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腹痛凶證][복통흉증]
太陰連小腹痛甚, 自利不止者, 難治[入門].
태음병으로 윗배에서 아랫배까지 심하게 아프면서

설사가 멈추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鼻頭色靑, 腹中痛, 舌冷者, 死[靈樞].
코끝이 푸르면서 배가 아프고 혀가 차면 죽는다(영추).
臍下忽大痛, 人中黑色者, 多死[丹心].
배꼽 아래가 갑자기 심하게 아프고 인중이 검으면 대부분 죽는다(단심).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通治][복통통치]   (0) 2020.03.01
[腹痛宜通利][복통의통리]   (0) 2020.03.01
[腹痛諸證][복통제증]   (0) 2020.03.01
[涌水證][용수증]   (0) 2020.03.01
[腹中鳴][복중명]   (0) 2020.03.01

[腹痛通治][복통통치]   
凡腹痛, 必用溫散, 此是鬱結不行, 阻氣不運, 故痛也[丹心].
일반적으로 배가 아픈 데는 반드시 따뜻한 약으로 풀어야 하는데,

이는 뭉치고 막혀서 기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아픈 것이다(단심).
凡腹痛, 多屬血澁, 通用芍藥甘草湯.

治四時腹痛, 脈弦傷氣加黃芩, 脈洪傷金倍芍藥, 脈緩傷水加桂枝,

脈瀒傷血加當歸, 脈遲傷火加乾薑, 臍下痛加熟地黃[入門].
일반적으로 배가 아픈 것은

대개 혈(血)이 매끄럽게 돌지 못하는 것이므로 작약감초탕을 두루 쓴다.

사계절 복통에 맥이 현(弦)하고 기(氣)를 상한 데는 황금을 더 넣고,

맥이 홍(洪)하고 금(金)을 상한 데는 작약을 두 배로 넣고,

맥이 완(緩)하고 수(水)를 상한 데는 계지를 더 넣고,

맥이 색(瀒)하고 혈을 상한 데는 당귀를 더 넣고,

맥이 지(遲)하고 화(火)를 상한 데는 건강을 더 넣고,

배꼽 아래가 아프면 숙지황을 더 넣는다(입문).  
雜病腹痛, 通用四物苦練湯, 酒煮當歸丸 方見胞門, 開鬱導氣湯.
잡병으로 배가 아픈 데는 사물고련탕, 주자당귀환(처방은 포문), 개울도기탕을 두루 쓴다.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凶證][복통흉증]   (0) 2020.03.01
[腹痛宜通利][복통의통리]   (0) 2020.03.01
[腹痛諸證][복통제증]   (0) 2020.03.01
[涌水證][용수증]   (0) 2020.03.01
[腹中鳴][복중명]   (0) 2020.03.01

[腹痛宜通利][복통의통리]
凡腹痛, 大抵宜通, 塞則爲痛.

凡痛甚, 須通利藏府乃愈.

隨冷熱, 用 巴豆 大黃 牽牛, 最爲要法[得效].
일반적으로 배가 아픈 데는 통하게 하여야 하는데, 막히면 아프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픔이 심할 때는 설사시켜야 하는데, 그러면 장부(臟腑)가 곧 낫는다.

다만 차고 더운 것에 따라 파두, 대황, 견우자를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득효).
初得時, 元氣未虛, 必推蕩之, 此通因通用之法也[丹心].
처음 아플 때는 아직 원기가 허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씻어 내려야 하는데,

이는 설사하는 증상에 설사시키는 방법[반치법]이다(단심).  
實痛, 宜辛寒推蕩,

經曰, 通因通用,

又曰, 痛隨利減, 是也[入門].
실증으로 아픈 데는 맵고 찬약으로 씻어 내는데,

내경에서 "설사하는 데는 설사시켜야 한다"고 하였고,

또 "아픔은 설사시키면 줄어든다"고 하였는데 바로 이 뜻이다(입문).
宜用備急丸 方見救急, 利氣丸 方見上.
비급환(처방은 구급문)이나 이기환(처방은 앞)을 쓴다.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凶證][복통흉증]   (0) 2020.03.01
[腹痛通治][복통통치]   (0) 2020.03.01
[腹痛諸證][복통제증]   (0) 2020.03.01
[涌水證][용수증]   (0) 2020.03.01
[腹中鳴][복중명]   (0) 2020.03.01

[腹痛諸證][복통제증]
疝氣腹痛, 痢疾腹痛, 積聚腹痛, 霍亂腹痛, 腸癰腹痛, 並見諸門[入門].
산기복통, 이질복통, 적취복통, 곽란복통, 장옹복통은 각각 해당하는 문에 있다(입문).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通治][복통통치]   (0) 2020.03.01
[腹痛宜通利][복통의통리]   (0) 2020.03.01
[涌水證][용수증]   (0) 2020.03.01
[腹中鳴][복중명]   (0) 2020.03.01
[腹皮麻痺或痛][복피마비혹통]   (0) 2020.03.01

[涌水證][용수증]
內經曰, 肺移寒於腎, 爲涌水, 涌水者, 按之腹不堅.
水氣客於大腸, 疾行則鳴, 濯濯如囊裹漿, 水之病也.

宜葶藶丸[宣明]. 
내경에서는 "폐(肺)가 한기(寒氣)를 신(腎)으로 옮기면 용수증(涌水證)이 된다"고 하였는데,

 용수는 눌러도 배가 딴딴하지 않다.

수기(水氣)가 대장에 머물러 있어서 빨리 걸으면 소리가 나는 것이

마치 주머니 속에 미음을 넣은 것처럼 꾸르륵거리는데, 이는 수(水)의 병이다.

력환을 쓴다(선명).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宜通利][복통의통리]   (0) 2020.03.01
[腹痛諸證][복통제증]   (0) 2020.03.01
[腹中鳴][복중명]   (0) 2020.03.01
[腹皮麻痺或痛][복피마비혹통]   (0) 2020.03.01
[腹中窄狹][복중착엽]   (0) 2020.03.01

[腹中鳴][복중명]   
腹中鳴者, 病本於胃也[內經].
뱃속에서 소리가 나는 것은 병의 근원이 위(胃)에 있다(내경).
脾氣虛, 則腹滿腸鳴[內經].
비기(脾氣)가 허하면 배가 그득하고 장이 꾸르륵거린다(내경).
中氣不足, 腸爲之苦鳴[靈樞].
중기(中氣)가 부족하면 장이 심하게 꾸르륵거린다(영추).
腹中水鳴, 乃火擊動其水也, 二陳湯 方見痰飮 加芩連梔子[丹心].
뱃속에서 물소리가 나는 것은 화(火)가 수(水)를 치기 때문인데,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황금, 황련, 치자를 더 넣어 쓴다(단심).
腸鳴者, 火欲升, 水欲降, 相擊而鳴[丹心].
장이 꾸르륵거리는 것은 올라가려는 화와 내려가려는

수가 서로 부딪쳐 소리가 나는 것이다(단심).
亦有藏寒有水而鳴者,

宜五積散 方見寒門, 或理中湯 方見寒門 加吳茱萸赤茯苓[丹心].
장이 차고 수가 있어서 꾸르륵거리는 데는

오적산(처방은 한문)이나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오수유와 적복령을 더하여 쓴다(단심).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諸證][복통제증]   (0) 2020.03.01
[涌水證][용수증]   (0) 2020.03.01
[腹皮麻痺或痛][복피마비혹통]   (0) 2020.03.01
[腹中窄狹][복중착엽]   (0) 2020.03.01
[腹痛嘔泄]복통구설]   (0) 2020.03.01

[腹皮麻痺或痛][복피마비혹통]
腹皮麻痺不仁, 多煮葱白吃之, 自愈[綱目].
뱃가죽이 마비되고 감각이 둔해지는 데는 대개 파뿌리를 끓여 먹으면 저절로 낫는다(강목).
肚皮痛者, 由腎虛, 不能行水, 加之酒麪無度, 酒與水,

交聚於腹中, 而麪毒復纏滯其氣, 是以水滲於肚皮, 而作痛矣.

以錢氏宣風散 方見小兒, 用蜜水煎嚥下, 神保元 方見氣門.

竢其大便流利後, 以靑木香元 方見氣門 一分, 安腎元 方見虛勞 倍之,

用二陳湯煎水, 空心嚥下, 脾腎氣復, 自然向安[直指].
뱃가죽이 아픈 것은 신허하여 수(水)를 잘 돌리지 못하는데다

술과 밀가루 음식을 함부로 먹어서 술과 수가 뱃속에 몰리고,

밀가루의 독이 그 몰린 기운을 다시 감싸기 때문에

수가 뱃가죽으로 스며 나와서 아프게 되는 것이다.

전씨선풍산(처방은 소아문)을 달인 꿀물로 넘기거나 신보원(처방은 기문)을 쓴다.
대변이 다 나온 후에는 청목향원(처방은 전음문)과 안신원(처방은 허로문)을 1대 2로 하여

빈속에 이진탕 달인 물로 넘기면 비신(脾腎)의 기가 회복되어 저절로 낫게 된다(직지).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涌水證][용수증]   (0) 2020.03.01
[腹中鳴][복중명]   (0) 2020.03.01
[腹中窄狹][복중착엽]   (0) 2020.03.01
[腹痛嘔泄]복통구설]   (0) 2020.03.01
[積冷腹痛][적냉복통]   (0) 2020.03.01

[腹中窄狹][복중착엽]  
乃濕痰濁氣, 攻於心脾二藏, 升降失常, 以致自覺腹中窄狹.
습담(濕痰)의 탁한 기가 심(心)과 비(脾) 두 장을 공격하면 기의 오르내리는 기능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해서 뱃속이 좁아지는 느낌이 들게 된다.
肥人乃濕痰流灌藏府, 宜二陳湯, 加蒼朮, 香附.
뚱뚱한 사람은 습담이 장부로 흘러 들어가므로 이진탕에 창출과 향부자를 더 넣어 쓴다.
瘦人乃濕熱熏蒸藏府, 宜二陳湯加黃連, 蒼朮.
마른 사람은 습과 열이 장부를 훈증하므로 이진탕에 황련과 창출을 더 넣어 쓴다.
神昏性躁, 心神不斂者, 二陳湯 加 遠志, 麥門冬, 酸棗仁, 血氣虛者,

宜以六君子湯 方見痰飮 加芎歸, 養血流濕, 自然平復[入門].
정신이 어지럽고 성미가 급하며 마음이 안정되지 않는 사람은

이진탕에 원지, 맥문동, 산조인을 더 넣어 쓰고, 혈기가 허한 사람은

육군자탕(처방은 담음문)에 천궁과 당귀를 더 넣어 쓰면

혈을 북돋우고 습을 흘려보내서 저절로 회복된다(입문).
腹中窄狹, 須用蒼朮[丹心].
뱃속이 좁아지면 창출을 꼭 쓴다(단심).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中鳴][복중명]   (0) 2020.03.01
[腹皮麻痺或痛][복피마비혹통]   (0) 2020.03.01
[腹痛嘔泄]복통구설]   (0) 2020.03.01
[積冷腹痛][적냉복통]   (0) 2020.03.01
[腹痛有虛實][복통유허실]   (0) 2020.02.29

[腹痛嘔泄]복통구설]
寒氣客於腸胃, 厥逆上出, 故痛而嘔也[內經].
찬 기운이 장(腸)과 위(胃)에 침범하여 치받으면

위로 올라 나오게 되므로 아프면서 토한다(내경).
寒氣客於小腸, 小腸不得成聚, 故後泄腹痛矣[內經].
한기가 소장에 침범하면 소장이 수곡을 모아주지 못하므로 설사하면서 배가 아프다(내경).
太陰傳少陰, 腹痛甚者, 當變下利不止[東垣].
태음에서 소음으로 전변되어 배가 심하게 아프면 계속 설사하게 된다(동원).
腹痛作嘔, 欲利大便, 諸藥皆吐, 惟蘇感元 方見胸門, 用薑湯呑下, 最妙[直指].
배가 아프면서 구역질을 하고 대변이 마렵고 모든 약을 다 토하는 데는
오직 소감원(처방은 대변문)을 생강 달인 물로 먹는 것이 가장 좋다(직지).
腹痛嘔泄, 宜理中湯, 治中湯 並見寒門.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데는 이중탕이나 치중탕(두 처방 모두 한문)을 쓴다.
上熱下寒, 腹痛嘔吐, 宜黃連湯[入門].
위에는 열이 있고 아래는 차가워 배가 아프면서 구토하는 데는 황련탕을 쓴다(입문).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皮麻痺或痛][복피마비혹통]   (0) 2020.03.01
[腹中窄狹][복중착엽]   (0) 2020.03.01
[積冷腹痛][적냉복통]   (0) 2020.03.01
[腹痛有虛實][복통유허실]   (0) 2020.02.29
[蟲腹痛][충복통]   (0) 2020.02.29

[積冷腹痛][적냉복통]
有一田夫, 醉飽露宿, 一枕天明.

自此脾疼攻刺, 百藥罔功.

淹淹數載, 後遇至人, 授以和劑抽刀散, 溫酒調下, 數服頓愈.

則知風露之根入胃.

良薑菖蒲爲能散其邪, 巴猫借氣, 爲能伐其根也, 故有如是之驗焉[直指].
어떤 농부가 술을 취하게 배불리 먹고 한데서 하룻밤을 잤다.

뒤부터 배[脾]가 찌르듯이 아팠는데 모든 약이 아무 소용이 없었다.

그렇게 몇 년을 질질 끌다가 후에 지인(至人)을 만나

화제추도산을 받아 따뜻한 술에 타서 몇 번 먹으니 바로 나았다.

이것으로 바람과 이슬의 기운이 위(胃)에 들어갔음을 알았다.

양강과 석창포는 그 사기를 흩뜨릴 수 있고, 파두와 반묘의 기를 빌려다가

병의 원인을 없앨 수 있는 까닭에 이런 효험이 있을 수 있었던 것이다(직지).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中窄狹][복중착엽]   (0) 2020.03.01
[腹痛嘔泄]복통구설]   (0) 2020.03.01
[腹痛有虛實][복통유허실]   (0) 2020.02.29
[蟲腹痛][충복통]   (0) 2020.02.29
[痰飮腹痛][담음복통]   (0) 2020.02.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