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茅屋漏水][모옥누수] [새미엉(띠풀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殺雲母毒煉雲母時用之[本草]
운모독(雲母毒)을 풀기 때문에 운모를 법제할 때에 쓴다[본초].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天氣][육천기]  (0) 2018.02.10
[炊湯][취탕]  (0) 2018.02.10
[銅器上汗][동기상한]  (0) 2018.02.10
[甑氣水][증기수]  (0) 2018.02.10
[繰絲湯][조사탕]  (0) 2018.02.10

[六天氣][육천기]  

服之 令人不飢 長年 美顔色(本草).

이것을 마시면 배가 고프지 않고 오랫동안 살며 얼굴이 고와진다[본초].
[陵陽子明經]言 “春食朝霞 日欲出時 向東氣也.
秋食飛泉 日欲沒時 向西氣也.
冬食沆瀣 北方夜半氣也.
夏食正陽 南方日中氣也幷 天玄地黃之氣 是爲六氣”(本草).
능양자(陵陽子)의 명경(明經)에
봄에 아침 노을[朝霞]을 마신다는 것은 

해가 뜰 때에 동쪽을 향하고 공기를 마신다[東氣]는 것이고
가을에 샘물(飛泉)을 마신다는 것은 서쪽의 공기를 마신다는 것이며
겨울의 이슬은 북쪽의 공기를 마시는 것이며
여름의 정양(正陽)은 한낮에 남쪽을 향하고 공기를 마신다는 것이다.
여기에 하늘의 검은 기운[天玄之氣]과 

땅의 누런 기운[地黃之氣]까지 합하면 6기가 된다[본초].
人有急難 阻絶之處 

用之如龜蛇服氣不死 昔人 墮穴中 其中有蛇 每日如此 服氣
其人依蛇 時節 日日服之 漸覺體輕 啓蟄之後 人與蛇 一時躍出焉(本草).
난리를 만나 급하게 사람이 살지 않던 곳에 갔을 때에 이 방법을 쓴다.
이 방법을 쓰면 마치 남생이나 뱀이 공기를 마시기 때문에 죽지 않는 것과 같이 된다.
옛날 어떤 사람이 땅굴 속에 떨어졌을 때 

그 속에 있는 뱀이 매일 이렇게 공기를 마시고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그 사람도 뱀이 하는 대로 철따라 날마다 공기를 마셨는데 

점점 몸이 가벼워졌다고 한다.
그 후 경첩이 지난 뒤에 뱀과 같이 땅굴 속에서 나왔다고 한다[본초].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茅屋漏水][모옥누수]  (0) 2019.02.11
[炊湯][취탕]  (0) 2018.02.10
[銅器上汗][동기상한]  (0) 2018.02.10
[甑氣水][증기수]  (0) 2018.02.10
[繰絲湯][조사탕]  (0) 2018.02.10

[炊湯][취탕] [묵은 숭늉물]

經宿洗面 無顔色 洗體則成癬(本草).
묵은 숭늉을 말한다.
하룻밤 묵은 것으로 얼굴을 씻으면 얼굴에 윤기가 없어지고
몸을 씻으면 버짐[癬]이 생긴다[본초].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茅屋漏水][모옥누수]  (0) 2019.02.11
[六天氣][육천기]  (0) 2018.02.10
[銅器上汗][동기상한]  (0) 2018.02.10
[甑氣水][증기수]  (0) 2018.02.10
[繰絲湯][조사탕]  (0) 2018.02.10

[銅器上汗][동기상한] [놋그릇에 맺힌 물]  

銅器盃食上汗滴食中令人發惡瘡 內疽(本草).

구리그릇 뚜껑에 맺힌 물을 말한다.
구리그릇 뚜껑에 맺혔던 물이 떨어진 음식을
먹으면 악창과 내저가 생기게 된다[본초].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天氣][육천기]  (0) 2018.02.10
[炊湯][취탕]  (0) 2018.02.10
[甑氣水][증기수]  (0) 2018.02.10
[繰絲湯][조사탕]  (0) 2018.02.10
[麻沸湯][마비탕]  (0) 2018.02.10

[甑氣水][증기수] [시루뚜껑에 맺혀 있는 물]

主長毛髮 以物承取沐頭
令髮長密黑潤 朝朝取用(本草).
밥을 찌는 시루 뚜껑에 맺힌 물을 말한다.
머리털을 자라나게 하기 때문에 이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길어지고 빽빽하게 나오며 거멓게 되고 윤기가 돈다. 

아침마다 받아서 써야 한다[본초].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炊湯][취탕]  (0) 2018.02.10
[銅器上汗][동기상한]  (0) 2018.02.10
[繰絲湯][조사탕]  (0) 2018.02.10
[麻沸湯][마비탕]  (0) 2018.02.10
[熱湯][열탕]  (0) 2018.02.10

[繰絲湯][조사탕] [누에고치 킨 물]

無毒. 主蚘虫 此煮繭汁爲其殺蟲故(本草).
누에고치를 삶은 물인데 독이 없다.
회충을 없애는 데 쓴다.
그것은 고치를 삶은 물이 벌레를 죽이기 때문이다[본초].
又主消渴 口乾 此物屬火有陰之用
能瀉膀胱中相火 引淸氣 上潮于口 煮湯飮之
或繭殼絲綿湯飮之亦效(丹心).
또는 주로 소갈증이나 입이 마르는 데[口乾] 쓴다.
이 물은 화(火)에 속하면서도 음증인 병에 쓴다.
또한 방광에 있는 상화(相火)를 사(瀉)하고 청기(淸氣)를 이끌어 입으로 오르게 한다.
끓여서 마시거나 고치껍질이나 명주실을 달여서 마셔도 역시 효과가 있다[단심].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銅器上汗][동기상한]  (0) 2018.02.10
[甑氣水][증기수]  (0) 2018.02.10
[麻沸湯][마비탕]  (0) 2018.02.10
[熱湯][열탕]  (0) 2018.02.10
[生熟湯][생숙탕] [陰陽湯][음양탕]  (0) 2018.02.10

[麻沸湯][마비탕] [생삼 삶은 물]

卽[靑麻煮汁]也.
嘔麻汁 主消渴 取其氣薄而泄虛熱也(入門).
즉 퍼런 삼(靑麻)을 달인 즙이다.  

생삼을 삶은 물을 말한다.
삼을 담갔던 즙은 주로 소갈증에 쓴다.
냄새가 약하고 허열을 내리운다[입문].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甑氣水][증기수]  (0) 2018.02.10
[繰絲湯][조사탕]  (0) 2018.02.10
[熱湯][열탕]  (0) 2018.02.10
[生熟湯][생숙탕] [陰陽湯][음양탕]  (0) 2018.02.10
[潦水][요수] [無根水][무근수]   (0) 2018.02.10

[熱湯][열탕] [뜨겁게 끓인 물]

性平 味甘 無毒.
主忤死及霍亂 轉筋.
助陽氣 行經絡 患冷痺
人以湯渫脚至膝厚覆汗出佳(本草).
뜨겁게 끓인 물을 말한다.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주로 객오로 죽을 것같이 된 것과 곽란으로 쥐가 이는 데 쓴다.
양기(陽氣)를 도와주고 경락을 통하게 하므로 

냉비증[冷痺] 때 다리와 무릎까지 담그고 땀을 내면 좋다[본초].
熱湯須百沸過 若半沸則食之病脹(食物).
물을 뜨겁게 끓일 때에는 백여 번 끓어오르게 끓여야 한다.
만일 절반쯤 끓여서 먹으면 창만병이 생긴다[식물].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繰絲湯][조사탕]  (0) 2018.02.10
[麻沸湯][마비탕]  (0) 2018.02.10
[生熟湯][생숙탕] [陰陽湯][음양탕]  (0) 2018.02.10
[潦水][요수] [無根水][무근수]   (0) 2018.02.10
[地漿水][지장수]  (0) 2018.02.10

[生熟湯][생숙탕]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물]

性平 味醎 無毒.
百沸湯半椀 新汲水半椀 合和
名曰 [陰陽湯] 卽生熟湯也(醫鑒).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을 말한다.
맛은 짜고 독이 없다.
끓인 물[百沸湯] 반사발과 새로 길어온 물[新汲水] 반사발을 섞은 것을 

음양탕(陰陽湯)이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생숙탕이다[의감].
河水與非水合用 亦名 [陰陽湯](回春).
강물과 우물물을 섞은 것도 역시 음양탕이라고 한다[회춘].
以炒塩 投中飮之 一二升吐出宿食惡毒之物 欲爲霍亂 吐盡便愈(本草).
여기에 닦은 소금을 타서[炒 ] 1-2되 마시면 음식에 체한 것과 

독이 있는 음식을 먹어서 곽란이 되려고 하던 것도 토하고 낫는다[본초].
人大醉及食苽果過度 以生熟湯浸身 湯皆爲酒及苽味(本草).
술에 몹시 취했거나 과실을 많이 먹었을 때 

이 물에 몸을 담그고 있으면 그 물에서 술냄새나 과실냄새가 난다[본초].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沸湯][마비탕]  (0) 2018.02.10
[熱湯][열탕]  (0) 2018.02.10
[潦水][요수] [無根水][무근수]   (0) 2018.02.10
[地漿水][지장수]  (0) 2018.02.10
[漿水][장수]  (0) 2018.02.10

[潦水][요수] [산골에 비가와서 고인 물]

潦水 又名[無根水]

山谷中無人迹處 新吐科凹中之水也.
取其性不動搖而有 土氣內存
故可以煎熬 調脾進食 補益中氣之劑也(正傳).
요수를 무근수(無根水)라고도 하는데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산골짜기에 새로 판 구덩이 속의 빗물을 말한다.
성질을 보면 흐르지 않고[不動搖] 흙기운이 들어 있기 때문에 비를 고르게 하여 

음식을 잘 먹게 하고 중초의 기운을 보하는 약을 달이는 데 쓸 수 있다[정전].
仲景方 治傷寒發黃 [麻黃連翹湯] 以潦水 煎服 取其味薄而不助濕也(入門).
산골에 고인 빗물을 말한다.
중경(仲景)의 처방에 상한으로 생긴 황달을 치료하는 데는 

마황연교탕을 쓰되 산골에 고인 빗물에 달여 먹어야 한다고 한 것은 

그 맛이 슴슴하여[味薄] 습을 돕지 않기 때문이다[입문].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湯][열탕]  (0) 2018.02.10
[生熟湯][생숙탕] [陰陽湯][음양탕]  (0) 2018.02.10
[地漿水][지장수]  (0) 2018.02.10
[漿水][장수]  (0) 2018.02.10
[冷泉][냉천] [椒水][초수]  (0) 2018.0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