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脚氣治法][각기치법]
脚氣, 是爲壅疾, 治以宣通之劑, 使氣不能成壅.
壅旣成而盛者, 砭惡血而去其重勢.
經曰, 蓄則腫熱, 砭射之後, 以藥治之[綱目].
각기병은 기가 막혀서 생긴 병이므로,
치료는 잘 통하게 하는 약으로 기가 막히지 않게 하여야 한다.
기가 이미 막혀서 왕성해진 경우에는 침[砭]으로 나쁜 피를 빼내어
그 중한 기세를 없애야 한다.
난경에서 "사기가 쌓이면 붓고 열이 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침으로 피를 빼낸 다음 약으로 치료하여야 한다(강목).
脚氣之疾, 自古皆尙踈下, 爲疾壅故也.
然不可太過, 太過則損傷脾胃.
又不可不及, 不及則使壅氣不能消散[東垣].
각기병에는 옛날부터 모두 풀어주고 설사시키는 방법을 높이 샀는데,
이는 그 병이 막혀서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법을 지나치게 써서는 안 되는데, 너무 지나치게 쓰면 비위가 상한다.
또한 이 방법을 너무 적게 써서도 안 되는데,
너무 적게 쓰면 막힌 기를 흩어 없애버리지 못한다(동원).
脚氣之疾, 皆由氣實而死, 終無一人以服藥致虛而殂.
故其病皆不得大補, 亦不可大瀉.
縱甚虛羸, 亦須微微通泄, 亦宜, 時取汗也[千金].
각기라는 병은 모두 기가 실해져서 죽는 것이지
약을 먹고 허해져서 목숨이 위태롭게 되는 경우는 하나도 없다.
그러므로 이 병은 많이 보(補)하여도 안 되고 많이 사(瀉)하여도 안 된다.
비록 매우 허하고 야위었어도 반드시 미약하게나마 설사를 시키는 것이 옳다.
또 때로 땀을 내게 하여야 한다(천금).
治法大要, 踈導大便, 使毒氣得泄而後愈.
其補湯淋洗, 皆醫家之大戒也[直指].
각기병을 치료하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대변을 잘 통하게 해주는 것으로,
이렇게 독기를 모두 빼낸 다음에야 낫는다.
보하는 탕약이나 약으로 씻어주는 것은 모두 의사들이 매우 주의하여야 한다(직지).
脚痛患在風濕,
風則用烏藥順氣散 方見風門,
濕則不換金正氣散 方見寒門 加赤茯苓生乾薑[直指].
다리가 아픈 것은 풍습이 있기 때문이다.
풍이 있으면 오약순기산(처방은 풍문)을 쓰고,
습이 있으면 불환금정기산(처방은 한문)에 적복령과 생건강을 더 넣어 쓴다(직지).
治法, 用 蒼朮, 白朮, 以治濕, 黃芩, 黃柏, 知母, 以治熱, 當歸, 芍藥, 地黃以調血,
木瓜, 檳榔以調氣, 羌活, 獨活以利關節而散風濕,
兼用木通, 防己, 牛膝引諸藥下行, 此爲治之大法.
淸熱瀉濕湯, 亦可[醫鑑].
각기병을 치료하는 법은
창출와 백출을 써서 습을 다스리고,
황금, 황백, 지모를 써서 열을 다스리며,
당귀, 작약, 지황을 써서 피를 고르게 하고,
모과, 빈랑을 써서 기를 고르게 하며,
강활, 독활을 써서 뼈마디를 부드럽게 하고 풍습을 흩으며,
목통, 방기, 우슬을 같이 써서 모든 약을 아래로 끌고 내려가게 하는데,
이것이 치료법의 요점이다.
청열사습탕을 써도 된다(의감).
濕熱在三陽, 則宜神秘左經湯, 在太陽, 則宜麻黃左經湯, 在少陽,
則宜半夏左經湯, 在陽明, 則宜大黃左經湯, 或加味敗毒散, 通宜檳蘇散[入門].
습열이 삼양경에 있으면 신비좌경탕을 쓰고,
태양경에 있으면 마황좌경탕을 쓰며,
소양경에 있으면 반하좌경탕을 쓰고,
양명경에 있으면 대황좌경탕이나 가미패독산을 쓰며,
소통시키는 약으로 빈소산을 두루 쓴다(입문).
濕熱在三陰, 則宜羌活導滯湯, 除濕丹方見入門, 三花神祐丸 方見下門,
搜風丸, 枳實大黃湯, 開結導引丸, 當歸拈痛湯[入門].
습열이 삼음경에 있으면 강활도체탕과 제습단(처방은 의학입문),
삼화신우환(처방은 하문), 수풍환, 지실대황탕, 개결도인환, 당귀점통탕 등을 쓴다(입문).
氣血虛者, 宜獨活寄生湯, 羌活續斷湯[入門].
기혈이 허약하면 독활기생탕이나 강활속단탕을 쓴다(입문).
寒濕盛, 則宜勝駿丸, 捉虎丹.
한습이 성한 데는 승준환이나 착호단을 쓴다.
病久者, 宜卷柏散, 熱甚者,
宜二炒蒼柏散, 加味蒼柏散, 腫甚, 宜勝濕餠子, 桑白皮散.
각기병이 오래된 데는 권백산을 쓰고, 열이 심한 데는
이초창백산이나 가미창백산을 쓰며, 몹시 부은 데는 승습병자나 상백피산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