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調氣訣][조기결]
彭祖曰, 和神導氣之道, 當得密室閉戶, 安床煖席.
枕高二寸半, 正身偃臥, 瞑目閉氣於胸膈中.
以鴻毛着鼻上而不動, 經三百息, 耳無所聞, 目無所見, 心無所思,
如此則寒暑不能侵, 蜂蠆不能毒, 壽三百六十歲.
此隣於眞人也.
팽조는 "신(神)을 고르게 하고 기(氣)를 이끄는 방법은
마땅히 밀실에서 문을 닫고 침대에 편안하게 눕는데,
자리를 따뜻하게 하며 베개를 2촌 반 높이로 베고 몸을 바르게 하고 누워
눈을 감고 들이마신 숨을 가슴에 가둔다.
그리고 숨을 내쉬는데 코끝에 기러기 털을 붙여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호흡을 3백 번 하게 되면, 귀에는 소리가 들리지 않고
눈에는 보이는 것이 없고 마음에는 생각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한서(寒暑)가 침범하지 못하고
벌이나 전갈의 독이 들어오지 못하여 380세를 살게 되니
이렇게 되면 진인에 가깝게 간 것이다"라고 하였다.
養性曰, 人身虛無, 但有遊氣, 氣息得理, 卽百病不生.
故善攝養者, 須知調氣方焉. 調氣之法, 夜半後日中前氣生,
得調. 日中後夜半前氣死, 不得調.
調氣之時, 則仰臥, 床鋪厚軟, 枕高下共身平, 舒手展脚. 兩手握固, 去身四五寸,
兩脚相去四五寸. 數數叩齒, 飮玉漿, 引氣從鼻入腹, 足則停止, 有力更取, 久住氣悶,
從口細細吐出盡, 遠以鼻細細引入, 出氣一准前法, 閉口以心中數數, 令耳不聞,
能至千則去仙不遠矣.
若天陰風雨大寒暑, 勿取氣, 但閉之.
양성서에서는 "사람의 몸은 허무한 것이지만 떠다니는 기[遊氣]가 있으니
이 기를 호흡하는 이치를 알면 아무 병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몸을 잘 기르는 사람은 모름지기 조기(調氣)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조기하는 방법은 한밤중에서부터 정오까지는 기가 생겨나므로 조기하고,
정오 이후 한밤중까지는 기가 죽으므로 조기하지 않는다.
조기하는 시간에는 침상을 두텁고 부드럽게 하여 똑바로 위를 보고 눕고,
베개의 높이는 낮게 하여 몸과 수평이 되도록 하며, 팔은 펴고 다리는 쭉 뻗고,
양손은 주먹을 꼭 쥐되 몸으로부터 4, 5촌 떨어지게 하고,
양 다리 사이는 거리가 4, 5촌이 되도록 벌린다.
이렇게 한 후 이를 여러 번 부딪치고[叩齒],
고인 침을 삼키고 코로 공기를 들이마시어 배로 들어가게 한다.
충분하면 멈추고 남은 힘이 있으면 다시 이 방법을 쓰는데,
기를 마시고 오래 머물러 가슴이 답답하면 입으로 아주 조금씩 가늘게 숨을 다 토해내며,
한참 있다가 코로 가늘게 서서히 공기를 마시고 앞의 방법대로 기를 내보낸다.
입을 다물고 마음속으로 숫자를 세는데 귀에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게 하고
천(千)까지 셀 수 있다면 신선에 가까워진 것이다.
만약 날씨가 흐리고 바람과 비, 큰 추위나 더위가 있으면
조기를 하지 말고 닫아야 한다"고 하였다.
又曰, 凡吐者, 出故氣, 亦名死氣. 納者, 取新氣, 亦名生氣.
故老子云, 玄牝之門 鼻曰玄門, 口曰牝戶, 天地之根, 綿綿若存7), 用之不勤.
言口鼻天地之間, 可以出納陰陽死生之氣也.
또 "내쉬는 숨은 오래 묵은 기를 내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사기(死氣)라고도 하며,
들이마시는 숨은 새로운 기를 마시는 것이기 때문에 생기(生氣)라고도 한다.
따라서 노자가 '현빈(玄牝)의 문은(코를 현문(玄門)이라 하고, 입을 빈호(牝戶)라 한다)
천지의 근본으로, 숨을 쉴 때는 끊어지듯 이어지듯 하게 하며,
숨을 쉬되 고생되게 하지 마라'라고 하였으니,
이는 사람의 입과 코가 천지의 문과 같아서
음양과 삶과 죽음의 기를 들이고 내보낼 수 있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正理曰, 守氣之妙, 在乎全精, 尤當防其睡眠.
夫人遇行走, 則氣急而嗄, 甚睡則氣麄而齁.
惟坐靜, 則氣平而緩.
정리에서는 "기를 지키는 오묘함은 정을 온전히 하고[全精],
나아가 잠드는 것을 막는 데 있다.
사람이 걷거나 뛰게 되면 숨이 급하여 목이 쉬고
너무 많이 자면 숨이 거칠어지고 코를 골게 되므로
오직 좌정(坐靜)하여 수련하면 숨이 고르고 부드러워진다"고 하였다.
醫鑑曰, 人自十六歲, 精氣漸減, 不但男女之慾足以損敗, 一與事應, 則視聽言動, 皆耗散精氣之原.
故釋氏面壁, 仙家坐關, 皆築基煉己, 苦行以防耗此神氣, 便是長生之術.
의감에서는 "사람은 16세부터 정기가 점점 줄어드는데,
이는 남녀의 정욕이 정기(精氣)를 해칠 뿐만 아니라
어떤 일에 대하여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모든 것이 정기의 근원을 소모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가(佛家)에서 면벽(面壁)하고 선가(仙家)에서 좌관(坐關)하는 것은
모두 기본적으로 자기 수련의 토대를 쌓고 고행(苦行)하여
이 신기(神氣)가 소모됨을 막고자 함이니, 바로 이것이 장생(長生)의 방법이다"라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脈法][맥법] (0) | 2019.09.29 |
---|---|
[肺主氣][폐주기] (0) | 2019.09.29 |
[胎息法][태식법] (0) | 2019.09.29 |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0) | 2019.09.28 |
[生氣之原][생기지원] (0) | 2019.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