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下法][하법]
三陽熱鬱頭痛, 不敢見日光, 置氷頂上, 宜汗吐下[子和].

삼양경에 열이 뭉쳐서 머리가 아프고 햇빛을 볼 수 없으며

열이 심하여 머리 위에 얼음을 얹어놓고 있으면 한법, 토법, 하법을 쓴다(자화).

頭風之甚者, 久則目昏, 偏頭痛久, 則目束小, 大便秘澁.

皆宜大承氣湯 方見寒門 下之[子和].

두풍이 심하여 오래되면 눈이 침침하게 되고,

편두통이 오래되면 눈을 찡그려 작아지면서 대변이 굳어지게 되는데,

대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킨다(자화). 

脈動作頭重痛, 熱氣潮者, 屬胃.

宜調胃承氣湯 方見寒門 下之, 卽愈[綱目]

맥이 뛸 때마다 머리가 무겁고 아프며 열이 올랐다 내렸다 하는 것은

위(胃)에 속한 병이므로, 조위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키면 바로 낫는다(강목).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法][토법]   (0) 2020.01.17
[鼻法][비법]  (0) 2020.01.17
[頭生白屑][두생백설]  (0) 2020.01.17
[腦縫開裂][뇌봉개열]   (0) 2020.01.17
[風頭旋][풍두선]   (0) 2020.01.17

[吐法][토법]
風頭痛, 若不吐涎, 久則瞽目而不治.

瓜蔕散 方見吐門 吐之, 三吐而差[保命].

풍두통에 담을 토하지 않고 오래되면 눈이 멀고 치료할 수 없다.

과체산(처방은 토문에 있다)으로 토하게 하는데, 세 번만 토하면 낫는다(보명).

頭風後有眼疾, 眼有半明可救者, 防風散吐之 方未詳[保命].

두풍을 앓은 다음 눈병이 생겨서 눈이 반쯤 어두운 것은 치료할 수 있는데,

방풍산(처방은 알 수 없다)으로 토하게 한다(보명).

頭風眩暈, 可用獨聖散 卽瓜蔕散 吐之, 吐訖可用淸上降火之劑.

防風通聖散 方見風門 加半夏南星[子和].

두풍으로 어지러운 데에는 독성산(곧 과체산이다)으로 토하게 한다.

다 토하고 나면 위를 맑게 하고 화를 내리는 신량(辛凉)한 약을 쓴다.

방풍통성산(처방은 풍문에 있다)에 반하·남성을 더하여 쓴다(자화).

痰涎頭痛難當, 胸膈煩悶欲吐, 瓜蔕散吐之[入門].

담으로 머리가 아픈 데, 견디기 어렵고 가슴이 답답하며 토하려고 하는 데는

과체산으로 토하게 한다(입문).

濕家頭痛, 鼻塞聲重, 令病人先噙水一口, 將瓜蔕散末一字, 鼻內, 出黃水爲度[入門].

평소 습이 많은 사람이 머리가 아프면서 코가 막히고 목소리가 가라앉는 데는

먼저 환자에게 물 한 모금을 머금게 하고 과체산가루 한 자를 누런 콧물이 나올 때까지

콧속에 넣는다(입문).

卒頭痛如破, 非冷非風, 是胸膈有痰, 厥氣上衝所致, 名爲厥頭痛, 吐之卽差.

單煮茗飮一二升, 須臾吐, 吐畢又飮, 如此數過, 須吐痰汁盡乃止, 不損人, 待渴卽差[本草].

머리가 갑자기 깨질 듯이 아픈 것은 찬 기운이나 풍을 맞아서 온 것이 아니라

가슴[胸膈]에 담이 있어 궐기가 위로 치받아 오른 까닭이다.

이를 궐두통이라고 하는데, 토하면 바로 낫는다.

차 한 가지만 달인 물을 한두 되 마시면 바로 토하게 되는데,

토하고 또 마시기를 여러 번 하여 담을 모두 토하고 나면 그친다.

이 방법은 몸을 상하게 하지는 않는다. 갈증이 나면 바로 낫는다(본초).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法][하법]   (0) 2020.01.17
[鼻法][비법]  (0) 2020.01.17
[頭生白屑][두생백설]  (0) 2020.01.17
[腦縫開裂][뇌봉개열]   (0) 2020.01.17
[風頭旋][풍두선]   (0) 2020.01.17

[鼻法][비법]
治風涎, 偏正頭痛.

蓽撥末三錢, 以猪膽汁拌, 再入膽內, 候乾, 入川芎白芷藁本靑黛玄胡索各二錢.

爲末, 水和爲丸如芡實大.

令病人臥, 用一丸水化, 灌入鼻中.

覺藥味至喉少酸, 令病人坐之, 口咬銅錢一箇, 當涎出盈盆, 卽愈.

名一粒金[入門, 正傳].

담연[風涎]으로 생긴 편두통과 정두통을 치료한다.

필발가루 서 돈을 돼지 쓸개즙과 섞은 다음 다시 쓸개 속에 넣어 말린다.

여기에 천궁, 백지, 고본, 청대, 현호색 각 두 돈씩을 넣고 함께 가루내어

물로 반죽하여 감실대의 알약을 만든다.

환자를 눕히고 한 알을 물에 개어 콧속에 흘려 넣는다.

약이 후두에까지 전해져 시큰한 느낌이 들면 환자를 앉히고

동전 한 개를 입에 물려 침을 한 사발 가득 흘리게 하면 바로 낫는다.

일립금이라고도 한다(입문, 정전).

偏正頭痛, 硝石末少許, 吹入鼻中, 立愈.

左痛吹右, 右痛吹左, 立愈.

雷公云, 腦痛欲亡, 鼻投硝末者是也[本草].

편두통과 정두통에 초석가루를 조금 콧속에 불어넣으면 바로 낫는다.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에 불어넣고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에 불어넣으면 바로 낫는다.

뇌효가 "골이 아파 죽을 것 같을 때 콧속에 초석가루를 넣는다"라고

하였는데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본초).

偏頭痛絶妙.

蓽撥爲末, 令患者口中含溫水, 如左邊疼, 左鼻吸一字, 右邊疼, 右鼻吸一字.

又粥淸調半錢服[本草].

편두통에 아주 잘 듣는다.

필발을 가루낸 다음 환자에게 입 안에 따뜻한 물을 머금게 하고 왼쪽이 아프면

왼쪽 콧속에 한 자를 흡입시키고, 오른쪽이 아프면 오른쪽 콧속에 한 자를 흡입시킨다.

또는 멀건 죽에 반 돈씩 타서 먹는다(본초).

卒頭痛, 皂角末, 吹少許入鼻中, 令嚏則止[本草].

갑자기 머리가 아픈 데에는 조각가루를 조금 콧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하면 바로 그친다(본초).

偏頭痛, 取生蘿葍汁一蜆殼, 仰臥注鼻中, 左痛注左, 右痛注右, 左右痛俱注之, 神效.

數十年患, 皆一二注而愈[本草].

편두통에 생무즙 한 술을 누워서 콧속에 흘려 넣는데,

왼쪽이 아프면 왼쪽에 넣고 오른쪽이 아프면 오른쪽에 넣고

양쪽이 다 아프면 양쪽 모두에 넣으면 아주 좋다.

수십 년 동안 앓은 것도 한두 번만 흘려 넣으면 낫는다(본초).

鼻, 又用不臥散, 上淸散 方見上, 六聖散.

후비에는 불와산, 상청산(처방은 앞에 있다), 육성산 등을 쓴다.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法][하법]   (0) 2020.01.17
[吐法][토법]   (0) 2020.01.17
[頭生白屑][두생백설]  (0) 2020.01.17
[腦縫開裂][뇌봉개열]   (0) 2020.01.17
[風頭旋][풍두선]   (0) 2020.01.17

[頭生白屑][두생백설]
頭生白屑, 肺之證也.

肺主皮毛, 故因風熱而頭皮燥痒, 生白屑.

消風散主之 方見上 [綱目].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은 폐(肺)의 병증이다.

폐는 피부와 터럭을 주관하므로, 풍열로 두피가 마르면서 가렵고 흰 비듬이 생기는 데는

소풍산(처방은 앞에 있다)이 주치한다(강목).

頭風生白屑, 極燥痒.

藜蘆爲末, 先洗頭, 候欲乾時, 取末糝之, 令入髮至皮方得, 緊縛兩日夜, 卽不燥痒.

如不效, 再用之. 先以藜蘆煎湯沐頭, 然後糝藥, 尤妙[入門].

두풍으로 흰 비듬이 생기고 심하게 마르면서 가려운 데에는

여로를 가루내어 먼저 머리를 감은 후 다 마를 때쯤 가루를 문질러 바르는데,

머리털에서 두피까지 스며들도록 바른다.

잘 싸매고 이틀 밤을 지내면 마르고 가려운 것이 없어진다.

만일 효과가 없으면 다시 한 번 쓰는데,

여로를 달여서 머리를 감은 후 가루약을 바르면 더욱 좋다(입문).

又方, 白芷零陵香爲末糝頭, 候三五日, 篦去白屑. 附二三次效[綱目].

또 다른 처방으로는 백지와 영릉향을 가루내어 머리에 바르고

사흘에서 닷새 지난 후 참빗으로 빗어서 비듬을 털어낸다.

두세 차례 붙이면 좋다(강목).

頭風白屑, 瓦松曝乾燒灰, 淋汁, 熱洗頭六七度, 差[本草].

두풍으로 흰 비듬이 생긴 데에는 와송을 햇볕에 말려 태워 재로 만들어

잿물을 받아 뜨겁게 하여 머리를 예닐곱 번 감으면 효과가 있다(본초).

熊腦髓, 作油摩頭, 可去白屑[本草]

곰의 골수로 기름을 내어 머리에 문질러 바르면 흰 비듬을 없앨 수 있다(본초).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法][토법]   (0) 2020.01.17
[鼻法][비법]  (0) 2020.01.17
[腦縫開裂][뇌봉개열]   (0) 2020.01.17
[風頭旋][풍두선]   (0) 2020.01.17
[頭痛不治難治證][두통불치난치증]   (0) 2020.01.17

[腦縫開裂][뇌봉개열]
人大熱發頭熱者, 令腦縫裂開.

取黑虱三五百枚, 擣碎附之[本草].
열이 심하게 나서 머리가 뜨거우면 숫구멍이 벌어지는데,

검은 이를 삼백에서 오백 마리 정도 짓찧어 붙인다(본초).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法][비법]  (0) 2020.01.17
[頭生白屑][두생백설]  (0) 2020.01.17
[風頭旋][풍두선]   (0) 2020.01.17
[頭痛不治難治證][두통불치난치증]   (0) 2020.01.17
[眉稜骨痛][미릉골통]   (0) 2020.01.17

[風頭旋][풍두선]
風頭旋者, 別無疾痛, 不自覺知, 常常頭自搖者是也.

풍으로 머리를 흔드는 것은 별다른 통증 없이 자신도 모르게 머리가 늘 저절로 흔들리는 것이다.

肝風盛則搖頭[綱目].

간(肝)에 풍이 너무 많으면 머리를 흔든다(강목).

治法同頭風.

치료 방법은 두풍과 같다.

有一子, 患七年搖頭, 三年下血, 百方無效.

予思之, 乃肝血液盛, 外有風熱乘之.

肝屬木, 木盛而脾土爲木所剋.

脾與肺是子母, 俱爲肝所勝, 而血遂漬於大便, 故便血不止.

遂處一方, 但損肝祛風而益脾.

只數服而愈, 後十餘日血止, 而下白膿, 遂得以安.
어떤 아이가 7년 동안이나 머리를 흔들고 3년 동안이나 하혈하는 병을 앓았는데

모든 처방이 효과가 없었다.

나는 이것은 간의 피가 넘치는데 밖에서 풍열이 이를 억눌렀기[乘]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간은 목(木)에 속하는데, 목의 기운이 너무 많으면 비토(脾土)가 목의 억제를 받게 된다.

비(脾)와 폐(肺)는 아들과 어미의 관계로서,

간이 그 둘의 기운을 이기기 때문에 피가 대변에 스며들어 변혈이 그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처방을 하나 내어 간의 기를 덜어내고 풍을 몰아내어 비의 기운을 북돋우었다.

몇 번 먹지 않아 두풍증이 나았고 그 뒤 10여 일이 지나서 피가 그치고

흰 고름이 나온 후 다 나았다.
防風 三兩, 瓜蔞根, 黃芪 蜜炒, 羌活, 白芍藥 各五錢,

犀角 屑, 甘草 各二錢半, 蛇蛻 灸, 赤釣藤鉤子, 麻黃 各一錢.
右爲末, 棗肉和丸梧子大, 食後, 薄荷湯下五七十丸. 只二服, 頭搖卽止, 便血隨愈[綱目].
방풍 석 냥, 과루근, 황기(꿀에 축여 볶은 것), 강활, 백작약 각 닷 돈,

서각(끌로 깎은 것), 감초 각 두 돈 반, 사태(구운 것),

조구등(붉고 낚싯바늘처럼 생긴 것), 마황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조육으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식후에 쉰에서 일흔 알씩 박하 달인 물로 먹는다.

두 번만 먹어도 머리가 흔들리는 것이 멈추고 이어서 변혈도 낫는다(강목).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頭生白屑][두생백설]  (0) 2020.01.17
[腦縫開裂][뇌봉개열]   (0) 2020.01.17
[頭痛不治難治證][두통불치난치증]   (0) 2020.01.17
[眉稜骨痛][미릉골통]   (0) 2020.01.17
[首風證][수풍증]   (0) 2020.01.17

[頭痛不治難治證][두통불치난치증]
眞頭痛者, 頭痛甚, 腦盡痛, 手足寒至節, 死不治[靈樞].

진두통은 머리가 심하게 아파서 골속까지 다 아픈 것으로,

손과 발의 뼈마디까지 차가워지면 죽는다.

치료할 수 없다(영추).

眞頭痛者, 其痛上穿風府, 陷入泥丸宮, 不可以藥愈, 朝發夕死, 夕發朝死.

盖頭中, 人之根, 根氣先絶也[得效].

진두통은 아픔이 위로 풍부를 뚫고 올라가 이환궁 속으로 들어간 것으로,

약으로 낫지 않으며 아침에 발병하면 저녁에 죽고 저녁에 발병하면 아침에 죽는다.

머릿속은 사람의 뿌리인데, 이 뿌리의 기운[根氣]이 먼저 끊어졌기 때문이다(득효).

頭連腦痛甚, 手足俱寒者, 不治[得效].

머리에서 골까지 심하게 아프며 손발이 모두 찬 것은 치료할 수 없다(득효).

沉痛入泥丸, 手足冷, 爪甲靑者, 謂之眞頭痛.

其連齒痛甚者, 屬少陰厥證, 俱不治[入門].

맥이 침하면서 머릿속 깊이 아파서 이환궁까지 들어가고

손발이 차며 손톱이 푸른 것을 진두통이라고 한다.

이까지 심하게 아픈 것은 족소음경의 궐증인데, 모두 치료할 수 없다(입문).

診頭痛目痛, 久視無所見者, 死[綱目].

머리가 아프면서 눈이 아픈데 오랫동안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죽는다(강목).

頭目痛, 卒視無所見者, 亦死[醫鑑].

머리와 눈이 아프면서 갑자기 아무것도 볼 수 없으면 죽는다(의감).

泄瀉多而眩暈, 時時自冒者, 難治[回春].

설사가 심하고 어지러우며 때때로 눈앞이 캄캄해지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회춘).

凡眩暈, 言亂汗多下利, 時時自冒者, 虛極, 難治[入門].

일반적으로 어지러운데 헛소리를 하며 땀을 많이 흘리고 설사를 자주하며

때때로 눈앞이 캄캄해지는 것은 몹시 허한 것으로,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腦縫開裂][뇌봉개열]   (0) 2020.01.17
[風頭旋][풍두선]   (0) 2020.01.17
[眉稜骨痛][미릉골통]   (0) 2020.01.17
[首風證][수풍증]   (0) 2020.01.17
[腦風證][뇌풍증]   (0) 2020.01.17

[眉稜骨痛][미릉골통]
眉心幷眉梁骨痛者, 痰也.

二陳湯 方見痰飮 煎水, 呑下靑州白元子 方見風門[得效].

양 눈썹 사이와 미릉골이 아픈 것은 담 때문이다.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달인 물로 청주백원자(처방은 풍문에 있다)를 먹는다(득효).

眉稜骨痛, 連目不可開, 晝靜夜劇.

或因濕痰, 眉眶骨痛, 身重者,

宜芎辛導痰湯 方見上 加川烏白朮[入門].

미릉골이 아파서 눈까지 뜰 수 없고 낮에는 덜했다가 밤이 되면 심해지며

또 습담으로 미릉골이 아프고 몸이 무거운 데는

궁신도담탕(처방은 앞에 있다)에 천오·백출을 더하여 쓴다(입문).

眉稜骨痛, 宜選奇湯, 上淸散.

미릉골이 아픈 데는 선기탕이나 상청산을 쓴다.

眉眶痛, 屬風熱與痰.

白芷酒片芩等分爲末, 茶淸調下二錢, 溫酒亦可[丹心].

눈썹 주위[眉]가 아픈 것은 풍열이나 담에 속하는데

백지, 황금(술로 법제한 것) 같은 양을 가루내어 두 돈씩 맑은 찻물에 타서 먹거나

데운 술로 먹어도 좋다(단심).

眉輪痛, 痰火也.

眉眶痛, 亦痰火之徵也[回春].

미릉골이 아픈 것은 담화 때문이다.

눈썹 주위가 아픈 것도 역시 담화가 있는 것이다(회춘).

因風寒眉骨痛, 川烏草烏各一錢 童尿俱浸二宿炒用,

細辛羌活酒片芩甘草灸各半錢. 同爲末, 分二貼, 茶淸調下, 食後[正傳].

풍한으로 미릉골이 아픈 데는

천오·초오 각 한 돈(두 가지 모두 동변에 이틀간 담갔다가 볶는다),

세신, 강활, 황금(술로 법제한 것), 감초(볶은 것) 각 반 돈을 함께 가루내어

두 첩으로 나누어 맑은 찻물에 타서 먹는다(정전).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頭旋][풍두선]   (0) 2020.01.17
[頭痛不治難治證][두통불치난치증]   (0) 2020.01.17
[首風證][수풍증]   (0) 2020.01.17
[腦風證][뇌풍증]   (0) 2020.01.17
[頭痛當分六經][두통당분육경]  (0) 2020.01.17

[首風證][수풍증]
新沐中風, 則爲首風.

其證頭面多汗惡風, 當先風一日則病甚,

頭痛不可出內, 至其風日則病少愈[內經].

머리를 막 감은 후 바람을 맞으면 수풍(首風)이 된다.

그 증상은 머리와 얼굴에 땀이 많이 나고 바람을 싫어한다.

바람이 불기 하루 전날에는 머리가 아파 집 안에서 나올 수 없고,

오히려 바람이 부는 날에는 아픈 것이 조금 나아진다(내경).

大川芎丸主之[河間].

대천궁환이 주치한다(하간).

沐浴後眩暈頭痛, 宜白芷丸[入門].
목욕 후에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데는 백지환을 쓴다(입문).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頭痛不治難治證][두통불치난치증]   (0) 2020.01.17
[眉稜骨痛][미릉골통]   (0) 2020.01.17
[腦風證][뇌풍증]   (0) 2020.01.17
[頭痛當分六經][두통당분육경]  (0) 2020.01.17
[醉後頭痛][취후두통]   (0) 2020.01.17

[腦風證][뇌풍증]
風氣循風府 穴名 而上, 則爲腦風[內經].

풍기(風氣)가 풍부(혈자리 이름이다)를 끼고 돌아 위로 올라가면 뇌풍(腦風)이 된다(내경).

其證, 項背怯寒, 腦戶 穴名 極冷.

神聖散, 太陽丹[河間].

그 증상은 뒷덜미와 등이 오싹하게 춥고 뇌호(혈자리 이름이다)가 매우 차다.

신성산이나 태양단을 쓴다(하간).

'[外形篇] > [頭]'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眉稜骨痛][미릉골통]   (0) 2020.01.17
[首風證][수풍증]   (0) 2020.01.17
[頭痛當分六經][두통당분육경]  (0) 2020.01.17
[醉後頭痛][취후두통]   (0) 2020.01.17
[眞頭痛][진두통]   (0) 2020.0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