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齅法][후법]

 

咳逆 久不止 服藥無效 宜用齅法灸法 治之(活人).

딸꾹질이 오랫동안 계속되면서 약을 먹어도 낫지 않으면

냄새를 쏘이는 방법과 뜸뜨는 방법으로 치료해야 한다[활인].

 

[硫黃齅法][유황후법]

硫黃 乳香各7.5g以酒煎之 急令患人 當鼻下嗅 其氣(活人).

유황, 유향 각각 8g을 술에 달여서 빨리 코 밑에 대고 냄새를 쏘인다[활인].

 

[雄黃齅法][웅황후법]   

雄黃7.5g 酒一盞煎至7分 急令患人 嗅其熱氣 卽止(活人).

一方 治咳逆久不止 將乳香紙捲作筒 燒烟熏鼻中 吸之(回春).

석웅황(웅황) 8g을 술 1잔에 넣고 7분이 되게 달여서 뜨거울 때 빨리 김을 쏘이면 곧 낫는다[활인].

또 한 가지 처방

딸꾹질이 오래도록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유향을 종이에 말아 심지를 만든 다음 불에 태우면서 코에 그 연기를 쏘인다[회춘].

[過笑咳逆][과소해역]

 

笑噦 食噦者 皆屬有餘之證 以紙撚探鼻 取嚔 或久閉氣 可止(綱目).

웃어서 나는 딸꾹질과 음식으로 나는 딸꾹질은 다 실증[有餘]에 속한다.

종이심지로 콧구멍을 찔러서 재채기를 하거나 오랫동안 숨을 쉬지 않고 있으면 멎는다[강목].

[難治不治證][난치불치증]

 

嘔吐 脈弱 小便自利 身微熱而厥者 虛極 難治(脈經).

토할 때에 맥이 약하고 오줌이 잘 나가며 몸에 열이 약간씩 나면서

싸늘한 것은 몹시 허약한 것이기 때문에 치료하기 어렵다[맥경].

 

凡吐如淸菜汁者 死, 此是乍然嘔吐 非反胃比也(入門).

멀건 나물국 같은 것을 토하는 것은 죽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이렇게 토하는 것은 잠깐 사이이나 

이것이 반위증과는 대비도 되지 않게 중한 것이기 때문이다[입문]. 

 

噎膈 反胃證 年高者 不治(年五十以上者 不治).

열격이나 반위증 때에 나이가 많으면 치료하기 어렵다.

(50살 이상이면 치료할 수 없다). 

 

糞如羊屎者 不治(大腸無血 故也).

대변이 양의 똥 같은 것은 치료할 수 없다.

(대장에 피가 없기 때문이다). 

 

不淡飮食 不斷房室者 不治.

담박한 음식을 먹거나 성생활을 끊지 않으면 치료할 수 없다. 

 

氣血俱虛者 則口中多出沫 但見沫 多出者 必死(丹心).

기혈이 다 허하면 입으로 거품침이 많이 나오는데 

거품이 많이 나오면 반드시 위험하다[단심]. 

 

反胃 吐白沫者 可治, 吐黃沫者 不可治(種杏).

반위 때에 흰 거품을 토하면 치료할 수 있고 누런 거품을 토하면 치료하기 어렵다[종행].  

[嘔吐噎膈反胃宜通大便][구토열격반위의통대변]

 

病因欲吐者 切不可 下逆之故也(仲景).

환자가 토하려고 할 때에는 절대로 설사를 시키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토하는 것은 치미는 것이기 때문이다[중경].

 

陽明之氣下行則順 今逆而上行 謹不可泄 固也.

然嘔吐者 每每大便秘結 上下壅遏 氣不流行 盖思所以區畫 而利導之(直旨).

양명경의 기는 내려가야 순조로운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이 치밀어오를 때에는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토할 때에는 대변이 굳어져 위아래가 막히기 때문에 기가 잘 돌지 못한다.

이것을 잘 갈라보고 설사시켜야 한다[직지].  

 

陰虛 邪氣逆上 窒塞嘔噦 不足之病也 此地道不通

當用生地黃 當歸 桃仁 紅花 兼用甘草 微加大黃 芒硝 以通其閉 大便利 則嘔吐噦 自止矣(東垣).

음이 허할 때 사기가 치밀어올라 막혀서 토하거나 딸꾹질하는 것은 부족해서 생긴 병이다. 

이것은 하초가 잘 통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데는 생지황, 당귀,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에 감초를 넣고 

대황, 망초를 조금 넣어 써서 막힌 것을 통하게 해야 한다. 

대변이 통하게 되면 토하던 것과 딸꾹질이 저절로 멎는다[동원]. 

 

嘔吐證 忌用利藥 此言其常 只嘔吐 而大小便 不秘澁者 利藥所當忌之.

若大小腸膀胱 熱結不通 上爲嘔吐 膈食 若不用利藥 開通發泄 則嘔吐何由而止乎.

古人 用三一承氣湯 正是也 此意(丹心).

토하는 데는 설사시키는 약을 쓰지 못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오직 토하기만 하고

대소변은 막히지 않았을 때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금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원칙을 말한 것이다.

만일 대소장과 방광에 열이 몰려서 통하지 못하게 되어 토하고 격식(隔食)이 된 때에

설사시키는 약을 써서 통하게 하지 않는다면 토하는 것이 어떻게 멎을 수 있겠는가.

옛사람들이 삼일승기탕을 쓴 것은 바로 이러한 이치이다[단심].

 

通利大便 以開下焦之塞 宜用紫沈丸 厚朴丸 附子丸

人參利膈丸 三一承氣湯 四子調中湯 香白元 大黃湯 潤腸膏(諸方).

대변을 통하게 하여 하초가 막힌 것을 열리게 하는 데는 자침환, 후박환, 부자환, 

인삼이격환, 삼일승기탕, 사자조중탕, 향백원, 대황탕, 윤장고 등이 좋다[제방]. 

 

嘔吐家 多大便祕結 虛冷者 用蘇感元方見大便 溫而利之

若大便熱結 用蜜導法方見大便 或猪膽汁 和醋灌入下部妙(直旨).

토할 때에는 대부분 대변이 굳어지는데 허랭하여 생긴 데는

소감원(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써서 따뜻하게 하여 통하게 해야 하고

열로 대변이 굳어졌을 때에는 밀도법(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써야 하는데

혹 돼지담즙에 식초를 타서 관장해도 좋다[직지].  

 

 

'[雜病篇] > [嘔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過笑咳逆][과소해역]  (0) 2020.09.24
[難治不治證][난치불치증]  (0) 2020.08.24
[噎膈反胃治法][열격반위치법]  (0) 2020.08.24
[噎膈反胃病因][열격반위병인]  (0) 2020.08.24
[吐病有三][토병유삼]  (0) 2020.08.24

[噎膈反胃治法][열격반위치법]

 

噎病 生於血乾 夫血者 陰氣也

陰主靜 內外兩靜 則藏府之火不起 而金水二氣 有養陰 血自生 腸胃津液 傳化合宜 何噎之有

열증( 證)은 혈(血)이 마르면 생긴다.

혈은 음기(陰氣)인데 음기는 안정한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속과 겉이 다 안정하면 5장 6부에서 화가 생기지 않고

폐금(肺金)과 신수(腎水), 이 두 기운이 자라므로 음혈(陰血)이 저절로 생긴다.

장위(腸胃)의 진액이 전화(傳化)되는 것을 알맞게 하면 열증이 생기지 않는다.

 

曰胃脘乾槁 果可治乎.

古方 用人參以補肺 御米以解毒 竹瀝以淸痰

乾薑以養血 粟米以實胃 蜜以潤燥 薑以去穢 正是此意.

噎膈 反胃 大率屬血虛 氣虛 有痰 有熱,

위완(胃脘)이 말라도 과연 치료할 수 있는가고 물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옛날에는 인삼으로 폐(肺)를 보하고 아편꽃씨(앵자속)로 독을 풀며 

참대기름(죽력)으로 담(痰)을 삭히고 건강으로 혈을 보양하며 

좁쌀(粟米)로 위(胃)를 든든하게 하고 꿀로 마른 것을 눅여 주며 

생강으로 더러운 것을 없앴는데 이것이 바로 치료법이라고 하였다. 

 

血虛 四物湯 氣虛 四君子湯 痰用 二陳湯

熱用 解毒湯卽黃連解毒湯 氣血俱虛 八物湯主之

必和以童便 竹瀝 韭汁 薑汁 且多飮 牛羊乳爲上策

但不可 以人乳代之 皆有七情烹飪之火 故也

切不可用 香燥藥 宜薄滋味.

열격과 반위는 대체로 혈이 허하여 생기는 것, 

기가 허하여 생기는 것, 담으로 생기는 것, 열로 생기는 것이 있다. 

이 허하여 생긴 데는 사물탕(四物湯)을 쓰고 

기가 허하여 생긴 데는 사군자탕(四君子湯)을 쓰며 

담으로 생긴 데는 이진탕(二陳湯)을 쓰고 

열로 생긴 데는 해독탕(즉 황련해독탕)을 쓴다. 

기혈이 다 허한 데는 팔물탕(八物湯)을 쓰는데 반드시 여기에 참대기름(죽력), 

부추즙, 생강즙을 타서 쓰고 소젖이나 양의 젖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대신 사람의 젖은 쓰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7정과 더운 음식에는 화(火)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냄새가 향기롭고 성질이 조(燥)한 약은 절대로 쓰지 말며 담박(薄滋)한 음식을 먹어야 좋다. 

 

飮酒者 加砂糖 驢尿入內服 以防生蟲(丹心).

술을 마시는 환자는 거기에 사탕을 넣어 먹어서 충이 생기지 않게 미리 막아야 한다[단심]. 

 

噎膈 宜用平鯽丸 神仙奪命丹 丁香透膈湯 五膈寬中散

棗肉平胃散方見內傷 瓜蔞實丸 神奇散 當歸養血湯 生津補血湯 聖灰散 八仙膏.

열격에는 평즉환, 신선탈명단, 정향두격탕, 오격관중산, 

조육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과루실환, 산기산, 당귀양혈탕, 생진보혈탕, 성회산, 팔선고 등을 쓴다. 

 

反胃 宜用硫汞丸 狗米平胃丸 杵糠丸 九仙奪命丹 順氣和中湯

安中調氣丸 回生養胃丹 定生丹 安胃湯 太倉丸 奪命丹 附子散(諸方).

반위에는 유홍환, 구미평위환, 저강환, 구선탈명단, 순기화중탕,

안중조기환, 회생양위단, 정생단, 안위탕, 태창환, 탈명단, 부자산 등을 쓴다[제방].  

 

 

[噎膈反胃病因][열격반위병인]

 

內經(陰陽別論篇 第七)曰 三陽結 謂之膈.

註曰 三陽者 大小腸 俱熱結也 盖小腸熱結

則血脈燥 大腸熱結 則不能便 膀胱熱結 則津液涸.

三陽熱結 脈必洪數有力 前後閉塞 下旣不通 必反而上行

所以噎食 不下 縱下復出 乃陽火上行 而不下降也(入門).

내경에는 “3양(三陽)이 몰린 것을 격( )이라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3양과 대소장(大小腸)에 다 열이 몰린 것이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소장에 열이 몰리면 혈맥이 조(燥)해지고 대장에 열이 몰리면

대변이 나오지 못하고 방광에 열이 몰리면 진액이 줄어든다.

3양에 열이 몰리면 맥이 홍삭(洪數)하면서 힘이 있으며

대소변이 막혀서 아래로 나가지 못하고 도로 올라온다.

그러므로 음식물이 목에 걸려 내려가지 못하고 내려갔다가도 도로 올라오는데

이것은 양화(陽火)가 위로 올라오기만 하고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기 때문이다[입문].

 

內經(六元正紀大論篇 第七十一)曰 少陽所至 爲嘔涌溢 食不下 此理明矣.

又曰 食不下者 胃脘膈也(入門).

내경에 “소양이 주관하는 해[少陽所至]에는 구역이 나고 

음식이 도로 올라오면서 내리지 않는다”고 씌어 있는데 이에 대한 이치는 명백하다[입문]. 

 

血液俱耗 胃脘乾槁

其槁在上 近咽之下 水飮可行 食物難入 間或可入 入亦不多 名之曰噎.

其枯在下 與胃相近 食雖可入 難盡入胃 良久復出 名之曰膈.

亦曰反胃 大便秘少 若羊屎然 名雖不同 病出一體.

其槁在賁門 食下則胃脘 當心而痛 須臾吐出 食出痛乃止 此上焦之噎膈也.

或食物可下 難盡入胃 良久復出 其槁在幽門 此中焦之噎膈也.

其或 朝食暮吐 暮食朝吐 其槁在闌門 此下焦之噎膈也(丹心).

혈과 진액이 다 줄어들면 위완이 마르는데 목구멍 가까이가 마르면 물을 마실 수 있으나

음식은 넘기기 어렵다. 간혹 넘긴다고 하여도 많이 넘기지 못하는데 이것을 열이라고 한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위(胃)가까이가 마르면 음식을 넘긴다고 해도 다 위에 들어가지 못하고

한참 있다가 도로 올라오는데 이것을 격( )라고 한다. 또한 반위(反胃)라고도 한다.

이때에 대변은 굳어져 양의 똥같이 되어 나온다.

열과 격은 이렇게 이름은 같지 않으나 사실은 한 가지 병이다.

분문(賁門)이 마르면 음식이 내려가자마자 명치 밑이 아픈데 조금 있다 토하면 아픈 것이 멎는다.

이것은 상초의 열격이다.

혹 음식을 먹는다고 해도 다 위에 들어가지 못하고 한참 있다가 도로 올라오는 것은

유문(幽門)이 말랐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것은 중초의 열격이다.

혹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거나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는 것은

난문이 말랐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것은 하초의 열격이다[단심].

 

飮食不下 而大便不通 名曰膈噎 膈者 有拒格之意 卽膈食反胃也(入門).

또한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은 위완(胃脘)이 막힌 것이다[입문].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대변이 나가지 않는 것을 열격이라고 하는데 

격이라는 것은 가로 막힌다는 뜻이다. 

즉 먹은 것이 가로 막혔다가 도로 올라온다는 것이다[입문]. 

 

噎膈 有五 五膈者 憂 恚 寒 熱 氣也.

在心脾之間 上下不通 或結於咽喉 時覺有所妨碍

吐之不出 嚥之不下 由氣鬱痰結而然

五噎者 憂 食 勞 氣 思也.

飮食卒然阻滯 而不下 反胃也 膈也 噎也 受病皆同(醫鑑).

열과 격에는 각각 5가지가 있다. 

5가지 격이라는 것은 우격(憂), 에격, 한격(寒), 열격(熱), 기격(氣)이다. 

심(心)과 비(脾)의 사이에 병이 있어서 위아래가 통하지 않거나 목구멍에 무엇이 맺혀 있는 것같으며 

토하려고 하여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고 해도 넘어가지 않는 것은 기가 몰리고 담(痰)이 맺혔기 때문이다. 

5가지 열이라는 것은 우열(憂), 식열(食), 노열(勞), 기열(氣), 사열(思)을 말하는데 

이것은 음식이 갑자기 걸려서 내려가지 않고 도로 올라오는 것이다. 

격이나 열이 생기는 원인은 같다[의감]. 

 

張雞峯曰 噎 當是神思間病 惟內觀自養 加以治之 其言深中病情(丹心).

장계봉이 “열은 지나치게 정신을 쓰고 생각해서 생기는 병이기 때문에 

자체로 정신을 수양해야 치료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말이 병의 증상과 맞는다[단심]. 

 

膈噎之證 不屬虛 不屬實 不屬冷 不屬熱 乃神氣中一點 病耳(醫林).

열격증은 허증(虛證), 실증(實證), 냉증(冷證), 열증(熱證)에도 속하지 않는다. 

이것은 정신을 지나치게 써서 생기는 한 가지의 병이다[의림]. 

 

噎病 皆生於血枯 血枯則燥矣 得病情合經旨者 丹溪一人而已(綱目).

열증은 다 혈이 말라서 생기는 것이다.

혈이 마르면 몸이 마른다.

이 병에 대하여 내경에 씌어 있는 것처럼 설명한 것은 단계(丹溪) 한사람뿐이다[강목].  

 

[吐病有三][토병유삼]

 

氣 爲上膈 屬上焦 食已暴吐者 今世 謂之 嘔吐也.

기가 위[上]에서 막힌 것은 상초(上焦)에 속한다.

음식을 먹은 다음 갑자기 토하는 것이 지금 말하는 토하기이다.

 

食飮入而還出 爲下膈 食晬時 乃反出之 屬中下二焦.

음식을 넘기자 도로 나오는 것과 아래가 막혀[下膈] 먹은 것이 2시간만에 

도로 나오는 것은 중초(中焦)와 하초(下焦)에 속한다. 

 

朝食暮吐 暮食朝吐 今世 謂之 膈氣反胃也(綱目).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는 것은 격기(膈氣) 또는 반위(反胃)이다[강목]. 

 

吐有三因 乃氣 積 寒也 皆從三焦論之

上焦 在胃口 上通天氣 主納而不出.

中焦 在中脘 上通天氣 下通地氣 主腐熟水穀.

下焦 在臍下 下通地氣 主出而不納.

토하는 데는 3가지 원인이 있다. 

즉 기(氣)와 적(積), 한사(寒邪)이다. 이것을 다 3초와 결부시켜 말하면 

상초는 위(胃)의 입구에 해당되는데 위[上]로는 천기(天氣)와 통하며 

주로 받아들이기만 하고 내보내지는 않는다. 

중초는 중완(中脘)에 해당되는데 위로는 천기와 통하고 

아래로는 지기(地氣)와 통하며 주로 음식을 소화시킨다. 

하초는 배꼽 아래에 속하는데 아래로는 지기와 통하고 주로 내보내기만 하며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上焦吐者 皆從於氣氣者 天之陽氣也

其脈浮而洪 其證 食已暴吐 渴欲飮水 大便燥結 氣上衝胸 而發痛 其治 當降氣和中.

상초에서 생기는 토하기는 기와 연관된 것인데 이 기는 하늘의 양기(陽氣)를 말한다. 

이 때에 맥은 부(浮)하면서 홍(洪)하고 그 증상은 먹은 다음 갑자기 토하고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고 하며 대변이 몹시 굳고 기가 가슴으로 치밀어 올라 아픈 것이다. 

그러므로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기를 내리고 속을 편안하게 해야 한다.

 

中焦吐者 皆從於積 有陰有陽 食與氣相假 爲積而痛 其脈 浮而弦 其證

或先吐而後痛 或先痛而後吐 治法 當以小毒藥 去其積 木香 檳樃 和其氣(宜紫沈丸 消穀).

중초에서 생긴 토하기는 다 적(積)으로 생긴 것인데 음증(陰證)도 있고 양증(陽證)도 있다. 

이것은 음식과 기가 뒤섞여져 적(積)이 생겨서 아픈 것인데 

그 맥은 부현(浮弦)하고 증상은 혹 먼저 토한 다음에 아프기도 하고 먼저 아프다가 후에 토하기도 한다. 

이것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성질이 약간 독한 약으로 적을 삭히고 

목향과 빈랑으로 기를 고르롭게[和] 해야 한다(자침환)으로 적을 삭히는 것이 좋다). 

 

下焦吐者 皆從于寒地道也 其脈 沈而遲 其證 朝食暮吐 暮食朝吐 小便淸利 大便秘 而不通

治法宜以毒藥 通其閉塞 溫其寒氣 大便漸通 復以中焦藥和之 不令大府結閉而自安也(易老).

하초에서 생긴 토하기는 다 한사(寒邪)로 생긴 것인데 이것은 지기[地道]와 연관된다.

이 때에 맥은 침지(沈遲)하고 증상은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은 아침에 토하며 오줌은 맑고 잘 나오며 대변은 굳어져 잘 나오지 못하는 것이다.

치료는 반드시 성질이 독한 약으로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찬것을 따뜻하게 하여 대변이 점차 통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중초에 쓰는 약으로 조화시켜 대장이 막히지 않게 해야 한다[역로].   

 

'[雜病篇] > [嘔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噎膈反胃治法][열격반위치법]  (0) 2020.08.24
[噎膈反胃病因][열격반위병인]  (0) 2020.08.24
[食痺吐食][식비토식]  (0) 2020.08.24
[惡心 乾嘔][오심 건구]  (0) 2020.08.23
[嘔吐治法][구토치법]  (0) 2020.08.23

[食痺吐食][식비토식]

 

食痺 謂食已心下痛 陰陰然 不可名也 不可忍也

吐出 痛乃止 此爲胃氣逆 而不下行也(內經 至眞要大論篇 第七十四).

식비(食痺)라는 것은 음식을 먹고 나면 명치 밑[心下]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없이

은은히[陰陰然] 참을 수 없이 아프다가도 토하면 멎는 것이다.

이것은 위기가 치밀어 올라와 내려가지 못해서 생긴 것이다[내경].

 

痛而嘔 爲寒

經 擧痛論篇 第三十九

云 寒氣客於腸胃 厥逆上出 故痛而嘔也(綱目).

아프면서 토하는 것은 찬 기운 때문이다. 

내경에 “찬 기운이 장위(腸胃)에 침범하면 궐역(厥逆)이 생겨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아프고 토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강목]. 

 

嘔吐 而脈弦者 肝勝于脾也 由風痰羈絆 于脾胃之間

故惡心欲吐 飮食不下 當先實其脾土 宜茯苓半夏湯 麥天湯 白朮茯苓湯 金花丸 水煮金花丸(東垣).

토할 때 맥이 현(弦)한 것은 간목(肝木)이 비토(脾土)를 억누르기 때문이다.

풍담(風痰)이 비위 사이에 얽혀 있으면 메스껍고 토할 것같으면서 음식이 내려가지 않는다.

이런 때에는 먼저 비토를 실하게 하여야 하는데

복령반하탕, 맥천탕, 백출복령탕, 금화환, 수자금화환을 쓴다[동원].

 

ː風邪在胃 飜飜不定 或鬱酸水 全不入食 宜不換金正氣散方見寒門

或安脾丸 不宜輕用 參朮 惟久病 脅痛者木克土也

宜六君子湯方見痰飮加靑皮 白芍藥 柴胡 升麻 川窮 砂仁 神麴煎服(入門)    

'[雜病篇] > [嘔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噎膈反胃病因][열격반위병인]  (0) 2020.08.24
[吐病有三][토병유삼]  (0) 2020.08.24
[惡心 乾嘔][오심 건구]  (0) 2020.08.23
[嘔吐治法][구토치법]  (0) 2020.08.23
[脈法][맥법]  (0) 2020.08.23

[惡心 乾嘔][오심 건구 / 오심과 헛구역]

 

惡心者 欲吐不得吐 見飮食則心便惡之

二陳湯 加白豆寇 香附子 縮砂煎服(入門).

오심(惡心)이라는 것은 토할듯 하면서도 토하지 않고 음식을 보면 곧 속이 메슥메슥한 것이다.

이런 데는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백두구, 향부자, 사인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입문].

 

惡心者 欲吐不吐也

胃口 有熱 有痰 二陳湯 加薑炒芩連.

오심이라는 것은 토할듯 하면서도 토하지 않는 것인데 

이것은 위의 입구(胃口)에 열(熱)과 담(痰)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이진탕에 속썩은풀(황금,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과 황련을 넣어서 쓴다[단심]. 

 

乾嘔者 有聲無物也

乾嘔 或手足厥冷者 宜生薑橘皮湯(活人).

헛구역[乾嘔]이라는 것은 소리만 나고 나오는 것이 없는 것인데 

헛구역이 나면서 손발이 싸늘한 데는 생강귤피탕을 쓴다[활인]. 

 

惡心者 無聲無物 但心中兀兀然 無奈 欲吐不吐 欲嘔不嘔

雖曰惡心 實非心經之病 皆在胃口上 宜用生薑

又曰惡心吐淸水 胃口有痰 有熱 有虛 皆用生薑 宜生薑半夏湯(仲景).

오심이라는 것은 소리도 나지 않고 나오는 것도 없으며 다만 속이 메슥메슥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고 토할 듯하나 토하지도 않고 구역이 날 것 같으면서도 나지 않는 것이다. 

오심이 실지는 심경(心經)의 병이 아니라 다 위의 입구[胃口]에 생긴 병이다. 

그러므로 생강을 쓴다. 

오심 때에는 멀건 물을 토하는데 이것은 위의 입구에 담과 열이 있고 허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생강을 쓰는데 생강반하탕을 쓰기도 한다[중경]. 

 

乾嘔 吐涎沫 宜半夏乾薑散(仲景).

헛구역[乾嘔]이 나고 거품침[涎沫]을 뱉을 때에는 반하건강산을 쓴다[중경]. 

 

胃中素有熱 惡心 乾嘔不止者 宜梔子竹茹湯(醫鑑).

위 속에 본래 열이 있어서 메스껍고 헛구역이 멎지 않고 나는 데는 치자죽여탕을 쓴다[의감].

 

'[雜病篇] > [嘔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病有三][토병유삼]  (0) 2020.08.24
[食痺吐食][식비토식]  (0) 2020.08.24
[嘔吐治法][구토치법]  (0) 2020.08.23
[脈法][맥법]  (0) 2020.08.23
[嘔吐之因][구토지인]   (0) 2017.07.15

[嘔吐治法][구토치법]

 

嘔吐 有冷熱二證,

冷者 面靑 手足厥冷 食久乃吐 宜加味二陳湯 丁香安胃湯 加減理中湯.

熱者 面赤 手足熱 食已卽吐

宜保中湯 和中桔梗湯 黃連竹茹湯 淸熱二陳湯 或葛根竹茹湯 加味橘皮竹茹湯,

大病後 胃熱虛煩 而嘔者 竹葉石膏湯方見寒門 加薑汁服 卽止(入門).

토하기에는 냉증(冷證)과 열증(熱證) 2가지 증이 있는데

냉증 때에는 얼굴빛이 푸르고 손발이 싸늘하며 음식을 먹은 다음 오래 있다가 토한다.

이때에는 가미이진탕, 정향안위탕, 가감이중탕 등을 쓴다.

열증 때에는 얼굴빛이 벌겋고 손발이 달며(熱) 음식을 먹자마자 곧 토한다.

이런 데는 보중탕, 화중길경탕, 황련죽여탕, 청열이진탕, 갈근죽여탕, 가미귤피죽여탕 등을 쓴다.

중병[大病]을 앓은 뒤에 위(胃)에 열이 있어 허번증(虛煩證)이 나면서 구역할 때에는

죽엽석고탕(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약재에 생강즙을 타 먹으면 곧 멎는다[입문].

 

時常口吐淸水 或冷涎自下 涌上者 脾熱所致也.

二陳湯方見痰飮 加白朮 白芍藥 升麻 神曲

麥芽 乾生薑土炒 芩連 梔子 或水煎服 或蒸餠爲丸服(入門).

늘 멀건 물[淸水]을 토하거나 서늘한 침[冷涎]이 

아래에서부터 올라오는 것은 비(脾)에 열이 있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이진탕 약재에 흰삽주(백출),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생강(말린 것으로 흙과 함께 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황련, 산치자를 

더 넣어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증병(蒸 )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입문]. 

 

肝火出胃逆上 嘔吐 宜抑靑丸方見火門.

간화(肝火)가 위(胃)로 치밀어서 토하는 데는 

억청환(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半夏橘皮生薑爲嘔家 主藥

若胃虛而嘔者 宜推揚穀氣 四味藿香湯 加減四君子湯主之(綱目)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생강은 구역할 때에 주로 쓰는 약이다. 

위(胃)가 허해서 구역이 날 때에는 반드시 음식의 기운이 잘 퍼져나가게 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사미곽향탕, 가감사군자탕을 주로 쓴다[강목]. 

 

久病 胃虛嘔吐 宜藿香安胃散 藿香平胃散 比和飮.

오랜 병으로 위가 허해져서 토할 때에는 곽향안위산, 곽향평위산, 비화음 등을 쓴다. 

 

痰飮嘔吐 宜茯苓半夏湯 小半夏湯 大半夏湯方見痰飮.

담음(痰飮)으로 토할 때에는 

복령반하탕, 소반하탕(처방은 입문에 있다), 대반하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 

 

神朮丸方見痰飮 治嘔吐淸水 如神

신출환(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은 멀건 물을 토할 때에 쓰면 신기하게 멎는다.

 

停水而嘔者 心下怔忡 先渴後嘔者

宜赤茯苓湯方見胸門 先嘔後渴者 宜猪苓散.

水入卽吐者 宜五苓散方見寒門 (入門).

물이 속에 차 있어서 구역이 나는데 명치 밑이 두근거리면서 갈증이 난 다음에 

구역이 날 때에는 적복령탕(처방은 가슴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고 

먼저 구역이 나고 뒤에 갈증이 날 때에는 저령산을 쓴다. 

물을 마시자마자 곧 토할 때에는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嘔家 聖藥 是生薑 千金之說 信矣.

然氣逆作嘔 生薑散之 痰水作嘔 半夏逐之.

生薑於寒證最佳, 若遇熱嘔 不可無烏梅也(醫鑑).

구역할 때에[嘔家] 쓰는 좋은 약[聖藥]은 생강이라고 한 천금방(千金方)의 말이 틀림없다. 

그러나 기가 치밀어 올라 구역할 때에는 생강으로 헤쳐 주고 

담수(痰水)로 구역할 때에는 끼무릇(반하)으로 몰아내야 한다. 

생강은 한증(寒證) 때 가장 좋은 약이다. 

만일 열로 구역이 날 때에는 오매가 없어서는 안된다[의감]. 

 

嘔吐 宜服薤白粥

토할 때에는[嘔家] 염교흰밑죽( 白粥)을 먹는다. 

 

嘔家 有雍膿不須治, 嘔膿盡自愈矣(仲景).

구역하는 사람이 옹저가 생겨서 곪았을 때에는 구태여 구역을 치료할 필요가 없다.

고름이 다 나오면 구역은 저절로 멎는다[중경].  

'[雜病篇] > [嘔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病有三][토병유삼]  (0) 2020.08.24
[食痺吐食][식비토식]  (0) 2020.08.24
[惡心 乾嘔][오심 건구]  (0) 2020.08.23
[脈法][맥법]  (0) 2020.08.23
[嘔吐之因][구토지인]   (0) 2017.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