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맥법]
仲景曰, 脈浮而汗出如流珠者, 衛氣衰也.
又曰, 寸口脈微而澁, 微者衛氣衰, 澁者榮氣不足.
장기(張機)는 "맥이 부(浮)하면서 구슬이 흐르듯이 땀이 나는 것은

위기(衛氣)가 쇠약해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촌구맥(寸口脈)이 미(微)하고 삽(澁)한 경우에 맥이 미한 것은 위기가 쇠약해진 것이며,

삽한 것은 영기(榮氣)가 부족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脈經曰, 寸口脈, 瞥瞥如羹上肌者, 陽氣微. 縈縈如蜘蛛絲者, 陰氣衰也.
又曰, 代者氣衰, 細者氣少, 浮而絶者, 氣欲絶.
又曰, 趺陽脈浮而澁, 澁則衛氣虛, 虛則短氣.
맥경에서는 "촌구맥이 끓는 국 속의 고기처럼 언뜻언뜻 나타나는 것은

양기가 미약해진 것이며, 거미줄처럼 얽힌 것은 음기가 쇠약해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대맥(代脈)은 기가 쇠약해진 것이며, 세맥(細脈)은 기소(氣少)한 것이며,

부(浮)하면서 절(絶)한 맥은 기가 끊어지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부양맥(趺陽脈)이 부하고 삽한 경우, 삽한 것은 위기가 허한 것이며,

위기가 허하면 단기(短氣)한 증상이다"라고 하였다.

脈訣曰, 下手脈沈, 便知是氣. 沈極則伏, 濇弱難治, 其或沈滑, 氣兼痰飮.
又曰, 沈弦細動, 皆氣痛證, 心痛在寸, 腹痛在關, 下部在尺, 脈象顯然.
仲景曰, 趺陽脈微而緊, 緊則爲寒, 微則爲虛, 微緊相搏則爲短氣.
맥결에서는 "손으로 눌러 맥이 침하면 곧 기병(氣病)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침맥(沈脈)이 심하면 복맥(伏脈)이 나타나고 맥이 색하고 약(弱)하면 고치기 어렵다.

혹 그 맥이 침활(沈滑)한 것은 기병에 담음이 겹친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침현세동(沈弦細動)한 맥은 모두 기통증(氣痛證)이며 심통(心痛)은 촌부(寸部)에서,

복통은 관부(關部)에서, 하부의 통증은 척부(尺部)에서 맥상이 뚜렷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중경에서 장기는 "부양맥이 미하고 긴(緊)한 경우 긴맥은 한증(寒證)이고,

미맥은 허증(虛證)이며, 미하고 긴한 맥이 뒤섞여 나타나면 단기한 증상이다"라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逸則滯][기일칙체]   (0) 2019.09.29
[氣爲諸病][기위제병]   (0) 2019.09.29
[肺主氣][폐주기]   (0) 2019.09.29
[調氣訣][조기결]   (0) 2019.09.29
[胎息法][태식법]   (0) 2019.09.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