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下藥][하약]
宜用全眞丸 神芎導水丸 導水丸 舟車丸 舟車神祐丸 三花神祐丸 大聖濬川散 搜風丸

四生丸 解毒丸 木香順氣丸 三黃解毒丸 開結枳實丸 通膈丸 宣毒丸 禹功散

靈寶丹方見大便 大承氣湯 小承氣湯 調胃承氣湯 三一承氣湯 六一順氣湯 五方幷見寒門. 
전진환, 신궁도수환, 도수환, 주거환, 주거신우환, 삼화신우환, 대성준천산, 수풍환,

사생환, 해독환, 목향순기환, 삼황해독환, 개결지실환, 통격환, 선독환, 우공산,

영보단(靈寶丹,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대승기탕, 소승기탕, 조위승기탕, 삼일승기탕,

육일순기탕(六一順氣湯, 뒤로부터 5가지 처방은 다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雜病篇] > [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下後難禁][대하후난금]   (0) 2020.05.04
[下法宜愼][하법의신]   (0) 2020.05.04
[下多亡陰][하다망음]   (0) 2020.05.04
[促下法][촉하법]   (0) 2020.05.04
[宜下證][의하증]   (0) 2020.05.04

[大下後難禁][대하후난금]
凡誤用 大黃芒硝 令人下利不禁
理中湯方見傷寒 加炒糯米 烏梅 東壁土救之(入門).
대황과 망초를 잘못 써서 설사가 나는 것이 멎지 않을 때에는 이중탕에

닦은 찹쌀, 오매, 동쪽 벽의 흙을 넣어 써서 멎게 해야 한다[입문].

'[雜病篇] > [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藥][하약]   (0) 2020.05.04
[下法宜愼][하법의신]   (0) 2020.05.04
[下多亡陰][하다망음]   (0) 2020.05.04
[促下法][촉하법]   (0) 2020.05.04
[宜下證][의하증]   (0) 2020.05.04

[下法宜愼][하법의신]
大凡攻擊之藥 有病則病受之 病邪輕而藥力重 則胃氣受傷

夫胃氣者 淸純沖和之氣也.
惟與穀 肉菜果 相宜 藥石 皆是偏勝之氣,

雖參芪 性亦偏 況攻擊之藥乎(東垣).
치는[攻擊] 성질이 있는 약을 병이 있을 때 쓰면 병을 치게 된다.

그러나 사기(邪氣)가 경(經)한 데 쓰면 약 기운이 세기 때문에 위기(胃氣)가 상하게 된다.

위기라는 것은 깨끗하고 순수하며 잘 조화된 기운인데

이 기운은 오직 곡식, 고기, 채소, 과실 등에서 생겨 보충된다.

약은 다 치우쳐 성하게 하는 성질[偏勝之氣]이 있다.

인삼이나 단너삼(황기) 같은 약도 치우치게 하는 성질이 있는데

하물며 치는 성질이 있는 약[攻擊之藥]이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동원].

'[雜病篇] > [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藥][하약]   (0) 2020.05.04
[大下後難禁][대하후난금]   (0) 2020.05.04
[下多亡陰][하다망음]   (0) 2020.05.04
[促下法][촉하법]   (0) 2020.05.04
[宜下證][의하증]   (0) 2020.05.04

[下多亡陰][하다망음]
大下 傷血(得效).
몹시 설사시키면 혈(血)이 상(傷)한다[득효].
下者 本所以助陰也

若陰受陽邪 熱結有形 須當除去已敗瓌者 以致新陰

若陽邪旣去 而復下之 反亡陰也.

(陰陽應象大論篇 第五)曰 “重陰必陽

故陰氣自亡 下多亡陰” 此之謂也(東垣).
설사시키는 것은 원래 음(陰)을 돕자는 것이다.

만일 음이 양사(陽邪)를 받아서 열이 몰려 형체[形]가 있는 것이 생겼을 때에는

이미 썩은 것은 없애 버리고 새로운 음이 생기게 해야 한다.

만일 양사는 이미 없어졌는데 또 설사시키면 도리어 망음(亡陰)이 된다.

내경에 “중음(重陰)이 되면 반드시 양(陽)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음기를 저절로 없어지게 한 것이다.

설사를 몹시 시키면 망음증이 생긴다는 것이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다[동원].   


'[雜病篇] > [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下後難禁][대하후난금]   (0) 2020.05.04
[下法宜愼][하법의신]   (0) 2020.05.04
[促下法][촉하법]   (0) 2020.05.04
[宜下證][의하증]   (0) 2020.05.04
[下無太晩][하무태만]   (0) 2020.05.04

[促下法][촉하법]
凡服利藥 久不利 則進熱粥一椀 若利過不止 進冷粥一椀

盖藥熱則行 冷則止故也(仲景)
설사시키는 약을 먹었으나 오래되도록 설사가 나지 않을 때에는

뜨거운 죽을 1사발 먹어야 한다.
만일 지나치게 설사하면서 멎지 않으면 식은 죽을 1사발 먹어야 한다.
그것은 약이 더워지면 나가게 하고[行] 차지면 멎게 하기[止] 때문이다[중경].
如服藥不得通 用蜜導法方見大便

凡下藥用湯勝丸 盖水能淨萬物故也(入門).
약을 먹어도 설사가 나지 않으면 밀도법(蜜導法,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써야 한다.
설사시키는 약은 달임약을 쓰는 것이 알약을 쓰는 것보다 더 좋다.
그것은 물이 모든 것을 다 깨끗하게 하기 때문이다[입문].


'[雜病篇] > [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法宜愼][하법의신]   (0) 2020.05.04
[下多亡陰][하다망음]   (0) 2020.05.04
[宜下證][의하증]   (0) 2020.05.04
[下無太晩][하무태만]   (0) 2020.05.04
[秋宜下][추의하]   (0) 2017.07.15

[宜下證][의하증]
凡轉下 須體認明白 在陽明胃經

則不拘日數而下之 過時失下 則氣血不通 四肢便厥

不識者 疑爲陰厥 復進熱藥 禍如反掌(得效).
병이 양명위경(陽明胃經)에 있다는 것을 정확히 안 다음에는

날짜에 관계없이 설사시켜야 한다.

만일 날짜가 지나도록 설사시키지 않으면

기혈(氣血)이 통하지 못하게 되고 팔다리가 싸늘해진다.

이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음궐(陰厥)이라고 하면서

또 성질이 뜨거운 약을 먹어서 곧 해를 입게 된다[득효].
凡用下藥 若不渴者 知不在有形也

則不當下 若渴者 則知纏有形也

纏有形 是爲在裏 在裏 則當下 三承氣湯 擇用之(東垣).
설사시키는 약을 쓰려고 할 때 갈증이 없는 것은

형체[形]가 없다는 것을 알고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만약 갈증이 있으면 형체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형체가 있다는 것은 병이 속에 있다는 것인데

이때에는 반드시 설사를 시켜야 한다.

약은 3가지 승기탕에서 골라 써야 한다[동원].

'[雜病篇] > [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法宜愼][하법의신]   (0) 2020.05.04
[下多亡陰][하다망음]   (0) 2020.05.04
[促下法][촉하법]   (0) 2020.05.04
[下無太晩][하무태만]   (0) 2020.05.04
[秋宜下][추의하]   (0) 2017.07.15

[下無太晩][하무태만]
非待久之晩 乃當日已後 爲陰之分也

下之謂當已前爲陽之分也

故曰下無太晩 下不厭晩 是謂善守(東垣).  
늦게 시키지 말라고 하는 것은 병이 오랜 다음에 시키지 말라는 의미가 아니라

오전 9-11시 이후에 설사시키지 말라는 것이다.

그것은 이때가 음(陰)에 속하기 때문이다.

설사를 매일 오전 9-11시 사이에 시켜야 한다.

그것은 이때가 양(陽)에 속하기 때문이다.

설사를 너무 늦게 시키지도 말고 또 지나치게 늦게 시키는 것을

싫어하지 말아야 할 때도 있다고 한 것은 잘한 말이다[동원].
凡下積聚 癲狂 須五鼓

或平朝空心服湯 傷寒潮熱 不納飮食者 巳時以後尤好

故曰 下無太晩 下不厭晩 雜病皆同(入門). 
적취(積聚)나 전광(癲狂) 때 설사시키려면

반드시 날샐 무렵이나 이른 아침 빈속에 달임약을 먹어야 한다.

상한(傷寒)으로 조열(潮熱)이 나고

음식을 먹지 못할 때에는 9-11시 이후에 설사시키는 것이 더 좋다.

래서 설사는 너무 늦게도 시키지 말고

또 늦게 시키는 것을 싫어하지 말아야 할 때도 있다고 하였다.

잡병(雜病) 때도 다 같다[입문].  

'[雜病篇] > [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法宜愼][하법의신]   (0) 2020.05.04
[下多亡陰][하다망음]   (0) 2020.05.04
[促下法][촉하법]   (0) 2020.05.04
[宜下證][의하증]   (0) 2020.05.04
[秋宜下][추의하]   (0) 2017.07.15

[秋宜下][추의하] 

仲景大法 秋宜下. 
중경의 “중요한 치료법에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고 씌어 있다.

'[雜病篇] > [下]'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法宜愼][하법의신]   (0) 2020.05.04
[下多亡陰][하다망음]   (0) 2020.05.04
[促下法][촉하법]   (0) 2020.05.04
[宜下證][의하증]   (0) 2020.05.04
[下無太晩][하무태만]   (0) 2020.05.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