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脚氣病證][각기병증]
靈樞曰, 脾有邪, 其氣流于兩股 一作髀, 腎有邪, 其氣流于兩膕.  
영추에서는 "비(脾)에 사기가 있으면

그 사기는 양쪽 허벅지('허벅다리[髀]'로 된 곳도 있다)로 들어가고,

신(腎)에 사기가 있으면 양쪽 오금으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 寒風濕之病也[內經].
다리를 절면서 싸늘한 것은 풍습으로 인하여 생긴 병이다(내경).
脚氣外證, 全類傷寒, 但初起, 脚膝軟弱, 頑痺轉筋, 赤腫爲異耳[入門].
각기병이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모두 상한과 비슷하다.

그러나 처음 병이 생길 때 다리와 무릎이 연약해지고 매우 저리며

근이 뒤틀리면서 벌겋게 붓는 것이 상한과 다르다(입문).
脚氣爲病, 雖起於足, 實周乎身.

或壯熱頭痛, 或百節拘攣, 或十指走注, 或轉筋急痛, 或小腹不仁,

以至胸滿喘息, 煩悶怔忪, 昏憒羞明, 腹痛下利, 嘔噦痰涎, 惡聞食氣, 大便小便多是秘澁.

自腿至膝, 自脛及踝, 屈弱頑痺, 攣急痠疼, 或焮不焮, 或腫不腫, 皆其候也.

其傳足六經, 外證與傷寒頗類, 但卒然脚痛爲異耳[直指].
각기병은 발에서부터 시작되나 실제는 온몸에 두루 나타나는데,

열이 심하게 나고 머리가 아프거나 모든 뼈마디가 당기며 떨리거나

병이 열 발가락을 돌아다니거나 근이 뒤틀리고 당기며 아프거나

아랫배가 뻣뻣해지다가 심하면 가슴이 그득하고 숨이 차며 매우 답답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정신이 어질어질하고 눈이 부셔서

햇빛을 볼 수 없는 상황에까지 이르기도 한다.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나며 딸꾹질이 나고 가래가 생기며,

음식 냄새를 싫어하고 대소변이 대개 잘 나오지 않는다.

넓적다리에서 무릎까지 또는 정강이에서 복사뼈까지 굽어지고 힘이 없거나

심하게 저리고 떨리며 당기고 시리면서 아프며,

후끈거리기도 하고 후끈거리지 않기도 하며 붓기도 하고 붓지 않기도 하는데

이것이 모두 이 병의 증후이다.

이 병은 다리의 육경(六經)으로 전해지며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상한과 아주 비슷하나 갑자기 다리가 아픈 것이 다르다(직지).
人黑瘦者, 易治, 肥大肉厚赤白者, 難愈.

黑人耐風濕, 赤白者, 不耐風濕, 瘦人肉硬, 肥人肉軟, 肉軟則受病難愈[千金].
환자의 피부색이 거멓고 몸이 여위었으면 치료하기 쉽고,

살찌고 덩치가 크며 살이 두텁고 붉으면서 희면 치료하기 어렵다.

피부색이 검은 사람은 풍습을 잘 견디고, 붉고 흰 사람은 풍습을 견디지 못한다.

여윈 사람은 살이 단단하고 살찐 사람은 살이 연하다.

살이 연한 사람이 이 병에 걸리면 치료하기 어렵다(천금).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脚氣危證][각기위증]   (0) 2020.03.22
[脚氣治法][각기치법]   (0) 2020.03.22
[脚氣病因][각기병인]   (0) 2020.03.22
[脚氣異名][각기이명]   (0) 2020.03.22
[熱厥][열궐]  (0) 2020.03.22

[脚氣病因][각기병인]
脚氣之疾, 實水濕之所爲也.

其爲病, 有證無名, 脚氣之稱, 自蘇敬始.

關中河朔無有也, 惟南方地下水寒.

其淸濕之氣, 中於人, 必自足始,

故經曰, 淸濕襲虛, 則病起於下, 是也[綱目] 
각기병은 실제로 수습(水濕)으로 생긴다. 이 병은 증상만 있고 이름이 없었는데,

각기라는 이름은 소경(蘇敬)이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각기는 관중이나 하삭 지방에는 없고 오직 땅이 낮고 물이 찬 남쪽에만 있다.

그 서늘하고 습한 기운이 사람의 몸에 침범하면 반드시 발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므로 내경에서 "서늘하고 습한 기운이 허한 것을 침범하면

병이 아래에서부터 생긴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강목).  
南方者, 其地下, 水土弱, 霧露之所聚也.

江東嶺南, 春夏之交, 山林蒸鬱風濕, 毒氣爲甚, 足或感之, 遂成瘴毒脚氣[東垣].   
남쪽은 그 땅이 낮고 물과 토질이 나빠서 안개와 이슬이 잘 생기는 곳이다.

강동과 영남은 봄과 여름이 바뀔 때 산림이 풍과 습의 기운을 쪄내기 때문에 독기가 심하다.

이것이 혹 다리에 침범하면 장독각기(瘴毒脚氣)가 된다(동원).
水性潤下, 氣不能呴, 故下疰於足脛, 積久而作腫痛.

此飮食下流之所致也.

內經曰, 太陰之勝, 火氣內鬱, 流散於外, 足脛胕腫.

飮發於中, 胕腫於下, 加之房事不節, 陰盛陽虛, 遂成痼疾.

孫眞人云, 古人少有此疾, 自永嘉南渡, 衣冠士人, 多有之, 亦此意也[東垣].
물의 성질은 적셔주고 아래로 내려가는 것인데,

기가 뿜어 올리지 못하면 발과 정강이로 내려가서 머무르고

이것이 오랫동안 쌓여 붓고 아프게 된다.

이는 음식의 기운이 아래로 흘러서 생긴 것이다.

내경에서는 "습기가 성하면 화기(火氣)가 속에서 뭉쳐 있다가

밖으로 흘러 퍼지므로 다리의 정강이와 발등이 붓는다.

음(陰)은 중초에서 나오는데 아래에서는 발등이 붓는다"고 하였다.

여기에 성생활을 무절제하게 하면 음이 성해지고 양이 허해져서 결국 고질병이 된다.

손사막이 "옛날 사람들에게는 이 병이 적었는데 진나라 영가(永嘉) 연간에

수도를 남쪽으로 옮긴 후부터 벼슬하는 선비들에게 많이 생겼다"고 하였는데,

역시 이와 같은 뜻이다(동원).
凡脚氣之病, 始起甚微, 多不令人識也.

食飮嬉戱, 氣力如故, 惟卒起, 脚屈伸不能動, 爲異耳[千金].
일반적으로 각기병이 시작될 때는 증상이 미미하여 환자도 잘 알지 못한다.

먹고 마시고 노는 기운은 이전과 같다가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

다리를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천금).  
內經曰, 傷於濕者, 下先受之, 盖足居于下, 而多受其濕, 濕鬱生熱, 濕熱相搏, 其病乃作.

東南卑濕之地, 比比皆是, 西北高燥之地, 鮮有之.

古方名爲緩風, 宋元以來, 呼爲脚氣.

雖有外感內傷之殊, 其濕熱之患則一也[正傳] 

내경에서는 "습에 상하면 먼저 아래부터 받는다"고 하였는데,

발은 아래에 있으므로 습을 많이 받게 된다.

습이 뭉치면 열이 생기고 습과 열이 서로 부딪치게 되어 이 병이 생긴다.

동남쪽은 지대가 낮고 습한 곳이라서 흔한 것이 각기이고,

서북쪽은 지대가 높고 건조한 곳이라서 이 병이 드물다.

옛날 처방에서는 완풍(緩風)이라고 하였는데,

송나라와 원나라 때부터 각기라고 불렀다.

비록 내감과 외상의 차이는 있다 하더라도 각기가 습열의 병이라는 것은 같다(정전).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脚氣治法][각기치법]   (0) 2020.03.22
[脚氣病證][각기병증]   (0) 2020.03.22
[脚氣異名][각기이명]   (0) 2020.03.22
[熱厥][열궐]  (0) 2020.03.22
[寒厥]한궐]  (0) 2020.03.22

[脚氣異名][각기이명]
脚氣, 古謂之緩風, 又謂之厥者, 是古今之異名也.

有乾濕之分, 其脚腫者, 名濕脚氣, 不腫者, 名乾脚氣, 漸而至於足脛腫大, 如瓜瓠者, 有之[醫鑑].
각기(脚氣)를 옛날에는 '완풍(緩風)' 또는 '궐(厥)'이라고도 하였는데,

이것이 옛날과 지금의 다른 이름이다.

각기를 건각기와 습각기로 나누기도 하는데,

다리가 붓는 것을 습각기, 붓지 않는 것을 건각기라고 한다.

그리고 발에서부터 정강이까지 점차 부어올라 오이나 박처럼 되는 것도 있다(의감).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脚氣病證][각기병증]   (0) 2020.03.22
[脚氣病因][각기병인]   (0) 2020.03.22
[熱厥][열궐]  (0) 2020.03.22
[寒厥]한궐]  (0) 2020.03.22
[厥有寒熱][궐유한열]   (0) 2020.03.22

[熱厥][열궐]
黃帝曰, 熱厥之爲熱也, 必起於足下者, 何也.

岐伯曰, 陽氣, 起於足五指之表, 陰脈者, 集於足下而聚於足心, 故陽氣勝, 則足下熱也[內經].
황제가 "열궐(熱厥)로 열이 날 때는

반드시 발바닥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어째서인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양기는 다섯 발가락의 겉에서부터 시작되고,

음맥은 발바닥에 모였다가 발바닥 가운데에 뭉친다.

그러므로 양기가 너무 왕성하면 발바닥이 뜨겁다"고 대답하였다(내경).
帝曰, 熱厥, 何如而然也.

岐伯曰, 酒入於胃, 則絡脈滿而經脈虛.

脾主爲胃行其津液者也, 陰氣虛則陽氣入, 陽氣入則胃不和, 胃不和,

則精氣竭, 精氣竭, 則不營其四肢也.

此人必數醉若飽以入房, 氣聚於脾, 中不得散, 酒氣與穀氣相搏, 熱盛於中.

故熱遍於身, 內熱而尿赤也.

夫酒氣盛而慓悍, 腎氣日衰, 陽氣獨勝, 故手足爲之熱也[內經].
황제가 "열궐은 어찌하여 그렇게 되는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위(胃)에 술이 들어가면 낙맥이 가득 차고 경맥이 허해진다.

비(脾)는 위를 대신하여 진액이 돌게 하는 것을 주관하는데,

경맥의 기가 허하면 양기가 들어오게 되고 양기가 들어오게 되어 위가 조화롭지 못하게 된다.

위가 조화롭지 못하면 정기가 고갈되는데, 정기가 고갈되면 팔다리를 영양하지 못하게 된다.

열궐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자주 술에 취하거나 배불리 먹은 다음

성생활을 하여서 비에 기가 몰려 가운데서 흩어지지 못한다.

이렇게 되어 술기운과 음식의 기운이 서로 부딪쳐서 속에 열이 성해졌다.

그러므로 그 열이 온몸에 퍼지고 속에서 열이 나 소변이 붉어진다.

술기운은 세고 날래기 때문에 신기는 날로 쇠약해지고

양기는 홀로 성하게 되어 손발이 뜨거워지는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내경).
熱厥, 宜升陽散火湯, 火鬱湯 方並見火門.
열궐에는 승양산화탕이나 화울탕(두 처방 모두 화문에 있다)을 쓴다.
厥論, 寒熱皆由腎之精氣內竭而成也[綱目].
소문 궐론에서 말한 한궐과 열궐은

모두 신(腎)의 정기가 안으로 고갈되어 그렇게 된 것이다(강목).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脚氣病因][각기병인]   (0) 2020.03.22
[脚氣異名][각기이명]   (0) 2020.03.22
[寒厥]한궐]  (0) 2020.03.22
[厥有寒熱][궐유한열]   (0) 2020.03.22
[脈法][맥법]   (0) 2020.03.22

[寒厥][한궐]
黃帝曰, 寒厥之爲寒也, 必從五指而上於膝者, 何也.

岐伯對曰, 陰氣起於五指之裏, 集於膝下, 而聚於膝上.

故陰氣勝, 則從五指至膝上寒.

其寒也, 不從外, 皆從內也[內經].
황제가 "한궐(寒厥)로 싸늘해지는 것은

반드시 다섯 발가락에서부터 시작하여

무릎까지 올라가는데 이것은 어째서인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음기는 다섯 발가락의 안쪽에서 일어나

무릎 아래에 모였다가 무릎 위에서 뭉친다.

그러므로 음기가 너무 왕성하면 다섯 발가락에서부터 무릎 위까지 싸늘해지는데,

이렇게 싸늘해지는 것은 밖에서 들어와 생긴 것이 아니라

모두 안에서 생긴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내경). 
帝曰, 寒厥何爲而然也.

岐伯曰, 前陰者, 宗筋之所聚, 太陰陽明之所合也.

春夏則陽氣多而陰氣少, 秋冬則陰氣盛而陽氣衰.

此人者, 以秋冬奪於所用, 下氣上爭, 不能復, 精氣溢下, 邪氣因從而上之也.

氣因於中, 陽氣衰, 不能滲營其經絡, 陽氣日損, 陰氣獨作, 故手足爲之寒也[內經].
황제가 "한궐은 무엇 때문에 그렇게 되는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전음(前陰)은 종근(宗筋)이 모인 곳이고 족태음과 족양명이 합쳐지는 곳이다.

봄과 여름에는 양기가 많고 음기는 적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음기가 성하고 양기는 쇠약해진다.

한궐이 있는 사람은 가을과 겨울에 방사로 힘을 너무 많이 써서 정기가 빠져서

아래의 음기가 위로 치받아 올라갔다가 되돌아가지 못하고

신(腎)의 정기가 넘쳐서 아래로 흘러버린다.

한사(寒邪)가 이로 인하여 올라온다.

또 기는 중초로부터 나오는데,

비위의 양기가 쇠약해지면 경락을 축여주거나 운영하지 못한다.

이렇게 되면 양기는 날로 쇠약해지고

음기만 홀로 남아 손발이 싸늘해진다"라고 대답하였다(내경).  
內經曰, 腎虛, 則淸厥意不樂. 又曰, 下虛則厥.
내경에서는 "신이 허약해지면 한궐이 생기고 기분이 좋지 않다"고 하였고,

또 "아래가 허약하면 궐이 생긴다"고 하였다.  
寒厥, 脈沈數實, 爲熱.

東垣治一人, 脚膝尻臀皆冷, 脈沈數有力, 用滋腎丸 方見小便, 再服而愈.

又治一人, 上熱下寒, 用旣濟解毒湯, 良愈, 則寒厥用藥, 不可不審[綱目].
한궐에 맥이 침하고 삭실(數實)한 것은 열이 있는 것이다.

이고(李杲)가 다리와 무릎, 꽁지, 엉덩이가 모두 차고 맥이 침삭, 유력한

어떤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자신환(처방은 소변문에 있다)을 두 번 먹였더니 나았다.

또 한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위는 뜨겁고 아래는 차서 기제해독탕을 썼더니 잘 나았다.

한궐에 약을 쓸 때는 잘 살펴야 한다(강목).
寒厥, 宜十全大補湯 方見虛勞 加附子, 或當歸四逆湯 方見寒門[入門].
한궐에는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부자를 더 넣어 쓰거나

당귀사역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脚氣異名][각기이명]   (0) 2020.03.22
[熱厥][열궐]  (0) 2020.03.22
[厥有寒熱][궐유한열]   (0) 2020.03.22
[脈法][맥법]   (0) 2020.03.22
[足領髀股膝臏腨脛腕][족령비고슬빈천경완]   (0) 2020.03.22

[厥有寒熱][궐유한열]
王太僕云, 厥者, 氣逆上也, 世謬傳爲脚氣.

內經曰, 寒厥者, 手足寒也, 熱厥者, 手足熱也.

蓋陽衰於下, 則爲寒厥, 陰衰於下, 則爲熱厥,

陰陽之氣, 不相接續, 則爲厥[綱目].

왕빙은 "'궐(厥)'이란 기가 위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세상에 이것이 잘못 전해져 각기(脚氣)가 되었다.

내경에서는 "한궐이란 손발이 찬 것이고, 열궐이란 손발이 뜨거운 것이다.

대체로 양기가 아래에서 쇠약해지면 한궐이 되고

음기가 아래에서 쇠약해지면 열궐이 된다"고 하였다.

이것은 음양의 기가 서로 맞닿아 이어지지 못하여 궐이 된 것이다(강목).
厥證, 多以不勝乘其所勝,

如腎移寒於脾, 則爲寒厥, 心移熱於腎, 則爲熱厥[入門].

궐증이란 대개 이기지 못하는 것이 이기는 것을 올라탄[乘] 것이다.

예를 들면 신(腎)이 한기를 비(脾)에 옮기면 한궐이 되고

심(心)이 열기를 신에 옮기면 열궐이 된다(입문).
厥論, 寒熱皆由腎之精氣內竭而成也[綱目].  
소문 궐론에서 말한 한궐과 열궐은 모두 신의 정기가 안으로 고갈되어 그렇게 된 것이다(강목).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厥][열궐]  (0) 2020.03.22
[寒厥]한궐]  (0) 2020.03.22
[脈法][맥법]   (0) 2020.03.22
[足領髀股膝臏腨脛腕][족령비고슬빈천경완]   (0) 2020.03.22
[足部度數][족부도수]   (0) 2017.07.15

[脈法][맥법]
脚氣之脈, 其狀有四.

浮弦爲風, 濡弱濕氣, 遲瀒因寒, 洪數熱鬱[脈訣].

각기의 맥은 네 가지 상태가 있다.

부현(浮弦)한 것은 풍(風) 때문이고 유약(濡弱)한 것은 습기 때문이며

지삽(遲瀒)한 것은 한(寒) 때문이고 홍삭(洪數)한 것은 열이 뭉친 것이다(맥결).

微滑者虛, 牢堅者實[正傳].

맥이 미활한 것은 허증이고 뇌견한 것은 실증이다(정전).

脚氣之脈, 浮爲風, 緊爲寒, 緩細爲濕, 洪數爲熱.

又曰, 沈而弦者爲風, 沈而緊者爲寒, 沈細爲濕, 沈數爲熱[三因].

각기의 맥에서 부한 것은 풍 때문이고 긴한 것은 한 때문이며

완세한 것은 습 때문이고 홍삭한 것은 열 때문이다.

또한 침하면서 현한 것은 풍 때문이고 침하면서 긴한 것은 한 때문이며

침세한 것은 습 때문이고 침삭한 것은 열 때문이라고 하였다(삼인).  

脾脈緩甚, 爲痿厥[內經].

비맥(脾脈)이 몹시 완한 것은 위궐(痿厥)이다(내경).

尺脈, 虛弱緩瀒而緊, 病爲足痛, 或是痿病[脈訣].

척맥이 허약하고 완삽하면서 긴하면 다리가 아픈 것인데, 위병(痿病)일 수도 있다(맥결).

痿脈, 多浮而大[子和].

위맥은 대개 부대(浮大)하다(자화).

診人痿躄, 其脈虛者生, 緊急疾者死[脈經].

위벽(痿躄)인 사람을 진찰하여 그 맥이 허하면 살고 긴급하면서 빠르면 죽는다(맥경).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厥][열궐]  (0) 2020.03.22
[寒厥]한궐]  (0) 2020.03.22
[厥有寒熱][궐유한열]   (0) 2020.03.22
[足領髀股膝臏腨脛腕][족령비고슬빈천경완]   (0) 2020.03.22
[足部度數][족부도수]   (0) 2017.07.15

[足領髀股膝臏腨脛腕][족령비고슬빈천경완]
膝上曰髀, 膝上骨曰髀骨, 髀骨與髖骨接處曰髀樞 穴名也.
髀內曰股, 髀外曰腿, 腿下脛上接處曰膝, 膝之盖骨曰臏, 膝下曰脛, 一名曰骭,

膝下之骨曰骨, 骨之外骨曰輔骨,

脛之後魚腹曰腨, 一云足肚曰腨,

脛下跗上接處曰腕, 腕骨曰踝[銅人].
무릎 위를 허벅다리[髀]라 하고 무릎 위의 뼈를 허벅다리뼈[髀骨]라고 하며,
허벅다리뼈와 엉덩이뼈[髖骨]가 맞붙은 곳을 비추(髀樞, 혈이름)라고 한다.
허벅다리 안쪽을 허벅지[股]라 하고

허벅다리의 바깥쪽을 넓적다리[腿]라고 한다.
허벅다리 아래와 정강이 위가 맞붙은 곳을 무릎[膝]이라고 하며,
무릎을 덮는 뼈를 종지뼈[臏]라 하고

무릎 아래를 정강이[脛]라고도 하며 종아리[骭]라고도 한다.
무릎 아래의 뼈를 행골(骨)이라고도 하고 경골의 바깥쪽 뼈를 보골(輔骨)이라고 한다.
정강이 뒤쪽의 물고기 배같이 생긴 데를 장딴지[腨]라 하고

또 족두(足肚)라고도 하는데, 이는 장딴지를 말하는 것이다.
정강이 아래와 발등 위가 맞붙은 곳을 발목[腕]이라고 하며

발목의 뼈[腕骨]를 복사뼈[踝]라고 한다(동인).
足通謂之脚, 脚者, 却也,

以其坐時, 却在後也[回春].  
다리 전체를 '각(脚)'이라고 하는데, '각'이라는 말은 '물러난다[却]'는 뜻이다.
이는 앉을 때 다리를 뒤로 빼기 때문이다(회춘).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厥][열궐]  (0) 2020.03.22
[寒厥]한궐]  (0) 2020.03.22
[厥有寒熱][궐유한열]   (0) 2020.03.22
[脈法][맥법]   (0) 2020.03.22
[足部度數][족부도수]   (0) 2017.07.15

[足部度數][다리의 부위별 치수] 
靈樞曰橫骨上廉以下至 內輔之上廉長一尺八寸
內輔之上廉以下至下廉長三寸半
內輔下廉下至內嚹長一尺三寸 內嚹以下至地長三寸
膝坅以下至掗屬長一尺六寸 掗屬以下至地長三寸
영추에 “치골 윗변두리에서 아래로 안쪽 비골 윗변두리까지의 길이는 1자 8치이고
안쪽 비골 윗변두리에서 아래 변두리까지의 길이는 3치 5푼이다.
안쪽 비골 아래 변두리에서 안쪽 복사뼈까지의 길이는 1자 3치이고
안쪽 복사뼈에서 발바닥까지의 길이는 3치이다.
또한 무릎 오금에서 발뒤축까지의 길이는 1자 6치이고
발뒤축에서 발바닥까지의 길이는 3치이다.
摽樞以下至膝中長一尺九寸膝以下至外嚹長一尺六寸
外嚹以下至京骨長三寸京骨以下至地長一寸
고관절[ 樞]에서 아래로 무릎 가운데까지의 길이는 1자 9치이고
무릎에서 아래로 바깥쪽 복사뼈까지는 1자 6치이다.
바깥 복사뼈에서 아래로 경골혈[京骨]까지의 길이는 3치이고
경골혈에서 발바닥까지의 길이는 1치이다.
兩摽之間廣六寸半足長一尺二寸廣四寸半[靈樞]
양쪽 자개미 사이[ 之間]의 너비는 6치 5푼이다.
발의 길이는 1자 2치이고 너비는 4치 5푼이다[영추].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厥][열궐]  (0) 2020.03.22
[寒厥]한궐]  (0) 2020.03.22
[厥有寒熱][궐유한열]   (0) 2020.03.22
[脈法][맥법]   (0) 2020.03.22
[足領髀股膝臏腨脛腕][족령비고슬빈천경완]   (0) 2020.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