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塊][담괴]
人身上中下, 有塊如腫毒, 多在皮裏膜外, 此因濕痰流注, 作核不散,
問其平日好食何物, 用藥, 吐下後, 方用消痰散核之藥.
二陳湯加大黃連翹柴胡桔梗白芥子黃連薑汁炒煎水, 入竹瀝, 多服自消[丹心].
온몸에 종독(腫毒) 같은 덩어리가 피부와 근막 사이에 많이 있는 것은
바로 습담이 돌아다니다가 덩어리를 만들어 흩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평소에 어떤 음식을 잘 먹었는지를 물어보고 약을 써서 토하게 하거나 설사를 하게 한 후 담을 삭이고 덩어리의 핵을 흩어지게 하는 약을 쓴다.
이진탕에 대황, 연교, 시호, 길경, 백개자,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을 더 넣고
달인 물에 죽력을 넣어 자주 먹으면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痰飮流注於胸背頭項腋胯腰腿手足聚結腫硬,
或痛或不痛. 按之無血潮, 雖或有微紅, 亦淡薄, 不熱, 堅如石.
破之無膿, 或有薄血, 或淸水, 或如紫汁.
又有壞肉如敗絮, 或如瘰癧, 在皮肉之間如雞卵, 可移動, 軟活不硬.
惟覺咽喉痰結, 作寒作熱. 宜返魂湯 方見癰疽 加南星半夏[醫鑑].
담음이 가슴과 등, 머리와 목,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허리와 허벅지,
손발에 돌아다녀 뭉쳐서 붓고 딴딴해지는데, 아프기도 하고 안 아프기도 하다.
눌러보아도 살갗이 붉어지지는 않는데, 붉어진다고 하여도 조금 붉어지는 정도이며
피부색이 담박하면서 열은 나지 않고 마치 돌처럼 단단하다.
터뜨려보면 고름은 없는데,
간혹 묽은 피가 있거나 맑은 물이 있거나 혹은 자주색의 진물이 있기도 하다.
또 헌솜이나 나력처럼 살이 썩고 피부와 근육 사이에 달걀같이 뭉친 것이 있는데,
밀면 움직이고 물렁물렁하면서 매끄럽고 단단하지는 않다.
환자는 목구멍에 담이 뭉쳐 있고 추웠다 더웠다 하는 느낌만을 갖는다.
반혼탕(처방은 옹저문에 있다)에 남성·반하를 더 넣고 쓴다(의감).
遍身有塊, 多是痰注. 宜加味小胃丹, 竹瀝達痰丸[入門].
온몸에 덩어리가 있는 것은 대개 담이 흘러 들어가서 생기는 것이다.
가미소위단, 죽력달담환을 쓴다(입문).
痰塊, 宜開氣消痰湯.
又天南星草烏等分爲末, 薑汁調如膏, 敷核上立消[醫鑑].
담괴에는 개기소담탕을 쓴다.
또 천남성과 초오 같은 양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버무려 고약처럼 만든 다음 덩어리 위에 붙이면 곧 삭는다(의감).
治痰核, 商陸根生南星合擣令爛, 塗付立消[種杏].
담핵의 치료는 상륙근과 생남성을 찧어서 문드러지게 하여 담핵 위에 바르면 곧 삭는다(종행).
渾身有腫塊, 或骨體串痛, 都是濕痰流注經絡也. 通用二陳湯加減[回春].
온몸에 멍울이 있거나 뼈를 뚫는 듯한 통증이 있는 것은
모두 습담이 경락을 돌아다녀 생긴 것이다.
이진탕에 가감하여서 두루 쓴다(회춘).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結][담결] (0) | 2019.11.16 |
---|---|
[喜唾痰][희타담] (0) | 2019.11.16 |
[痰厥][담궐] (0) | 2019.11.15 |
[痰病有似邪祟][담병유이사수] (0) | 2019.11.15 |
[痰飮流注證][담음유주증] (0) | 2019.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