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重舌][중설]
附舌根, 而重生小舌, 謂之重舌.

鍼刺去惡血, 卽愈[入門].

혀뿌리에 붙어서 작은 혀처럼 생기는 것을 중설(重舌)이라고 한다.

침으로 찔러 나쁜 피를 빼면 바로 낫는다(입문).  

舌根下生, 形如舌而小, 謂之重舌.

其着頰裏及上, 如此者, 名曰重,

其着齒齦上, 如此者, 名曰重齦,

皆刺之去血, 可也[綱目].

혀뿌리 밑에 작은 혀같이 생기는 것을 중설이라고 한다.

뺨 안쪽이나 입천장에 붙어서 혀와 같이 생긴 것을 '중악(重)'이라 하고,

잇몸에 붙어서 혀와 같이 생긴 것을 '중은(重齦)'이라고 하는데

어느 것이나 찔러서 피를 내면 된다(강목).

重舌者, 心脾熱盛也, 宜靑黛散[入門].

중설은 심비(心脾)에 열이 지나치게 많아서 생기는 것으로 청대산을 쓴다(입문).

舌腫滿口, 不能聲, 飮食不通, 名曰重舌.

蒲黃頻摻患處, 調竹瀝, 尤妙.

黃連煎湯, 頻呷之, 以瀉心火[入門].

혀가 부어서 입 안에 꽉 차 소리를 내지 못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중설이라고 한다.

포황을 아픈 곳에 자주 바르는데, 죽력에 개어 쓰면 더욱 좋다.

황련 달인 물을 자주 머금어서 심화(心火)를 내린다(입문).

黃柏末, 以竹瀝調塗,

又百草霜, 焰硝, 滑石末, 酒調傅之[入門].

황백가루를 죽력에 개어 붙이거나

백초상, 염초, 활석을 가루내어 술에 개어 붙이기도 한다(입문).

重舌, 用如聖勝金錠 方見咽喉, 以開關竅[得效].

중설에는 여성승금정(처방은 인후문에 있다)으로 막힌 구멍을 열어준다(득효).

重舌, 紫雪 方見火門 和竹瀝塗之, 嚥其汁[綱目]

중설에는 자설(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죽력에 섞어 바르고 그 즙을 마신다(강목).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舌][목설]  (0) 2020.02.09
[重舌擦法][중설찰법]   (0) 2020.02.09
[舌腫][설종]  (0) 2020.02.09
[蠒唇][견순]   (0) 2020.02.09
[唇腫唇瘡][순종순창]   (0) 2020.0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