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調氣訣][조기결]
彭祖曰, 和神導氣之道, 當得密室閉戶, 安床煖席.

枕高二寸半, 正身偃臥, 瞑目閉氣於胸膈中.

以鴻毛着鼻上而不動, 經三百息, 耳無所聞, 目無所見, 心無所思,

如此則寒暑不能侵, 蜂蠆不能毒, 壽三百六十歲.

此隣於眞人也.
팽조는 "신(神)을 고르게 하고 기(氣)를 이끄는 방법은

마땅히 밀실에서 문을 닫고 침대에 편안하게 눕는데,

자리를 따뜻하게 하며 베개를 2촌 반 높이로 베고 몸을 바르게 하고 누워

눈을 감고 들이마신 숨을 가슴에 가둔다.

그리고 숨을 내쉬는데 코끝에 기러기 털을 붙여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호흡을 3백 번 하게 되면, 귀에는 소리가 들리지 않고

눈에는 보이는 것이 없고 마음에는 생각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한서(寒暑)가 침범하지 못하고

벌이나 전갈의 독이 들어오지 못하여 380세를 살게 되니

이렇게 되면 진인에 가깝게 간 것이다"라고 하였다.

養性曰, 人身虛無, 但有遊氣, 氣息得理, 卽百病不生.

故善攝養者, 須知調氣方焉. 調氣之法, 夜半後日中前氣生,

得調. 日中後夜半前氣死, 不得調.

調氣之時, 則仰臥, 床鋪厚軟, 枕高下共身平, 舒手展脚. 兩手握固, 去身四五寸,

兩脚相去四五寸. 數數叩齒, 飮玉漿, 引氣從鼻入腹, 足則停止, 有力更取, 久住氣悶,

從口細細吐出盡, 遠以鼻細細引入, 出氣一准前法, 閉口以心中數數, 令耳不聞,

能至千則去仙不遠矣.

若天陰風雨大寒暑, 勿取氣, 但閉之.
양성서에서는 "사람의 몸은 허무한 것이지만 떠다니는 기[遊氣]가 있으니

이 기를 호흡하는 이치를 알면 아무 병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몸을 잘 기르는 사람은 모름지기 조기(調氣)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조기하는 방법은 한밤중에서부터 정오까지는 기가 생겨나므로 조기하고,

정오 이후 한밤중까지는 기가 죽으므로 조기하지 않는다.

조기하는 시간에는 침상을 두텁고 부드럽게 하여 똑바로 위를 보고 눕고,

베개의 높이는 낮게 하여 몸과 수평이 되도록 하며, 팔은 펴고 다리는 쭉 뻗고,

양손은 주먹을 꼭 쥐되 몸으로부터 4, 5촌 떨어지게 하고,

양 다리 사이는 거리가 4, 5촌이 되도록 벌린다.

이렇게 한 후 이를 여러 번 부딪치고[叩齒],

고인 침을 삼키고 코로 공기를 들이마시어 배로 들어가게 한다.

충분하면 멈추고 남은 힘이 있으면 다시 이 방법을 쓰는데,

기를 마시고 오래 머물러 가슴이 답답하면 입으로 아주 조금씩 가늘게 숨을 다 토해내며,

한참 있다가 코로 가늘게 서서히 공기를 마시고 앞의 방법대로 기를 내보낸다.

입을 다물고 마음속으로 숫자를 세는데 귀에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게 하고

천(千)까지 셀 수 있다면 신선에 가까워진 것이다.

만약 날씨가 흐리고 바람과 비, 큰 추위나 더위가 있으면

조기를 하지 말고 닫아야 한다"고 하였다.

又曰, 凡吐者, 出故氣, 亦名死氣. 納者, 取新氣, 亦名生氣.

故老子云, 玄牝之門 鼻曰玄門, 口曰牝戶, 天地之根, 綿綿若存7), 用之不勤.

言口鼻天地之間, 可以出納陰陽死生之氣也.

또 "내쉬는 숨은 오래 묵은 기를 내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사기(死氣)라고도 하며,

들이마시는 숨은 새로운 기를 마시는 것이기 때문에 생기(生氣)라고도 한다.

따라서 노자가 '현빈(玄牝)의 문은(코를 현문(玄門)이라 하고, 입을 빈호(牝戶)라 한다)

천지의 근본으로, 숨을 쉴 때는 끊어지듯 이어지듯 하게 하며,

숨을 쉬되 고생되게 하지 마라'라고 하였으니,

이는 사람의 입과 코가 천지의 문과 같아서

음양과 삶과 죽음의 기를 들이고 내보낼 수 있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正理曰, 守氣之妙, 在乎全精, 尤當防其睡眠.

夫人遇行走, 則氣急而嗄, 甚睡則氣麄而齁.

惟坐靜, 則氣平而緩.

정리에서는 "기를 지키는 오묘함은 정을 온전히 하고[全精],

나아가 잠드는 것을 막는 데 있다.

사람이 걷거나 뛰게 되면 숨이 급하여 목이 쉬고

너무 많이 자면 숨이 거칠어지고 코를 골게 되므로

오직 좌정(坐靜)하여 수련하면 숨이 고르고 부드러워진다"고 하였다.

醫鑑曰, 人自十六歲, 精氣漸減, 不但男女之慾足以損敗, 一與事應, 則視聽言動, 皆耗散精氣之原.

故釋氏面壁, 仙家坐關, 皆築基煉己, 苦行以防耗此神氣, 便是長生之術.
의감에서는 "사람은 16세부터 정기가 점점 줄어드는데,

이는 남녀의 정욕이 정기(精氣)를 해칠 뿐만 아니라

어떤 일에 대하여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모든 것이 정기의 근원을 소모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가(佛家)에서 면벽(面壁)하고 선가(仙家)에서 좌관(坐關)하는 것은

모두 기본적으로 자기 수련의 토대를 쌓고 고행(苦行)하여

이 신기(神氣)가 소모됨을 막고자 함이니, 바로 이것이 장생(長生)의 방법이다"라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脈法][맥법]  (0) 2019.09.29
[肺主氣][폐주기]   (0) 2019.09.29
[胎息法][태식법]   (0) 2019.09.29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0) 2019.09.28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胎息法][태식법]  
眞詮曰, 人在胎中, 不以口鼻呼吸, 惟臍帶繫于母之任脈,

任脈通于肺, 肺通于鼻, 故母呼亦呼, 母吸亦吸, 其氣皆于臍上往來.

天台謂識神托生之始, 與精血合根在於臍, 是以人生時, 惟臍相連.

初學調息, 須想其氣出, 從臍出入 從臍滅.

調得極細, 然後不用口鼻, 但以臍呼吸, 如在胞胎中.

故曰胎息. 初閉氣一口, 以臍呼吸, 數之至八十一,

或一百二十, 乃以口吐氣, 出之當令極細, 以鴻毛着于口鼻之上, 吐氣而鴻毛不動爲度.

漸習漸增, 數之久可至千, 則老者更少, 日還一日矣.

葛仙翁每盛暑, 輒入深淵之底, 十日許乃出, 以其能閉氣胎息耳.

但知閉氣, 不知胎息, 無益也.
진전에서는 "사람이 태중에 있을 때는 입과 코로 호흡하지 않고,

탯줄이 어머니의 임맥(任脈)에 연결되어 있어 그 임맥이 폐와 통하고

폐는 코와 통하므로 어머니가 숨을 내쉬면[呼] 태아도 내쉬며,

어머니가 들이마시면[吸] 태아도 따라서 들이마시게 되는데,

그 기는 모두 배꼽으로 드나드는 것이다.

코는 식신(識神)과 탁생(托生)의 시초로, 정과 혈과 함께 합해지는데 그 근본은 배꼽에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처음 생명을 받을 때는 오직 어머니와 탯줄로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조식(調息)을 처음 배울 때는 모름지기 그 기가 배꼽에서 나오고

배꼽으로 들어가 없어진다는 것을 생각하여 극히 세밀히 조정하여야 한다.

그 후 입과 코를 사용하지 않고 뱃속의 태아처럼 배꼽으로만 호흡하기 때문에

이것을 태식이라 한다.

처음에 태식은 숨을 한 모금 마시고 배꼽으로 호흡을 하면서 81 혹은 120까지

숫자를 센 다음 입으로 숨을 토하는데,

극히 가늘게 하여 기러기 털을 입과 코 위에 붙이고 숨을 내쉬어도

털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이것을 더욱더 연습하고 헤아리는 숫자를 늘려서 천(千)이 되면,

노인이 다시 젊어지고 하루가 지나면 하루만큼 더 젊어진다.

갈홍은 매년 한여름철에 깊은 물 밑에 들어가 열흘이 되면 다시 나왔다 하니

이는 코로 쉬는 숨을 막아 태식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숨을 막는 것만 알고 태식을 모른다면 아무런 이득이 없다"고 하였다.

養性曰, 胎息者, 如嬰兒在母胎中, 氣息自在, 上至氣關, 下至氣海,

不假口鼻之氣, 故能閉氣不息, 能入深泉, 旬日不出也.

손진인양성서에서는 "태식이란 영아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처럼

호흡[氣]이 자유로워서 위로는 기관(氣關)에, 아래로는 기해(氣海)에 이르지만

코와 입의 기를 빌리지 않기 때문에 숨을 막아 호흡하지 않고도

깊은 물속에 들어가 열흘이 되어도 나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又曰, 內觀之要, 靜神定心, 亂想不起, 邪妄不侵.

氣歸臍爲息, 神入氣爲胎, 胎息相合, 混而爲一, 名曰太乙.

또 "내관(內關)의 요점은 신(神)을 고요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켜서

어지러운 생각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니 사기가 제멋대로 침범하지 못한다.

기는 배꼽으로 돌아가 호흡[息]이 되고, 신은 기에 들어가 태(胎)가 되므로

태와 식이 서로 합하고 섞여 하나가 된 것을 태을(太乙)이라 한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肺主氣][폐주기]   (0) 2019.09.29
[調氣訣][조기결]   (0) 2019.09.29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0) 2019.09.28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正理曰, 人受生之初, 在胞胎之內, 隨母呼吸.

及乎生下, 剪去臍帶, 則一點眞靈之氣, 聚于臍下.

凡人唯氣最先, 莫先于呼吸.

眼耳鼻舌意 是謂六慾, 皆由是氣, 非是氣, 則聲色香味觸法, 都不知覺.

氣之呼接于天根. 氣之吸接於地根.

氣之在人身, 一日周行八百一十丈.
정리에서는 "사람이 처음 생명을 받아 태어날 때,

자궁 안에서는 어머니의 호흡을 따라 호흡하다가 이윽고 태어나 탯줄을 자르면

한 점의 참으로 신령한 기(氣)가 배꼽 밑에 모인다.

사람은 기가 가장 우선하니 호흡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

눈, 귀, 코, 혀, 몸뚱이, 뜻[意](이것을 육욕(六慾)이라 한다)은 모두 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 기가 아니라면 소리, 빛깔, 냄새, 맛, 감촉, 법(法)을 모두 알 수 없을 것이다.

내쉬는 기는 하늘의 근원과 사귀고, 들이마시는 기는 땅의 근원과 사귄다.

사람의 몸에서 기는 하루에 180장(丈)을 돈다"고 하였다.

易曰, 一闔一闢, 謂之變, 往來不窮, 謂之通.

程伊川曰, 涵養之道, 出入之息者, 闔闢之機而已.

又曰, 闔闢往來, 見之鼻息.

張橫渠曰, 人之有息, 盖剛柔相摩, 乾坤闔闢之象也.

朱紫陽調息箴曰, 氤氳開闔, 其妙無窮, 誰其屍之, 不宰之功.
주역에서는 "한 번 닫히고 한 번 열리는 것을 변(變)이라 하고,

오고 감이 끝이 없음을 통(通)이라 한다"고 하였으며,

정이(程頣)는 "몸을 기르는 도(道)와 내쉬고 들이마시는 호흡은

열고 닫히는[闔闢] 기틀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열고 닫히는 것과 오고 가는 것[變化]은 코의 호흡에서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장재(張載)는 "사람의 호흡은 대개 강함과 부드러움이 서로 갈마들고 건(乾)과 곤(坤)이

합벽(闔闢)하는 형상이다"라고 하였다.

주희(朱喜)는 조식잠에서 "기가 왕성히 어리어 열고 닫히는 그 오묘함이 끝이 없는데,

그 누가 맡아 다스리는 것이겠는가.

아무도 맡아 다스리지 않아도 자연히 공(功)이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參同契曰, 二用無爻位, 周流行六虛.

六虛, 卽卦之六畵也.

以喩一呼一吸, 往來上下, 久之則神凝息定, 所以成變化也.

呼則氣出, 陽之闢也.

吸則氣入, 陰之闔也.

盖人身之陰陽, 與天地陰陽相似, 若能御呼吸於上下,

使之周流不息, 則闔闢往來之妙, 盡在吾身中.

元和子曰, 人身大抵同天地, 是也.
참동계에서는 "용구(用九)와 용육(用六)은 효(爻)에 정해진 자리 없이

두루 육허(六虛)를 흐르니, 육허는 곧 괘의 여섯 획을 가리킨다.

한 번 내쉬고 한 번 들이쉬며 위아래로 왔다갔다하는 것을 깨닫고,

이 과정이 오래되면 신(神)이 모이고 호흡이 정해져서 변화를 이루게 된다.

숨을 내쉬면 기가 나가니 양(陽)이 열리는 것이며,

들이쉬면 기가 들어오니 음이 닫히는 것이다.

대개 사람의 음양은 천지의 음양과 서로 비슷하다.

만약 호흡의 상하 운동을 잘 다스려서 그것이 몸을 돌아 쉼없이 돌 수 있게 하면

합벽(闔闢)과 왕래의 오묘함이 진실로 나의 몸속에 있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원화자가 "사람의 몸은 무릇 천지와 같다"고 한 말이 바로 이것이다.

莊周曰, 眞人之息, 息之以踵. 衆人之息, 息之以喉.

盖氣在下焦, 其息遠. 氣在上焦, 其息促. 義亦類比.
장주는 "진인은 발뒤꿈치로 호흡하고, 보통 사람은 목구멍으로 한다"고 하였는데,

대개 기가 하초(下焦)에 있으면 그 호흡이 깊고 멀며,

기가 상초(上焦)에 있으면 그 호흡은 촉급하니, 의미가 비슷하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調氣訣][조기결]   (0) 2019.09.29
[胎息法][태식법]   (0) 2019.09.29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生氣之原][생기지원] 
難經曰, 十二經脈者, 皆係於生氣之原.

所謂生氣之原者, 謂腎間動氣也.
此五臟六腑之本, 十二經脈之根, 呼吸之門, 三焦之原, 一名 守邪之神.

故氣者, 人之根本也.
난경에서는 "십이경맥은 모두 기(氣)를 만드는 근원[生氣之原]에 연계되어 있는데,

이른바 기를 만드는 근원이란 바로 신간동기(腎間動氣)이다.

이것은 오장육부의 근본이며 십이경맥의 뿌리이며 호흡이 드나드는 문(門)이며

삼초(三焦)의 근원으로, 다른 이름은 사기를 물리치는 신[守邪之神]이라 한다.

따라서 기는 사람의 근본이다"라고 하였다.

又曰, 氣海丹田, 實爲生氣之原.

氣海一穴, 在臍下一寸半.

丹田一穴, 一名關元, 在臍下三寸.
또 "기해(氣海)와 단전(丹田)은 진실로 기를 만드는 근원으로,

기해혈은 배꼽 아래 1촌(寸) 반에 있으며,

단전혈은 관원이라고도 하고, 배꼽 아래 3촌에 있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胎息法][태식법]   (0) 2019.09.29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氣爲衛 衛於外][기위위 위어외]  (0) 2019.09.26

[榮衛異行][영위이행]
[綱目]曰 榮氣之行 自太陰始 至足厥陰終 一周於身也.
詳其一周於身 外至身體四肢 內至五臟六腑無不周遍
故其五十周 無晝夜陰陽之殊.
衛氣之行則不然 晝但周陽於身體四肢之外 不入五臟六腑之內
夜但周陰於 五臟六腑之內 不出於身體四肢之外
故必五十周 至平旦 方與榮大會於肺 手太陰也.
강목에는 “영기는 수태음(手太陰)에서 시작하여 족궐음(足厥陰)에 와서 끝나는데 몸을 한번 돌아간다.
그 도는 것을 보면 겉으로는 몸체와 팔다리로 가고 안으로는 5장 6부에 가서 돌아가지 않는 곳이 없다.
그것이 50번을 도는데 밤과 낮, 음과 양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위기가 돌아가는 것은 그렇지 않다.
낮에는 양부위인 몸체와 팔다리의 밖으로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50번을 돌아서 아침이 되면 영기(榮氣)와 수태음에서 또다시 만난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0) 2019.09.28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氣爲衛 衛於外][기위위 위어외]  (0) 2019.09.26
[氣生於穀][기생어곡]   (0) 2018.02.12

[衛氣行度][위기행도]

[靈樞]曰 衛氣之行 一日一夜 50周於身 晝日行於陽25周
夜行於陰25周 是故平旦陰盡 陽氣出於目 目張則氣上行於頭
循項下足 太陽循背下 至小指之端 其散者 別於目銳眥下
手太陽下 至手小指之間外側 其散者別於目銳眥下
足少陽注小指次指之間 以上循手少陽之分側 下至小指之間
其別者 以上至耳前 注足陽明以下 行至跗上入五指之間 其散者
從耳下 下手陽明 入大指之間 入掌中其至於足也.
入足心出內 下行陰分復合於目 故爲一周.
~中略~ 人氣 二十五周於身 有奇分與十分身之二 陽盡於陰 陰受氣矣.
其始入於陰 常從足少陰注於腎 腎注於心 心注於肺 肺注於肝
肝注於脾 脾復注於腎爲周 是故夜行一舍 人氣行於陰藏一周
與十分藏之八 亦如陽行之25周而復合於目矣(靈樞 衛氣行篇).
영추에는 “위기는 하룻동안에 몸을 50번 돌아간다.
낮에는 양(陽)부위를 25번 돌고 밤에는 음(陰)부위를 25번 돈다.
그렇기 때문에 아침에는 음기가 없어지고 양기가 눈으로 나온다.
눈을 뜨면 기가 머리로 올라갔다가 목덜미를 따라 족태양경맥에 내려와서
잔등을 따라 내려가 새끼발가락 끝에 와서 끝난다.
다른 한 가닥은 눈초리에서 갈라져 수태양경맥을 따라 내려가 새끼손가락의 바깥쪽에 와서 끝난다.
또 한 가닥은 눈초리에서 갈라져 족소양경맥을 따라 내려와서 새끼발가락과 넷째발가락 사이로 빠진다.
위로 돌아가는 것은 갈라진 수소양경맥쪽으로 올라가서 새끼손가락에 와서 끝난다. 여기에서 갈라진 것이 귀의 앞으로 올라가서 족양명경맥으로 들어간다.
아래로 내려가는 것은 다시 발등으로 내려와서 새끼발가락 사이에 들어간다.
다른 한 가닥은 귀 밑에서 수양경맥으로 내려와서 엄지손가락을 거쳐 손바닥 한가운데로 들어간다.
발에 도달한 것이 발바닥 한가운데로 들어가서 안쪽 복사뼈로 나와 음분(陰分)을 돌아 눈에서 다시 합해지기 때문에 한번 도는 것으로 된다.
몸을 25번 돌고 나서 양분(陽分)에로 도는 것은 끝나고 음으로 가게 되어 음이 기를 받는다.
처음에 음으로 들어가는데 언제나 족소음경맥을 거쳐 신(腎)에 가고 신에서는 심(心)으로 가며 심에서는 폐(肺)로 가고 폐에서는 간(肝)으로 가며 간에서는 비(脾)로 가고 비에서는 다시 신으로 간다.
역시 양기와 같이 25번을 돌아 다시 눈에서 합친다”고 씌어 있다.

[又](五十營 第十五)曰 人經脈上下左右 前後28脈
周身16丈2尺 以應28宿 漏水下100刻 以分晝夜
故一萬三千五百息 氣行五十 營於身矣.
또한 “사람의 경맥이 상하, 좌우, 전후로 뻗어 있는 것이 28경맥인데 온몸을 돌아간 길이가 162자이므로 28수(二十八宿)에 상응하며 누수(漏水)의 백각(百刻)으로 일주야를 나누었기 때문에 1만 3천5백 번 숨을 쉬고 기는 50번을 돌아서 몸을 영양한다”고 씌어 있다.

[東垣]曰 元氣之來也 徐而和細 細如線.
邪氣來也 緊而强 如巨川之水 不可遏也.
동원은 “원기(元氣)가 오는 것은 천천히 오고 고르게 오면서 실과 같이 가늘다.
사기가 오는 것은 빠르고 세서 큰 냇물과 같으므로 막아내지 못한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氣爲衛 衛於外][기위위 위어외]  (0) 2019.09.26
[氣生於穀][기생어곡]   (0) 2018.02.12
[氣爲精神之根蔕][기위정신지근체]   (0) 2017.03.12

[氣爲衛 衛於外][기위위 위어외]
[靈樞] (本藏 第四十七)曰 衛氣者 所以溫分肉 而充皮膚
肥腠理 而司開闔 故衛氣溫 則形分足矣
영추에는 “위기[衛]란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고 살갗을 충실하게 하며
주리( 理)를 좋게 하고 열었다 닫았다 하는 작용을 맡았기 때문에 위기(衛氣)가
따뜻하면 몸이 충실해진다”고 씌어 있다.

[內經痺論篇 第四十三]曰 衛者 水穀之悍氣也 其氣慓疾活利
不能入於脈也 故循皮膚之中 分肉之間 熏於肓膜 散於胸腹(痺論篇 第四十三).
내경에는 “위기란 음식물의 날랜 기이다.
그 기가 날래고 미끄러워서 혈맥에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살갗 속과 분육 사이로 돌면서 황막을 훈증하고 가슴과 배로 퍼진다”고 씌어 있다.

[又]曰 陽氣者 一日而主外 平旦人氣生 日中而陽氣隆
日西而陽氣虛 氣門乃閉 是故 暮而收去 無擾筋骨
無見霧露反此三時形乃困薄(生氣通天論篇 第三 轉載 見下).
또한 “양기(陽氣)는 온종일 몸의 겉을 주관한다.
아침에 양기가 생기고 낮에는 양기가 왕성하고 날이 저물게 되면 양기가 허해지고 기가 닫히게 된다.
그러므로 저물어지면 몸을 움직이지 말며 뼈와 힘줄을 과로하지 말고 안개와 이슬을 맞지 말아야 한다.
이 3가지를 위반할 때는 몸이 피곤하고 약해진다” 고 씌어 있다.

[又生氣通天論篇]曰 陽氣若天與日 失其所則折壽而不彰
故天運當以日光明 是故陽因而上衛外者也
또한 “양기는 하늘이나 해와 같은데 그것이 작용하지 못하면 수명이 짧아지며 몸이 튼튼해지지 못하게 된다.
하늘이 돌아가야 날이 밝아지는 것처럼 양기도 해가 솟으면 위로 올라가 겉을 보호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釋]曰 陽主動 凡人之知覺 運動 耳目 視聽 言嗅 皆陽氣熏膚
充身 澤毛 若霧露之漑 而充之耳若陽氣一失其所
則散解不行而熏充 澤漑之道澁 所以九竅閉塞于內
肌肉壅滯于外 而知覺運動視聽言嗅之靈 皆失也.
人之陽氣 猶天地日光 人失陽氣 則壽命易折 猶天失光明
則萬物無以發生也.
주석에는 “양기는 움직이는 것을 주관한다.
사람에게 있어서 지각하는 것, 운동하는 것, 보고 듣는 것, 말하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등의 기능은 모두 양기가 살갗을 훈증하고 몸을 충실케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은 것이다.
만일 양기가 한번이라도 자기 위치를 잃으면 흩어져서 제대로 돌지 못하여 훈증하고 충실케 하며 윤기나게 축여 주는 작용이 막히기 때문에 9규(九竅)가 속으로 막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육(氣肉)이 막히면 지각하는 것, 운동하는 것, 보고 듣는 것, 말하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등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사람의 양기는 하늘의 햇빛과 같으므로 사람이 양기를 잃으면 수명이 쉽게 짧아진다. 이것은 마치 하늘이 햇빛을 잃으면 만물이 생길 수 없는 것과 같다”고 씌어 있다.

[入門]曰 人身之氣流行 每子時 自左脚心涌泉穴起陽
循左足 腹脇手 而上至頭頂顖門 午位而止 午時 自頂門
循右手脇腹足而下至 右脚心而止 是坎离 爲陰陽消息也.
입문에는 “사람의 몸의 기는 돌아가는데 매일 23-1시에 왼쪽 발바닥 한가운데 있는
용천혈에서 양기가 일어나 왼쪽 다리와 배, 옆구리와 팔을 돌아 위로 정수리의
숫구멍까지 올라가 오(午)의 위치에서 멎었다가 11-13시에는 숫구멍에서 떠나 오른쪽 옆구리, 배, 다리 부위를 돌아 내려와 오른쪽 발바닥 한가운데에 와서 멎는다.
이것은 감리(坎 )가 음양과의 관계를 말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氣生於穀][기생어곡]   (0) 2018.02.12
[氣爲精神之根蔕][기위정신지근체]   (0) 2017.03.12

[氣生於穀] [음식물에서 기를 받는다]
[靈樞](營衛生會 第十八)曰 人受氣於穀 穀入於胃 以傳與肺
五臟六腑 皆以受氣 其淸者 爲榮 濁者 爲衛 榮在脈中 衛在脈外
榮周不休五十度而復大會 陰陽相貫 如環無端.
영추에는 “사람은 음식물에서 기를 받는다.
음식물이 위에 들어온 것을 폐에 전해 주면 5장 6부가 모두 기를 받게 된다.
그의 맑은 것은 영(榮)이 되고 그의 흐린 것은 위(衛)가 된다.
영은 맥 속에 있고 위는 맥 밖에 있다.
영이 쉬지 않고 50번을 돈 다음 다시 처음 돌기 시작한 데서 위와 만나게 된다.
이렇게 음양이 서로 관통되어 하나의 고리와 같이 끝이 없다”고 씌어 있다.
[又](決氣 第三十)曰 上焦開發 宣五穀味 熏膚充身澤毛
若霧露之漑 是謂氣.
또한 “상초가 작용하여 5곡의 기를 고루 퍼져 나가게 하며 살갗을 덥게 하고
몸을 충실히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다.
이것을 기(氣)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正理]曰 日啖飮食之精 熟者益氣 此氣生於穀 故從氣從米
人身之中 全具天地陰陽造化之氣 得謹而用之 人年二十而氣壯
節慾少勞 則氣壯而緩 多慾勞倦 則氣少而端 氣少則身弱
身弱則病生 病生則命危矣.
[정리]에는 “매일 먹는 음식의 영양분은 기를 보한다.
이 기가 곡식에서 생기기 때문에 ‘천기기’자에 ‘쌀미(米)’자가 들어 있다.
사람의 몸에는 천지의 음양을 조화하는 기가 완전히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응당 삼가해서 써야 한다.
사람이 20살이 되면 기운이 왕성하여지는데 성욕을 억제하고 피로를 적게 하면
기운이 왕성하면서도 숨이 고르게 되지만 성생활을 많이 하고 피로가 심해지면
기운이 적어지고 숨이 가쁘게 된다.
기운이 적어지면 몸이 약해지고 몸이 약해지면 병이 나고 병이 나면
생명이 위험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氣爲衛 衛於外][기위위 위어외]  (0) 2019.09.26
[氣爲精神之根蔕][기위정신지근체]   (0) 2017.03.12

[氣爲精神之根蔕][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다]

[東垣]曰 氣者 神之祖 精乃氣之子 精神者 氣之根蔕也.

동원은 기는 신()의 조상격이 되고 정()은 기의 아들격이 된다.

그러므로 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 된다고 하였다.

[茅眞君]曰 氣是添年藥 心爲使氣神 若知行 氣主 便是得仙人(養性).

모진군은 ()란 오래 살게 하는 약이고 심()은 기()와 신()을 주관한다.

만약 기가 주가 되어 돌아가는 것을 안다면 곧 신선이 될 사람이다고 하였다[양성].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氣爲衛 衛於外][기위위 위어외]  (0) 2019.09.26
[氣生於穀][기생어곡]   (0) 2018.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