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便不通][소변불통]
胞移熱於膀胱, 則癃尿血[內經].
포에서 열을 방광으로 옮기면 융(癃)과 요혈이 된다(내경).
膀胱不利爲癃[內經].
방광의 기가 잘 통하지 않으면 융이 된다(내경).
八正散加木香主之[丹心].
팔정산에 목향을 넣은 것이 주치한다(단심).
足厥陰之脉過陰器, 所生病, 遺尿閉癃.
督脉者, 女子入繫挻孔, 其孔, 尿孔之端也.
其生病癃痔遺尿. 足三焦者, 太陽之別也,
入絡膀胱, 約下焦. 實則癃閉, 虛則遺尿[綱目].
족궐음의 맥은 생식기를 지나는데, 그곳에서 생기는 병은 유뇨와 융폐다.
독맥은 여자의 질 속으로 들어가 얽혀 있는데, 그 구멍이 요도의 끝이다.
그곳에서 생기는 병은 융, 치질, 유뇨이다.
삼초는 태양경에서 나뉘어진 것으로, 방광으로 들어가 얽고[絡] 하초를 묶는다[約].
실하면 융폐가 되고, 허하면 유뇨가 된다(강목).
閉癃, 合而言之, 一病也.
分而言之, 有暴久之殊.
盖閉者暴病, 爲尿點滴不出, 俗呼小便不通是也.
癃者久病, 爲尿澁淋瀝, 點滴而出, 一日數十次或百次, 名爲淋病是也[綱目].
폐(閉)와 융은 합하여서 보면 같은 병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나누어 보면 급성과 만성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보통 폐는 급작스러운 병으로,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고 잘 나오지 않는다.
일반인들이 소변불통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융은 오래된 병으로, 오줌이 시원하지 않게 방울방울 나오며 오줌을 하루에 수십 번,
혹은 백 번을 누는데, 임병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강목).
熱在下焦, 塡塞不便, 其證小便閉塞而不渴, 時見躁者是也[元素].
열이 하초에 있으면 꽉 막혀서 오줌이 나오지 않는데,
오줌은 막히면서도 갈증은 없고 때로 안절부절못하는 것이 바로 그 증상이다(원소).
小便不通, 有氣血之異.
如渴而小便不通者, 熱在上焦氣分, 宜淸肺散.
如不渴而小便不通者, 熱在下焦血分, 宜滋腎丸[東垣].
오줌이 나오지 않는 원인에는 기분(氣分)과 혈분(血分)의 차이가 있다.
갈증이 있으면서 오줌이 나오지 않으면 열이 상초의 기분에 있는 것으로 청폐산을 쓴다.
갈증이 없으면서 오줌이 나오지 않으면 열이 하초의 혈분에 있는 것으로 자신환을 쓴다(동원).
小便不通, 臍下狀如覆椀, 痛悶難堪, 治法有二.
如氣不能化而不通, 則陳皮茯苓湯調木香沈香末二錢, 空心服, 兼用吐法以提之.
如血汚於下而不通, 則用桃仁承氣湯之類 方見寒門, 以破之[綱目].
오줌이 나오지 않고 배꼽 아래가 작은 사발을 엎어놓은 듯하고,
아프면서 답답하여 견디기 어려운 데는 치료법이 두 가지가 있다.
기화 작용이 되지 않아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 진피와 복령을 달인 물에
목향과 침향가루 두 돈을 타서 빈속에 먹으면서 아울러 토하는 방법을 써서 기를 끌어올린다.
혈이 아래에서 더러워져 오줌이 나오지 않으면
도인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 같은 것으로 없애야 한다[破](강목).
夫熱則不通, 冷則不禁. 其熱盛者, 小便閉而絶無.
其熱微者, 小便難而僅有[直指].
열이 있으면 오줌이 나오지 않고, 냉하면 오줌을 참지 못한다.
열이 심하면 오줌이 막혀서 한 방울도 나오지 않고,
열이 적으면 오줌 누기가 어렵지만 겨우겨우 나오기는 한다(직지).
小便不通乃血澁, 致氣不通而竅澁, 宜導氣除燥湯[東垣].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은 혈이 잘 돌지 않아[澁] 기도 통하지 않게 되고
오줌 나오는 길도 껄끄러워져서 생긴 것이므로 도기제조탕을 쓴다(동원).
小便不通, 宜五苓散 方見傷寒,
導赤元, 地膚子湯, 宣氣散, 通關丸, 猪苓湯, 加味五苓散, 透泉散.
오줌이 나오지 않는 데는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도적원, 지부자탕, 선기산, 통관환, 저령탕, 가미오령산, 투천산을 쓴다.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癃閉宜吐][융폐의토] (0) | 2019.12.18 |
---|---|
[老虛人癃閉][노허인융폐] (0) | 2019.12.18 |
[小便不利][소변불리] (0) | 2019.12.17 |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0) | 2019.12.16 |
[脉法][맥법] (0) | 2019.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