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寒厥][한궐]
黃帝曰, 寒厥之爲寒也, 必從五指而上於膝者, 何也.
岐伯對曰, 陰氣起於五指之裏, 集於膝下, 而聚於膝上.
故陰氣勝, 則從五指至膝上寒.
其寒也, 不從外, 皆從內也[內經].
황제가 "한궐(寒厥)로 싸늘해지는 것은
반드시 다섯 발가락에서부터 시작하여
무릎까지 올라가는데 이것은 어째서인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음기는 다섯 발가락의 안쪽에서 일어나
무릎 아래에 모였다가 무릎 위에서 뭉친다.
그러므로 음기가 너무 왕성하면 다섯 발가락에서부터 무릎 위까지 싸늘해지는데,
이렇게 싸늘해지는 것은 밖에서 들어와 생긴 것이 아니라
모두 안에서 생긴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내경).
帝曰, 寒厥何爲而然也.
岐伯曰, 前陰者, 宗筋之所聚, 太陰陽明之所合也.
春夏則陽氣多而陰氣少, 秋冬則陰氣盛而陽氣衰.
此人者, 以秋冬奪於所用, 下氣上爭, 不能復, 精氣溢下, 邪氣因從而上之也.
氣因於中, 陽氣衰, 不能滲營其經絡, 陽氣日損, 陰氣獨作, 故手足爲之寒也[內經].
황제가 "한궐은 무엇 때문에 그렇게 되는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전음(前陰)은 종근(宗筋)이 모인 곳이고 족태음과 족양명이 합쳐지는 곳이다.
봄과 여름에는 양기가 많고 음기는 적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음기가 성하고 양기는 쇠약해진다.
한궐이 있는 사람은 가을과 겨울에 방사로 힘을 너무 많이 써서 정기가 빠져서
아래의 음기가 위로 치받아 올라갔다가 되돌아가지 못하고
신(腎)의 정기가 넘쳐서 아래로 흘러버린다.
한사(寒邪)가 이로 인하여 올라온다.
또 기는 중초로부터 나오는데,
비위의 양기가 쇠약해지면 경락을 축여주거나 운영하지 못한다.
이렇게 되면 양기는 날로 쇠약해지고
음기만 홀로 남아 손발이 싸늘해진다"라고 대답하였다(내경).
內經曰, 腎虛, 則淸厥意不樂. 又曰, 下虛則厥.
내경에서는 "신이 허약해지면 한궐이 생기고 기분이 좋지 않다"고 하였고,
또 "아래가 허약하면 궐이 생긴다"고 하였다.
寒厥, 脈沈數實, 爲熱.
東垣治一人, 脚膝尻臀皆冷, 脈沈數有力, 用滋腎丸 方見小便, 再服而愈.
又治一人, 上熱下寒, 用旣濟解毒湯, 良愈, 則寒厥用藥, 不可不審[綱目].
한궐에 맥이 침하고 삭실(數實)한 것은 열이 있는 것이다.
이고(李杲)가 다리와 무릎, 꽁지, 엉덩이가 모두 차고 맥이 침삭, 유력한
어떤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자신환(처방은 소변문에 있다)을 두 번 먹였더니 나았다.
또 한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위는 뜨겁고 아래는 차서 기제해독탕을 썼더니 잘 나았다.
한궐에 약을 쓸 때는 잘 살펴야 한다(강목).
寒厥, 宜十全大補湯 方見虛勞 加附子, 或當歸四逆湯 方見寒門[入門].
한궐에는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부자를 더 넣어 쓰거나
당귀사역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外形篇] > [足]'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脚氣異名][각기이명] (0) | 2020.03.22 |
---|---|
[熱厥][열궐] (0) | 2020.03.22 |
[厥有寒熱][궐유한열] (0) | 2020.03.22 |
[脈法][맥법] (0) | 2020.03.22 |
[足領髀股膝臏腨脛腕][족령비고슬빈천경완] (0) | 202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