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飮通治藥][담음통치약]
通用 二陳湯, 茯苓半夏湯, 芎夏湯, 蠲飮枳實丸, 千金指迷丸, 敵痰丸, 小胃丹.

痰飮冷證, 宜五飮湯, 破痰消飮元.

濕熱痰飮, 宜滾痰丸, 木香和中丸.

食積痰飮, 宜淸氣化痰丸.

虛人老人痰飮, 宜竹瀝枳朮丸, 霞天膏 見上.

이진탕, 복령반하탕, 궁하탕, 견음지실환, 천금지미환, 적담환, 소위단을 두루 쓴다.

담음의 냉증에는 오음탕, 파담소음원을 쓴다.

습열(濕熱)로 인한 담음에는 곤담환, 목향화중환을 쓴다.

식적 담음에는 청기화담환을 쓴다.

허약한 사람이나 노인의 담음에는 죽력지출환, 하천고를 쓴다(처방은 앞에 있다).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治法][담음치법]   (0) 2019.11.16
[痰飮吐法][담음토법]   (0) 2019.11.16
[痰病難治證][담병난치증]   (0) 2019.11.16
[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0) 2019.11.16
[痰結][담결]   (0) 2019.11.16

[痰飮治法][담음치법]
實脾土燥脾濕, 是治其本[丹心].

비토(脾土)를 실하게 하고 비습(脾濕)을 마르게 하는 것이 근본을 치료하는 것이다(단심).

虛人中焦有痰, 胃氣亦賴所養, 卒不可便攻, 攻盡則愈虛[丹心].

허약한 사람의 중초에 담이 있을지라도,

위기(胃氣)는 담음에 힘입어 영양을 받으므로 갑자기 [담을] 몰아내서는 안 된다.

담음을 다 몰아내면 더욱 허약해지기 때문이다(단심).

凡治痰用利藥過多, 致脾氣下虛, 則痰反易生而多,

法當補脾胃淸中氣則痰自然運下, 乃治本之法也[丹心].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약[利藥]을 너무 많이 써서 담을 치료하여

비기(脾氣)가 쳐지고 허약해지면 담이 오히려 더 쉽게 생겨 많아지게 된다.

치료법은 비위를 보하고 중기(中氣)를 맑게 하면 담은 저절로 없어진다.

이것이 근본을 치료하는 법이다(단심).

治痰順氣爲先, 分導次之.

然氣升屬火, 因氣動者曰痰氣, 宜順氣導痰湯.

因火動者曰痰火, 宜淸熱導痰湯 方見上.

因濕動者曰濕痰, 導痰湯, 通用二陳湯[入門].

담을 치료할 때는 먼저 기를 고르게 하여야 하며,

담을 갈라서 빼내는 것[分導]은 그 다음이다.

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은 화(火)에 속하는데,

기가 움직여[動] 생긴 것을 담기(痰氣)라고 한다.

순기도담탕을 쓴다.

화(火)가 움직여 생긴 것은 담화(痰火)라고 하는데,

청열도담탕(처방은 앞에 있다)을 쓴다.

습(濕)이 움직여 생긴 것을 습담이라고 하는데,

도담탕을 쓰고 이진탕을 두루 쓴다(입문).

陽虛腎寒, 冷痰溢上, 或昏暈夜喘上氣者, 八味丸 方見虛勞,

黑錫丹 方見虛勞, 鎭墜之[入門].

양(陽)이 허하고 신(腎)이 차서 냉담(冷痰)이 위로 넘치면 어지럽고

밤에 기침을 하면서 기운이 치밀어오르기도 하는데, 이때는 팔미환(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흑석단(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으로 내리눌러야 한다(입문).

脾虛不能運化者, 六君子湯加竹瀝薑汁.

或補中益氣湯加半夏竹瀝薑汁[入門].

비(脾)가 허하여 운화 기능을 하지 못하면 육군자탕에 죽력·강즙을 더 넣거나

보중익기탕에 반하, 죽력, 강즙을 더 넣고 쓴다(입문).


張子和曰, 飮無補法, 必當去水.

故用汗吐下三法治人常愈, 然亦有挾寒, 挾虛之證.

又有血氣虧乏之人, 理宜導去痰滯, 又當補接兼行, 又難拘於子和之三法也[丹心].

장종정은 "음병(飮病)에는 보하는 법이 없고 반드시 수(水)를 없애야 하므로

땀내고[汗] 토하고[吐] 설사시키는[下] 세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여야 낫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寒)이나 허(虛)한 증상을 겸하고 또 혈(血)과 기가 손상받고

부족한 사람에게는 담이 막힌 것을 없애는 치료법과 보하는 치료법을 함께 쓴다.

그러므로 장종정의 세 가지 치료법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단심).

痰生於脾胃, 治法宜實脾燥濕,

又隨氣而升, 宜順氣爲先, 分導次之.

又氣升屬火, 順氣在於降火[醫鑑].

담은 비위에서 생기므로 치료법은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습(濕)을 말려야 한다.

또 담이 기를 쫓아 위로 올라간 것은 우선 기를 순조롭게 하여야 하고

그 다음에 담을 갈라서 끌어내야[分導] 한다.

또 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은 화에 속하므로

기를 순조롭게 하는 것이 화를 내리는 것이 된다(의감).

難經曰腎主五液化爲五濕濕能生痰痰者因咳而動脾之濕也

半夏能泄痰之標不能泄痰之本泄本者泄腎也

十棗湯三花神佑丸是也 並見下門.
熱痰則淸之用 石膏, 靑黛, 梔子, 黃芩, 黃連.
寒痰則溫之用 半夏, 乾薑, 附子, 肉桂.
燥痰則潤之用 瓜蔞仁, 杏仁, 五味子, 天花粉.
濕痰則燥之用 蒼朮, 白朮, 厚朴, 茯苓.
風痰則散之用 南星, 皂角, 白附子, 竹瀝.
老痰則軟之用 海石, 芒硝, 瓜蔞仁, 枳殼, 便香附.
食積痰則消之用 山査子, 神麴, 麥芽.
大要人蔘甘草以補脾白朮, 半夏以燥濕

陳皮, 靑皮以利氣茯苓, 澤瀉以滲水[丹心].
난경에서는 "()은 오액(五液)을 주관한다"고 하였는데,

오액은 변화하여 오습(五濕)이 되고 습은 담을 만든다.

담은 기침을 하면 나오는데, 이것은 비()에서 생긴 습이다.

반하는 담의 표()를 삭이기는 하지만[] 담의 본()을 삭이지는 못한다.

본을 삭이는 것은 신()을 사()하는 것[]인데,

십조탕, 삼화신우환(처방은 모두 하문에 있다)이 바로 그런 약이다.
열담은 시원하게 하여야 하므로 석고, 청대, 치자, 황금, 황련을 쓴다.
한담은 따뜻하게 하여야 하므로 반하, 건강, 부자, 육계를 쓴다.
조담은 촉촉하게 하여야 하므로 과루인, 행인, 오미자, 천화분을 쓴다.
습담은 마르게 하여야 하므로 창출, 백출, 후박, 복령을 쓴다.
풍담은 흩어지게 하여야 하므로 남성, 조각, 백부자, 죽력을 쓴다.
노담은 연하게 하여야 하므로 해석, 망초, 과루인, 지각, 변향부자를 쓴다.
식적담은 삭도록 하여야 하므로 산사자, 신곡, 맥아를 쓴다.
가장 중요한 점은 인삼과 감초로 비()를 보하고,

백출과 반하로 습()을 말리며, 진피와 청피로 기를 잘 돌게 하고,

복령과 택사로 물을 빠지게[] 하는 것이다(단심).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通治藥][담음통치약]   (0) 2019.11.17
[痰飮吐法][담음토법]   (0) 2019.11.16
[痰病難治證][담병난치증]   (0) 2019.11.16
[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0) 2019.11.16
[痰結][담결]   (0) 2019.11.16

[痰飮吐法][담음토법]
痰在膈上, 必用吐法, 瀉亦不能去.

담이 횡격막 상부에 있으면 반드시 토하는 법을 써야 한다.

설사를 시켜서는 제거할 수 없다.

脈浮者宜吐.

맥이 부한 환자는 토하게 하여야 한다.

膠固稠濁者必用吐.

담이 아교풀같이 굳고 걸쭉하고 탁한 환자는 토법을 써야 한다.

痰在經絡中, 非吐不可, 吐中就有發散之意, 不必在出痰也.

담이 경락에 있으면 토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토법에는 발산(發散)한다는 뜻도 있어서, 오직 담을 내보내는 데만 뜻이 있는 것이 아니다.

凡用吐藥, 宜升提其氣便吐也.

防風, 梔子, 川芎, 桔梗, 芽茶, 生薑, 虀汁之類,

或以二陳湯探吐, 或用瓜蔕散[丹心].

토하게 하는 약을 쓸 때는 기를 끌어올려 토하게 하여야 한다.

방풍, 치자, 천궁, 길경, 아다, 생강, 구즙 같은 것이나 이진탕으로 토하게 하고,

또는 과체산을 쓰기도 한다(단심).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通治藥][담음통치약]   (0) 2019.11.17
[痰飮治法][담음치법]   (0) 2019.11.16
[痰病難治證][담병난치증]   (0) 2019.11.16
[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0) 2019.11.16
[痰結][담결]   (0) 2019.11.16

[痰病難治證][담병난치증]
氣實熱痰, 吐難得出,

或成塊, 吐喀不出, 氣鬱滯者難治.

又曰, 氣實痰熱結者難治[丹心].

기가 실하고 열담이 있어 토하고자 하나 잘 나오지 않고,

혹 덩어리를 이루어 뱉어도 나오지 않는 것은 기가 뭉친 것으로 치료하기 어렵다.

또한 "기가 실하고 담열(痰熱)이 뭉친 것도 고치기 어렵다"고 하였다(단심).

喉中漉漉有聲, 喘急, 喀痰不出者難治.

又曰, 服藥後, 喀吐痰出爲效. 若喀痰不出者難治[回春].

목구멍에서 그렁그렁 하는 소리가 나고 숨이 몹시 차며

담을 뱉어도 나오지 않는 것은 고치기 어렵다.

또 "약을 복용한 후에 담을 뱉으면 낫지만,

담을 뱉어도 나오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고 하였다(회춘).

痰涎等病不一而足, 惟勞瘵有痰爲難治.

最宜早灸膏肓四花穴 詳見鍼灸[資生經].

담연(痰涎) 등의 병은 매우 많지만, 오직 노채(勞瘵)에 담이 있게 되면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는 서둘러 고황과 사화혈에 뜸을 뜨는 것이 가장 좋다

(상세한 것은 침구편에 있다)(자생경).

肺胃經虛則生粘痰, 痰者肺胃所出也,

痰涎凝滯在於咽喉, 如牽鋸之聲, 時復瘈瘲,

或因吐瀉所致, 脾虛肺亦虛, 痰涎流溢, 變成癲癎, 尤爲難治[全嬰方].

폐경과 위경이 허하면 걸쭉한 담이 생기는데 담은 폐와 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담연이 뭉쳐서 목구멍에 있게 되면 톱질하는 소리 같은 것이 나고

때때로 계종(瘈瘲)이 나타난다.

혹은 토하고 설사하는 것으로 인하여 비(脾)가 허해지면

폐도 역시 허해져 담연이 흘러넘치고 전간(癲癎)으로 변하기도 하는데,

이는 더욱 치료하기 어렵다(전영방).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治法][담음치법]   (0) 2019.11.16
[痰飮吐法][담음토법]   (0) 2019.11.16
[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0) 2019.11.16
[痰結][담결]   (0) 2019.11.16
[喜唾痰][희타담]   (0) 2019.11.16

[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大凡病久淹延, 卒不死者, 多因食積痰飮所致.

何以然者,

盖胃氣亦賴痰積所養, 飮食雖少, 胃氣卒不便虛故也[丹心].

병을 오랫동안 앓기만 하고 갑자기 죽지 않는 것은

대부분 식적(食積)과 담음(痰飮)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위기(胃氣)는 담적에 힘입어서도 영양을 받기 때문에

비록 음식을 적게 먹어도 위기가 갑작스럽게 허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단심).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吐法][담음토법]   (0) 2019.11.16
[痰病難治證][담병난치증]   (0) 2019.11.16
[痰結][담결]   (0) 2019.11.16
[喜唾痰][희타담]   (0) 2019.11.16
[痰塊][담괴]   (0) 2019.11.15

[痰結][담결]
喉中有物, 喀不出, 嚥不下, 此痰結也[醫鑑].

목구멍에 무언가 있어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 것이 바로 담결(痰結)이다(의감).

喉中有物, 喀不出, 嚥不下, 此是老痰.

重者吐之, 輕者用瓜蔕散 方見吐, 氣實者必用荊瀝[丹心].

목구멍에 무언가 있어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 것은 노담(老痰)이다.

병이 심하면 토하도록 하고 가벼우면 과체산(처방은 토문에 있다)을 쓰며,

기운이 실한 사람은 형력을 쓴다(단심).

痰結核在咽喉中, 燥不能出入, 化痰藥加鹹能耎堅之味.

節齋化痰丸最妙 方見上.

此等老痰, 飮酒之人多有之, 酒熱上升, 鬱于肺胃而成此痰.

天門冬片芩泄肺火也, 海粉芒硝鹹以耎堅也,

瓜蔞仁潤肺降痰, 香附子開鬱降氣, 連翹桔梗開結降火,

靑黛解鬱火, 皆不用半夏南星辛燥之劑[丹心].

담이 뭉친 덩어리가 목구멍에서 말라붙어 움직이지 않을 때는

담을 삭이는 약에 굳은 것을 연하게[耎堅] 하는 짠맛의 약을 더 넣어야 하는데,

절재화담환(처방은 앞에 있다)이 가장 좋다.

이와 같은 노담은 술을 마시는 사람에게 많은데,

술의 열이 상승하여 폐위(肺胃)에 몰려서 생긴 것이다.

이러한 담에는 천문동·황금으로 폐화(肺火)를 씻어내리고,

해분과 망초의 짠맛으로 굳은 것을 연하게 하며,

과루인으로 폐를 축여주어 담을 내리고, 향부자로 몰린 것을 풀어 기를 내리며,

연교와 길경으로 뭉친 것을 풀어 화(火)를 내리고, 청대로 뭉친 화를 푼다.

반하와 남성같이 성질이 맵고 조(燥)한 약은 쓰지 않는다(단심).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病難治證][담병난치증]   (0) 2019.11.16
[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0) 2019.11.16
[喜唾痰][희타담]   (0) 2019.11.16
[痰塊][담괴]   (0) 2019.11.15
[痰厥][담궐]   (0) 2019.11.15

[喜唾痰][희타담]  
胸中有寒則喜唾痰[局方].

가슴속에 찬 기운이 있으면 가래침을 자주 뱉는다(국방).

脾虛不能剋制腎水, 多吐痰唾而不咳者, 宜服八味元 方見虛勞.

又云, 八味元治脾腎兩虛, 多唾痰而不咳[丹心].

비(脾)가 허하여 신수(腎水)를 이기지 못하여[剋] 가래침을 많이 뱉으면서도

기침은 하지 않는 데는, 팔미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쓴다.

또한 "팔미원은 비와 신이 모두 허하여 가래침을

많이 뱉으면서도 기침을 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고 하였다(단심).

大病後多唾痰者, 此胃冷也.

宜理中湯 方見寒門[入門].

큰 병을 앓고 난 후에 가래침을 많이 뱉는 것은 위(胃)가 냉한 때문이니,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病人多唾白沫, 乃胃口上停寒也, 加益智仁[丹心].

환자가 흰 거품이 섞인 침을 자주 뱉는 것은 위의 입구에 찬 기운이 머물러 있는 것이니,

익지인을 더 넣는다(단심).

喜唾痰, 宜半夏溫肺湯[東垣].

或二陳湯加丁香縮砂.

가래침을 자주 뱉으면 반하온폐탕을 쓴다(동원).

또는 이진탕에 정향·축사인을 더 넣어 쓴다.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0) 2019.11.16
[痰結][담결]   (0) 2019.11.16
[痰塊][담괴]   (0) 2019.11.15
[痰厥][담궐]   (0) 2019.11.15
[痰病有似邪祟][담병유이사수]   (0) 2019.11.15

[痰塊][담괴]
人身上中下, 有塊如腫毒, 多在皮裏膜外, 此因濕痰流注, 作核不散,

問其平日好食何物, 用藥, 吐下後, 方用消痰散核之藥.

二陳湯加大黃連翹柴胡桔梗白芥子黃連薑汁炒煎水, 入竹瀝, 多服自消[丹心]

온몸에 종독(腫毒) 같은 덩어리가 피부와 근막 사이에 많이 있는 것은

바로 습담이 돌아다니다가 덩어리를 만들어 흩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평소에 어떤 음식을 잘 먹었는지를 물어보고 약을 써서 토하게 하거나 설사를 하게 한 후 담을 삭이고 덩어리의 핵을 흩어지게 하는 약을 쓴다.

이진탕에 대황, 연교, 시호, 길경, 백개자,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을 더 넣고

달인 물에 죽력을 넣어 자주 먹으면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痰飮流注於胸背頭項腋胯腰腿手足聚結腫硬,

或痛或不痛. 按之無血潮, 雖或有微紅, 亦淡薄, 不熱, 堅如石.

破之無膿, 或有薄血, 或淸水, 或如紫汁.

又有壞肉如敗絮, 或如瘰癧, 在皮肉之間如雞卵, 可移動, 軟活不硬.

惟覺咽喉痰結, 作寒作熱. 宜返魂湯 方見癰疽 加南星半夏[醫鑑].

담음이 가슴과 등, 머리와 목,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허리와 허벅지,

손발에 돌아다녀 뭉쳐서 붓고 딴딴해지는데, 아프기도 하고 안 아프기도 하다.

눌러보아도 살갗이 붉어지지는 않는데, 붉어진다고 하여도 조금 붉어지는 정도이며

피부색이 담박하면서 열은 나지 않고 마치 돌처럼 단단하다.

터뜨려보면 고름은 없는데,

간혹 묽은 피가 있거나 맑은 물이 있거나 혹은 자주색의 진물이 있기도 하다.

또 헌솜이나 나력처럼 살이 썩고 피부와 근육 사이에 달걀같이 뭉친 것이 있는데,

밀면 움직이고 물렁물렁하면서 매끄럽고 단단하지는 않다.

환자는 목구멍에 담이 뭉쳐 있고 추웠다 더웠다 하는 느낌만을 갖는다.

반혼탕(처방은 옹저문에 있다)에 남성·반하를 더 넣고 쓴다(의감).

遍身有塊, 多是痰注. 宜加味小胃丹, 竹瀝達痰丸[入門].

온몸에 덩어리가 있는 것은 대개 담이 흘러 들어가서 생기는 것이다.

가미소위단, 죽력달담환을 쓴다(입문).

痰塊, 宜開氣消痰湯.

又天南星草烏等分爲末, 薑汁調如膏, 敷核上立消[醫鑑].

담괴에는 개기소담탕을 쓴다.

또 천남성과 초오 같은 양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버무려 고약처럼 만든 다음 덩어리 위에 붙이면 곧 삭는다(의감).

治痰核, 商陸根生南星合擣令爛, 塗付立消[種杏].

담핵의 치료는 상륙근과 생남성을 찧어서 문드러지게 하여 담핵 위에 바르면 곧 삭는다(종행).

渾身有腫塊, 或骨體串痛, 都是濕痰流注經絡也. 通用二陳湯加減[回春].

온몸에 멍울이 있거나 뼈를 뚫는 듯한 통증이 있는 것은

모두 습담이 경락을 돌아다녀 생긴 것이다.

이진탕에 가감하여서 두루 쓴다(회춘).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結][담결]   (0) 2019.11.16
[喜唾痰][희타담]   (0) 2019.11.16
[痰厥][담궐]   (0) 2019.11.15
[痰病有似邪祟][담병유이사수]   (0) 2019.11.15
[痰飮流注證][담음유주증]   (0) 2019.11.15

[痰厥][담궐]
痰厥者, 皆因內虛受寒, 痰氣阻塞, 手足厥冷麻痺暈倒脈沈細.

宜服加味二陳湯, 淸火化痰湯, 鶴頂丹. 小兒方奪命散亦可[入門].

담궐은 속이 허한데 찬 기운이 침범하여 담기(痰氣)가 막혀서 생기는데,

손발이 싸늘하고 마비감이 있으면서 어지러워 넘어지고 맥은 침세하다.

가미이진탕, 청화화담탕, 학정단을 쓰는데, 소아 처방인 탈명산도 쓸 수 있다(입문).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喜唾痰][희타담]   (0) 2019.11.16
[痰塊][담괴]   (0) 2019.11.15
[痰病有似邪祟][담병유이사수]   (0) 2019.11.15
[痰飮流注證][담음유주증]   (0) 2019.11.15
[辨痰色][변담색]   (0) 2019.11.15

[痰病有似邪祟][담병유이사수]
血氣者, 人之神也.

神氣虛乏, 邪因而入, 理或有之.

若夫血氣兩虛, 痰客中焦, 妨碍升降, 不得運用,

以致十二官各失其職, 視聽言動皆有虛妄, 以邪治之, 其人必死[東垣].

혈과 기는 사람의 신(神)이다.

신의 기가 허약하고 부족하면 사기가 이를 틈타 안으로 들어오는 수가 있다.

만약 혈과 기가 모두 허약하면 담이 중초에 침입하여

기혈의 오르내림이 방해를 받아 기혈이 잘 돌지 못한다.

이로써 열두 장기가 그 기능을 잃어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허망하게 된다.

이것을 사수(邪祟)로 보고 치료하면 그 환자는 반드시 죽게 된다(동원).

先宜多飮薑鹽湯探吐之,

或竹瀝香油多灌之, 次服陶氏導痰湯.

먼저 생강과 소금 끓인 물을 많이 마셔서 토하게 하거나

죽력이나 참기름을 먹여 담을 씻어낸 다음 도씨도담탕을 먹는다.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塊][담괴]   (0) 2019.11.15
[痰厥][담궐]   (0) 2019.11.15
[痰飮流注證][담음유주증]   (0) 2019.11.15
[辨痰色][변담색]   (0) 2019.11.15
[痰飮諸病][담음제병]   (0) 2019.1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