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止吐法][지토법]
服瓜蔕 吐不止 煎麝香湯 解之 下咽立之
참외꼭지(과체)를 먹고 토하는 것이 멎지 않을 때에는 사향탕을 써야 곧 멎는다.
服黎蘆 吐不止 葱白湯 解之
박새뿌리(여로)를 먹고 토하는 것이 멎지 않을 때에는 총백탕을 써야 곧 멎는다.
服石藥 吐不止 以甘草貫衆湯 解之
광물성 약을 먹고 토하는 것이 멎지 않을 때에는 감초관중탕을 써서 곧 멎게 해야 한다.
服諸草木 吐不止 以麝香湯 解之
여러 가지 초약(草木)을 먹고 토하는 것이 멎지 않을 때에는 사향탕으로 멎게 해야 한다.
丁香 甘草 白朮 總解諸藥吐(子和).
정향, 감초, 흰삽주(백출)는 약을 먹고 토하는 것을 멎게 한다[자화].
甘草 總解諸藥吐不止
감초는 약을 먹고 토하는 것을 다 멎게 한다.
白湯亦總解(丹心).
끓인 물도 역시 여러 가지 약독을 푼다[단심].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部脈不見宜吐][하부맥불견의토]   (0) 2020.04.29
[不可吐證][불가토증]   (0) 2020.04.29
[可吐證][가토증]   (0) 2020.04.29
[灌鼻法][관비법]   (0) 2020.04.29
[助吐法][조토법]   (0) 2020.04.29

[下部脈不見宜吐][하부맥불견의토]
內經曰 上部有脈 下部無脈 其人當吐 不吐者 死 何謂?

下部無脈 此爲木鬱也 瓜蔕散吐之.
내경에 “촌맥[上部脈]이 나타나고 척맥[下部脈]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반드시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토하지 못하면 죽을 수 있다”고 씌어 있다.
척맥[下部脈]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목울(木鬱)인데

이때에는 과체산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
解曰 盛食塡塞於胸中 兩寸脈當主事 兩尺脈不見 其理安在 盖胸中者 肺也.

肺者 手太陰金也 金主殺伐 金能克木 故肝木生發之氣 伏於地下 非木鬱而何

吐去上焦陰土之物 木得舒暢 則鬱結去矣 此乃天地交 而萬物通也(東垣). 
주해에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가슴이 몹시 막힌 것 같을 때에는

반드시 양쪽 촌맥(寸脈)을 주로 보아야 하는데

이때에 양쪽 척맥(尺脈)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그것은 다음과 같다.
가슴은 폐(肺)에 속하고 폐(肺)는 수태음금(手太陰金)경이며

금(金)은 죽이고 치는[伐] 것을 주관한다.
금이 목(木)을 극(剋)하면 간목(肝木)의 기운이 땅 속으로 들어가므로 목울(木鬱)이 된다.
이런 때에는 상초(上焦)에 있는 음토(陰土)의 물질을 토하게 하여 없애 버리면

목의 기운이 쫙 퍼지면서 뭉친 것이 저절로 없어진다.
이것은 하늘과 땅의 기운이 화합되어 만물이 통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동원].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止吐法][지토법]   (0) 2020.04.29
[不可吐證][불가토증]   (0) 2020.04.29
[可吐證][가토증]   (0) 2020.04.29
[灌鼻法][관비법]   (0) 2020.04.29
[助吐法][조토법]   (0) 2020.04.29

[不可吐證][불가토증]
病勢危劇 老弱 氣衰者 不可吐 
병이 위급한 사람, 늙거나 약하여 원기[氣]가 쇠약한 사람은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諸吐血 嘔血 喀血 唾血 嗽血 崩血 失血者 皆不可吐,
여러 가지 토혈(吐血), 구혈(嘔血), 각혈( 血), 타혈(唾血), 소혈(嗽血), 혈붕(血崩) 등

피를 흘리는 증 때에는 다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病人無正性 妄言 忘從者 不可吐,
환자가 정신이 없어 허튼 소리[妄言]와 허튼 행동[妄從]을 할 때에는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主病者 不辨邪正之設 不可吐,
환자가 옳고 그른 것을 가리지 못하고 말할 때에는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性行剛暴 好怒喜淫之人 不可吐(子和).
성질과 행동이 거칠고 포악하며 잘 노하고 음탕한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자화].
諸亡血 及諸虛家 不可吐(入門).
망혈(亡血)증이나 모든 허(虛)증 때에는 다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입문].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止吐法][지토법]   (0) 2020.04.29
[下部脈不見宜吐][하부맥불견의토]   (0) 2020.04.29
[可吐證][가토증]   (0) 2020.04.29
[灌鼻法][관비법]   (0) 2020.04.29
[助吐法][조토법]   (0) 2020.04.29

[可吐證][가토증] 
傷寒初 邪氣未傳裏 瓜蔕散 吐之

상한(傷寒) 초기 아직 사기(邪氣)가 속으로 들어가지 않았을 때에는

과체산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

傷寒初 胸煩懊惱 梔豉湯 吐之

상한 초기에 가슴이 답답하고 말째면[懊惱] 치시탕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

中風 不省涎盛 稀涎散 吐之

중풍(中風)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담연이 성하면 희연산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

風頭痛 若不吐涎 久則瞽目 瓜蔕散 吐之

풍(風)으로 머리가 아플 때 담연(痰涎)을 토하게 하지 않으면 오래되어 눈이 멀게 된다.

이런 때에는 과체산을 써서 토하게 해야 한다.

頭風後 有目疾 半明 可救 防風散 吐之

두풍증[風頭痛]을 앓은 뒤에 눈병이 생겼다 해도 절반 정도 보이면 치료할 수 있다.

이때에는 방풍산을 써서 토하게 해야 한다.

暗風久不差 鬱金散 吐之

암풍(暗風)이 오래되도록 낫지 않으면 울금산을 써서 토하게 해야 한다.

陽癎 久不愈 未成癡呆 稀涎散 吐之

양간(陽癎)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서도 바보처럼 되지 않았을 때에는

희연산을 써서 토하게 해야 한다.

陰癎 三聖散 吐之

음간(陰癎) 때에는 삼성산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

諸癎不省 半生半熱湯 吐之

여러 가지 간질[癎]로 정신을 차리지 못할 때에는 반생반숙탕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

多食生膾等物 胸膈不快 瓜蔕散 吐之

회(膾) 같은 것을 지나치게 먹어서 가슴이 불쾌할 때에는 과체산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

痎瘧 久瘧 常山散吐之 雄黃散 亦加

해학이나 오랜 학질에는 삼성산을 써서 토한 다음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蛟龍病 腹脹如鼓 糠毬散 吐之

교룡병(蛟龍病)으로 배가 북같이 불러 올랐을 때에는 강구산을 써서 토해야 한다.

癲狂久不愈 三聖散吐之 後354用承氣湯 下之

전광(癲狂)이 오랫동안 낫지 않을 때에는 삼성산을 써서 토한 다음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諸厥不省 三聖散鼻內灌之 吐涎 立效

여러 가지 궐증(厥證)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할 때에는

삼성산을 코로 넣어 주어서 담연[涎]을 토하게 하면 곧 낫는다.

破傷風 角弓反張 三聖散 吐之 後用藥 汗下之(保命).
파상풍(破傷風)으로 몸이 뒤로 잦혀졌을 때에는[角弓反張]

삼성산을 먹여 토하게 한 다음 약으로 땀이 나게 하거나 설사하게 해야 한다[보명].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部脈不見宜吐][하부맥불견의토]   (0) 2020.04.29
[不可吐證][불가토증]   (0) 2020.04.29
[灌鼻法][관비법]   (0) 2020.04.29
[助吐法][조토법]   (0) 2020.04.29
[取吐法][취토법]   (0) 2020.04.28

[灌鼻法][관비법]
凡卒急病 口噤 無門下藥者 如吐藥 痰藥 皆從鼻灌入 下咽 則便吐(子和).
갑자기 급병(急病)으로 이를 악물어서 약을 먹을 수 없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약이나

담(痰)을 삭게 하는 약도 다 코로 넣어 주는데 약이 목구멍을 넘어가면 곧 토한다[자화].
欲吐風涎 取皂角 以漿水浸 春秋四日 夏二日 冬七日 揉去渣 熬爲膏 攤紙上

陰乾 用時以水化開 灌入鼻內 良久涎出 爲效 若吐多 欲止之 飮溫鹽湯一二口 卽止(入門).
풍담[風涎]을 토하게 하는 데는 주염열매(조협)를 쓰는데 신좁쌀죽웃물에

봄과 가을에는 4일, 여름에는 2일, 겨울에는 7일간 담가 두었다가

주물러 짜서 즙을 받아 고약이 되게 달인 다음 그것을 종이에 발라 그늘에 말려 쓴다.

이것을 물에 풀어서 코로 넣어 주면 한참 있다가 담연[涎]이 나오고 낫는다.

지나치게 토하기 때문에 토하는 것을 멎게 하려면 따뜻한 소금 끓인 물을 1-2모금 먹인다.

그러면 곧 낫는다[입문].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可吐證][불가토증]   (0) 2020.04.29
[可吐證][가토증]   (0) 2020.04.29
[助吐法][조토법]   (0) 2020.04.29
[取吐法][취토법]   (0) 2020.04.28
[吐藥][토약]   (0) 2020.04.28

[助吐法][조토법] 
服吐藥 療痰者 以叙股 或雞翎 探引 若不出 以虀汁投之,

不吐 再投, 且投且探, 無不出者 吐至昏眩 愼勿驚疑

書曰 若藥不瞑眩 厥疾不瘳 如發頭眩 可飮氷水 立解 如無氷水

新汲水 亦可 强者 一二吐而安 弱者 可作三次吐之 庶無損也

吐之次日有頓復者 有轉甚者 盖引之而上未平也

數日當再爲之 如覺渴者 氷水 新水 瓜 梨 凉物 皆不禁 惟禁食過飽 硬物 乾脯 難化之物(子和).
토하게 하는 약을 먹여서 담을 치료할 때에는 약을 먹인 다음

비녀나 닭의 깃(谿翎) 같은 것을 목구멍에 넣고 자극해 주어 토(吐)하게 해야 한다.

그래도 토하지 못하면 김칫국물( 汁)을 먹여야 한다.

그래도 토하지 못하면 또 약을 먹인 다음

다시 비녀나 닭의 깃을 목구멍에 넣고 자극해 주면 토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

토하게 하여 정신을 차리지 못하거나 어지러워해도 놀라거나 의심스러워할 것은 없다.

서전에 “만일 약을 먹은 다음에도 머리가 어지럽지 않으면 병이 낫지 않는다”고 씌어 있다.

머리가 어지러운 것은 얼음물을 마시면 곧 풀린다.

만일 얼음물이 없으면 새로 길어온 물도 좋다.

든든한 사람은 한두번에 다 토하게 해도 편안하나

약한 사람은 세번에 다 토하게 해야 해롭지 않다.

토한 다음 날 이내 병이 도지는 것도 있고 더 심해지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토하게 해서 고르지[平] 못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며칠 지나서 다시 토하게 해야 한다.

그 다음 만일 갈증이 나면 얼음물이나 새로 길어온 물이나

오이나 배, 찬 음식을 다 금하지 말고 먹어도 된다.

그러나 오직 딴딴한 음식, 건포(乾脯)와 같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은

지나치게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자화].
凡服吐藥 不須盡劑 服藥後約人行十里 未吐 以溫茶一鍾 入香油數點 投之

良久以鵝翎探喉中 徐徐牽引 得吐卽止 未吐 則再投藥 以吐爲度(丹心).
토하게 하는 약을 쓴 다음 1시간이 지나도록 토하지 않으면 따뜻한 차 1잔에

참기름을 몇 방울 넣고서 먹고 한참 있다가 목구멍에 거위깃을 넣고 자극해서 토해야 한다.

토한 다음에는 약을 곧 그만두어야 한다.

그러나 토하지 않으면 다시 먹는데 토할 때까지 쓴다[단심].
服藥如不吐 含砂糖一塊 涎出不損人 皆自吐之法 不用手探也(入門).
토하게 하는 약을 먹어도 토하지 않을 때에는 사탕 1덩어리를 입에 머금고 있으면

담연(痰涎)이 나오는데 해롭지 않다.

이것은 저절로 토하게 하는 방법 즉 손을 대지 않고 토하게 하는 것이다[입문].
凡用瓜蔕 良久涎未出 含砂糖一塊 下咽 卽涎出 吐之(仲景).
참외꼭지(과체)를 쓴 다음 한참 있어도 담연(痰涎)이 나오지 않을 때는

사탕 1덩어리를 입에 머금고 있으면 그 물이 목구멍을 넘어가서 담연을 토하게 된다[중경].
如服藥不吐 熱虀水投之 卽吐(丹心).
토하게 하는 약을 먹은 다음에도 토하지 못할 때

김칫국물을 뜨겁게 하여 먹으면 곧 토한다[단심].
虛人宜少吐 如藥力過時不吐者 飮熱湯一升 以助藥力 若服藥過多者 飮水解之(活人).
허약한 사람은 적게 토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일 토하게 하는 약을 먹은 다음 토해야 할 시간이 지나서도 토하지 않으면

끓인 물 1되를 먹어서 약 기운을 도와주어야 한다.

약을 지나치게 먹었을 때에는 물을 마시면 된다[활인].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可吐證][가토증]   (0) 2020.04.29
[灌鼻法][관비법]   (0) 2020.04.29
[取吐法][취토법]   (0) 2020.04.28
[吐藥][토약]   (0) 2020.04.28
[涌劑難用][용제난용]   (0) 2020.04.28

[取吐法][취토법]
須天氣淸明 行之 病急則不拘此法 吐時 宜辰卯 二時
內經曰 平旦至日中 天之陽 陽中之陽也.
仲景大法 春宜吐 是天氣在上 人氣亦在上 一日之氣 辰 卯 是其候也

故宜早 不宜夜 先令病人隔.夜不食 (丹心). 
날씨가 맑을 때에만 반드시 이 방법을 써야 한다.

그러나 병이 급하면 아무 때나 써도 좋은데 오전 7-9시 혹은 새벽 5-7시에 하는 것이 좋다.

내경에 “이른 아침부터 한낮까지는 천기[天]가 양(陽)에 속하는데

양 가운데 양이다”고 씌어 있다.

중경에 “중요한 방법에 봄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고 씌어 있다.

그것은 이때에 자연의 기[天氣]도 위[上]에 있고 사람의 기[人氣]도 위[上]에 있기 때문이다. 하루 날씨에서는 오전 7-9시와 새벽 5-7시까지가 바로 이때이다.

그러니 이른 아침에 토하게 하는 것이 좋고 밤에는 좋지 않다.

그리고 먼저 토하게 하려는 전날 저녁부터 음식을 먹지 않게 해야 한다[단심].
凡吐時 先以布繫腰腹 於無風處 空心 或半空心時 得天氣淸朗爲好.
如風痰急病 及傷食者 不拘此例 以吐爲度(入門).
토하게 할 때에는 빈속이나 끼니 사이에 긴 천으로 허리와 배를 돌려매 준 다음

바람이 없는 곳에서 날씨가 맑은가를 보고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풍담(風痰)이나 급한 병이나 음식에 상(傷)하였을 때는

이에 구애되지 말고 아무 때나 토하게 해도 된다[입문].
凡吐時 能令人目翻 吐時令閉雙目 或不省人事 則令人以水 密掩之爲可(得效).
대체로 토할 때에는 눈을 치뜨기 쉬우므로 반드시 양쪽 눈을 다 감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사람이면 다른 사람을 시켜서

양쪽 눈을 꼭 가려 주게 해야 한다[득효].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灌鼻法][관비법]   (0) 2020.04.29
[助吐法][조토법]   (0) 2020.04.29
[吐藥][토약]   (0) 2020.04.28
[涌劑難用][용제난용]   (0) 2020.04.28
[病在上宜][병재상의]   (0) 2020.04.28

[吐藥][토약]
宜用瓜蔕散 獨聖散 稀涎散 豆參散 三聖散 二仙散 靑黛散 二神散 三仙散

四苓散 五玄散 六應散 不臥散 撓膈湯 梔豉湯 黎蘆散 雄黃散. 
과체산, 독성산, 희연산, 두삼산, 삼성산, 이선산, 청대산, 이신산, 삼선산,

사령산, 오현산, 육응산, 불와산, 요격탕, 치시탕, 여로산, 웅황산 등이다.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助吐法][조토법]   (0) 2020.04.29
[取吐法][취토법]   (0) 2020.04.28
[涌劑難用][용제난용]   (0) 2020.04.28
[病在上宜][병재상의]   (0) 2020.04.28
[吐乃古法][토내고법]  (0) 2018.02.24

[涌劑難用][용제난용]
涌 謂吐也 三法中 惟涌劑 爲難用 汗下則一定法也

丹溪先生 特註吐爲詳者 恐人不深造其理 徒蒼皇顚倒 反有害於病者耳(丹心)
용(涌)이란 것은 토하게 한다는 것이다.

3가지 약쓰는 방법에서 오직 용토제를 쓰는 방법만이 어렵다.

땀을 내거나 설사시키는 데는 일정한 방법이 있다. 그

래서 단계(丹溪)가 토하기에 대한 주해를 특별히 써 놓았다.

그것은 사람들이 그 이치를 잘 알지 못하여 어떻게 할지 몰라하다가 잘못 토하게 하여

오히려 병을 치료한다는 것이 해를 입게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단심].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取吐法][취토법]   (0) 2020.04.28
[吐藥][토약]   (0) 2020.04.28
[病在上宜][병재상의]   (0) 2020.04.28
[吐乃古法][토내고법]  (0) 2018.02.24
[春宜吐][춘의토]  (0) 2017.07.15

[病在上宜][병재상의]
內經曰 其高者 因而越之 越 謂吐也.
내경에 “위[高]에 있는 병은 끌어올려 넘기라”고 씌어 있다.
넘긴다는 것은 토하게 한다는 것이다.

'[雜病篇] > [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取吐法][취토법]   (0) 2020.04.28
[吐藥][토약]   (0) 2020.04.28
[涌劑難用][용제난용]   (0) 2020.04.28
[吐乃古法][토내고법]  (0) 2018.02.24
[春宜吐][춘의토]  (0) 2017.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