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漏腋][누액]
凡人腋下手掌足心陰下股裏, 常如汗濕汚衣, 宜用六物散.
일반적으로 겨드랑이와 손바닥, 발바닥, 음낭 아래,

허벅다리 안쪽에 땀이 난 것처럼 축축해서 늘 옷이 더러워지는 데는 육물산을 쓴다.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腋臭][액취]   (0) 2020.03.05
[肥氣證][비기증]   (0) 2020.03.05
[息積證][식적증]   (0) 2020.03.05
[腎邪上薄爲脇痛][신사상박위협통]   (0) 2020.03.05
[脇痛分左右][협통분좌우]   (0) 2020.03.05

[腋臭][액취]
一曰腋氣, 亦曰狐臭. 五更時, 取精猪肉二大片, 以甘遂末一兩拌之,

挾腋下, 至天明, 以甘草一兩煎湯飮之. 良久, 瀉出穢物, 須在荒野之外.

恐穢氣傳人也.

依法三五次卽愈.

其他密陀僧, 胡粉之類, 皆塞竅, 以治其末耳[回春].

겨드랑이 냄새[腋氣] 또는 여우 냄새[狐臭]라고도 한다.

새벽[五更]에 신선한 돼지고기를 크고 넓적하게 썬 것 두 점에 감수가루 한 냥을 묻혀서

겨드랑이 밑에 끼고 날이 밝을 때까지 있다가 감초 한 냥을 달여 마신다.

한참 있으면 더러운 것을 배설하는데 반드시 먼 들녘에서 하여야 한다.

이것은 더러운 기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까 염려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세 번에서 다섯 번을 하면 바로 낫는다.

그 밖에 밀타승과 호분 같은 것은 모두 구멍을 막아서 겉만 치료할 뿐이다(회춘).

患此疾者, 耳內有油濕, 是也.

大田螺一箇, 水中養之, 候靨開, 以巴豆肉一粒, 鍼挑, 放在螺內,

仰頓盞內, 夏月一宿, 冬則五七宿, 自然成水, 取搽腋下, 絶根[丹心].

이러한 병을 앓는 사람은 귓속에 끈적끈적한 기름기나 습기가 있다.

큰 우렁이 한 개를 물속에서 기르다가 딱지가 벌어질 때

파두육 한 알을 침으로 꽂아 우렁이 속에 들이민 다음 잔 속에 딱지가 위로 가게 놓고

여름에는 하루, 겨울에는 5일에서 7일 동안 두면 저절로 물이 생긴다.

이것을 겨드랑이 밑에 바르면 냄새가 아주 없어진다(단심).

一方, 先用胭脂塗腋下, 其出狐臭之處黃色.

就將前巴豆田螺, 去靨掩於狐臭之上, 絹帛勒緊, 其胡臭從大便出, 則絶根矣[丹心].

다른 처방으로는 먼저 연지를 겨드랑이 밑에 바르면 암내 나는 곳이 누렇게 된다.

그때 앞에서 만들어놓은 파두 우렁이의 딱지를 떼서

암내가 나는 곳 위에 덮고 천으로 잘 싸매둔다.

암내가 대변으로 나가면 냄새가 아주 없어진다(단심).

大蜘蛛一箇, 鹽泥作一窠, 包褁蜘蛛煅紅放冷, 取蜘蛛硏細, 入輕粉一字,

醋調成膏, 夕付腋下, 明日登厠, 必瀉下黑汁臭穢. 於僻處埋之[三因].

소금을 넣고 이긴 진흙으로 큰 거미 한 마리를 싸서 벌겋게 달구어 그냥 식게 두었다가

거미를 곱게 가루내어 경분 한 자(一字)를 넣고 식초로 개어 고약처럼 만든다.

저녁때 겨드랑이 밑에 붙였다가 다음 날 아침 화장실에 가면

반드시 검고 냄새가 나는 설사를 하게 된다.

이것을 외딴 곳에 묻는다(삼인).

以自己小便, 洗一次, 米泔洗二次, 生薑自然汁,

每日擦十次, 一月之後, 可以斷矣[回春].

자신의 소변으로 한 번 씻고 쌀뜨물에 두 번 씻고 생강즙으로

매일 열 번씩 문질러서 한 달이 되면 냄새를 없앨 수 있다(회춘).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漏腋][누액]   (0) 2020.03.05
[肥氣證][비기증]   (0) 2020.03.05
[息積證][식적증]   (0) 2020.03.05
[腎邪上薄爲脇痛][신사상박위협통]   (0) 2020.03.05
[脇痛分左右][협통분좌우]   (0) 2020.03.05

[肥氣證][비기증]
詳見積聚門.
적취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漏腋][누액]   (0) 2020.03.05
[腋臭][액취]   (0) 2020.03.05
[息積證][식적증]   (0) 2020.03.05
[腎邪上薄爲脇痛][신사상박위협통]   (0) 2020.03.05
[脇痛分左右][협통분좌우]   (0) 2020.03.05

[息積證][식적증]
詳見積聚門.
적취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腋臭][액취]   (0) 2020.03.05
[肥氣證][비기증]   (0) 2020.03.05
[腎邪上薄爲脇痛][신사상박위협통]   (0) 2020.03.05
[脇痛分左右][협통분좌우]   (0) 2020.03.05
[脇痛有虛實][협통유허실]   (0) 2020.03.05

[腎邪上薄爲脇痛][신사상박위협통]
一人患脇痛, 衆以爲癰, 陽脈弦, 陰脈瀒, 投諸香薑桂之屬, 益甚.

項昕見之曰, 弦者痛也, 瀒者腎邪有餘也.

腎上薄於脇, 不能下, 且腎惡燥, 今服燥藥過多, 非得利不愈.

先用神保元, 下黑溲痛止, 更服神芎丸.

或疑其太過, 昕曰, 向用神保元者, 以腎邪透膜, 非全蝎不能引導.

然巴豆性熱, 非得硝黃蕩滌, 後遇熱必再作, 乃大泄數次, 病遂愈[入門]
어떤 사람이 협통을 앓았는데 여러 의사들이 양맥(陽脈)은 현(弦)하고

음맥(陰脈)은 색(瀒)하므로 옹(癰)이라 보고 여러 가지 방향성[香]이 있는 것과

생강·계피 같은 것을 썼으나 병이 더욱 심해졌다.

항흔이 보고 "현맥(弦脈)은 아픈 것이고,

색맥(瀒脈)은 신(腎)의 사기(邪氣)가 지나친 것이다.

신의 사기가 옆구리를 치받아 내려가지 않고,

또 신은 조(燥)를 싫어하는데 지금 조한 약을 지나치게 먹어서

잘 소통되지 않아 낫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먼저 신보원을 쓰자 시커먼 소변이 나오며 아픈 것이 멎었는데 다시 신궁환을 먹게 하였다.

어떤 사람이 혹시 약이 너무 세지 않은지 묻자 항흔이 앞에서 신보원을 쓴 까닭은

신의 사기가 막(膜)을 뚫고 들어갔기 때문에 전갈이 아니면 끌어낼 수 없다.

그러나 파두는 성질이 더운 약으로, 망초와 대황으로 확 씻어내지 않으면

나중에 열을 만나게 되면 반드시 도지게 된다"고 말하고,

여러 번 크게 설사를 하게 하니 병이 드디어 나았다(입문).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肥氣證][비기증]   (0) 2020.03.05
[息積證][식적증]   (0) 2020.03.05
[脇痛分左右][협통분좌우]   (0) 2020.03.05
[脇痛有虛實][협통유허실]   (0) 2020.03.05
[乾脇痛][건협통]   (0) 2020.03.05

[脇痛分左右][협통분좌우]   
左脇痛, 先以琥珀膏, 貼痛處 方見積聚, 却以當歸龍薈丸, 熱薑汁呑下[入門].
왼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먼저 호박고(처방은 적취문)를 아픈 곳에 붙인 다음

당귀용회환을 뜨거운 생강즙으로 먹는다(입문).  
左脇痛, 宜枳芎散, 或小柴胡湯, 加川芎靑皮草龍膽[正傳].
왼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지궁산을 쓰거나, 소시호탕에 천궁·청피·용담초를 더 넣어 쓴다(정전).
右脇痛, 宜推氣散, 或枳殼散 方見上, 以 生薑 靑皮 葱白 煎湯調下, 或用神保元[得效].
오른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추기산을 쓰거나

지각산(처방은 앞)을 생강, 청피, 총백 달인 물에 타서 먹거나 신보원을 쓴다(득효).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息積證][식적증]   (0) 2020.03.05
[腎邪上薄爲脇痛][신사상박위협통]   (0) 2020.03.05
[脇痛有虛實][협통유허실]   (0) 2020.03.05
[乾脇痛][건협통]   (0) 2020.03.05
[風寒脇痛][풍한협통]   (0) 2020.03.05

[脇痛有虛實][협통유허실]
肝氣實脇痛者, 手足煩躁, 不得安臥, 小柴胡湯,

加 川芎 當歸 白芍藥 蒼朮 靑皮 草龍膽[入門].

간기(肝氣)가 실(實)하여 옆구리가 아플 때는

손발이 편치 않아서 가만 둘 수가 없으며[煩躁] 편안히 누워 있을 수가 없는데,

소시호탕에 천궁, 당귀, 백작약, 창출, 청피, 용담초를 더 넣어 쓴다(입문).
肝氣虛脇痛者, 悠悠不止, 耳目, 善恐如人將捕, 四物湯, 加柴胡靑皮[入門].

간혈[肝氣]이 허하여 옆구리가 아플 때는 통증이 은은히 아프면서 멎지 않으며

귀와 눈이 어두워지고 누가 잡으러 오는 것처럼 무서움을 잘 탄다.

사물탕에 시호·청피를 더 넣어 쓴다(입문).  
兩脇下痛, 引小腹, 善怒, 是肝氣實也, 當歸龍薈丸, 以薑汁呑下[入門].

양쪽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 아랫배가 당기며 화를 잘 내는 것은

간기가 실한 것인데, 당귀용회환을 생강즙으로 먹는다(입문).
氣弱之人, 脇下痛, 脈弦細, 多從勞役, 怒氣得之,

八物湯 方見虛勞, 加 木香 靑皮 桂心 煎服, 或用枳實散.
기가 허약한 사람이 옆구리 아래가 아프며 맥이 현세(弦細)한 것은

일을 지나치게 많이 하였거나 화를 많이 내서 생긴 것인데,

팔물탕(처방은 허로문)에 목향, 청피, 계심을 더 넣어 달여 먹거나 지실산을 쓰기도 한다.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腎邪上薄爲脇痛][신사상박위협통]   (0) 2020.03.05
[脇痛分左右][협통분좌우]   (0) 2020.03.05
[乾脇痛][건협통]   (0) 2020.03.05
[風寒脇痛][풍한협통]   (0) 2020.03.05
[食積脇痛][식적협통]   (0) 2020.03.05

[乾脇痛][건협통]
虛甚成損, 脇下常一點痛不止者, 名曰乾脇痛, 甚危.

宜以八物湯 方見虛勞, 加木香靑皮桂心.

有火, 去桂加山梔仁, 或吳茱萸水炒黃連[入門]
허증이 심해져 허손증(虛損證)이 되어 옆구리 아래의 한곳이 아프면서

멎지 않는 것을 건협통(乾脇痛)이라고 하는데, 매우 위험하다.

팔물탕(처방은 허로문)에 목향·청피·계심을 더 넣어 쓴다.

화(火)가 있으면 계심을 빼고 산치자를 더 넣거나

오수유 물로 축여 볶은 황련을 더 넣어 쓴다(입문).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脇痛分左右][협통분좌우]   (0) 2020.03.05
[脇痛有虛實][협통유허실]   (0) 2020.03.05
[風寒脇痛][풍한협통]   (0) 2020.03.05
[食積脇痛][식적협통]   (0) 2020.03.05
[痰飮脇痛][담음협통]   (0) 2020.03.05

[風寒脇痛][풍한협통] 

外感脇痛寒熱者, 小柴胡湯 方見寒門, 加枳殼桔梗[入門].
외감(外感)으로 옆구리가 아프고 추웠다 더웠다 하는 데는

소시호탕(처방은 한문)에 지각과 길경을 더 넣어 쓴다(입문).
外感脇痛, 宜芎葛湯, 芍藥散.
외감으로 옆구리가 아픈 데는 궁갈탕이나 작약산을 쓴다.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脇痛有虛實][협통유허실]   (0) 2020.03.05
[乾脇痛][건협통]   (0) 2020.03.05
[食積脇痛][식적협통]   (0) 2020.03.05
[痰飮脇痛][담음협통]   (0) 2020.03.05
[死血脇痛][사혈협통]   (0) 2020.03.05

[食積脇痛][식적협통]
食積, 脇下如杠梗起一條作痛, 神保元 方見氣門 以枳實煎湯呑下[入門].
식적(食積)으로 옆구리 아래에 장대[杠梗]가 하나 뻗치듯이 아픈 데는

신보원(처방은 기문)을 지실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發寒熱脇痛, 似有積塊, 必是飮食太飽, 勞力所致, 須用當歸龍薈丸治之[正傳].
추웠다 더웠다 하면서 옆구리가 아프며 덩어리가 있는 듯하면

이것은 반드시 음식을 너무 배부르게 먹고 지나치게 힘을 써서 생긴 것이므로

당귀용회환을 써서 치료한다(정전).

'[外形篇] > [脇]'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乾脇痛][건협통]   (0) 2020.03.05
[風寒脇痛][풍한협통]   (0) 2020.03.05
[痰飮脇痛][담음협통]   (0) 2020.03.05
[死血脇痛][사혈협통]   (0) 2020.03.05
[氣鬱脇痛][기울협통]   (0) 2020.03.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