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諸蟲畏忌藥][제충외기약]
凡虫病忌用甘草.

盖虫聞甘則起, 聞酸則止 一作靜, 聞苦則定, 聞辣則頭伏而下[入門].

모든 충병에는 감초 쓰는 것을 삼가야 한다.

대개 충은 단 것을 맛보면 움직이고,

신 것을 맛보면 가만히 있고(어떤 곳에는 조용해진다고 하였다),

쓴 것을 맛보면 안정되고, 매운 것을 맛보면 머리를 숙이고 내려간다(입문).

治蛔不可用甘草甜物, 盖蛔得甘則動於上, 得酸則靜, 見苦則安, 得辛辣則頭伏於下[回春].

회충을 치료할 때는 감초같이 단 것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대체로 회충은 단 것을 만나면 위로 올라오고, 신 것을 만나면 가만히 있으며,

쓴 것을 만나면 안정되고, 매운 것을 만나면 머리를 숙이고 아래로 내려간다(회춘).

蛔聞酸則靜, 見苦則安[醫鑑].

회충은 신 것을 만나면 가만히 있고, 쓴 것을 만나면 안정된다(의감).

甘謂 甘草, 飴糖, 蜂蜜, 砂糖之類,

酸謂醋, 烏梅, 石榴之類,

苦謂熊膽, 猪膽, 黃柏, 苦參之類,

辣謂芥子, 川椒, 生薑之類也.

단 것은 감초, 엿, 꿀, 사탕과 같은 것들이고,

신 것은 식초, 오매, 석류와 같은 것이며,

쓴 것은 웅담, 저담, 황백, 고삼과 같은 것이고,

매운 것은 겨자, 천초, 생강과 같은 것이다.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瘵蟲形色][변채충형색]   (0) 2019.12.12
[治諸蟲藥][치제충약]   (0) 2019.12.12
[殺諸蟲服藥法][살제충복약법]   (0) 2019.12.12
[瘵不治證][채불치증]  (0) 2019.12.12
[勞瘵病證][노채병증]   (0) 2019.12.12

[辨瘵蟲形色][변채충형색]
取下之後, 先看虫色, 自知輕重.

盖虫先食藏府脂膏, 故其虫色白.

次食血肉, 故其虫色黃赤.

次食精髓, 故其虫紫色.

精髓盡, 故其虫黑色. 傳入腎中, 病人方思死.

其虫白色, 可三十日服補藥, 其虫黃赤色, 可六十日服補藥,

其虫紫黑色, 此疾已極可百二十日服補藥, 十中可活一二.

노채충이 빠져나오면 먼저 충의 색깔을 살펴보아 그 병의 경중을 알 수 있다.

충은 먼저 장부의 지고(脂膏)를 파먹기 때문에 이때 충은 흰색이다.

다음으로 피와 살을 파먹기 때문에 누렇고 붉은색을 띤다.

그 다음에는 정수를 파먹기 때문에 자주색을 띠며, 정수가 다 없어지면 검은색을 띠게 된다.

충이 신으로 전해 들어가면 환자는 곧 죽게 된다.

충이 흰색일 때는 30일 간 보약을 먹고, 충이 누렇고 붉은색일 때는 60일 간 보약을 먹으며,

충이 자주색이거나 검은색일 때는 이 병이 이미 극에 달한 것으로 120일 동안 보약을 써도

열 명 중 한두 명만이 살 수 있다.

一云, 虫頭赤, 食人肉, 其病可治. 虫頭白, 食人髓, 其病難治[得效].

어떤 사람은 "충의 머리가 붉은 것은 사람의 살을 파먹은 것으로 치료할 수 있고,

충의 머리가 흰 것은 사람의 골수를 파먹은 것으로 치료하기 어렵다"고 하였다(득효).

虫觜靑赤黃色可療, 黑色與白色乃食精髓, 不可療也.

又云, 虫紅色可治, 肚下黑色者難治, 肚下白色者萬不一差[聖效].

충의 주둥이가 퍼렇거나 붉거나 누런 것은 치료할 수 있고,

검거나 흰 것은 정수를 파먹은 것으로 치료할 수 없다.

또 "충이 붉은색이면 치료할 수 있고, 배 아래가 검은색이면 치료하기 어려우며,

배 아래가 흰색이면 만 명 중 단 한 명도 고칠 수 없다"고 하였다(성효).

瘵虫觜黑, 則已入腎藏, 不可治[醫鑑].

노채충의 주둥이가 검은색이면 병이 이미 신에 들어간 것으로 치료할 수 없다(의감).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蟲畏忌藥][제충외기약]   (0) 2019.12.12
[治諸蟲藥][치제충약]   (0) 2019.12.12
[殺諸蟲服藥法][살제충복약법]   (0) 2019.12.12
[瘵不治證][채불치증]  (0) 2019.12.12
[勞瘵病證][노채병증]   (0) 2019.12.12

[治諸蟲藥][치제충약]  
凡取虫作藥之法, 禁聲勿語道, 作藥則虫便下, 驗[本草].

충을 없애는 약을 만들 때는 소리를 내지 말고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이 방법에 따라 약을 만들면 충이 대변을 따라 나오는데, 효험이 있다(본초).

諸虫在人腹中, 子母相生, 漸至滋盛, 當破積殺虫,

宜木香三稜散, 下虫散, 追虫取積散 方見上, 妙應丸, 七轉靈應丹,

萬應丸 方見上, 遇仙丹, 追虫丸, 萬病解毒丹 方見解毒, 五仙丸.

모든 충들은 사람의 뱃속에 있어서 새끼와 어미가 계속 생겨나

점점 번식하여 성해지는데, 떼지어 뭉친 것을 풀고 충을 죽여야 하므로

목향삼릉산, 하충산, 추충취적산(처방은 앞에 있다), 묘응환, 칠전영응단,

만응환(처방은 앞에 있다), 우선단, 추충환, 만병해독단(처방은 해독문), 오선환을 쓴다.

治瘵之法, 一則殺其虫, 以絶其根本, 一則補其虛, 以復其眞元.

若病勢已劇, 元氣已脫, 雖依法取虫, 亦無一生, 只可絶後人之傳注耳[正傳].

노채증을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는 충을 죽여 그 근본을 없애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허한 것을 보하여 그 진원(眞元)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만약 병이 매우 심하여 원기가 이미 탈진되었다면

비록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충을 없애도 한 명도 살릴 수 없다.

다만 다른 사람에게 옮겨지는 것만을 막을 수 있을 뿐이다(정전).

勞瘵主陰虛痰與血病,

四物湯 方見血門 加炒黃柏竹瀝童便薑汁[丹心].

노채는 음허, 담, 그리고 혈병을 주증으로 하니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황백 볶은 것,

죽력, 동변(童便)·생강즙을 더 넣어 쓴다(단심).
勞瘵傳尸, 寒熱交攻, 久嗽咯血, 日漸羸瘦,

先服三拗湯 方見咳嗽, 次與蓮心散, 萬不失一[丹心].

노채 전시로 추웠다 더웠다 하고 오랫동안 기침을 하며 각혈하고 날로 점차 야위어가는 데는

먼저 삼요탕(처방 해수문)을 복용시킨 다음 연심산을 쓰면 만에 하나라도 실수가 없다(단심).

勞瘵殺虫, 宜太乙明月丹, 天靈盖散, 紫金錠子, 五枝散, 神授散.

노채증의 충을 죽이는 데는 태을명월단, 천령개산, 자금정자, 오지산, 신수산을 쓴다.

勞瘵補虛, 宜瓊玉膏, 紫河車丸, 凝神飮子[入門].

노채로 허해진 것을 보하는 데는 경옥고, 자하거환, 응신음자를 쓴다(입문).

古人云, 勞瘵三十六種, 惟陰德可以斷之.

人患此疾, 或入山林, 或居靜室, 淸心靜坐, 叩齒焚香, 節食斷慾, 專意保養, 庶乎可免.

若不導此禁忌, 雖服藥無效[入門].

어떤 옛 사람은 "노채병은 서른여섯 가지가 있는데,

오직 음덕으로만 이것을 끊어버릴 수 있다.

사람이 이 병으로 앓는 경우에 산림 속에 들어가거나

조용한 방에 거처하며 마음을 깨끗이 하고 단정히 앉아 이[齒牙]를 부딪치고

향을 피우며 음식을 조절하고 욕망을 끊어 보양함에 전심하면, 바라는 대로 나을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금기를 따르지 아니하면 약을 먹는다 하여도 효과가 없다"고 하였다(입문).

勞瘵傳尸之疾, 熏治之藥非一, 而鮮有驗者, 惟取末後死者焚之, 可以無傳矣.

노채 전시와 같은 병에 연기를 쏘여서 치료하는 약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효과를 본 사람은 드물다.

그런 약들은 가루내어 죽은 사람과 함께 태워 병이 전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이다(쇄쇄).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蟲畏忌藥][제충외기약]   (0) 2019.12.12
[辨瘵蟲形色][변채충형색]   (0) 2019.12.12
[殺諸蟲服藥法][살제충복약법]   (0) 2019.12.12
[瘵不治證][채불치증]  (0) 2019.12.12
[勞瘵病證][노채병증]   (0) 2019.12.12

[殺諸蟲服藥法][살제충복약법]
道藏經中載, 諸虫頭皆向下行,

自初一日至初五日以前, 頭上行.

故服藥多取月朏以前, 盖爲此也[綱目].

도장경에는 "모든 충들은 머리를 아래로 향하고 있는데,

음력 초하루부터 초닷새까지는 머리를 위로 향하므로

약을 대개 초사흘 이전에 복용하여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라고 씌어 있다(강목).

上半月虫頭向上易治, 下半月虫頭向下難治.

先以肉汁及糖蜜食, 下引虫頭向上, 然後用藥打出[得效].

보름 이전에는 충들이 머리를 위로 향하고 있어 치료하기 쉬운데,

보름 이후에는 충들이 머리를 아래로 향하고 있어 치료하기 힘들다.

우선 고기즙이나 사탕, 꿀 등을 먹어

충들이 머리를 위로 향하게 한 후에 약을 써서 몰아낸다(득효).

瘵虫靈異, 所用藥物, 永不得與病人知之[直指].

노채충은 영묘하고 기이하기 때문에

쓰는 약을 복용할 환자가 절대 알지 못하게 하여야 한다(직지).

三尸九虫種種靈異, 用藥及灸莫令病人知之, 恐虫覺悟永難取下也.

盖此虫性已通靈, 務在精審, 勿令有悟可也[得效].

삼시충과 구충은 종종 영묘하고 기이하므로

약과 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환자에게 알려주지 말아야 한다.

충들이 깨달아 알게 되면 다시는 몰아낼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대개 이런 충의 성(性)은 이미 영(靈)을 통하였으니

잘 살펴서 그것들이 깨닫지 못하게 하여야 한다(득효).

凡服取虫藥, 前日勿食晩飯, 明朝極飢時, 先嚼燒肥肉一片, 嚥汁後乃服藥[綱目].

충을 없애는 약을 복용하려면 그 전날 저녁 식사를 하지 말고 다음날 아침 배가

몹시 고플 때 먼저 구운 기름진 고기 한 점을 씹어 즙을 삼킨 후에 약을 먹는다(강목).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瘵蟲形色][변채충형색]   (0) 2019.12.12
[治諸蟲藥][치제충약]   (0) 2019.12.12
[瘵不治證][채불치증]  (0) 2019.12.12
[勞瘵病證][노채병증]   (0) 2019.12.12
[驗瘵法][검채법]  (0) 2019.12.12

[瘵不治證][채불치증]
身瘦屬火, 因火燒爍也, 肉脫盡者難治[丹心].
몸이 마르는 것은 화(火)에 속하는데, 이는 화가 태워 녹이기 때문이다.

살이 다 빠지면 치료하기 어렵다(단심).
瘵疾至於骨痛骨痿, 聲沈聲啞, 色枯面黧, 斷不可治[直指].
노채병으로 뼈가 아프거나 골위가 되고, 목소리가 잠기고 목이 쉬며,

얼굴이 마르고 빛이 검어지면 치료하지 못한다(직지).
勞瘵咽瘡失音者死, 虛勞泄不止者亦死[入門]
노채로 목이 헐어 소리가 나오지 않으면 죽는다.

허로하여 설사가 그치지 않아도 역시 죽는다(입문).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諸蟲藥][치제충약]   (0) 2019.12.12
[殺諸蟲服藥法][살제충복약법]   (0) 2019.12.12
[勞瘵病證][노채병증]   (0) 2019.12.12
[驗瘵法][검채법]  (0) 2019.12.12
[勞瘵蟲][노채충]   (0) 2019.12.12

[勞瘵病證][노채병증]
瘵有六證, 潮熱盜汗咯血痰嗽遺精泄瀉也.

輕者六證間作, 重者六證兼作, 盖火炎於上則爲潮熱咯血, 火動於下則爲遺精泄瀉[入門].
노채에는 여섯 가지 증상이 있는데, 조열, 도한, 각혈, 담수, 유정, 설사이다.

병의 정도가 가벼우면 여섯 가지 증상이 엇갈려 나타나고,

심하면 여섯 가지 증상이 동시에 나타난다.

대개 화가 위로 타오르면 조열과 각혈을 하고,

화가 아래에서 동(動)하면 유정과 설사를 한다(입문).
瘵病初得, 半臥半起, 號爲殗殜, 氣急痰嗽, 名曰肺痿.

骨髓中熱, 稱爲骨蒸.

內傳五藏, 名爲復連.

因虛損而得, 名爲勞極.

男子自腎傳心, 心傳肺, 肺傳肝, 肝傳脾.

女人自心傳肺, 肺傳肝, 肝傳脾, 脾傳腎, 傳盡則死[入門].
노채병에 걸려 초기에 절반은 누워 있고,

절반은 일어서서 움직이는 것을 엄엽이라 하고,

숨이 가쁘고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것을 폐위라 하며,

골수 속에 열이 있는 것을 골증이라 하고,

안으로 오장에 전하여진 것을 복연이라 하며,

허손으로 노채가 된 것을 노극이라 한다.

남자는 신(腎)에서 심(心)으로 전하고 심은 폐에 전하며 폐는 간에 전하고 간은 비에 전한다.

여자는 심에서 폐로 전하고 폐는 간에 전하며 간은 비에 전하고 비는 신에 전한다.

육부까지 전하는 것이 끝나면 죽게 된다(입문).
病證大槪令人寒熱盜汗, 夢與鬼交, 遺精白濁, 髮乾而聳, 或腹中有塊,

或腦後兩邊有小結核, 心胸滿悶, 肩背疼痛, 兩目不明, 四肢無力, 膝股痠疼, 多臥少起, 狀如佯病.

每至平旦, 精神尙好, 日午向後, 四肢微熱, 面無顔色, 喜見人過, 常懷忿怒, 行立脚弱,

睡臥不安, 夢見先亡, 或多驚悸, 有時咳嗽, 痰涎稠粘, 或咯膿血如肺痿狀, 或時下痢, 羸瘁困乏,

口燥鼻乾, 臉紅脣赤, 雖思飮食, 不能多食, 死在須臾, 精神尙好, 猶若涸魚, 不覺死矣[得效].
증상은 대개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잠잘 때 땀이 나며, 헛것과 성교하는 꿈을 꾸고 유정이 있으며 오줌이 뿌옇고, 머리카락이 마르고 곧추서며,

혹은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며 혹은 뒤통수 양쪽에 작은 멍울이 생기며,

가슴이 그득하며 답답하고 어깨와 등이 아프며,

양쪽 눈이 침침해지고 팔다리에 힘이 없고 무릎과 다리가 시리고 아프며,

눕기를 좋아하고 일어서기를 싫어하니 마치 꾀병 같다.

매일 아침에는 정신이 멀쩡하나 점심때가 지나면 팔다리에 약간의 열이 나고

얼굴에 핏기가 없어진다.

남의 흉을 보기 좋아하고 늘 분하고 성난 기분을 품고 있으며,

다니거나 서 있을 때 다리에 힘이 없고 잠을 편안하게 자지 못하며,

먼저 죽은 사람의 꿈을 꾸고 혹은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며,

때때로 기침을 하면서 끈적끈적한 가래침을 뱉어내고,

혹은 폐위증같이 피고름을 토해내고 때때로 설사를 하며,

몸이 몹시 야위고 피로하며 기운이 없고, 입이 마르고 코가 건조해지며,

관골 부위가 벌겋고 입술이 붉어진다.

비록 음식 생각은 있지만 잘 먹지 못하고, 죽음이 가까워져도 정신은 오히려 멀쩡하여서

마치 물이 말라가는데도 물고기는 자기가 죽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과 같다(득효).
勞瘵主陰虛. 盖自子至巳屬陽, 自午至亥屬陰, 陰虛則熱在午後子前.

寤屬陽, 寐屬陰, 陰虛則汗從寐時盜出也.

升屬陽, 降屬陰. 陰虛則痰涎上逆而連綿吐出也[丹心].
노채는 주로 음이 허한 증이다.

밤 11시 반부터 오전 11시 반까지는 양에 속하고,

오전 11시 반부터 오후 11시 반까지는 음에 속하는데,

음이 허하면 오전 11시 반부터 밤 11시 반 전까지 열이 난다.

잠에서 깨어 있는 것은 양에 속하고 자는 것은 음에 속하는데,

음이 허하면 땀이 잠잘 때 자신도 모르게 나온다.

오르는 것은 양에 속하고, 내리는 것은 음에 속하는데,

음이 허하면 가래침이 위로 거슬러올라와 연달아 뱉게 된다(단심).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殺諸蟲服藥法][살제충복약법]   (0) 2019.12.12
[瘵不治證][채불치증]  (0) 2019.12.12
[驗瘵法][검채법]  (0) 2019.12.12
[勞瘵蟲][노채충]   (0) 2019.12.12
[齒痛有蟲][치통유충]   (0) 2019.12.11

[驗瘵法][검채법]
勞瘵傳尸皆有虫, 先燒安息香, 令烟出, 病人吸之不嗽, 非傳尸也.

若烟入咳嗽不止, 乃傳尸也, 宜服太乙明月丹 方見下.

노채나 전시증에는 모두 충이 있다.

먼저 안식향을 태워 나오는 연기를 환자가 들이마시게 하여

기침을 하지 않으면 전시증이 아니다.

만약 연기를 마시고 기침이 그치지 않으면 이것은 전시이다.

태을명월단(처방은 뒤에 있다)을 쓴다.

又法, 用乳香燒熏病人之手, 乃仰手掌, 以帛覆其上, 熏良久, 手背上出毛, 長寸許.

白而黃者, 可治. 紅者, 稍難.

靑黑者, 死, 最驗.

若熏之良久, 無毛者, 卽非此證也[綱目]

또 다른 방법으로는 유향을 태워 환자의 손에 쏘이고 다시 손바닥을 위로 보게 하여

비단으로 덥고 한참 동안 쏘이면 손등에서 길이가 한 치 정도 되는 털이 나온다.

그 털이 희거나 누런색이면 치료할 수 있고, 붉은색이면 조금 어려우며,

검푸른 색은 죽게 되는데, 이것이 최상의 검사법이다.

만약 한참 동안 쏘여도 털이 나오지 않으면 이 병이 아니다(강목).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瘵不治證][채불치증]  (0) 2019.12.12
[勞瘵病證][노채병증]   (0) 2019.12.12
[勞瘵蟲][노채충]   (0) 2019.12.12
[齒痛有蟲][치통유충]   (0) 2019.12.11
[諸瘡有蟲][제창유충]   (0) 2019.12.11

[勞瘵蟲][노채충]
勞瘵又名傳尸.

病人死後, 復易家親一人, 故曰傳尸, 亦名傳疰.

其病自上注下, 與前人相似, 故曰疰.

有屋傳服傳食傳之異, 死後又注易傍人, 乃至滅門是也[綱目].
노채는 전시라고도 하는데,

병든 사람이 죽고 난 후 다시금 가족이나 친척 한 사람에게 옮긴다.

그래서 전시라고도 하고, 전주라고도 한다.

그 병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앞 사람과 증상이 거의 같기 때문에 주(疰)라고 한다.

집 안에서 전염되거나 옷으로 전염되거나 음식으로 전염되는 차이가 있고,

죽은 뒤에는 곁에 있었던 사람에게 쉽게 옮겨가

나중에는 한 집안이 모두 죽게 되는 것이 이 병이다(강목).
瘵虫之形, 或似蜣, 或似紅絲馬尾,

或似蝦蟆, 或似刺蝟,

或似鼠形, 或如爛麵,

或有足無頭, 或有頭無足,

或化精血歸於元陽之內, 種種形狀, 實難辨之.

若傳至三人, 則如人形如鬼狀[得效].
노채충의 모양은 쇠똥구리 같기도 하고 붉은 실로 만든 말총 같기도 하며

두꺼비 같기도 하고 고슴도치 같기도 하고

쥐 같기도 하고 문드러진 국수 같기도 하다.

발은 있는데 머리가 없거나, 머리는 있는데 발이 없는 것도 있다.

혹은 정혈(精血)로 변하여 원양(元陽) 속으로 들어가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말로 분별하기 어렵다.

만약 세 사람에게 옮아가면 사람 모양같이 되거나 귀신 모양같이 되기도 한다(득효).
瘵疾之因, 多有少年時, 血氣未定, 酒色傷損,

其熱毒鬱積, 生異物惡虫, 蝕人藏府精血, 變生諸般奇怪之物.

其侍奉之人, 熏陶日久, 受其惡氣, 多遭傳染.

是以氣虛腹餒, 最不可入勞瘵之門.

吊喪問疾, 衣服器用中, 皆能乘虛而染觸焉[直指].
노채병의 원인은 대부분 소년 시기에 아직 혈기가 온전치 못한데

술과 성생활로 손상을 받은 것이니,

그 열독이 몰리고 뭉쳐 괴이한 물체와 나쁜 충이 생겨

사람의 장부와 정혈을 갉아먹어서 이러저러한 괴상한 물질로 변화한다.

이런 병의 시중을 드는 사람이 오랫동안 그 영향을 받아 나쁜 기운을 받아서

전염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기가 허하거나 배가 고플 때는

절대로 노채병을 않는 사람의 집에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조상이나 문병을 할 때는 의복이나 그릇으로 허한 틈을 타서 전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직지).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勞瘵病證][노채병증]   (0) 2019.12.12
[驗瘵法][검채법]  (0) 2019.12.12
[齒痛有蟲][치통유충]   (0) 2019.12.11
[諸瘡有蟲][제창유충]   (0) 2019.12.11
[痔瘻有蟲][치루유충]   (0) 2019.12.11

[齒痛有蟲][치통유충]
見牙齒門.
아치문에 있다.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驗瘵法][검채법]  (0) 2019.12.12
[勞瘵蟲][노채충]   (0) 2019.12.12
[諸瘡有蟲][제창유충]   (0) 2019.12.11
[痔瘻有蟲][치루유충]   (0) 2019.12.11
[消渴有蟲][소갈유충]   (0) 2019.12.11

[諸瘡有蟲][제창유충]
見諸瘡門.
제창문에 있다.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勞瘵蟲][노채충]   (0) 2019.12.12
[齒痛有蟲][치통유충]   (0) 2019.12.11
[痔瘻有蟲][치루유충]   (0) 2019.12.11
[消渴有蟲][소갈유충]   (0) 2019.12.11
[狐惑蟲]호혹충]   (0) 2019.12.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