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嘔吐治法][구토치법]
嘔吐 有冷熱二證,
冷者 面靑 手足厥冷 食久乃吐 宜加味二陳湯 丁香安胃湯 加減理中湯.
熱者 面赤 手足熱 食已卽吐
宜保中湯 和中桔梗湯 黃連竹茹湯 淸熱二陳湯 或葛根竹茹湯 加味橘皮竹茹湯,
大病後 胃熱虛煩 而嘔者 竹葉石膏湯方見寒門 加薑汁服 卽止(入門).
토하기에는 냉증(冷證)과 열증(熱證) 2가지 증이 있는데
냉증 때에는 얼굴빛이 푸르고 손발이 싸늘하며 음식을 먹은 다음 오래 있다가 토한다.
이때에는 가미이진탕, 정향안위탕, 가감이중탕 등을 쓴다.
열증 때에는 얼굴빛이 벌겋고 손발이 달며(熱) 음식을 먹자마자 곧 토한다.
이런 데는 보중탕, 화중길경탕, 황련죽여탕, 청열이진탕, 갈근죽여탕, 가미귤피죽여탕 등을 쓴다.
중병[大病]을 앓은 뒤에 위(胃)에 열이 있어 허번증(虛煩證)이 나면서 구역할 때에는
죽엽석고탕(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약재에 생강즙을 타 먹으면 곧 멎는다[입문].
時常口吐淸水 或冷涎自下 涌上者 脾熱所致也.
二陳湯方見痰飮 加白朮 白芍藥 升麻 神曲
麥芽 乾生薑土炒 芩連 梔子 或水煎服 或蒸餠爲丸服(入門).
늘 멀건 물[淸水]을 토하거나 서늘한 침[冷涎]이
아래에서부터 올라오는 것은 비(脾)에 열이 있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이진탕 약재에 흰삽주(백출),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생강(말린 것으로 흙과 함께 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황련, 산치자를
더 넣어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증병(蒸 )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입문].
肝火出胃逆上 嘔吐 宜抑靑丸方見火門.
간화(肝火)가 위(胃)로 치밀어서 토하는 데는
억청환(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半夏橘皮生薑爲嘔家 主藥
若胃虛而嘔者 宜推揚穀氣 四味藿香湯 加減四君子湯主之(綱目)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생강은 구역할 때에 주로 쓰는 약이다.
위(胃)가 허해서 구역이 날 때에는 반드시 음식의 기운이 잘 퍼져나가게 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사미곽향탕, 가감사군자탕을 주로 쓴다[강목].
久病 胃虛嘔吐 宜藿香安胃散 藿香平胃散 比和飮.
오랜 병으로 위가 허해져서 토할 때에는 곽향안위산, 곽향평위산, 비화음 등을 쓴다.
痰飮嘔吐 宜茯苓半夏湯 小半夏湯 大半夏湯方見痰飮.
담음(痰飮)으로 토할 때에는
복령반하탕, 소반하탕(처방은 입문에 있다), 대반하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
神朮丸方見痰飮 治嘔吐淸水 如神
신출환(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은 멀건 물을 토할 때에 쓰면 신기하게 멎는다.
停水而嘔者 心下怔忡 先渴後嘔者
宜赤茯苓湯方見胸門 先嘔後渴者 宜猪苓散.
水入卽吐者 宜五苓散方見寒門 (入門).
물이 속에 차 있어서 구역이 나는데 명치 밑이 두근거리면서 갈증이 난 다음에
구역이 날 때에는 적복령탕(처방은 가슴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고
먼저 구역이 나고 뒤에 갈증이 날 때에는 저령산을 쓴다.
물을 마시자마자 곧 토할 때에는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嘔家 聖藥 是生薑 千金之說 信矣.
然氣逆作嘔 生薑散之 痰水作嘔 半夏逐之.
生薑於寒證最佳, 若遇熱嘔 不可無烏梅也(醫鑑).
구역할 때에[嘔家] 쓰는 좋은 약[聖藥]은 생강이라고 한 천금방(千金方)의 말이 틀림없다.
그러나 기가 치밀어 올라 구역할 때에는 생강으로 헤쳐 주고
담수(痰水)로 구역할 때에는 끼무릇(반하)으로 몰아내야 한다.
생강은 한증(寒證) 때 가장 좋은 약이다.
만일 열로 구역이 날 때에는 오매가 없어서는 안된다[의감].
嘔吐 宜服薤白粥
토할 때에는[嘔家] 염교흰밑죽( 白粥)을 먹는다.
嘔家 有雍膿不須治, 嘔膿盡自愈矣(仲景).
구역하는 사람이 옹저가 생겨서 곪았을 때에는 구태여 구역을 치료할 필요가 없다.
고름이 다 나오면 구역은 저절로 멎는다[중경].
'[雜病篇] > [嘔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病有三][토병유삼] (0) | 2020.08.24 |
---|---|
[食痺吐食][식비토식] (0) | 2020.08.24 |
[惡心 乾嘔][오심 건구] (0) | 2020.08.23 |
[脈法][맥법] (0) | 2020.08.23 |
[嘔吐之因][구토지인] (0) | 2017.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