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便不通][소변불통]
胞移熱於膀胱, 則癃尿血[內經].

포에서 열을 방광으로 옮기면 융(癃)과 요혈이 된다(내경).

膀胱不利爲癃[內經].

방광의 기가 잘 통하지 않으면 융이 된다(내경).

八正散加木香主之[丹心].

팔정산에 목향을 넣은 것이 주치한다(단심).

足厥陰之脉過陰器, 所生病, 遺尿閉癃.

督脉者, 女子入繫挻孔, 其孔, 尿孔之端也.

其生病癃痔遺尿. 足三焦者, 太陽之別也,

入絡膀胱, 約下焦. 實則癃閉, 虛則遺尿[綱目].

족궐음의 맥은 생식기를 지나는데, 그곳에서 생기는 병은 유뇨와 융폐다.

독맥은 여자의 질 속으로 들어가 얽혀 있는데, 그 구멍이 요도의 끝이다.

그곳에서 생기는 병은 융, 치질, 유뇨이다.

삼초는 태양경에서 나뉘어진 것으로, 방광으로 들어가 얽고[絡] 하초를 묶는다[約].

실하면 융폐가 되고, 허하면 유뇨가 된다(강목).

閉癃, 合而言之, 一病也.

分而言之, 有暴久之殊.

盖閉者暴病, 爲尿點滴不出, 俗呼小便不通是也.

癃者久病, 爲尿澁淋瀝, 點滴而出, 一日數十次或百次, 名爲淋病是也[綱目].

폐(閉)와 융은 합하여서 보면 같은 병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나누어 보면 급성과 만성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보통 폐는 급작스러운 병으로,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고 잘 나오지 않는다.

일반인들이 소변불통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융은 오래된 병으로, 오줌이 시원하지 않게 방울방울 나오며 오줌을 하루에 수십 번,

혹은 백 번을 누는데, 임병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강목).

熱在下焦, 塡塞不便, 其證小便閉塞而不渴, 時見躁者是也[元素].

열이 하초에 있으면 꽉 막혀서 오줌이 나오지 않는데,

오줌은 막히면서도 갈증은 없고 때로 안절부절못하는 것이 바로 그 증상이다(원소).
小便不通, 有氣血之異.

如渴而小便不通者, 熱在上焦氣分, 宜淸肺散.

如不渴而小便不通者, 熱在下焦血分, 宜滋腎丸[東垣].

오줌이 나오지 않는 원인에는 기분(氣分)과 혈분(血分)의 차이가 있다.

갈증이 있으면서 오줌이 나오지 않으면 열이 상초의 기분에 있는 것으로 청폐산을 쓴다.

갈증이 없으면서 오줌이 나오지 않으면 열이 하초의 혈분에 있는 것으로 자신환을 쓴다(동원).

小便不通, 臍下狀如覆椀, 痛悶難堪, 治法有二.

如氣不能化而不通, 則陳皮茯苓湯調木香沈香末二錢, 空心服, 兼用吐法以提之.

如血汚於下而不通, 則用桃仁承氣湯之類 方見寒門, 以破之[綱目].

오줌이 나오지 않고 배꼽 아래가 작은 사발을 엎어놓은 듯하고,

아프면서 답답하여 견디기 어려운 데는 치료법이 두 가지가 있다.

기화 작용이 되지 않아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 진피와 복령을 달인 물에

목향과 침향가루 두 돈을 타서 빈속에 먹으면서 아울러 토하는 방법을 써서 기를 끌어올린다.

혈이 아래에서 더러워져 오줌이 나오지 않으면

도인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 같은 것으로 없애야 한다[破](강목).

夫熱則不通, 冷則不禁. 其熱盛者, 小便閉而絶無.

其熱微者, 小便難而僅有[直指].

열이 있으면 오줌이 나오지 않고, 냉하면 오줌을 참지 못한다.

열이 심하면 오줌이 막혀서 한 방울도 나오지 않고,

열이 적으면 오줌 누기가 어렵지만 겨우겨우 나오기는 한다(직지).

小便不通乃血澁, 致氣不通而竅澁, 宜導氣除燥湯[東垣].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은 혈이 잘 돌지 않아[澁] 기도 통하지 않게 되고

오줌 나오는 길도 껄끄러워져서 생긴 것이므로 도기제조탕을 쓴다(동원).

小便不通, 宜五苓散 方見傷寒,

導赤元, 地膚子湯, 宣氣散, 通關丸, 猪苓湯, 加味五苓散, 透泉散.

오줌이 나오지 않는 데는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도적원, 지부자탕, 선기산, 통관환, 저령탕, 가미오령산, 투천산을 쓴다.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癃閉宜吐][융폐의토]   (0) 2019.12.18
[老虛人癃閉][노허인융폐]   (0) 2019.12.18
[小便不利][소변불리]   (0) 2019.12.17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0) 2019.12.16
[脉法][맥법]   (0) 2019.12.16

[小便不利][소변불리]   
陰虛則小便難[仲景].
음이 허하면 오줌 누기가 어렵다(중경).
小便澁者, 血因火爍, 下焦無血, 氣不得降, 而滲泄之令不行也.

宜補陰降火, 四物湯 方見血門 加知母黃柏[丹心].
오줌 누기가 껄끄러운 것은 혈이 불에 타버려 하초에 혈이 없고 기가 내려가지 못하여

기가 오줌을 흘러나가게 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음을 보하고 화를 내려야 한다.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모와 황백을 넣어 쓴다(단심).
下焦無血, 小便澁數而黃.

四物湯加知母黃柏牛膝甘草梢[丹心].
하초에 혈이 없으면 오줌 누기가 껄끄럽고 자주 누며 누렇다.

사물탕에 지모·황백·우슬·감초초를 넣는다(단심).
小便難者, 出不快也.

經曰, 陽入陰分, 則膀胱熱而小便難, 惟陰分虛而陽熱乘之.

若小便黃赤, 則萬全木通散利之[入門].
오줌 누기가 어렵다는 것은 오줌 나오는 것이 시원하지 않다는 것이다.

경전에서는 "양이 음분에 들어가면 방광에 열이 생겨 오줌 누기가 어렵다"고 하였는데,

이는 음분이 허한 틈을 타서 양의 열이 침범한 것이다.

만약 오줌이 황적색이면 만전목통산으로 잘 나오게 한다(입문).
小便數而不利者有三.

若大便泄瀉, 而津液澁少者一也, 宜利而已.

若熱搏下焦, 津液不能行者二也, 必滲瀉乃愈.

若脾胃氣澁, 不能通調水道, 下輸膀胱而化者三也,

可順氣令施化而出.

宜茯苓琥珀散[綱目].

오줌을 자주 누고 시원하지 않은 데는 세 가지 원인이 있다.

설사로 진액이 부족해진 것이 그 첫째로, 이때는 잘 통하게만 하면[利] 낫는다.

열이 하초를 쳐서 진액이 잘 돌지 못한 것이 두 번째로,

이때는 진액이 조금씩 스며나가게 하면[滲瀉] 낫는다.

비위(脾胃)의 기가 잘 돌지 못하여[澁] 수도(水道)를 통하게 하지 못하고

방광으로 내려보내 오줌으로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이 그 세 번째로,

이때는 기를 순조롭게 하여[順氣] 오줌으로 변하게 하면 나온다.

복령호박산을 쓴다.[강목] 

上盛下虛, 小便赤澁,

或欲成淋, 宜淸心蓮子飮 方見消渴, 導赤散 方見五藏[得效].
위[上焦]는 왕성한데 아래[下焦]가 허하여 오줌이 뻘겋고 잘 나오지 않거나

임병(淋病)이 되려고 할 때는 청심연자음(처방은 소갈문에 있다),

도적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을 쓴다(득효).
腎虛小便數而瀝, 如欲滲之狀, 宜平補元[直指].

신(腎)이 허하여 오줌을 자주 누면서도 찔끔찔끔 나오는 것이

마치 물이 새는 것과 같은 데는 평보원을 쓴다(직지).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虛人癃閉][노허인융폐]   (0) 2019.12.18
[小便不通][소변불통]   (0) 2019.12.17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0) 2019.12.16
[脉法][맥법]   (0) 2019.12.16
[辨尿色][변뇨색]   (0) 2019.12.16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候其鼻頭色黃者, 小便必難[仲景].
코끝이 황색이면 반드시 오줌 누기가 어렵다(중경).
候其鼻準色黃者, 知其小便難也[正傳].
콧마루가 황색이면 오줌 누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정전).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不通][소변불통]   (0) 2019.12.17
[小便不利][소변불리]   (0) 2019.12.17
[脉法][맥법]   (0) 2019.12.16
[辨尿色][변뇨색]   (0) 2019.12.16
[脬爲尿器][포위뇨기]   (0) 2019.12.16

[脉法][맥법]
少陰脉數, 婦人則陰中生瘡, 男子則氣淋.

소음맥이 삭(數)하면 부인은 생식기가 헌 것이며, 남자는 기림이다.

腎脉滑實爲癃[仲景].

신맥이 활실(滑實)하면 융퇴이다(중경).

遺精白濁, 當驗於尺, 結芤動緊, 二證之的[脈訣].

유정과 백탁은 척맥에서 알 수 있는데,

결규동긴(結芤動緊)한 맥은 두 가지 증상의 기준이다(맥결).

便血則芤, 數則赤黃, 實脉癃閉, 熱在膀胱[脈訣].

변혈에는 규맥(芤脈)이 나타나고, 삭맥이면 오줌이 적황색이며,

실맥(實脈)은 융폐로 열이 방광에 있는 것이다(맥결).

兩尺脉洪數, 必便濁遺精[正傳].

양쪽 척맥이 홍삭(洪數)하면 반드시 오줌이 탁하고 유정이 있다(정전).

淋脉盛大而實者生, 虛細而澁者死[脈經].

임병(淋病)에 맥이 왕성하고 대(大)하면서 실(實)하면 살고,

허세(虛細)하면서 삽(澁)하면 죽는다(맥경).

癃病脉細不治[綱目].

융병에 맥이 세(細)하면 치료하지 못한다(강목).

淋病之脉, 細數何妨, 少陰微者, 氣閉膀胱.

女人見之, 陰中生瘡, 大實易愈, 虛澁則亡[醫鑑]

임병의 맥이 세삭하면 문제가 없고, 소음맥이 미(微)하면 기가 방광에서 막힌 것이다.

여자로 보면 생식기가 헐었을 때 맥이 대실(大實)하면 쉽게 낫고, 허삽(虛澁)하면 죽는다(의감).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不利][소변불리]   (0) 2019.12.17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0) 2019.12.16
[辨尿色][변뇨색]   (0) 2019.12.16
[脬爲尿器][포위뇨기]   (0) 2019.12.16
[小便原委][소변원위]   (0) 2017.05.19

[辨尿色][변뇨색]
水液渾濁皆屬於熱.

오줌이 혼탁한 것은 모두 열에 속한다.

小便黃者, 小腹中有熱也.

오줌이 누런 것은 아랫배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肝熱病者, 小便先黃.

간열병은 오줌이 먼저 누렇게 된다.

足陽明之脉病, 氣盛則尿色黃[內經].

족양명경의 병에 기가 지나치게 왕성하면 오줌이 누렇다(내경).

疸證小便如黃柏汁[仲景].

황달증은 오줌이 마치 황백즙 같다(중경).

小便有五色, 惟赤白色者多, 赤色多因酒得之, 白色乃下元虛冷[資生].

오줌은 다섯 가지 색이 있지만, 적색과 백색이 많다.

적색은 거의 술에 의한 것이며, 백색은 하초의 원기가 허하고 냉한 것이다(자생).

下焦無血, 小便澁數而黃[正傳].

하초에 혈이 없으면 오줌 누기가 껄끄럽고 자주 누며, 색이 누렇다(정전).

小便不禁, 赤者有熱, 白者氣虛[丹心].

오줌을 참지 못하면서 오줌이 붉은 것은 열이 있는 것이며, 흰 것은 기가 허한 것이다(단심).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不利][소변불리]   (0) 2019.12.17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0) 2019.12.16
[脉法][맥법]   (0) 2019.12.16
[脬爲尿器][포위뇨기]   (0) 2019.12.16
[小便原委][소변원위]   (0) 2017.05.19

[脬爲尿器][포위뇨기]
膀胱雖曰津液之府, 至於受盛津液, 則又有脬而居膀胱之中焉.

故內經曰, 脬移熱於膀胱.

靈樞曰, 膀胱之脬, 薄以濡.

類纂曰, 膀胱者, 脬之室也.

夫脬之居於膀胱也, 有上口而無下口, 津液旣盛於脬, 無由自出,

必因乎氣化, 而後能漸漬浸潤於胞外, 積於脬下之空處, 遂爲尿以出於前陰也.

若曰, 脬下無空處, 則人尿急時至厠, 安能卽出乎.

夫惟積滿脬下之空處而不可再容, 故急, 急則至厠卽出矣[東垣].
방광이 비록 진액을 담는 곳이라고 하지만 진액을 받아들이는 곳은 포(脬)가 따로 있으며,

이 포는 방광 속에 있다.

그래서 내경에서는 "포가 방광으로 열을 옮긴다"고 하였고,

영추에서는 "방광의 포는 얇고 부드럽다"고 하였으며,

유찬에서는 "방광은 포가 들어 있는 곳[室]이다"라고 하였다.

포는 방광 안에 있는데 윗구멍은 있으나

아랫구멍은 없어서 진액이 포에 이미 가득 차도 스스로 내보내지 못하고,

반드시 기화 작용을 통하여서만 포의 바깥으로 조금씩 축축하게 스며나가

포 아래의 빈 공간에 쌓여 마침내 오줌이 되어 전음(前陰)으로 나가는 것이다.

만약 포 아래 빈 공간이 없다면,

오줌이 마려워 뒷간에 가도 어찌 오줌이 곧 나올 수 있겠는가.

포 아래 빈 공간이 가득 차서 더 담을 수 없으므로 오줌이 급하게 되고,

오줌이 급하여서 뒷간에 가면 곧 나오게 되는 것이다(동원).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不利][소변불리]   (0) 2019.12.17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0) 2019.12.16
[脉法][맥법]   (0) 2019.12.16
[辨尿色][변뇨색]   (0) 2019.12.16
[小便原委][소변원위]   (0) 2017.05.19

[小便原委][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
[靈樞](營衛生會 第十八)曰 水穀者
常幷居胃中 成糟粕而俱下于大腸而成
下焦滲而俱下濟 泌別汁循下焦而滲入膀胱焉.
영추에는 “음식물은 늘 위(胃)에서 소화되어 대장으로 내려가면서
하초(下焦)의 작용을 받는데 이때에 여과되어 하초에 있는 방광으로
스며들어간 즙이 오줌이다”고 씌어 있다.
[內經]註曰 “水液者 廻腸泌別汁 滲入膀胱之中 胞氣化之 而爲尿而泄出也”
내경의 주해에는 “대장의 수액(水液)이 여과되어 조금씩 방광으로 스며들어가서
포(胞)의 기화(氣化)작용을 받아 오줌이 되어 나간다”고 씌어 있다.
[難經] 註曰 “水穀者 小腸盛受於闌門 以分別也.
其水卽滲灌 入於膀胱上口 而爲溲便”
詳此三說 則小便 卽泌別之水液 滲入膀胱 以出者也.
난경의 주해에는 “음식물이 소화되어 소장으로 내려왔다가 난문(蘭門)에서
수분이 따로 갈라져 방광으로 스며들어가서 오줌이 된다”고 씌어 있다.
[內經](經脈別論 篇二十一) 曰 飮入於胃 遊溢精氣
上輸於脾 脾氣散精 上歸於肺 通調水道 下輸膀胱 則小便.
내경에는 “음식이 위(胃)에서 소화되어 정기(精氣)가 위로 올라가 비(脾)로 간다.
그런데 비기는 그 정기를 펴서 위[上]에 있는 폐에 올려보내고
또한 수분이 돌아가는 길을 잘 통하게 하고 고르롭게[調] 되게 하여
수분을 방광으로 내려가게 한다”고 씌어 있다.
又似水飮 精微之氣 上升脾肺 運化而後成者也.
夫溲尿者 水也.
水之下流 其性則然也.
飮入於胃 其精氣雖上升 其本體固 不能上升 則豈可謂小便.
獨爲氣化所成哉.
오줌은 물과 같은데 음식물의 정미(精微)한 기가 위[上]로 올라가 비(脾)와
폐(肺)로 가서 작용을 한 뒤에 오줌이 된다.
오줌은 물과 같은데 물은 아래로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음식이 위(胃)에 들어가면 비록 정기는 위[上]로 올라가지만
그 본체는 잘 올라가지 못한다.
그런데 어떻게 오줌이 단지 기의 작용[氣化]에 의해서만 생긴다고 할 수 있겠는가.
[內經](靈蘭秘典論篇 第八)曰 “膀胱者 津液藏焉 氣化則能出矣".
且水者 氣之子 氣者 水之母 氣行 則水行 氣滯 則水滯 或者 謂小便純
由泌別 不由運化 盖不明 此理故也 (東垣).
내경에 “방광은 진액(津液)을 저장하는 곳이며 오줌은 기의 작용에 따라 나간다.
물은 기의 아들격[氣之子]이고 기는 물의 어머니격이므로 기가 가면 물도 가고
기가 막히면 물도 막힌다”고 씌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오줌이란 순수 수액[泌]에서 짜낸 것이지 음식이 소화되어 생긴 것은
아니다”고 하는데 이것은 그 원리를 똑똑이 모르기 때문이다[동원].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不利][소변불리]   (0) 2019.12.17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0) 2019.12.16
[脉法][맥법]   (0) 2019.12.16
[辨尿色][변뇨색]   (0) 2019.12.16
[脬爲尿器][포위뇨기]   (0) 2019.1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