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補唇舌方][보순설방 / 입술과 혀를 보하는 처방]
用鮮蟹燒灰, 每二錢, 同乳香沒藥各二錢半, 塗之, 卽生肉.

如多, 去唇舌.

用川烏草烏爲末, 攤紙一條, 以涼水調合貼之, 卽不覺疼, 可用刀取.

如流血, 以陳石灰塗之, 卽止.

愈後舌硬, 用白雞冠血點之, 卽軟[醫鑑].  
신선한 게를 태운 재 두 돈에 유향과 몰약 두 돈 반씩을 넣어 함께 개서 붙이면 살이 돋는다.

만약 살이 너무 돋아나면 입술이나 혀의 군더더기 살을 잘라낸다.

천오와 초오를 가루내어 찬물에 개서 종이에 발라 혀에 붙이면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데,

이때 칼로 도려낸다.

피가 계속 흐르면 오래된 석회를 발라주면 곧 멎는다.

다친 것이 나은 후 혀가 뻣뻣하면

흰 닭의 볏에서 피를 내어 찍어 바르면 바로 부드러워진다(의감).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舌斷方][보설단방]   (0) 2020.02.09
[諸蟲入口][제충입구]   (0) 2020.02.09
[酒客喉舌生瘡][주객후설생창]   (0) 2020.02.09
[化毒法][화독법]  (0) 2020.02.09
[濯足法][탁족법]   (0) 2020.02.09

[補舌斷方][보설단방 / 혀가 끊어진 것을 붙이는 방법]
治大人小兒, 偶含刀在口, 割斷舌頭, 已垂落而未斷.

用雞子白軟皮, 袋了舌頭, 用破血丹蜜調, 塗舌根, 斷血.

却以蜜調蠟, 稀稠得所敷在雞子皮上. 盖性軟能透藥性故也.

常勤添敷三日, 舌接住, 方去雞子皮, 只用蜜蠟勤敷七日, 全安[醫林].  

어른이나 어린아이가 우연히 칼을 입에 물어

혀끝을 베어 끊어져 늘어졌지만 완전히 잘라지지는 않은 것을 치료한다.

달걀의 하얗고 부드러운 속껍질로 혀끝을 자루처럼 씌운 다음

파혈단을 꿀에 개어 혀뿌리에 바르면 피가 멎는다.

그런 다음 바로 달걀 속껍질 위에 달라붙을 정도의 농도로 꿀에 밀랍을 개어

달걀 속껍질을 씌운 혀 위에 바른다.

이는 얇고 부드러운 성질이 약성을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달걀 속껍질을 쓴 것이다.

부지런히 3일 동안 약을 발라 혀가 붙으면

달걀 속껍질을 벗겨내고 밀랍만 7일 동안 붙이면 완전히 낫는다(의림).  

自行被跌仆穿斷舌心, 血出不止, 以鵝翎蘸米醋, 頻刷斷處,

其血卽止, 仍用 蒲黃, 杏仁, 鵬砂少許, 爲末, 蜜調成膏, 噙化而安[入門].

걷다가 넘어져서 혀 가운데가 뚫리거나 잘려 피가 멎지 않을 때는

거위의 깃에 쌀로 만든 식초를 묻혀 상처를 자주 씻어준다.

피가 바로 멎게 되는데 그러면 곧 포황, 행인, 붕사를 조금씩 가루내어

꿀에 개서 고약을 만들어 이 고약을 입에 머금어 녹여 먹으면 낫는다(입문).

治舌頭被人咬去, 取諸瘡門治下疳瘡藥,

先以乳香沒藥煎水噙口中, 止痛後, 抹上藥, 卽長全有效,

卽 黑鈆, 水銀, 寒水石, 輕粉, 鵬砂, 五味方也[回春]

혀끝을 다른 사람이 깨물어 떨어지면 제창문의 하감창 치료하는 약을 쓴다.

먼저 유향과 몰약 달인 물을 입에 머금어 통증을 멈추게 한 후

다음의 약을 바르면 확실히 효과가 있는데,

이 약은 흑연, 수은, 한수석, 경분, 붕사 다섯 가지로 이루어진 처방이다(회춘).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唇舌方][보순설방]   (0) 2020.02.09
[諸蟲入口][제충입구]   (0) 2020.02.09
[酒客喉舌生瘡][주객후설생창]   (0) 2020.02.09
[化毒法][화독법]  (0) 2020.02.09
[濯足法][탁족법]   (0) 2020.02.09

[諸蟲入口][제충입구]
詳見救急.
구급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唇舌方][보순설방]   (0) 2020.02.09
[補舌斷方][보설단방]   (0) 2020.02.09
[酒客喉舌生瘡][주객후설생창]   (0) 2020.02.09
[化毒法][화독법]  (0) 2020.02.09
[濯足法][탁족법]   (0) 2020.02.09

[酒客喉舌生瘡][주객후설생창]
詳見內傷.
내상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舌斷方][보설단방]   (0) 2020.02.09
[諸蟲入口][제충입구]   (0) 2020.02.09
[化毒法][화독법]  (0) 2020.02.09
[濯足法][탁족법]   (0) 2020.02.09
[口舌瘡外治法][구설창외치법]   (0) 2020.02.09

[化毒法][화독법]  
凡口瘡無問新久,

夜臥將自已兩丸, 以手左右交揉三五十遍, 睡覺行之, 三五度, 便差[東垣].
입이 헌 지 얼마가 됐든지에 관계없이

자기 전에 자신의 음낭을 왼손과 오른손을 교대로 30~50번씩 주무르고

잠이 깰 때마다 다시 하는데 이렇게 세 번에서 다섯 번하면 낫는다(동원).  

[濯足法][탁족법]
治下虛上壅, 口舌生瘡.
白礬 二三兩.
爲末, 用熱湯化.

以浸足半日, 卽效[丹心]
아래는 허하고 위는 막혀 입 안과 혀가 허는 것을 치료한다.
백반 두석 냥.
위의 약을 가루내어 뜨거운 물에 녹인다.
이 물에 발을 반나절 동안 담그고 있으면 바로 효과가 있다(단심).

[口舌瘡外治法][구설창외치법]
宜茱萸散, 如聖散, 濯足法, 化毒法.
수유산, 여성산, 탁족법, 화독법 등을 쓴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毒法][화독법]  (0) 2020.02.09
[濯足法][탁족법]   (0) 2020.02.09
[口舌瘡糝付藥][구설창삼부약]   (0) 2020.02.09
[小兒口舌病][소아구설병]   (0) 2020.02.09
[視唇舌占病][시진설점병]   (0) 2020.02.09

[口舌瘡糝付藥][구설창삼부약]   
宜赴宴散, 兼金散, 黃白散, 綠袍散, 碧雪, 換金散, 龍石散, 乳香散, 沒藥散, 靑金散.
부연산, 겸금산, 황백산, 녹포산, 벽설, 환금산, 용석산, 유향산, 몰약산, 청금산 등을 쓴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濯足法][탁족법]   (0) 2020.02.09
[口舌瘡外治法][구설창외치법]   (0) 2020.02.09
[小兒口舌病][소아구설병]   (0) 2020.02.09
[視唇舌占病][시진설점병]   (0) 2020.02.09
[口噤不開][[구금불개]   (0) 2020.02.09

[小兒口舌病][소아구설병]
小兒口瘡難用藥, 以大南星,

取中心龍眼大, 爲末, 醋調, 塗兒脚心, 甚妙[綱目].
소아가 입 안이 헐어서 약을 쓰기가 어려우면 남성(큰 것)의 한가운데에서

용안의 열매 크기만큼 떼어내 가루내어 식초에 갠 다음

아의 발바닥 한가운데에 붙이면 아주 잘 낫는다(강목).
白礬或吳茱萸爲末, 醋調, 塗脚心, 亦效[綱目].
백반이나 오수유를 가루내어 식초에 갠 다음

발바닥 한가운데에 붙여도 효과가 있다(강목).
小兒口瘡, 黃柏靑黛等分, 片腦少許, 爲末, 竹瀝調, 付之[入門].
소아의 입이 헌데에는 황백과 청대를 같은 양으로 하여

여기에 편뇌를 조금 넣어서 가루낸 다음 죽력에 개어 붙인다(입문).
乳母, 宜服瀉心湯 方見五藏, 凉膈散 方見火門.
젖을 먹이는 이는

사심탕(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이나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먹는다.
小兒口瘡, 薄荷汁, 拭口內, 西瓜水, 徐徐飮之[入門].
소아의 입이 헌데에는 박하즙으로 입 안을 닦고 수박 물을 천천히 먹인다(입문).
巴豆肉一粒擣爛, 黃丹少許, 和揑作餠, 外用紙護, 貼眉心, 半刻許去之, 立效[丹心].
파두육 한 알을 잘 찧어서 황단을 조금 넣고 반죽하여 떡을 만든다.

이것을 종이에 싸서 미간에 붙인 후 반각 정도 지나면 효과가 바로 있다(단심).  
重舌木舌, 依上法治之.
중설이나 목설도 위와 같이 치료한다.
小兒弄舌者, 脾藏有微熱, 令舌絡微緊, 故時時舒舌出也.

瀉黃散 方見五藏 徐徐服之.

若大病後弄舌者, 凶[錢乙]
소아가 혀를 날름거리는 것[弄舌]은 비장(脾臟)에 미열이 있어

혀의 낙맥이 약간 팽팽해졌기 때문에 자주 혀를 날름거리는 것이다.

사황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을 천천히 먹인다.

큰 병을 앓고 난 후에 혀를 날름거리면 예후가 좋지 않다(전을).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舌瘡外治法][구설창외치법]   (0) 2020.02.09
[口舌瘡糝付藥][구설창삼부약]   (0) 2020.02.09
[視唇舌占病][시진설점병]   (0) 2020.02.09
[口噤不開][[구금불개]   (0) 2020.02.09
[口流涎][구류연]   (0) 2020.02.09

[視唇舌占病][시진설점병]  
脾肺病久, 則虛而唇白.

脾者, 肺之母, 母子皆虛, 不能相營, 故名曰怯.

脾主唇, 唇白而光澤者吉, 白如枯骨者死[錢乙].
비(脾)와 폐(肺)의 병이 오래되면 허해져 입술이 창백하다.

비[土]는 폐[金]의 어미[母]로, 어미와 자식이 모두 허하면

서로 도와주지 못하므로 이를 '겁'이라고 하였다.

비는 입술을 주관하는데, 입술이 하얗고 윤택이 있으면

예후가 좋고 마른 뼈같이 희면 죽는다(전을).
血氣虛怯爲冷所乘, 則唇靑, 又額黑唇靑, 爲寒[錢乙].
혈기가 허한 틈을 타 찬 기운이 침입하면 입술이 퍼레지고,

이마가 검고 입술이 퍼레지는 것은 한(寒) 때문이다(전을).
足太陰氣絶則唇反, 唇反者死.

唇者肉之本, 唇反者肉先死也[靈樞].
족태음경의 기가 끊어지면 입술이 뒤집어지고 입술이 뒤집어지면 죽는다.
입술은 살[肉]의 근본이므로 입술이 뒤집어지는 것은 살이 먼저 죽은 것이다(영추).
舌卷而短, 若唇靑卵縮者, 必死, 肝絶故也[綱目].
혀가 말려 오그라들었는데 입술이 퍼레지고 음낭이 오그라들면 반드시 죽는다.

그것은 간의 기가 끊어졌기 때문이다(강목).
傷寒熱病, 口如魚口, 不能復閉, 而氣出多, 不反者, 死[扁鵲].
상한열병에 입이 물고기 입처럼 되어 다시 다물 수가 없으면

숨을 내쉬기만 하고 들이마실 수 없게 되어 죽는다(편작).
病人口張者, 三日死[扁鵲].
환자의 입이 벌어져 있으면 3일 만에 죽는다(편작).
病人唇反, 人中滿者, 死[扁鵲].
환자의 입술이 뒤집어지고 인중이 부어 편평해지면 죽는다(편작).
舌本爛, 熱不止者, 逆[得效].
혀뿌리가 문드러지고 열이 내리지 않으면 역증(逆症)이다(득효).
唇口俱腫赤者, 是熱極也.

唇口俱靑黑者, 寒極也[回春].
입술과 입이 벌겋게 붓는 것은 열이 극심한 것이고,

입술과 입이 검푸른 것은 한(寒)이 극심한 것이다(회춘).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舌瘡糝付藥][구설창삼부약]   (0) 2020.02.09
[小兒口舌病][소아구설병]   (0) 2020.02.09
[口噤不開][[구금불개]   (0) 2020.02.09
[口流涎][구류연]   (0) 2020.02.09
[自囓舌頰][자설설협]   (0) 2020.0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