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治不治證][가치불치증] 

 

黃疸之病 當以18日爲期 治 之10日已上宜差 反劇 爲難治(仲景).

황달을 치료하는 기간은 18일 간으로 정하였다.

10일 이상 치료하면 나아야 하는데 도리어 심해지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疸而不渴者 可治 疸而渴者 難治

發於陰部 其人必嘔 發於陽部 其人振寒 而發熱(仲景).

황달 때 갈증이 나지 않는 것은 치료하기 쉽고 갈증이 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음부분[陰部]에 생긴 것이면 반드시 구역이 나고 양부분[陽部]이 생긴 것이면 춥고 떨리며 열이 난다[중경]. 

 

凡黃家 候其寸口 脈近掌無脈 口鼻冷黑色 並不可治(脈經).

황달 때 촌구맥(寸口脈)이 손바닥 가까이로 갈수록 잘 알리지 않고

입술과 코가 차지면서 거멓게 되는 것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맥경].

 

形體如烟熏 直視搖頭 爲心絶,

環口黧黑 柔汗 發黃 爲脾絶 皆不治(明理).

몸이 연기에 그슬린 것같이 거멓게 되고 곧추 보며 머리를 흔드는 것은 심기(心氣)가 끊어진 것이고 

입술 둘레가 거멓게 되고 진땀이 나며 몸이 누렇게 되는 것은 비기(脾氣)가 끊어진 것인데 

이것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명리]. 

 

黃疸以18日爲期

10日以外入腹喘滿 煩渴 面黑者 死(入門).

황달을 치료하는 기간은 18일 간으로 정한다.

10일 이상 치료한 다음에 병이 속으로 들어가서

숨이 차고 그득하며 번갈이 나면서 얼굴이 거멓게 되는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脾胃稍實 更斷厚味 則可治, 傷酒色 恣口腹者 難治(入門).

비위(脾胃)가 좀 든든하고 또 기름진 음식을 먹지 않으면 치료할 수 있다. 

주색(酒色)으로 상하거나 음식을 조절하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疸病 面黑黃 作渴 腹脹 難治(醫鑒).

황달로 얼굴이 검누렇게 되고 갈증이 나며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의감].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癖三方][치벽삼방]  (0) 2020.11.11
[黃疸通治藥][황달통치약]  (0) 2020.11.10
[搐鼻退黃法][휵비퇴황법]  (0) 2020.11.10
[疫癘發黃][역여발황]  (0) 2020.11.10
[陰黃][음황]  (0) 2020.11.09

疸癖愛喫土炭生米茶葉

달벽 때에는 흙, 숯, 생쌀, 차잎을 먹기 좋아한다

 

宜用四寶丹 及治癖三方(諸方).

사보단(四寶丹)과 벽(癖)을 치료하는 3가지 처방을 쓴다[저방].

 

① 治黃疸喫茶葉

蒼朮 白朮各112.5g 石膏 白芍藥 黃芩 南星 陳皮各37.5g 薄荷26.25g

爲末 砂糖水煮 神麴作糊和 丸梧子大 砂糖水 空心 呑下50~70丸(入門).

황달 때 차잎을 먹기 좋아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각각 120g, 석고,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속썩은풀(황금), 천남성, 귤껍질(陳皮) 각각 40g, 박하 2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사탕물에 달인 약누룩(신국)으로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사탕물로 먹는다[입문].

 

② 治黃疸喜喫生米

白朮6g 蒼朮5g 白芍藥 陳皮 神麴

麥芽 山査肉 白茯苓 石膏各4g 厚朴3g 藿香2g 甘草1g

剉作一貼 水煎 臨熱 入砂糖末1匙 調服(入門).

황달 때 생쌀을 먹기 좋아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6g, 삽주(창출) 5.2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귤껍질(陳皮),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찔광이(산사), 흰솔풍령(백복령), 석고 각각 4g, 후박 2.8g, 곽향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이는데 거의 달여진 무렵에

사탕가루 1숟가락을 넣고 타서 먹는다[입문].

 

③ 通用 使君子肉75g 南星薑製 檳榔各37.5g

喫生米用 麥芽600g炒過

喫茶葉用 茶葉600g炒過

喫黃土用 壁土600g炒過

喫炭用 黑炭600g炒過

爲末 蜜丸梧子大 空心 砂糖水下50丸(入門).

사군자살 80g, 천남성(생강즙에 법제한 것), 빈랑 각각 40g. 이 처방은 두루 쓰는 것이다.

생쌀을 먹는 데는 보리길금(맥아) 600g을 닦아서 더 넣는다.

차잎을 먹는 데는 차잎 600g을 닦아서 더 넣는다.

흙을 먹는 데는 담벽흙 600g을 닦아서 더 넣는다.

숯을 먹는 데는 숯 600g을 닦아서 더 넣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빈속에 사탕물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可治不治證][가치불치증]  (0) 2020.11.11
[黃疸通治藥][황달통치약]  (0) 2020.11.10
[搐鼻退黃法][휵비퇴황법]  (0) 2020.11.10
[疫癘發黃][역여발황]  (0) 2020.11.10
[陰黃][음황]  (0) 2020.11.09

[黃疸通治藥][황달통치약]

 

黃疸之疾 脾受濕熱鬱 而不行 亦多有腹脹之候.

治法大要 踈導濕熱 於大小便之中

宜胃苓湯方見大便 加茵陳 及茯苓滲濕湯

又 退黃散 一淸飮 石膏茵陳散 茵陳大黃湯 必效散 退黃丸 綠礬丸 褪金丸 棗子綠礬丸並可(諸方).

황달은 비(脾)가 습열을 받은 것이 뭉쳐서 비기의 작용이 잘 되지 못하면 생기는데

이때에도 역시 흔히 배가 불러 오르는 증상이 있다.

치료하는 방법은 소도(疎導)시켜 습열이 대소변으로 나가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데는 위령탕(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에 더위지기(인진)를 넣어서 쓰거나 복령삼습탕

또는 퇴황산, 일청음, 석고인진산, 인진대황탕, 필효산, 퇴황환, 녹반환, 퇴금환,

조자녹반환을 써도 다 좋다[저방].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可治不治證][가치불치증]  (0) 2020.11.11
[治癖三方][치벽삼방]  (0) 2020.11.11
[搐鼻退黃法][휵비퇴황법]  (0) 2020.11.10
[疫癘發黃][역여발황]  (0) 2020.11.10
[陰黃][음황]  (0) 2020.11.09

[搐鼻退黃法][휵비퇴황법]

 

凡黃疸 由濕熱毒氣 浸入淸氣道中

宜納藥鼻中 滴出黃水 卽愈 宜搐鼻瓜蒂散 如神散

모든 황달은 습열독기(濕熱毒氣)가 청도(淸道)에 침범해서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약을 콧구멍에 불어 넣어서 누런 물이 나오면 곧 낫는다.

약으로 축비과체산, 여신산을 쓴다.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癖三方][치벽삼방]  (0) 2020.11.11
[黃疸通治藥][황달통치약]  (0) 2020.11.10
[疫癘發黃][역여발황]  (0) 2020.11.10
[陰黃][음황]  (0) 2020.11.09
[黑疸難治][흑달난치]  (0) 2020.11.09

[疫癘發黃][역여발황]

 

天行疫癘 亦能發黃 謂之瘟黃

殺人最急 宜瘴疸丸 茵陳瀉黃湯 濟生茵陳湯 苦蔘散(諸方).

돌림병으로 생긴 황달을 온황(瘟黃)이라고 한다.

이것이 가장 위급한 병이다.

이런 데는 장달환, 인진사황탕, 제생인진탕, 고삼산을 쓴다[저방].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疸通治藥][황달통치약]  (0) 2020.11.10
[搐鼻退黃法][휵비퇴황법]  (0) 2020.11.10
[陰黃][음황]  (0) 2020.11.09
[黑疸難治][흑달난치]  (0) 2020.11.09
[酒疸最重][주달최중]  (0) 2020.11.09

[陰黃][음황]

 

治陰黃 身面俱黃 肢體沈重 背寒身冷 心下痞硬 自汗 小便利 脈緊細空虛

此寒凉過度 變陽爲陰也或遇太陽 太陰司天之歲 寒濕太過 亦變 此疾 宜茵陳湯 加入六方

(茵陳茯苓湯 茵陳橘皮湯 茵陳附子湯 茵陳四逆湯 茵陳薑附湯 茵陳吳茱萸湯 編者添付)

及茵陳附子乾薑湯(綱目).

음황이란 몸과 얼굴이 다 누렇게 되고 몸이 무거우며 잔등이 시리고 몸이 차며

명치 밑이 트직하고 뜬뜬[硬]하며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인데

이때에도 오줌이 잘 나가고 맥은 긴(緊), 세(細), 공(空), 허(虛)하다.

이것은 한사(寒邪)가 심하여 양이 음으로 변해서 생긴 것이다.

혹 태양과 태음이 사천(司天)하는 해를 만나 한습이 지나치게 심해져도 역시 이런 병이 생기게 된다.

이런 데는 인진탕과 섞어서 쓰는 6가지 처방과 인진부자건강탕을 쓴다[강목].

 

理中湯方見寒門 加茵陳 茯苓亦效(綱目).

이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더위지기(인진), 흰솔풍령(백복령)을 넣어 써도 효과가 있다[강목].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搐鼻退黃法][휵비퇴황법]  (0) 2020.11.10
[疫癘發黃][역여발황]  (0) 2020.11.10
[黑疸難治][흑달난치]  (0) 2020.11.09
[酒疸最重][주달최중]  (0) 2020.11.09
[黃疸治法][황달치법]  (0) 2020.11.09

[黑疸難治][흑달난치]

 

脾與腎 俱病 爲黑疸 色疸 又名 女勞疸 身黃額黑(直指).

비(脾)와 신(腎)이 동시에 병들면 흑달이나 색달(色疸)이 생긴다.

이것을 일명 여로달(女勞疸)이라고도 하는데 이때에는 몸이 누렇게 되고 이마가 거매진다[직지].

 

黃家 日晡時 當發熱 而反惡寒 此爲女勞得之 膀胱急

小腹滿 一身盡黃 額上黑 足下熱 因作黑疸腹脹如水狀 大便黑

或時溏 此女勞之病 非水也 腹滿者 難治(仲景).

황달 때에는 해질 무렵에 반드시 열이 난다.

그런데 반대로 오한이 나는 것은 성생활로 생긴 황달이다.

방광이 켕기고 아랫배가 그득하며 온몸이 다 누렇게 되고 이마가 거매지며

발바닥이 다는[熱] 것이 바로 흑달이다.

배가 불러 오른 것이 수종(水腫) 때 같으면서 대변이 거멓고

혹 묽은 대변을 설하는 것[ ]이 여로달이지 수종이 아니다.

이때에 배가 그득해지면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酒疸 因下之 久久變爲黑疸

目靑面黑 心中如啖蒜虀狀 大便正黑 小便亦或黑 難治(仲景).

주달 때 설사를 잘못시키면 오래되어 흑달이 된다.

이때에는 눈이 퍼렇게 되고 얼굴이 거매지며

속이 마늘 양념을 먹은 때와 같은 감이 있고

대변이 검으면서 오줌도 거멓게 되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疫癘發黃][역여발황]  (0) 2020.11.10
[陰黃][음황]  (0) 2020.11.09
[酒疸最重][주달최중]  (0) 2020.11.09
[黃疸治法][황달치법]  (0) 2020.11.09
[脈法][맥법]  (0) 2020.11.09

[酒疸最重][주달최중]

 

五疸之中 惟酒疸 變證最多 盖酒之爲物 隨人性量不同 有盈石而不醉者

有濡唇而輒亂者 以醞釀而成 有大熱毒 滲入百脈不止 發黃而已 溢于皮膚 爲黑 爲腫

流於淸氣道中 則眼黃 鼻齆 種種不同也(得效).

5가지 황달 가운데서 오직 주달(酒疸)만이 변하는 증상이 많다.

대체로 사람마다 술을 마시는 양이 다른데

1말을 마셔도 취하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입술에 대기만 하여도 곧 취하는 사람이 있다.

술은 발효시켜서 만든 것이므로 열독(熱毒)이 심하다.

그러므로 여러 혈맥[百脈]에 계속 스며들어가서 황달이 생기게 한다.

뿐만 아니라 피부로 넘쳐나면 몸이 거멓게 되고 붓는다.

그리고 청도(淸道)로 들어가면 눈이 노랗게 되고 코가 막히는 등 이러저러한 증상이 생긴다[득효].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黃][음황]  (0) 2020.11.09
[黑疸難治][흑달난치]  (0) 2020.11.09
[黃疸治法][황달치법]  (0) 2020.11.09
[脈法][맥법]  (0) 2020.11.09
[黃汗][황한]  (0) 2020.11.09

[黃疸治法][황달치법]

 

諸疸 小便黃赤色者 爲濕熱 當作濕熱治(仲景).

여러 가지 황달 때 오줌이 누러면서 벌건 것은 습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반드시 습열을 치료해야 한다[중경].

 

諸疸 小便色白 不可除熱者 無熱也,

若有虛寒證 當作虛勞治之(仲景).

여러 가지 황달 때 오줌이 맑으면 열을 없애는 치료는 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열증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일 허하고 찬 증상이 있으면 반드시 허로(虛勞)로 보고 치료해야 한다[중경].

 

諸疸 小便不利爲裏實 宜利小便 或下之,

利小便 宜茵陳五苓散, 下之 宜黃連散.

여러 가지 황달 때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은 속이 실()한 것이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오줌을 잘 나오게 하거나 설사시켜야 한다.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데는 인진오령산을 쓰고 설사시키는 데는 황련산을 쓴다.

 

無汗 爲表實 宜發汗 或吐之,

發汗 宜麻黃醇酒湯, 吐之 宜瓜蒂散(綱目).

땀이 나오지 않는 것은 표()가 실()하기 때문이므로 반드시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해야 한다.

땀을 내는 데는 마황순주탕을 쓰고 토하게 하는 데는 과체산을 쓴다[강목].

 

色如烟熏黃 乃濕病也

一身盡痛 色如橘子黃 乃黃病也.

一身不痛 濕家之黃,

色暗不明 熱家之黃 如橘子色 甚者 勃勃出染 着衣如黃栢汁(綱目).

살빛이 연기에 쏘인 것 같이 검누렇게 되는 것은 습증인데 이때에는 온 몸이 아프다.

귤빛같이 누렇게 되는 것은 황달인데 이때에는 온 몸이 아프지 않다.

습으로 생긴 황달 때에는 살빛이 어둡고 선명치 못하다.

열로 생긴 황달 때에는 살빛이 귤빛 같다.

그리고 심하면 땀이 줄줄 흘러서 옷에 물이 드는데 마치 황백즙(黃栢汁)이 물든 것같다[강목].

 

治黃疸 與濕病相似 輕則滲利, 重則大下, 黃自退矣(入門).

황달과 습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서로 비슷한데

()하면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중()하면 몹시 설사시켜야 한다.

그래야 누런 빛이 없어진다[입문].

 

黃疸 因食積者 下其食積 其餘 但利小便爲先 小便利白 其黃自退(丹心).

식적(食積)으로 생긴 황달 때에는 식적을 삭아지게 한 다음 오줌을 잘 나가게 해야 한다.

먼저 이와 같이 하여야 오줌이 잘 나가면서 맑아지고 황달도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疸難治][흑달난치]  (0) 2020.11.09
[酒疸最重][주달최중]  (0) 2020.11.09
[脈法][맥법]  (0) 2020.11.09
[黃汗][황한]  (0) 2020.11.09
[女勞疸][여로달]  (0) 2020.11.09

[脈法][맥법]

 

五疸 實熱 脈必洪數 其或微澁 證屬虛弱(脈訣).

5가지 황달 때 실열(實熱)이 있으면 맥이 반드시 홍삭(洪數)한데

혹 미삽(微澁)한 것은 허약한 증상에 속한다[맥결].

 

疸脈 緩大者 順, 弦急而堅者 逆(直指).

황달 때 맥이 완대(緩大)한 것은 순증(順症)이고

현급(弦急)하면서 견(堅)한 것은 역증(逆症)이다[직지].

'[雜病篇] > [黃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酒疸最重][주달최중]  (0) 2020.11.09
[黃疸治法][황달치법]  (0) 2020.11.09
[黃汗][황한]  (0) 2020.11.09
[女勞疸][여로달]  (0) 2020.11.09
[穀疸][곡달]  (0) 2020.11.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