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絲蓴][사순]
安下焦.
作羹食之[本草].
하초를 편안하게 한다.
국을 끓여 먹는다(본초).
[絲蓴][사순]
安下焦.
作羹食之[本草].
하초를 편안하게 한다.
국을 끓여 먹는다(본초).
[猪腸][저장 / 돼지 내장]
補下焦虛竭.
煮爛食, 或作羹食之[本草].
하초가 허하여 다 마른 것을 보한다.
푹 삶아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본초).
[藕][우 / 연뿌리]
蓮根也.
蒸食, 實下焦[本草].
우(藕)는 연근이다.
쪄서 먹는데, 하초를 실하게 한다(본초).
[靑橘][청귤]
治下焦冷氣.
煎服末服並佳[本草].
하초의 냉기를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鶉肉][순육 / 메추라기 고기]
同酥煎食, 偏令人下焦肥[本草].
젖[煉乳]과 함께 달여 먹는데, 오로지 하초만을 살찌운다(본초).
[黃狗肉][황구육]
實下焦.
煮爛和五味食之[本草].
하초를 실하게 한다.
푹 삶아서 갖은 양념을 하여 먹는다(본초).
[人蔘][인삼]
補上焦元氣.
煎服末服丸服並佳[湯液].
상초(上焦)의 원기를 보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탕액).
[鶉肉][순육] (0) | 2019.12.06 |
---|---|
[黃狗肉][황구육] (0) | 2019.12.06 |
[甛瓜][첨과] (0) | 2019.12.06 |
[脂麻油][지마유] (0) | 2019.12.06 |
[益智仁][익지인] (0) | 2019.12.06 |
[甛瓜][첨과 / 참외]
通三焦間壅塞氣.
熟者食之[本草].
삼초 사이에 막혀 있는 기를 통하게 한다.
익은 것을 먹는다(본초).
[黃狗肉][황구육] (0) | 2019.12.06 |
---|---|
[人蔘][인삼] (0) | 2019.12.06 |
[脂麻油][지마유] (0) | 2019.12.06 |
[益智仁][익지인] (0) | 2019.12.06 |
[牛髓][우수] (0) | 2019.12.06 |
[脂麻油][지마유 / 참기름]
下三焦熱毒氣.
單取飮之[本草].
삼초의 열독(熱毒)을 설사로 내린다.
참기름만 마신다(본초).
[人蔘][인삼] (0) | 2019.12.06 |
---|---|
[甛瓜][첨과] (0) | 2019.12.06 |
[益智仁][익지인] (0) | 2019.12.06 |
[牛髓][우수] (0) | 2019.12.06 |
[燕覆子][연복자] (0) | 2019.12.06 |
[益智仁][익지인]
安三焦.
末服丸服並佳[本草].
삼초를 편하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甛瓜][첨과] (0) | 2019.12.06 |
---|---|
[脂麻油][지마유] (0) | 2019.12.06 |
[牛髓][우수] (0) | 2019.12.06 |
[燕覆子][연복자] (0) | 2019.12.06 |
[黃芪][황기] (0) | 2019.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