(腎)에 전한 병을 산가(疝瘕)라고 하는데,

아랫배에 열이 몰려서 아프며 오줌이 뿌옇게 나온다. 고(蠱)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에서는 신맥은 척주를 뚫고[貫] 신(腎)에 소속되며[屬] 방광을 얽는다[絡].

그래서 아랫배에 열이 몰려서 아프면서 오줌이 뿌옇게 나온다.

열이 몰려 안에서 뭉치면 벌레가 좀먹듯이 지방과 살을 녹이고 삭이기 때문에

날마다 안으로 손상되고 삭아서 성 기능이 점점 약해진다"고 하였다.
夫脾受風邪, 傳於腎經, 邪熱內爍,

故其證小腹寃熱而痛, 溲出白液, 病名曰蠱.

盖邪熱內鬱, 眞精不守故也, 宜肉蓯蓉丸[類聚].
비(脾)가 풍사(風邪)를 받아 신경(腎經)에 전하면 사열(邪熱)이 안을 녹이기 때문에

아랫배에 열이 몰려서 아프고 오줌이 뿌옇게 나오는 증상이 생기는데, 이 병을 고(蠱)라고 한다.

이는 사열이 안에 뭉쳐 진정(眞精)을 지킬 수 없기 때문이다. 육종용환을 쓴다(유취).
內經曰, 思想無窮, 所願不得, 意淫於外,

入房太甚, 宗筋弛縱, 發爲筋痿, 及爲白滛, 謂白物淋滛, 如精之狀也, 宜半苓丸 方見上.
내경에서는 "생각은 끝이 없는데 바라는 것을 이루지 못하거나, 생각이 바깥으로 흘러넘치고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면 종근(宗筋)이 늘어져 근위(筋痿)가 되고

나아가 백음(白淫)이 된다"고 하였는데,

이는 흰 것이 정액처럼 찔끔찔끔 흘러나오는 것을 말한다.

반령환을 쓴다(처방은 앞에 있다).
戴人曰, 遺尿閉癃, 陰痿脬痺, 精滑白滛, 皆男子之疝也.

血涸不月, 腰膝上熱, 足躄嗌乾癃閉, 小腹有塊,

或定或移, 前陰突出, 後陰痔核, 皆女子之疝也.

但女子不謂之疝, 而謂之瘕也[子和].
장종정은 "유뇨, 폐륭(閉癃), 음위, 포비(脬痺), 정활, 백음은 모두 남자의 산(疝)이며,

피[血]가 말라 월경이 없는 것, 허리와 무릎 위로 열이 나는 것, 다리를 저는 것,

목구멍이 마르는 것, 융폐, 아랫배에 덩어리가 있어 한곳에 있기도 하고 움직이기도 하는 것,

밑[前陰]이 빠져나온 것, 항문의 치핵(痔核)은 모두 여자의 산(疝)인데,

여자는 산이라고 하지 않고 가(瘕)라고 한다"고 하였다(자화).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莖中痒痛][경중양통]   (0) 2019.12.22
[脬痺證][포비증]   (0) 2019.12.22
[赤白濁][적백탁]   (0) 2019.12.22
[小兒藥毒成淋][소아약독성림]   (0) 2019.12.21
[諸淋通治][제임통치]   (0) 2019.12.21

[赤白濁][적백탁]
小便出赤濁或白濁, 其狀漩面如油, 光彩不定, 漩脚澄下, 凝如膏糊,

或如米泔, 或如粉糊, 或如赤膿, 皆是濕熱內傷也.

猶如天氣熱則水渾濁, 渾濁之病, 濕熱明矣[回春].

오줌이 뻘겋게 혹은 뿌옇게 나오는데 표면에 기름 같은 것이 떠돌고 그 빛도 어른어른하며,

떠도는 것이 그쳐 가라앉으면 기름 같은 가루나 쌀뜨물, 쌀가루, 뻘건 고름 같은 것이 뭉치는데,

이는 모두 습열(濕熱)로 생긴 내상(內傷)이다.

마치 날씨가 더우면 물이 혼탁해지듯이 오줌이 혼탁한 병은 습열에 의한 것이 분명하다(회춘). 

先賢有言, 夏則土燥而水濁, 冬則土堅而水淸, 此其理也.

水火旣濟則土自堅, 其流淸矣.

小便白濁, 盖脾有虛熱而腎不足, 土邪干水也[得效].

옛날의 어떤 현명한 사람이 "여름에는 땅이 마르고 물이 흐리며

겨울에는 땅이 단단하고 물이 맑다"고 하였는데 바로 이런 이치이다.

물과 불이 잘 교류하면[水火旣濟] 땅은 저절로 단단해지고 맑은 물이 흐른다.

오줌이 뿌연 것은 모두 비(脾)에 허열(虛熱)이 있고,

신(腎)이 부족하여 토(土)의 사기(邪氣)가 수(水)를 침범한 것이다(득효).

內經曰, 水液渾濁, 皆屬於熱.

내경에서는 "수액(水液)이 혼탁한 것은 모두 열(熱)에 속한다"고 하였다.

便濁之證, 因脾胃之濕熱下流, 滲入膀胱,

故使溲便或白或赤而渾濁不淸也.

血虛而熱甚者, 則爲赤濁, 此心與小腸主病, 屬火故也.

氣虛而熱微者, 則爲白濁, 肺與大腸主病, 屬金故也[正傳].

오줌이 흐린 병증은 비위(脾胃)의 습열이 아래로 흘러 내려가 방광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줌을 누면 뿌옇거나 뻘거면서 혼탁하고 맑지 않다.

혈(血)이 허하면서 열이 심하면 오줌이 뻘겋고 탁하게 되는데,

이는 심과 소장의 병으로 화(火)에 속하기 때문이다.

기가 약하고 열이 약간 있으면 오줌이 뿌옇게 되는데,

이는 폐와 대장의 병으로 금(金)에 속하기 때문이다(정전).

赤白濁皆因脾胃濕熱, 中焦不淸, 濁氣滲入膀胱爲濁[入門].

적탁과 백탁은 비위에 습열이 있어 생기는데,

이는 중초가 맑지 못하여 그 탁한 기가 방광으로 스며들어가 탁하게 된 것이다(입문).

赤者心虛有熱, 由思慮而得之.

白者腎虛有寒, 因嗜慾而致也[醫鑑].

적탁은 심이 허하면서 열이 있는 것인데 생각이 지나쳐서 생긴다.

백탁은 신이 허하고 찬 것인데 성생활이 지나쳐서 생긴다(의감).

小便濁主濕熱, 有痰有虛,

赤屬血, 白屬氣, 與痢疾帶下同治[丹心].

오줌이 뿌연 것은 습열이 주된 원인이지만 담(痰)이나 허약한 데서도 생기는데,

적탁은 혈에 속하고 백탁은 기에 속하며 이질이나 대하의 치료법과 같다(단심).
赤白濁, 肥人多濕痰, 二陳湯加蒼朮白朮升麻柴胡, 或星半蛤粉丸.

瘦人是虛火, 四物湯加知母黃柏, 或珍珠粉丸 方見精門, 樗柏丸[入門].

적탁과 백탁에서 뚱뚱한 사람은 습담(濕痰)이 많으므로

이진탕에 창출, 백출, 승마, 시호를 넣어 쓰거나 성반합분환을 쓴다.

마른 사람은 허화(虛火)가 원인이므로 사물탕에 지모, 황백을 넣어 쓰거나

진주분환(처방은 정문에 있다), 저백환을 쓴다(입문).

思慮勞心, 宜辰砂妙香散 方見神門, 金蓮丸.

房勞傷腎者, 萆薢分淸飮, 小兔絲子元 方見虛勞.

脾精不斂成漏濁, 宜蒼朮難名丹, 四炒固眞丹, 蠟苓元.

胃氣下陷, 宜補中益氣湯 方見內傷.

생각을 지나치게 골똘히 하여 생긴 데는 진사묘향산(처방은 신문에 있다),

금련환을 쓰고, 성생활로 신(腎)이 손상되어 생긴 데는

비해분청음, 소토사자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고,

비(脾)의 정(精)이 갈무리되지 못하여 오줌이 뿌옇게 나오는 데는

창출난명단, 사초고진단, 납령원을 쓰고,

위기(胃氣)가 아래로 가라앉은 데는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

凡便濁, 必兼服加減珍珠粉丸[入門].

오줌이 뿌연 데는 반드시 가감진주분환을 함께 써야 한다(입문).

治法, 宜燥濕降火兼升擧之,

二陳湯加二朮升麻柴胡白芍藥[丹心].

치료 방법은 습을 말리고[燥濕] 화를 내리면서[降火] [기를] 끌어올려야 하니[升擧]

이진탕에 창출, 백출, 승마, 시호, 백작약을 넣어 쓴다(단심).

白濁, 宜四君子湯 方見氣門 合五苓散 方見寒門 煎服[直指].

백탁에는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과

오령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합하여 달여 먹는다(직지).

又秘精元, 固本元, 半苓丸, 導赤湯, 皆宜.

또 비정원, 고본원, 반령환, 도적탕도 모두 쓸 수 있다.

赤濁, 宜加味淸心飮, 淸心蓮子飮 方見消渴.

적탁에는 가미청심음, 청심연자음(처방은 소갈문에 있다)을 쓴다.

赤白濁通用芡實元 方見精門, 妙應丸, 辰砂妙香散 方見神門, 水火分淸飮, 桑螵蛸散.

적탁과 백탁에는 감실원(처방은 정문에 있다), 묘응환,

진사묘향산(처방은 신문에 있다), 수화분청음, 상표초산을 두루 쓴다.

赤白濁小腹疼痛不可忍, 宜作寒治, 東垣酒煮當歸丸最妙 方見婦人[正傳].

적탁과 백탁에 아랫배가 참지 못할 정도로 아픈 것은

한증(寒證)으로 보고 치료하여야 하는데,

이고의 주자당귀환(처방은 부인편에 있다)이 가장 효과가 좋다(정전).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脬痺證][포비증]   (0) 2019.12.22
[蠱病白滛][고병백음]  (0) 2019.12.22
[小兒藥毒成淋][소아약독성림]   (0) 2019.12.21
[諸淋通治][제임통치]   (0) 2019.12.21
[冷淋][냉림]   (0) 2019.12.21

[小兒藥毒成淋][소아약독성림]
一年少自初生七箇月患淋病, 五日七日必一發.

其發也, 大痛捫地呌天, 水道方行, 狀如漆如粟者約一盞, 然後定.

診其脈, 輕則濇重則弦, 視其形瘦而稍長, 其色靑而蒼.

意其父必因多服下部藥, 遺熱在胎, 留於子之命門而然.

遂以紫雪和黃柏細末丸梧子大, 晒十分乾而與二百丸作一服,

經二時又與三百丸作一服, 率以熱湯下, 以食物壓之.

又經半日, 痛大作連腰腹, 水道乃行, 下如漆如粟者一大椀許.

其病減十分之八, 後以陳皮一兩桔梗木通各半兩, 作一貼與之, 又下漆粟者一合許, 遂安[丹溪].
태어난 지 1년이 된 소아가 태어나서부터 7개월까지 임병을 앓았다.

반드시 5일에서 7일 간격으로 한 번씩 앓는데,

병을 앓으면 너무나 아파서 땅을 박박 긁고 심하게 울다가 오줌이 나오면

옻같이 검고 좁쌀 알 같은 것이 섞인 오줌이 약 한 잔 정도 나오고 나서야 진정되었다.

맥을 보니 가볍게 잡으면 색(濇)하고 누르면 현(弦)하였으며,

몸은 수척해졌으나 조금은 성장하였으며, 피부는 푸르면서 창백하였다.

그래서 이는 분명히 그 아버지가 하초에 작용하는 약을 많이 먹어서

그 남은 열이 태아에 미치고 자식의 명문에 머물러 생겼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자설과 황백을 곱게 가루내어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햇볕에 완전히 말려 이백 알을 한 번에 복용시켰다.

4시간이 지난 다음 다시 삼백 알을 뜨거운 물로 복용시키고

음식을 먹어 약 기운을 누르게 하였다.

한나절이 지나자 허리와 배까지 심하게 아프면서 옻빛이 나며

좁쌀 같은 것이 섞인 오줌이 큰 대접으로 하나쯤 나오자 병이 10분의 8은 나았다.

다시 진피 한 냥, 길경, 목통 각 반 냥을 한 첩으로 하여 복용시키니

또 옻빛이 나며 좁쌀 같은 것이 섞인 오줌이 한 홉 정도 나온 다음 나았다(단계).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蠱病白滛][고병백음]  (0) 2019.12.22
[赤白濁][적백탁]   (0) 2019.12.22
[諸淋通治][제임통치]   (0) 2019.12.21
[冷淋][냉림]   (0) 2019.12.21
[沙淋][사림]   (0) 2019.12.21

[諸淋通治][제임통치]
淋證所感不一, 或因房勞, 或因忿怒, 或因醇酒, 或因厚味.

盖房勞者陰虛火動也, 忿怒者氣動生火也, 醇酒厚味者釀成濕熱也.

積熱旣久, 熱結下焦, 所以淋瀝作痛.

初則熱淋血淋, 久則煎熬水液, 稠濁如膏如砂如石也.

夫散熱利小便, 只能治熱淋血淋而已.

其膏淋沙淋石淋, 必須開鬱行氣破血滋陰方可也.

古方用鬱金琥珀開鬱也, 靑皮木香行氣也, 蒲黃牛膝破血也, 黃柏生地黃滋陰也.

東垣治小腹痛用靑皮黃柏, 夫靑皮疎肝, 黃柏滋腎.

盖小腹乃肝腎之部位也[丹心].

임증의 원인은 지나친 성생활, 분노(忿怒), 진한 술, 맛이 진한 음식 등 여러 가지이다.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면 음(陰)이 허약해지고 화(火)가 뜨며,

화를 자주 내면 기가 움직여 화(火)가 생기며,

진한 술과 맛이 진한 음식은 습열(濕熱)을 만들어낸다.

열이 쌓여 오래되면 열이 하초에 뭉치기 때문에

오줌이 찔끔찔끔 시원하지 않게 나오면서 아픈 것이다.

처음에는 열림과 혈림이 되고 오래되면 몸 안의 수액(水液)이 졸아들어

기름덩어리나 모래, 돌처럼 걸쭉하고 탁해진다.

열을 흩어지게 하고 오줌을 잘 누게 하여서는 열림과 혈림을 치료할 수 있을 뿐이고,

이미 고림, 사림, 석림이 된 것은 반드시 뭉친 것을 풀고[開鬱] 기를 잘 돌리고[行氣]

혈(血)을 흩뜨려[破血] 음을 길러야만[滋陰] 치료할 수 있다.

옛날 처방에서는 울금·호박으로 뭉친 것을 풀고, 청피, 목향으로 기를 잘 돌게 하고,

포황, 우슬로 혈을 흩뜨리고, 황백·생지황으로 음을 길렀다.

이고(李杲)는 아랫배가 아플 때 청피와 황백으로 치료하였는데,

청피는 간의 뭉친 기를 풀고 황백은 신의 기를 기른다.

아랫배는 간과 신의 부위이다(단심).

諸淋通用瀉腎湯, 鬱金黃連丸, 三因琥珀散, 石葦散, 五淋散, 通草湯,

琥珀散 方見上, 二神散 方見上, 必效散, 海金沙散, 澹寮方, 五淋散, 婦人白茅湯.

小兒藥毒成淋.

여러 임병에는 사신탕, 울금황련환, 삼인호박산, 석위산, 오림산, 통초탕,

호박산(처방은 앞에 있다), 이신산(처방은 앞에 있다), 필효산, 해금사산,

담료방, 오림산, 부인은 백모탕을 두루 쓴다.

소아는 약의 독(毒) 때문에 임병이 된다.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赤白濁][적백탁]   (0) 2019.12.22
[小兒藥毒成淋][소아약독성림]   (0) 2019.12.21
[冷淋][냉림]   (0) 2019.12.21
[沙淋][사림]   (0) 2019.12.21
[膏淋][고림]  (0) 2019.12.21

[冷淋][냉림]
必先寒慄, 小便澁數, 竅中腫痛[入門].
냉림은 반드시 먼저 추워 으스스 떨리고

오줌이 껄끄러우면서 자주 누며 요도가 붓고 아프다(입문).
亦有挾冷而淋者, 其證先寒戰而得溲便.

盖冷氣與正氣交爭, 冷氣勝則寒戰成淋, 正氣勝則寒戰解而得便尿也[直指].
또 냉(冷)을 껴서 임병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 증상은 먼저 추워서 떤 뒤에 오줌이 나온다.

이는 냉기와 정기가 서로 다투다 냉기가 이기면 추워서 떠는 임병이 되고,

정기가 이기면 추워서 떠는 증상이 없어지면서 오줌이 나오는 것이다(직지).
冷淋, 宜八味丸 方見虛勞, 生附湯, 木香湯.
냉림에는 팔미환(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생부탕, 목향탕을 쓴다.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兒藥毒成淋][소아약독성림]   (0) 2019.12.21
[諸淋通治][제임통치]   (0) 2019.12.21
[沙淋][사림]   (0) 2019.12.21
[膏淋][고림]  (0) 2019.12.21
[石淋][석림]   (0) 2019.1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