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濕病大汗則成痓][습병대한칙성치]

 

太陽病 發汗太多 因致痓 濕家大發汗亦作痓.

盖汗太多 則亡陽 不能養筋 故筋脈緊急而成痓

其證 身熱足冷 頸項强急 惡寒時頭熱 面赤 目赤

獨頭面搖 卒口噤 背反張者 是也 亦名 破傷風

 

태양병(太陽病)에 땀을 너무 많이 내면 치병( )이 발작하고

습병에도 담을 몹시 내면 역시 치병이 된다.

대개 땀을 너무 많이 내면 망양증(亡陽證)이 되어

힘줄을 영양(榮養)하지 못하므로 힘줄이 땅기면서 치병이 된다.

그 증상으로는 몸에서 열이 나고 발은 차며 목이 뻣뻣하고 오한이 나며

때로 머리가 달고 얼굴이 붉으며 눈에 피지고 머리만 흔들며

얼굴이 실룩거리고 갑자기 이를 악물며 잔등이 뒤로 잦혀지는 것들이다.

또한 파상풍(破傷風)이라고도 한다(자세한 것은 풍문(風門)에 있다).

 

[濕病 禁汗下及灸][습병 금한하급구]

 

凡濕病 忌不得以火攻 幷轉利之

若濕家下之 則額上汗出 微喘 小便不利者 死, 下利不止者 亦死(仲景).

대개 습병에는 뜸을 뜨는 것과 설사시키는 것을 금한다.

만일 습병 환자에게 설사시키면 이마에서 땀이 나며 약간 숨이 차한다.

이때에 오줌이 잘 나가지 못하면 죽고 설사가 멎지 않아도 역시 죽는다[중경].

 

治濕不得猛發汗 及灼艾灸之(得效).

습병을 치료하는데 몹시 땀을 내게 하거나 또는 뜸을 뜨는 것은 좋지 않다[득효].

 

濕病 誤下則爲喘噦 誤汗則發痓而死(入門).

습병에 잘못하여 설사시키면 숨이 차하고 딸꾹질하며 잘못 땀을 내면 치병이 되고

치병이 생겨서 죽을 수 있다[입문].

 

濕家不可汗 汗之則發痓 發痓者 斃.

又不可下 下之則額汗 胸滿 微添而噦 小便淋閉 難以有瘳也(直指).

습병 환자에게 땀을 내게 해서는 안 된다.

땀을 내면 치병( )이 되고 치병이 되면 죽을 수 있다.

또한 설사시켜서도 안 된다. 설사시키면 이마에서 땀이 나고 가슴이 그득하며

숨이 약간 차하고 딸꾹질하며 오줌이 막혀서 치료하기 어렵다[직지].      

 

 

[濕病治法及通治藥][습병치법급통치약]

 

濕家治法 大槪宜發微汗 及利小便 使上下分消 其濕 是其治也(正傳).

습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대개 약간 땀을 내며

또 오줌을 잘 나가게 하여 아래위로 습이 갈라져 없어지게 하는 것이다[정전].

 

治濕 不利小便 非其治也(仲景).

습병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하지 않는 것은 옳은 치료법이 아니다[중경].

 

濕上甚而熱 治以苦溫 佐以甘辛 以汗爲故而止

平胃散方見五臟 見上 霧露之氣 爲瘴條 主之.

濕在上 宜微發汗而解 不欲汗多 故不用麻黃 乾葛輩 宜微汗 用防己黃芪湯方見上 風濕(丹心).

습이 상초(上焦)에서 심하여 열이 나는 데는 쓰고 성질이 온화한 약을 주약(主藥)으로 하고

달고 매운 약을 좌약(佐藥)으로 하여 땀이 나도록 해야 한다.

이때는 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

습이 상초에 있으면 약간 땀을 내어 풀리게 해야 하며 땀을 많이 내려고 해서는 안 되므로

마황과 칡뿌리(갈근) 같은 것을 쓰지 말고 방기황기탕을 써서 약간 땀을 내는 것이 좋다[단심].

 

濕在中下 宜利小便 此淡滲 治濕也 五苓散 見上.

濕溫條主之(丹心).

습이 중초와 하초에 있으면 오줌을 잘 나가게 해야 한다.

이때는 싱겁고 스며나가게 하는 약으로 습병을 치료해야 한다.

그러므로 오령산을 주로 쓴다[단심].

 

治濕之法 通利小便爲上 益脾順氣 次之(直指).

습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가장 좋고

()를 보하고 기를 잘 돌게 하는 것은 그 다음 일이다[직지].

 

治濕 莫若生附 蒼朮爲快 宜用生附湯(直指).

습병을 치료하는데 생부자나 삽주(창출)만한 것이 없으므로 반드시 생부탕을 쓰는 것이 좋다[직지].

 

治濕 通用平胃散 二陳湯 加桑白皮爲主, 上焦濕 加羗活 川芎 蒼朮,

中焦濕 加猪苓 茯苓 澤瀉, 下焦濕 加防己 木通 滑石,

熱則 上加黃芩, 中加黃連, 下加黃栢(入門).

습병을 치료하는데 두루 쓰는 약으로는

평위산과 이진탕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더 넣어 쓰는 것을 위주로 하고

상초의 습병에는 강호리(강활), 궁궁이(천궁), 삽주(창출)를 더 넣고

중초의 습병에는 저령, 흰솔풍령(백복령), 택사를 더 넣으며

하초의 습병에는 방기, 으름덩굴(목통), 곱돌(활석)을 더 넣는다.

열이 상초에 있으면 속썩은풀(황금), 중초에 있으면 황련을, 하초에 있으면 황백을 더 넣는다[입문].

 

通用 滲濕湯.

삼습탕(渗濕湯)을 두루 쓴다.  

 

[濕有內外之殊][습유내외지수]

 

濕有自外者 有自內出者

東南地下 多陰雨霧露濕 從外入多負 下起爲重腿脚氣之疾 治當汗散.

久則宜踈通滲泄,

西北地高 多食生冷濕麪 乳酪 飮酒 濕氣內鬱爲鼓脹 浮腫之類 治宜通利二便(丹心).

습에는 겉으로부터 들어오는 것도 있고 안으로부터 생기는 것도 있다.

동남지방은 지대가 낮고 흔히 날씨가 흐리며 비와 안개, 이슬 등의 습기가 겉으로부터 들어오는데

흔히 몸의 아랫도리로부터 올라오기 때문에 다리가 무거워지고 각기병(脚氣病)이 생긴다.

치료는 응당 땀을 내어 발산시켜야 하며 오래 되었으면 소통시켜 습을 스며나가게 하는 것이 좋다.

서북지방의 지대는 높아서 흔히 날것과, 찬 것, 국수, 졸인 젖 등을 먹거나 술을 마시게 되므로

습기가 속에 몰려서 고창(鼓脹), 부종(浮腫) 같은 병이 생긴다.

치료는 반드시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해야 한다[단심].  

 

[濕多身痛 暑無身痛][습다신통 서무신통]

 

暑病 多無身痛 盖傷氣而不傷形故也(入門).

서병(暑病)은 흔히 몸이 아프지 않은데

그것은 기()만 상()하고 형체는 상하지 않기 때문이다[입문].

 

濕病 多身痛 中濕 身痛難以轉側 風濕之痛 一身盡痛(入門).

습병(濕病)은 흔히 몸이 아프다.

중습(中濕)은 몸이 아파서 옆으로 돌리기 어렵다.

풍습으로 아픈 것도 온몸이 다 아프다[입문].

 

地之濕氣 感則害人 皮肉 筋脈.

盖濕傷形 形傷故痛(內經).

땅의 습기에 감촉되면 사람의 피부와 힘줄, 혈맥이 해롭게 된다.

대개 습은 형체를 상하는데 형체가 상하면 아프게 된다[내경].

 

濕流關節 則一身盡痛(仲景).

습이 뼈마디로 돌아다니면 온몸이 다 아프다[중경].

 

風濕相搏 則骨節煩疼 濕則關節不利 故痛.

其掣而不能屈伸者 風也(活人).

풍과 습이 서로 부딪치면 뼈마디가 달고 아프며 습은 관절을 잘 놀릴 수 없게 하기 때문에 아프다.

가드라들면서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은 풍이다[활인].   

'[雜病篇] > [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病治法及通治藥][습병치법급통치약]  (0) 2020.06.22
[濕有內外之殊][습유내외지수]  (0) 2020.06.22
[破傷濕][파상습]  (0) 2020.06.22
[酒濕][주습]  (0) 2020.06.22
[濕溫][습온]  (0) 2020.06.22

[破傷濕][파상습]

 

破傷 入水濕 口噤 身强直.

牡蠣煆 爲粉 付瘡口 仍取末7.5g 甘草湯 調服(得效).

상처 입은 데로 물이 들어가 이를 악물고 몸이 뻣뻣한 데는

굴조개껍질(모려)을 달구어 가루낸 다음 상처에 붙이고 한번에 8g씩 감초 달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雜病篇] > [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有內外之殊][습유내외지수]  (0) 2020.06.22
[濕多身痛 暑無身痛][습다신통 서무신통]  (0) 2020.06.22
[酒濕][주습]  (0) 2020.06.22
[濕溫][습온]  (0) 2020.06.22
[濕熱][습열]  (0) 2020.06.22

[酒濕][주습]

 

酒濕之爲病 亦能作痺證

口眼窩斜 半身不遂 渾似中風 舌强 語澁

當瀉濕毒 不可作 風病治之 而汗也 宜用蒼橘湯(元式).

주습이란 병은 또한 비증(痺證)을 생기게도 한다.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반신을 쓰지 못하는 것이

마치 중풍과 같으며 혀가 뻣뻣해서 말을 잘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데는 반드시 습독(濕毒)을 사()하고 풍병(風病)으로 보고 땀내는 치료를 하지 말아야 한다.

이때는 창귤탕(蒼橘湯)을 쓰는 것이 좋다[원융].

 

'[雜病篇] > [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多身痛 暑無身痛][습다신통 서무신통]  (0) 2020.06.22
[破傷濕][파상습]  (0) 2020.06.22
[濕溫][습온]  (0) 2020.06.22
[濕熱][습열]  (0) 2020.06.22
[濕痺][습비]  (0) 2020.06.22

[濕溫][습온]

 

濕溫者 兩脛逆冷 胸腹滿 多汗 頭痛 妄言.

其人嘗傷於濕 因而中暑 暑濕相搏 則發濕溫 其脈 陽濡而弱 陰小而急.

治在太陽 不可發汗 汗出必不能言 耳聾 不知痛所在 身靑而色變 名曰重暍

如此死者 醫殺之 蒼朮白虎湯方見寒門主之(活人). 

습온이란 양쪽 정강이가 싸늘하고 가슴과 배가 그득하며 땀이 많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허튼 말을 한다.

그 환자가 이미 습에 상한 데다 또 더위를 먹어서 더위와 습이 부딪치면 습온이 생긴다.

이때 양맥은 유()하면서 약()하며 음맥은 소()하면서 급()하다.

치료는 태양경병이라도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

땀을 내면 반드시 말을 못하고 귀가 먹으며 아픈 데를 모르고 몸이 푸르며 얼굴빛이 변한다.

이것을 중할()이라고 한다.

이 병으로 죽는 것은 의사가 죽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는 창출백호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써야 한다[활인].

 

一人 季夏得病 胸項多汗 兩足逆冷 譫語 予診之 其脈關前濡 關後數 是濕溫.

盖先傷暑 後受濕也.先用人蔘白虎湯方見寒門 次服蒼朮白虎湯 足漸溫 汗漸止 三日而愈(本事).

어떤 환자가 늦은 여름에 병을 얻었는데 가슴과 목에서 많은 땀이 나고

두 발이 싸늘하며 헛소리를 하기에 내가 맥을 보니 촌맥(寸脈)은 유하고 척맥(尺脈)은 삭()하였다.

이것은 습온이다.

이는 먼저 더위에 상하였는데 뒤에 습()을 받은 것이다.

먼저 인삼백호탕을 쓰고 나서 창출백호탕을 쓰니 발이 점차 더워지고

땀이 점차 멎으면서 사흘 만에 나았다[본사].

 

一人病 遍身汗 兩足冷至膝下 腹滿 不省人事 六脈皆小弱而急.

孫曰 此病傷暑 陽微厥也 用五苓散方見寒門 白虎湯方見寒門 而愈.

凡陰病 脛冷則臂亦冷 此則脛冷而臂不冷 所以 知是陽微厥也(孫兆).

어떤 환자가 온몸에서 땀이 나고 양쪽 발에서 무릎 아래까지 차고

배가 그득하며 정신을 잃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6맥이 다 소약(小弱)하면서 급()하였다.

손조(孫兆)는 이 병은 더위에 상하여 양()이 미약해져서 궐증(厥證)이 된 것이라 생각하고

오령산과 백호탕을 써서 낫게 하였다.

대체로 음병에 정강이가 차면 팔도 따라 찰 것인데

정강이만 차고 팔이 차지 않는 것은 양이 미약(微弱)하여 궐()이 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손조].

 

濕溫 宜苓朮湯 茯苓白朮湯.

습온에는 영출탕, 복령백출탕이 좋다.

 

濕溫與中暑同 但身凉不渴耳(活人).

습온과 중서(中暑)는 한가지인데 단지 몸이 차고 갈증이 나지 않는다[활인].

 

 

'[雜病篇] > [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破傷濕][파상습]  (0) 2020.06.22
[酒濕][주습]  (0) 2020.06.22
[濕熱][습열]  (0) 2020.06.22
[濕痺][습비]  (0) 2020.06.22
[寒濕][한습]  (0) 2020.06.21

[濕熱][습열]

 

六氣之中 濕熱爲病 十居八九(丹心).

6(六氣) 가운데서 습열로 된 병은 108-9나 된다[단심].

 

內經(生氣通天論篇 第三)曰

因於濕 首如裹濕熱不攘 大筋緛短 小筋弛張

緛短爲拘 弛張爲痿

내경에는 습으로 머리를 싸맨 것 같고 습열이 없어지지 않으면

큰 힘줄은 줄어들며 작은 힘줄은 늘어진다.

줄어든 것을 구()라 하고 늘어진 것을 위(痿)라 한다고 씌어 있다.

 

大筋受熱 則縮而短小筋 得濕則引而長縮短

故拘攣而不伸引長 故痿弱而無力(內經註).

큰 힘줄이 열을 받으면 줄어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이 습을 받으면 늘어나서 길어진다.

줄어서 짧아지기 때문에 가드라들면서[] 펴지 못하고 늘어나서

길어지기 때문에 늘어지고 약해지면서 힘이 없다[내경주].

 

濕者 土濁之氣 首爲諸陽之會 其位高 其氣淸 其體虛

故聰明得以係焉 濕氣熏蒸 淸道不通 沈重而不爽利 似乎有物以蒙冒之 失而不治.

濕鬱爲熱 熱留不去 熱傷血 不能養筋

故大筋爲拘攣 濕傷筋 不能束骨 故小筋痿弱也(丹心).

습은 토()의 탁()한 기운이고 머리는 모든 양기가 모이는 곳이다.

그 자리는 높고 그 기운은 맑으며 그 본체는 비었기 때문에 정신이 거기에 있다.

습기가 훈증하여 청도(淸道)가 잘 통하지 못해서 머리가 무겁고 시원하지 못한 것이

마치 어떤 물건을 푹 씌워 놓은 것 같다.

치료하지 않으면 습이 몰려서 열이 생기고 열이 머물러 없어지지 않으면 그 열이 피를 상한다.

그 피가 힘줄을 영양하지 못하므로 큰 힘줄은 가드라든다.

습이 힘줄을 상하면 뼈를 간수하지 못하므로 작은 힘줄은 늘어지고 힘이 없어진다[단심].

 

濕勝筋痿 熱勝筋縮 實者 三花神祐丸方見下部.

虛者 宜淸燥湯方見足部(入門).

습이 심하면 힘줄이 늘어지고 열이 심하면 힘줄이 줄어든다.

실증(實證)이면 삼화신우환(처방은 설사문에 있다),

허증(虛證)이면 청조탕(처방은 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有氣如火 從脚下起入腹 此濕鬱成熱而作

宜蒼朮 黃栢 牛膝 防己 作丸服 或二妙丸 單蒼朮丸(正傳).

불 같은 기운이 발바닥에서부터 배로 치미는 것은 습이 몰려서 열이 되어 생기는 것이다.

이때는 삽주(창출), 황백, 쇠무릎(우슬), 방기 등으로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이묘환, 가미이묘환(처방은 발문에 있다) 또는 단창출환을 먹는 것이 좋다[정전].

 

首如裹 單蒼朮膏最妙

머리를 싸맨 것 같은 데는 단창출고(처방은 내상문에 있다)가 가장 좋다.

 

濕病 腹中和 能飮食 病在頭中 寒濕

故鼻塞 納藥鼻中則愈.瓜蔕末 吹鼻中 出黃水(仲景).

습병(濕病)에 뱃속이 편안하여 음식을 잘 먹거나

습병이 머리에 있는 것은 한습(寒濕)이므로 코가 멘다.

약을 코 안에 넣으면 낫는다.

참외꼭지가루를 코 안에 불어넣으면 누런 물이 나온다[중경].

 

 

 

'[雜病篇] > [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酒濕][주습]  (0) 2020.06.22
[濕溫][습온]  (0) 2020.06.22
[濕痺][습비]  (0) 2020.06.22
[寒濕][한습]  (0) 2020.06.21
[風濕][풍습]  (0) 2020.06.21

[濕痺][습비]

 

詳見風門

자세한 것은 풍문(風門)에 있다

'[雜病篇] > [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溫][습온]  (0) 2020.06.22
[濕熱][습열]  (0) 2020.06.22
[寒濕][한습]  (0) 2020.06.21
[風濕][풍습]  (0) 2020.06.21
[中濕][중섭]  (0) 2020.06.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