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字氣訣][육자기결] 

噓肝氣 呵心氣 呼脾氣呬 肺氣

吹腎氣嘻三焦氣 其法以口吐鼻 取能去病延壽.

肝若噓時目爭精 肺知呬氣手雙擎 心呵頂上連叉手

腎吹抱取膝頭平 脾病呼時須撮口 三焦客熱臥嘻嘻.

천천히 부는 것은 간()의 기운이고 불어 덥히는 것은 심의 기운이다.

보통으로 내쉬는 것은 비()의 기운이고 가쁘게 내쉬는 것은 폐()의 기운이다.

그리고 세게 부는 것은 신()의 기운이고 한숨을 내쉬는 것은 3(三焦)의 기운이다.

그 방법은 입으로 내쉬고 코로 들이쉬면 병을 없애고 오래 살게 된다.

간병(肝病)으로 천천히 불 때에는 눈에 정기를 모으고

폐병(肺病)으로 가쁘게 내쉴 때에는 두 손을 쳐든다.

심병(心病)에 불어서 덥힐 때에는 두 손을 정수리 위에 올려 깍지를 끼고

신병(腎病)에 세게 불 때에는 무릎을 두 손으로 껴안는다.

비병(脾病)에 보통으로 내쉴 때에는 입을 오므린다.

3(三焦)에 객열(客熱)이 있으면 누워서 한숨을 내쉰다.



春噓養肝 夏呵養心 秋呬養肺 冬吹養腎 四季呼養脾

不時嘻養三焦 切忌出聲聞於口耳也(臞仙)

봄에는 천천히 불어 간을 보양한다.

여름에는 불어 덥혀서 심을 보양한다.

가을에는 가쁘게 내쉬어 폐를 보양한다.

겨울에는 세게 불어 신을 보양한다.

사철에는 보통으로 내쉬어 비를 보양하고

때없이 한숨을 내쉬어 3초를 보양해야 할 것이다.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절대로 귀에 들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구선].


肝病大呼三十過 細呼十遍 心病大呵三十遍 細呵十遍

脾病大呼三十遍 細呼十遍 肺病大呬 三十遍 細呬十遍

腎病大吹 五十遍 細吹十遍 皆須左右導引 然後乃爲之(得效).

간병에는 천천히 세게 30번 내어 분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심병에는 불어 덥히기를 세게 3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비병에는 보통 숨쉬기를 세게 3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신병에는 세게 불기를 5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여기서 어느 것이나 모두 반드시 좌우로 도인법(導引法)을 한 후에 해야 한다[득효]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治氣藥][통치기약]   (0) 2019.10.02
[用藥法][용약법]  (0) 2019.10.02
[禁忌][금기]   (0) 2019.10.02
[氣絶候][기절후]   (0) 2019.10.02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0) 2019.10.02

[通治氣藥][통치기약]
宜用蘇合香元, 至聖來復丹, 交感丹, 四七湯, 分心氣飮, 上下分消導氣湯, 烏沈湯, 流氣飮子,

木香流氣飮 七方見上.
기병에는 소합향원, 지성내복단, 교감단, 사칠탕, 분심기음, 상하분소도기탕, 오침탕, 유기음자, 목향유기음(이 일곱 가지 처방은 앞에 있다)을 쓴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字氣訣][육자기결]   (0) 2019.10.07
[用藥法][용약법]  (0) 2019.10.02
[禁忌][금기]   (0) 2019.10.02
[氣絶候][기절후]   (0) 2019.10.02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0) 2019.10.02

[用藥法][용약법]
正傳曰, 男子屬陽, 得氣易散, 女人屬陰, 遇氣多鬱.

是以男子之氣病常少, 女人之氣病常多.

故治法曰, 女人宜調其血以耗其氣, 男子宜調其氣以養其血.

정전에서는 "남자는 양에 속하기 때문에 기를 얻으면 쉽게 흩어지고, 여자는 음에 속하기 때문에 기를 만나면 막히기 쉽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남자의 기병은 적고 여자의 기병은 많기 마련이다. 따라서 『치법』에서는 여자는 혈(血)을 조절하여 그 막힌 기를 풀어주어야 하며 남자는 기(氣)를 조절하여 혈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入門曰, 七情總發於一心, 七氣總隸於一氣.

氣陽也, 動則爲火. 故以降火化痰消積分治之.

大槪氣虛四君子湯, 氣實小烏沈湯, 火多合黃連解毒湯 方見傷寒,

痰多合二陳湯 方見痰飮, 積多合平胃散 方見五臟.

입문에서는 "비록 일곱 가지 감정이지만 모두 하나의 심(心)에서 생기며 일곱 가지 기는 모두 하나의 기에 속한다. 기는 양(陽)이어서 기가 움직이면 화(火)가 된다.

그러므로 화를 내리거나[降火], 담(痰)을 삭이거나[化痰], 적(積)을 없애는[消積] 방법으로 나누어서 치료한다.

대개 기가 허하면 사군자탕을 쓰고, 기가 실하면 소오침탕을 쓰는데, 화가 많으면 황련해독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합방하고, 담이 많으면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합방하고, 적이 많으면 평위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을 합방한다"고 하였다.
丹溪曰, 久患氣證, 氣不歸元, 久服藥無效者, 以破故紙爲君則效.

其方破故紙炒一兩茴香炒乳香各五錢. 爲末, 蜜丸梧子大, 空心白湯下五十丸.

단계는 "오랫동안 기증(氣證)을 앓아서 기가 있어야 할 곳으로 돌아가지 않아서 약을 오랫동안 먹어도 효과가 없는 사람은 파고지를 군약(君藥)으로 쓰면 효과가 있다.

그 처방은 파고지(볶은 것) 한 냥, 회향(볶은 것), 유향 각 다섯 돈을 가루내어 이를 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쉰 알을 달인 물[白湯]로 먹는다"고 하였다.

方氏曰, 氣病用氣藥而不效者, 氣之所藏無以收也.

盖肺主氣, 腎藏氣, 靑木香元, 木香順氣丸, 皆用破故紙, 所以使氣升降而歸於腎藏也.
방씨는 "기병(氣病)에 기약(氣藥)을 써도 효과가 없는 것은 기를 저장하여야 할 곳에서 기를 거두어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개 폐는 기를 주관하고 신은 기를 저장하니, 청목향원이나 목향순기환에서 모두 파고지를 쓴 것은 기를 잘 오르내리게 하여 기가 신장으로 돌아가게 하려는 까닭이다"라고 하였다.
入門曰, 氣病通用二陳湯 方見痰飮.

上焦氣滯, 加枳殼桔梗香附縮砂.

中焦氣滯, 加厚朴枳實三稜蓬朮.

下焦氣滯, 加靑皮木香檳榔.

氣痛, 加枳殼.

氣實, 加烏藥香附.

氣虛, 加蔘朮木香.
입문에서는 "기병(氣病)에는 보통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

상초의 기체(氣滯)에는 지각, 길경, 향부자, 축사인을 더 넣고,

중초의 기체에는 후박, 지실, 삼릉, 봉출을 더 넣고,

하초의 기체에는 청피, 목향, 빈랑을 더 넣고,

기통(氣痛)에는 지각을 더 넣고,

기가 실하면 오약, 향부자를 더 넣고,

기허에는 인삼, 백출, 목향을 더 넣는다"고 하였다. 
丹溪曰, 治上升之氣, 用香附黃連黃芩梔子.

又曰, 氣無補法, 世俗之言也.

不思正氣虛者, 不能運行, 邪氣着而爲病.

단계는 "위로 치미는 기를 다스리려면 향부자, 황련, 황금, 치자를 쓴다"고 하였고,

또 "기병에는 보법(補法)이 없다는 것은 세속의 말일 뿐이니,

정기(正氣)가 허하면 기가 운행하지 못하고 사기가 달라붙어 병이 됨을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曰, 壯者氣行則愈, 怯者着而成病.

或氣怯, 不用補法, 氣何由行.

又曰, 氣鬱, 須用川芎香附梔子芩連.
내경에서 '건장한 사람은 기만 잘 통하면 병이 낫고, 허약한 사람은 사기가 달라붙어 병이 된다'고 하였으니, 만일 기가 약한데도 보법을 쓰지 않는다면 기가 어떻게 돌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또한 "기의 울결에는 모름지기 천궁, 향부자, 치자, 황금, 황련을 쓴다"고 하였다.
又曰, 木香行中下焦氣, 香附快滯氣, 陳皮泄逆氣, 紫蘇散表氣,

厚朴泄衛氣, 檳榔泄至高之氣, 藿香上行胃氣, 沈香升降眞氣, 腦麝散眞氣.

凡此皆泄氣之標, 不能治氣之本.
또 "목향은 중하초(中下焦)의 기를 잘 돌리고 향부자는 체한 기를 풀어주고 진피는 치밀어오른 기를 밑으로 내리고 자소엽은 표기(表氣)를 잘 흩어지게 하고 후박은 위기(衛氣)를 발산시키며 빈랑은 높이 올라간 기를 밑으로 내리고 곽향은 위기(胃氣)를 끌어올리고 침향은 진기를 잘 오르내리게 하고 용뇌와 사향은 진기를 고루 흩어지게 한다.

그러나 이런 것은 모두 기의 표증(表證)을 발산시키는 것으로, 기를 치료하는 근본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字氣訣][육자기결]   (0) 2019.10.07
[通治氣藥][통치기약]   (0) 2019.10.02
[禁忌][금기]   (0) 2019.10.02
[氣絶候][기절후]   (0) 2019.10.02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0) 2019.10.02

[禁忌][금기]
內經曰, 久臥傷氣.

내경에서는 "오래 누워 있으면 기를 상한다"고 하였다.

西山記曰, 近穢氣, 觸眞氣, 近死氣, 亂生氣.

서산기에서는 "불결한 기를 가까이 하면 진기(眞氣)를 더럽히게 되며, 사기(死氣)를 가까이 하면 생기(生氣)를 어지럽히게 된다"고 하였다.

凡人空腹, 不用見尸, 臭氣入鼻, 舌上白起, 口常臭.

欲見尸者, 皆須飮酒見之, 能辟毒[得效] .

빈속일 때는 시체를 보지 말아야 하는데, 시체 냄새가 코로 들어가면 혀에 백태(白苔)가 생기고 입에서는 늘 냄새가 나게 된다.

시체를 보고자 하면 모름지기 술을 마시고 보아야만 독을 피할 수 있다"고 하였다(득효).

凡人疫癘熱病之家, 皆當防其毒氣傳染.

毒氣者, 大汗穢毒之氣也[類聚].

전염성의 열병 환자가 있는 집에 들어갈 때는 그 독기가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독기는 땀을 많이 나게 하는 불결하고 독한 기이다(유취).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治氣藥][통치기약]   (0) 2019.10.02
[用藥法][용약법]  (0) 2019.10.02
[氣絶候][기절후]   (0) 2019.10.02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0) 2019.10.02
[氣鬱][기울]   (0) 2019.10.02

[氣絶候][기절후]
靈樞曰, 五陰氣俱絶, 則目系轉, 轉則目運, 目運者, 爲志先死, 志先死則遠一日半死矣.

六陽氣俱絶, 則陰與陽相離, 離則腠理發泄, 絶汗乃出, 故旦占夕死, 夕占旦死

絶汗者, 大如珠出而不流也.
영추에서는 "오장의 음기가 모두 끊어지면 목계(目系)가 뒤틀리고 목계가 뒤틀리면 눈이 뒤집어지고 눈이 뒤집어지면 오지가 먼저 죽고 오지가 먼저 죽으면 늦어도 하루 반 안에 죽는다.

육부(六腑)의 양기가 모두 끊어지면 음과 양이 서로 분리되고 음과 양이 분리되면 주리(腠理)가 열려 절한(絶汗)이 곧 나오니, 이러한 증상이 아침에 나타나면 저녁에 죽고, 저녁에 나타나면 다음날 아침에 죽을 것임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절한은 구슬만 한 크기의 땀이 맺혀서 흐르지 않는 것이다.
又曰, 六府氣絶于外者, 上氣脚縮.

五臟氣絶于內者, 下利不禁, 甚者手足不仁.

또 "육부의 기가 바깥[外]에서 끊어지면 상기(上氣)하고 다리가 위축되며,

오장의 기가 안[內]에서 끊어지면 설사가 멈추지 않고 심하면 팔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한다"고 하였다.

又曰, 若陽氣前絶, 陰氣後竭者, 其人死, 身色必靑.

陰氣前絶, 陽氣後竭者, 其人死, 身色必黃, 腋下溫, 心下熱也[仲景].

또 "만약 양기가 먼저 끊어지고 음기가 후에 다 말라 없어지면 그 사람은 죽는데, 몸의 색깔이 반드시 푸를 것이다.

음기가 먼저 끊어지고 양기가 후에 다 말라 없어지면 그 사람은 죽는데, 몸의 색깔은 반드시 누렇고 겨드랑이 밑이 따뜻하고 명치끝에는 열이 있다"고 하였다(중경).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用藥法][용약법]  (0) 2019.10.02
[禁忌][금기]   (0) 2019.10.02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0) 2019.10.02
[氣鬱][기울]   (0) 2019.10.02
[氣逆][기역]   (0) 2019.10.02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靈樞曰, 邪之所在, 皆爲不足.

故上氣不足, 腦爲之不滿, 耳爲之苦鳴, 頭爲之苦傾, 目爲之瞑.

中氣不足, 溲便爲之變, 腸爲之苦鳴.

下氣不足, 乃爲痿厥心悗.
又曰, 上氣不足, 推而揚之.

下氣不足, 積而從之.

陰陽皆虛, 火自當之.
영추에서는 "사기가 있는 것은 모두 정기의 부족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上部)의 기가 부족하면 뇌(腦)가 가득 차지 못하게 되고 귀가 몹시 울리며 머리는 힘이 없어 기울어지고 눈이 어둠침침하다.

중부(中部)의 기가 부족하면 대소변에 병적 변화가 생기고, 장(腸)에서는 심하게 소리가 난다.

하부(下部)의 기가 부족하면 위궐(痿厥)이 생기며 정신이 흐릿해진다"고 하였다.

또 "상부의 기가 부족하면 기를 밀어올리고

하부의 기가 부족하면 기를 쌓아서 내려가게 한다.

음양이 모두 허하면 불[灸法]로 치료한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禁忌][금기]   (0) 2019.10.02
[氣絶候][기절후]   (0) 2019.10.02
[氣鬱][기울]   (0) 2019.10.02
[氣逆][기역]   (0) 2019.10.02
[氣痛][기통]   (0) 2019.10.02

[氣鬱][기울]
丹溪曰, 氣之初病, 其端甚微.

或因七情, 或感六氣, 或因飮食, 以致津液不行,

淸濁相干, 自氣成積, 自積成痰, 氣爲之鬱, 或痞或痛.

주진형은 "기(氣)로 처음 병이 생길 때는 그 증상이 매우 미미하다.

칠정(七情) 때문이거나 육기(六氣)의 침입을 받았거나, 음식 때문에 진액이 잘 돌지 않게 되면 맑은 기와 탁한 기가 서로 간섭하여 기로부터 적(積)이 형성되고 적으로부터 담(痰)이 형성되게 되며, 기가 막히면 답답하거나 통증이 생긴다"고 하였다.  

正傳曰, 氣鬱而濕滯, 濕滯而成熱, 故氣鬱之病, 多兼浮腫脹滿.

정전에서는 "기가 막히면[鬱] 습(濕)이 체(滯)하고, 습이 체하면 열이 생긴다"고 하였으니, 기가 막혀 생긴 병은 대개 부종과 창만이 같이 생긴다.
入門曰, 鬱者, 病結不散也.

氣鬱不散, 二陳湯煎水, 呑下交感丹.

又曰, 血凝氣滯, 宜復元通氣散, 痰壅氣滯, 宜順氣導痰湯 方見風門.

입문에서는 "울(鬱)은 병이 맺혀서 풀리지 않는 것이다.

기가 울결(鬱結)하여 풀리지 않으면 이진탕 달인 물에 교감단을 같이 먹는다.

또한 피[血]가 엉기어 기가 막혔을 때는[滯] 복원통기산을 쓰고,

담이 막아서 기가 체하였을 때는 순기도담탕(처방은 풍문에 있다)을 쓴다"고 하였다.

氣鬱, 宜交感丹, 木香勻氣散, 木香調氣散 方見積聚,

上下分消導氣湯, 鬱兼腫脹, 宜流氣飮子, 木香流氣飮, 五皮散, 沈香降氣湯 四方見上.

기울에는 교감단, 목향균기산,목향조기산(처방은 적취문에 있다), 상하분소도기탕을 쓴다.

울이 있으면서 종창(腫脹)이 있으면 마땅히 유기음자, 목향유기음,오피산, 침향강기탕(이 네 처방은 앞에 있다)을 쓴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絶候][기절후]   (0) 2019.10.02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0) 2019.10.02
[氣逆][기역]   (0) 2019.10.02
[氣痛][기통]   (0) 2019.10.02
[少氣][소기]   (0) 2019.10.02

[氣逆][기역]
靈樞曰, 黃帝曰, 何謂逆而亂.

岐伯對曰, 淸氣在陰, 濁氣在陽, 榮氣順脈, 衛氣逆行, 淸濁相干, 亂于胸中, 是爲太悗與悶同.

故氣亂於心, 則煩心密默, 俛首靜伏. 亂于肺, 則俛仰喘喝按手以呼.

亂于腸胃, 則爲霍亂.

亂于臂脛, 則爲四厥. 亂于於頭, 則爲厥逆頭重眩仆.
영추에서는 "황제가 '기(氣)가 서로 거슬러서 어지럽다는 것은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기백은 '맑은 기[淸氣]가 음의 부위에 있고 흐린 기[濁氣]가 양의 부위에 있으며, 영기(榮氣)는 맥을 따라 잘 흐르지만 위기(衛氣)가 거꾸로 돌게 되면, 맑은 기와 흐린 기가 서로 간섭하고 가슴속이 어지러워져 번민(煩悶)하게 된다(悗은 悶과 같은 뜻이다).

따라서 기가 심에서 어지러워지면 번심(煩心)하고 말없이 고개를 숙이고 가만히 엎드려 있게 되며, 폐에서 어지러워지면 가슴을 굽혔다 폈다 하면서 숨을 헐떡이고 가슴을 손으로 누르고 숨을 내쉬게 되며, 장(腸)과 위(胃)에서 어지러워지면 곽란이 되며, 팔과 정강이에서 어지러워지면 손발이 차가워지며[四肢厥冷], 머리에서 어지러워지면 기가 궐역(厥逆)하여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우면서 쓰러진다'고 대답하였다"라고 하였다.
入門曰, 氣逆者, 氣自腹中時時上衝也.

입문에서는 "기역(氣逆)은 기가 복부에서부터 때때로 위로 치미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內經曰, 諸逆衝上, 皆屬於火.

내경에서는 "모든 기가 거슬러 위로 치미는 것은 모두 화(火)에 속한다"고 하였다.

丹溪曰, 病人自言冷氣從下而上者, 此上升之氣, 自肝而出, 中挾相火, 其熱爲甚,

自覺其冷, 非眞冷也.

又曰, 氣之上逆屬陽, 無寒之理, 覺惡寒者, 乃火極似水也.

단계는 "환자 자신이 찬 기운이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온다고 말하는 것은 위로 오르는 기가 간(肝)에서 나오다가 중간에 상화(相火)를 끼게 되어 그 열이 심해지게 된다.

환자가 스스로 춥다고 느끼는 것이지 진짜로 찬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고,

또 "기가 위로 거슬러오르는 것[上逆]은 양에 속하는 것으로, 추울 리가 없는데도 오한을 느끼는 것은 화[火]가 너무 성하여 수(水)처럼 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入門曰, 散火之法, 必先破氣, 氣降則火自降矣.

입문에서는 "화를 흩뜨리는[散火] 방법은 반드시 먼저 파기(破氣)하여야 하니,

기(氣)만 내려가면 화는 저절로 내려간다"고 하였다.

氣逆, 宜退熱淸氣湯, 導氣枳殼丸.

火盛者, 滋陰降火丸, 加便香附子茯神沈香 方見虛勞.

기역에는 퇴열청기탕, 도기지각환을 쓰고, 화가 많으면 자음강화환에 변향부자·백복신·침향(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더 넣는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0) 2019.10.02
[氣鬱][기울]   (0) 2019.10.02
[氣痛][기통]   (0) 2019.10.02
[少氣][소기]   (0) 2019.10.02
[短氣][단기]   (0) 2019.09.30

[氣痛][기통]
入門曰, 人身元氣, 與血循環, 彼橫行臧府之間而爲疼痛積聚痃癖.

壅逆胸臆之上, 而爲痞滿刺痛等證.

多因七情飮食鬱爲痰飮, 初起, 宜辛溫開鬱行氣豁痰消積.

久則, 宜辛寒降火以除根[入門].
입문에서는 "사람의 몸에는 원기가 피[血]와 함께 돌고 있는데 그것이 오장육부의 사이를 멋대로 돌아다니면 동통, 적취(積聚), 현벽(痃癖)이 되며, 막혀서 가슴 위로 거슬러올라가면 비만(痞滿)과 찌르는 듯한 통증이 생긴다.

이는 대개 칠정이나 음식이 막혀서 담음(痰飮)이 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니, 병이 처음 생길 때는 신온(辛溫)한 약물로 개울행기(開鬱行氣)하고 활담소적(豁痰消積)하여야 한다.

오래된 것은 신한(辛寒)한 약물로 화(火)를 내려 병의 근본을 제거하여야 한다"고 하였다(입문). 
氣滯上焦, 爲心胸痞痛.

宜枳橘湯, 桔梗枳殼湯 方見胸部, 淸膈蒼莎丸 方見下.

기가 상초에서 막혀 가슴이 답답하고 통증이 생기면 지귤탕, 길경지각탕(처방은 흉문에 있다), 청격창사환(처방은 뒤에 있다)을 쓴다.

氣滯中焦, 爲腹脇刺痛.

宜神保元, 木香破氣散, 撞氣阿魏丸.

기가 중초에서 막혀 배와 옆구리가 찌르는 듯이 아프면 신보원, 목향파기산,당기아위환을 쓴다.

氣滯下焦, 爲腰痛疝瘕.

宜蟠葱散 方見前陰, 四磨湯 方見大便, 木香順氣丸, 木香檳榔丸.

기가 하초에서 막혀 요통, 산가(疝瘕)가 생기면 반총산(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사마탕(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목향순기환, 목향빈랑환을 쓴다.

氣滯於外, 則周身刺痛, 或浮腫.

宜流氣飮子, 木香流氣飮, 三和散, 五皮散 方見浮腫.

기가 몸의 겉에서 막혀 온몸이 찌르는 듯이 아프거나 부종이 생기면 유기음자, 목향유기음, 삼화산,오피산(처방은 부종문에 있다)을 쓴다.

凡氣痛, 宜烏沈湯, 復元通氣散, 神仙沈麝元, 一粒金丹, 小烏沈湯. 

일반적으로 기통에는 오침탕, 복원통기산, 신선침사원, 일립금단, 소오침탕을 쓴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鬱][기울]   (0) 2019.10.02
[氣逆][기역]   (0) 2019.10.02
[少氣][소기]   (0) 2019.10.02
[短氣][단기]   (0) 2019.09.30
[下氣][하기]   (0) 2019.09.30

[少氣][소기]  
綱目曰, 少氣者, 氣少不足以言也.

강목에서는 "소기(少氣)는 기가 적어서 말하기가 힘든 것이다"라고 하였다.

靈樞曰, 肺臧氣, 氣不足則息微少氣.

又曰, 肺虛則少氣, 不能報息.

又曰, 腎生氣, 腎虛則少氣力, 言吸吸, 骨痠懈惰不能動.

又曰, 膻中爲氣之海, 不足則少氣不足以言.
영추에서는 "폐는 기를 저장하는데 기가 부족하면 호흡이 약하고 소기한다"고 하였으며,

또 "폐가 허하면 소기하고 숨을 이어서 쉴 수 없다"고 하였다.

또 "신(腎)은 기를 생기게 하는데 신이 허하면 기력이 적고 말을 하면서도 계속 숨을 들이쉬며 뼈가 시리고[骨痠] 몸이 늘어져[懈惰] 움직일 수가 없다"고 하였으며,

또  "전중(膻中)은 기가 모이는 곳으로, 기가 부족하면 소기하고 말하기가 힘들다"고 하였다.

內經曰, 怯然少氣者, 是水道不行, 形氣消索也.

言而微, 終日乃復言者, 奪氣也.

宜生脈散 方見暑門, 人蔘膏, 獨蔘湯, 黃芪湯.

내경에서는 "겁이 많고 소기한 것은 수도(水道)가 잘 돌지 못하여 형(形)과 기(氣)가 모두 없어진 것이다.

말소리에 힘이 없고 하루 종일 하였던 말을 되풀이하는 것은 기가 다 빠져나간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생맥산(처방은 서문에 있다), 인삼고, 독삼탕, 황기탕을 쓴다.

易老曰, 眞氣虛弱, 脈弱懶語.

宜四君子湯, 人蔘黃芪湯, 益氣丸.

역로에서는 "진기(眞氣)가 허약하고 맥이 약하며 말하기를 싫어한다"고 하였는데,

사군자탕, 인삼황기탕, 익기환을 쓴다.

東垣曰, 內傷脾胃, 致中氣虛少.

宜補中益氣湯, 益胃升陽湯 並見內傷

동원에서는 "안으로 비위를 상하여 중기(中氣)가 허(虛)하고 적어지게 된 데는

보중익기탕, 익위승양탕(두 처방은 모두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逆][기역]   (0) 2019.10.02
[氣痛][기통]   (0) 2019.10.02
[短氣][단기]   (0) 2019.09.30
[下氣][하기]   (0) 2019.09.30
[上氣][상기]   (0) 2019.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