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噤不開][[구금불개]
詳見風門.
풍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兒口舌病][소아구설병]   (0) 2020.02.09
[視唇舌占病][시진설점병]   (0) 2020.02.09
[口流涎][구류연]   (0) 2020.02.09
[自囓舌頰][자설설협]   (0) 2020.02.09
[失欠脫頷][실흠탈함]   (0) 2020.02.09

[口流涎][구류연]
詳見津液門.
진액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視唇舌占病][시진설점병]   (0) 2020.02.09
[口噤不開][[구금불개]   (0) 2020.02.09
[自囓舌頰][자설설협]   (0) 2020.02.09
[失欠脫頷][실흠탈함]   (0) 2020.02.09
[口舌寸數][구설촌수]   (0) 2020.02.09

[自囓舌頰][자설설협]  
靈樞曰, 帝問, 人之自囓舌者, 何氣使然.

岐伯曰, 此厥逆走上, 脈氣皆至也.

少陰氣至則囓舌, 少陽氣至則囓頰, 陽明氣至則囓唇.
영추에서는 "황제가 '사람이 스스로 자기 혀를 깨무는 것은

어떤 기(氣) 때문에 그러한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이것은 기가 거꾸로 치밀어올라 각 경맥의 기가 깨무는 부위에 이르기 때문이다.
소음의 기가 이르면 혀를 깨물고, 소양의 기가 이르면 뺨을 깨물고,

양명의 기가 이르면 입술을 깨문다'고 대답하였다"고 하였다.
神聖復氣湯 方見胸部, 治咬頰咬唇咬舌, 舌根强硬, 如神[東垣].
신성복기탕(처방은 흉문에 있다)은 뺨이나 입술,

혀를 깨물고 혀뿌리가 뻣뻣해진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아주 좋다(동원).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噤不開][[구금불개]   (0) 2020.02.09
[口流涎][구류연]   (0) 2020.02.09
[失欠脫頷][실흠탈함]   (0) 2020.02.09
[口舌寸數][구설촌수]   (0) 2020.02.09
[舌生芒刺][설생망자]   (0) 2020.02.09

[失欠脫頷][실흠탈함]
凡欠伸頰車蹉跌, 但開不能合,

以酒飮令大醉, 睡中吹皂角末, 搐其鼻, 令嚏, 卽自正[三因].

하품을 하다 턱이 어긋나서 벌리기만 하고 다물지 못할 때는

술을 많이 마시게 하여 크게 취하게 한 다음 잠들었을 때

조각가루를 코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시키면 저절로 바로 잡힌다(삼인). 

因欠輔車蹉, 不得張口,

一人以兩手牽其頤, 以漸推之, 則復入矣.

當疾出其指, 恐咬傷[得效].

하품을 하다 턱이 빠져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할 때는

다른 사람이 두 손으로 턱을 잡아당겨 살살 밀어 넣으면 다시 들어간다.

그때 손가락을 빨리 빼 물리지 않도록 한다(득효).

輔車開不可合,

南星爲末, 薑汁調, 付以帛縛, 合一宿而愈. 去風也[得效].

턱이 벌어져 다물지 못하면

남성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개서 턱에 붙인 다음 천으로 묶는데 하룻밤이 지나면 낫는다.

이는 풍을 없앤 것이다(득효).

頷骨脫, 令患人坐定, 用手, 揉臉百十遍, 將患人口張開,

用兩大拇指, 入患人口內, 拿定牙, 外用兩手指將下頷往上兜, 卽入口正矣[醫林].

턱뼈가 빠지면 환자를 똑바로 앉히고 뺨을 손으로 110번 문지른 다음

환자의 입을 크게 벌려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환자 입 안으로 넣어서 이를 잡고,

바깥에서는 나머지 손가락으로 아래턱을 감싸서 위로 밀어 넣으면

턱이 들어가 입이 바로 잡힌다(의림).  

治人呵欠口不能開, 及卒然牙關緊急, 水不能入, 以致不救.

卽取鹽梅二箇, 取肉擦牙, 卽當口開.

若不能合, 再用鹽梅肉, 擦兩牙注, 候開合當止. 却服治風藥[十三方].   

하품을 하다가 입을 벌릴 수 없게 되거나

갑자기 아관긴급이 되면 물도 넣을 수 없어 치료할 수 없게 된다.

즉시 소금물에 절인 매실 두 개의 살을 발라 이를 문지르면 입이 벌어진다.

만약 다시 다물지 못하면 다시 한 번 소금물에 절인 매실의 살로 위아래 이를 문지르는데,

입이 잘 벌어졌다 다물어졌다 하면 그만두어야 한다.

바로 풍을 다스리는 약을 먹는다(십삼방).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流涎][구류연]   (0) 2020.02.09
[自囓舌頰][자설설협]   (0) 2020.02.09
[口舌寸數][구설촌수]   (0) 2020.02.09
[舌生芒刺][설생망자]   (0) 2020.02.09
[擦舌法][찰설법]   (0) 2020.02.09

[口舌寸數][구설촌수]
唇至齒, 長九分, 口廣二寸半, 齒以後至會厭, 深三寸半,

大容五合, 舌重十兩, 長七寸, 廣二寸半[靈樞].
입술에서 이[齒]까지의 길이는 아홉 푼, 입의 너비는 두 치 반,

이에서 회염(會厭)까지의 깊이는 세 치 반,

입에 머금을 수 있는 양은 닷 홉, 혀의 무게는 열 냥,

혀의 길이는 일곱 치, 혀의 너비는 두 치 반이다(영추).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自囓舌頰][자설설협]   (0) 2020.02.09
[失欠脫頷][실흠탈함]   (0) 2020.02.09
[舌生芒刺][설생망자]   (0) 2020.02.09
[擦舌法][찰설법]   (0) 2020.02.09
[舌上生胎][설상생태]   (0) 2020.02.09

[舌生芒刺][설생망자]
舌生芒刺, 結熱甚也[入門].
혀에 가시 같은 혓바늘이 돋는 것은 열이 심하게 뭉친 것이다(입문).
舌生紅粟, 紫雪 方見火門 和竹瀝, 塗之[入門].
혓바늘이 붉은 좁쌀처럼 생긴 것에는 자설(처방은 화문에)과 죽력을 섞어 바른다(입문).
勞心舌生瘡菌, 宜琥珀犀角膏 方見上.
마음을 너무 써서 혀가 헌데에는 호박서각고(처방은 앞에 있다)를 쓴다.
脾熱, 舌胎乾澁如雪, 宜薄荷蜜冰蘗丸[入門].
비(脾)에 열이 있어 혀에 흰눈 같은 태가 낀 것이 마르면서 까칠까칠한 데는

박하밀이나 빙벽환을 쓴다(입문).
舌燥澁, 如楊梅刺者,

生薑切厚片, 蘸蜜於舌上揩之, 其刺立消, 神效[東垣].
혀가 마르고 까칠까칠하면서 소귀나무의 가시 같은 혓바늘이 돋으면

생강을 두껍게 썰어 꿀을 묻혀서 혀를 닦는다.

혓바늘이 금방 없어질 정도로 효과가 좋다(동원).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失欠脫頷][실흠탈함]   (0) 2020.02.09
[口舌寸數][구설촌수]   (0) 2020.02.09
[擦舌法][찰설법]   (0) 2020.02.09
[舌上生胎][설상생태]   (0) 2020.02.09
[舌長舌短][설장설단]   (0) 2020.02.09

[擦舌法][찰설법]
舌胎白而滑, 生薑蘸蜜, 擦之, 或以生薑蜜水洗之.

若舌胎黃赤燥澁者, 取新靑布, 裹指蘸冷水, 頻頻擦之.

輕者, 易脫, 重者, 難脫, 必須大下之.

津液還, 而胎自退矣[入門].
설태가 하얗고 매끄러운 것은

생강에 꿀을 묻혀 혀를 문지르거나 생강을 꿀에 재워서 생긴 물로 씻는다.

만약 설태가 누렇고 붉으며 마르고 거친 것은

새로 쪽물을 들인 헝겊을 손가락에 감고 찬물을 적셔 자주 문질러준다.

심하지 않으면 쉽게 벗겨지지만 심하면 잘 벗겨지지 않으므로 반드시 크게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면 진액이 돌아와 설태가 저절로 벗겨진다(입문).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舌寸數][구설촌수]   (0) 2020.02.09
[舌生芒刺][설생망자]   (0) 2020.02.09
[舌上生胎][설상생태]   (0) 2020.02.09
[舌長舌短][설장설단]   (0) 2020.02.09
[舌衄][설뉵]   (0) 2020.02.09

[舌上生胎][설상생태]
舌者, 心之官, 法應南方火, 本紅而澤.

傷寒邪氣在表者, 舌卽無胎, 及邪氣傳裏, 津液結搏, 則舌上生胎矣[明理].
혀는 심(心)의 일을 맡아보는 곳으로, 남쪽 화(火)를 본받아 원래의 색이 붉고 윤택하다.

상한의 사기가 겉[表]에 있으면 설태가 끼지 않지만 사기가 속으로 들어가

진액이 움직이지 못하면 혀 위에 태가 생긴다(명리).
舌上胎滑者, 以丹田有熱, 胸中有寒, 邪氣初傳入裏也[仲景].
설태가 매끄러운[滑] 것은 단전(丹田)에 열이 있고 가슴에 한기가 있기 때문인데

이것은 사기가 처음부터 속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중경).
寒變爲熱, 則舌上之胎, 不滑而澁, 是熱耗津液, 而滑者已乾也.

若熱聚於胃, 則爲之舌黃. 金匱曰, 舌黃者, 下之, 黃自去.

若舌上黑色者, 又爲熱之極也.

靈樞曰, 熱病, 口乾舌黑者, 死.

心開竅於舌, 黑爲腎色, 水火相刑, 故知必死[明理].
한(寒)이 변하여 열이 되면 설태가 매끄럽지 않고 거칠다[澁].

이것은 열이 진액을 말리고 있는 것인데 설태가 거칠지 않고 매끄러운 것은

이미 진액이 말라버린 것이다.

만약 열이 위(胃)로 몰리면 혀에 누런 태가 끼는데

금궤요략에서는 "누렇게 설태가 낀 것은 설사시키면 저절로 없어진다.

만약 검게 설태가 낀 것은 열이 매우 심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영추에서는 "열병이 있는데 입이 마르고 혀가 검으면 죽는다.

심은 혀에 구멍을 여는데, 검은색은 신(腎)의 색이다.

따라서 심의 기관인 혀에 신의 검은색이 나타난 것은

수(水)와 화(火)가 서로를 죽이는 것이므로 반드시 죽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명리).
腎虛有火, 是爲無根虛火, 舌色淡黑一二點, 用補腎降火之藥[入門].
신이 허하여 생긴 화는 뿌리가 없는 허화[無根虛火]로 혀에 연한 검은색이 한두 점 생기는데,

신을 보하고[補腎] 화를 내리는[降火] 약을 쓴다(입문).
舌胎, 用擦舌法.
설태가 끼면 혀를 문지르는 방법[擦舌法]을 쓴다.
凡舌黑, 俱系危證, 惟冷而滑如淡墨然者, 乃無根之火也[入門].
일반적으로 혀가 검은 것은 모두 위험한 증상인데,

혀가 차고 설태가 매끄러운 것이 연한 먹물 같은 빛이 나는 것은

뿌리가 없는 허화로 생긴 것이다(입문).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舌生芒刺][설생망자]   (0) 2020.02.09
[擦舌法][찰설법]   (0) 2020.02.09
[舌長舌短][설장설단]   (0) 2020.02.09
[舌衄][설뉵]   (0) 2020.02.09
[木舌][목설]  (0) 2020.02.09

[舌長舌短][설장설단]  
舌吐不收, 名曰陽强, 舌縮不能言, 名曰陰强[醫鑑].
혀가 나와서 거둬들이지 못하는 것을 양강(陽强)이라 하고,

혀가 오그라들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음강(陰强)이라고 한다(의감).
傷寒熱病後, 犯房得病, 名曰陰陽易, 舌出數寸而死[仲景].
상한열병을 앓고 난 후 성교를 하여 생긴 병을 음양역(陰陽易)이라고 하는데,

혀가 몇 치 정도 나오면 죽는다(중경).
傷寒熱病後, 舌出寸餘, 累日不收,

以片腦爲末, 糝舌上, 應手而縮, 須用五錢, 方愈[醫說].
상한열병을 앓고 난 후 혀가 몇 치 남짓 나와 수일이 지나도 들어가지 않을 때는

편뇌를 가루내어 손으로 혀 위에 바르면 바르는 대로 들어가는데, 닷 돈 정도 써야 낫는다(의설).
一婦, 因產子, 舌出不能收,

周眞見之, 以朱砂傅其舌, 令作產子狀, 以兩女扶掖之,

乃于壁外置瓦盆, 墮地作聲, 聲聞而舌收矣[入門].
한 부인이 아이를 낳은 후 혀가 나와 들어가지 않았다.

주진이 이를 보고서 주사를 혀에 바르고 아이 낳는 자세를 취하게 한 후

두 여자에게 부축하게 하였다.

그리고 방 밖에서 도자기로 만든 그릇을 땅에 떨어뜨려 소리나게 하였는데

그 소리를 듣고 혀가 들어갔다(입문).
足厥陰氣絶, 則舌卷而短.

厥陰者, 肝也, 肝主筋, 聚于陰器, 而絡于舌本.

故肝絶, 則舌卷卵縮[靈樞].
족궐음경의 기(氣)가 끊어지면 혀가 말리고 오그라든다.

궐음경은 간(肝)으로, 간은 힘줄[筋]을 주관하여 성기에 모이고

그 경락은 혀뿌리를 얽어매고[絡] 있다.

따라서 간의 기가 끊어지면 혀가 말리고 음낭이 오그라든다(영추).
舌者, 心之官, 心病者, 舌卷而短[靈樞].

혀는 심(心)의 일을 맡아보는 곳으로, 심에 병이 들면 혀가 말려서 오그라든다(영추).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擦舌法][찰설법]   (0) 2020.02.09
[舌上生胎][설상생태]   (0) 2020.02.09
[舌衄][설뉵]   (0) 2020.02.09
[木舌][목설]  (0) 2020.02.09
[重舌擦法][중설찰법]   (0) 2020.02.09

[舌衄][설뉵]
詳見血門.
혈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舌上生胎][설상생태]   (0) 2020.02.09
[舌長舌短][설장설단]   (0) 2020.02.09
[木舌][목설]  (0) 2020.02.09
[重舌擦法][중설찰법]   (0) 2020.02.09
[重舌][중설]   (0) 2020.0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