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舌][목설]
與舌腫, 同治.
설종(舌腫)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한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舌長舌短][설장설단] (0) | 2020.02.09 |
---|---|
[舌衄][설뉵] (0) | 2020.02.09 |
[重舌擦法][중설찰법] (0) | 2020.02.09 |
[重舌][중설] (0) | 2020.02.09 |
[舌腫][설종] (0) | 2020.02.09 |
[木舌][목설]
與舌腫, 同治.
설종(舌腫)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한다.
[舌長舌短][설장설단] (0) | 2020.02.09 |
---|---|
[舌衄][설뉵] (0) | 2020.02.09 |
[重舌擦法][중설찰법] (0) | 2020.02.09 |
[重舌][중설] (0) | 2020.02.09 |
[舌腫][설종] (0) | 2020.02.09 |
[重舌擦法][중설찰법]
重舌極證, 用指去爪, 先於舌下筋上擦至根, 漸深深擦入, 如此三次.
又用指蘸水, 取項後燕窠小坑中筋, 自上赶下至小屈, 深深擦入, 亦三次.
小兒, 若飮乳勝前, 則病去矣[得效].
중설이 매우 심하면 손톱을 짧게 깎은 손가락으로 먼저
혀 밑의 힘줄을 뿌리 쪽으로 문질러 점점 깊이 들어가기를 세 번 한다.
또 손가락에 물을 묻혀 목 뒷덜미의 제비집처럼 오목하게 들어간 곳의 힘줄을
위에서 아래로, 약간 휘어진 곳까지 깊게 문질러 들어가는데 역시 세 번을 한다.
소아가 만약 전보다 젖을 잘 먹게 되면 병이 다 나은 것이다(득효).
[重舌][중설]
附舌根, 而重生小舌, 謂之重舌.
鍼刺去惡血, 卽愈[入門].
혀뿌리에 붙어서 작은 혀처럼 생기는 것을 중설(重舌)이라고 한다.
침으로 찔러 나쁜 피를 빼면 바로 낫는다(입문).
舌根下生, 形如舌而小, 謂之重舌.
其着頰裏及上, 如此者, 名曰重,
其着齒齦上, 如此者, 名曰重齦,
皆刺之去血, 可也[綱目].
혀뿌리 밑에 작은 혀같이 생기는 것을 중설이라고 한다.
뺨 안쪽이나 입천장에 붙어서 혀와 같이 생긴 것을 '중악(重)'이라 하고,
잇몸에 붙어서 혀와 같이 생긴 것을 '중은(重齦)'이라고 하는데
어느 것이나 찔러서 피를 내면 된다(강목).
重舌者, 心脾熱盛也, 宜靑黛散[入門].
중설은 심비(心脾)에 열이 지나치게 많아서 생기는 것으로 청대산을 쓴다(입문).
舌腫滿口, 不能聲, 飮食不通, 名曰重舌.
蒲黃頻摻患處, 調竹瀝, 尤妙.
黃連煎湯, 頻呷之, 以瀉心火[入門].
혀가 부어서 입 안에 꽉 차 소리를 내지 못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중설이라고 한다.
포황을 아픈 곳에 자주 바르는데, 죽력에 개어 쓰면 더욱 좋다.
황련 달인 물을 자주 머금어서 심화(心火)를 내린다(입문).
黃柏末, 以竹瀝調塗,
又百草霜, 焰硝, 滑石末, 酒調傅之[入門].
황백가루를 죽력에 개어 붙이거나
백초상, 염초, 활석을 가루내어 술에 개어 붙이기도 한다(입문).
重舌, 用如聖勝金錠 方見咽喉, 以開關竅[得效].
중설에는 여성승금정(처방은 인후문에 있다)으로 막힌 구멍을 열어준다(득효).
重舌, 紫雪 方見火門 和竹瀝塗之, 嚥其汁[綱目].
중설에는 자설(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죽력에 섞어 바르고 그 즙을 마신다(강목).
[木舌][목설] (0) | 2020.02.09 |
---|---|
[重舌擦法][중설찰법] (0) | 2020.02.09 |
[舌腫][설종] (0) | 2020.02.09 |
[蠒唇][견순] (0) | 2020.02.09 |
[唇腫唇瘡][순종순창] (0) | 2020.02.09 |
[舌腫][설종]
舌腫滿口, 氣不得吐者, 名曰木舌[入門].
혀가 부어 입 안에 꽉 차서 숨을 내쉬지 못하는 것을 목설(木舌)이라고 한다(입문).
木舌, 心脾熱壅也[入門].
목설은 심비(心脾)에 열이 막혀 생기는 것이다(입문).
木舌者, 舌腫麄大, 漸漸腫硬滿口.
不急治, 卽塞, 殺人也[綱目].
목설이란 혀가 부어서 커지는 것인데, 점점 더 붓고 딱딱해져 입 안에 꽉 차게 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목구멍이 막혀서 사람이 죽게 된다(강목).
木舌者, 舌腫硬不和軟也.
百草霜芒硝滑石爲末, 酒調傅之[丹心].
목설이란 혀가 딱딱하게 부어서 부드럽지 않은 것이다.
백초상, 망초, 활석을 가루내어 술에 개어 붙인다(단심).
木舌治法, 用紫雪二錢 方見火門, 竹瀝和勻, 頻抹口中, 自消[綱目].
목설을 치료하는 방법은 자설 두 돈(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죽력에 섞어 자주 입속을 닦아주면 저절로 없어진다(강목).
諸般舌腫脹, 取龍腦破毒散 方見咽喉 半錢,
以指蘸藥擦舌上下, 嚥津下[丹心].
여러 가지 원인으로 혀가 부은 증상에는 용뇌파독산(처방은 인후문에 있다) 반 돈을
손가락으로 찍어서 혀의 위아래에 문지르고 침으로 삼킨다(단심).
一老人, 舌根腫起, 漸至滿口, 勢甚凶.
戴人曰, 血實者, 宜決之, 以鈹鍼日砭八九次出血, 約二三盞, 漸覺腫消痛減.
夫舌者, 心之外候, 心主血, 故血出而愈[子和].
어떤 노인이 혀뿌리가 붓기 시작하여 점점 커져서 입 안에 꽉 차고 그 병세가 아주 나빴다.
장종정이 "혈(血)이 지나치게 차 있으면[實] 터주어야 한다"고 하면서
피침으로 하루에 여덟에서 아홉 번 가볍게 찔러 피를 두세 잔 정도 빼내자
점차 붓기가 사라지면서 통증이 가라앉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혀는 심(心)의 상태를 드러내는 곳[外候]으로,
심은 혈을 다스리므로 피가 나오면서 나은 것이다(자화).
舌腫, 宜黃連湯, 淸熱如聖散, 琥珀犀角膏, 霜鹽散.
혀가 붓는 데는 황련탕, 청열여성산, 호박서각고, 상염산 등을 쓴다.
[重舌擦法][중설찰법] (0) | 2020.02.09 |
---|---|
[重舌][중설] (0) | 2020.02.09 |
[蠒唇][견순] (0) | 2020.02.09 |
[唇腫唇瘡][순종순창] (0) | 2020.02.09 |
[虛火口瘡][허화구창] (0) | 2020.02.09 |
[蠒唇][견순]
口唇緊小, 不能開合, 飮食不得, 不急治則死.
此亦奇病, 名曰 蠒唇, 又曰緊唇, 亦曰瀋唇.
實者, 瀉黃散 方見五藏, 瀉黃飮子,
腫者, 薏苡仁湯 方見上, 兼用黃柏散, 白灰散, 傅之[濟生].
입과 입술이 오므라들어 입을 여닫지 못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데,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죽는다.
이것은 매우 드문 병으로 견순(蠒唇)이라고 하는데,
긴순(緊唇) 또는 심순(瀋唇)이라고도 한다.
실증에는 사황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이나 사황음자를 쓰고,
부은 데는 의이인탕(처방은 앞에 있다)을 쓰는데,
아울러 황백산이나 백회산을 붙인다(제생).
外用, 靑皮燒灰, 猪脂調搽, 仍將靑皮灰末 每一錢, 酒調服之[入門].
바르는 약으로는 청피를 소존성으로 태워 돼지기름에 섞어서 바르고
곧 청피 태운 가루를 한 돈씩 술에 타서 먹는다(입문).
亂髮露蜂房六畜毛燒灰猪脂調搽[得效].
난발이나 노봉방, 집에서 기르는 가축[六畜]의 털을 태워 돼지기름에 개어 바른다(득효).
又蛇蛻皮或蠐螬, 燒爲灰, 猪脂調傅[得效].
또한 허물 벗은 뱀의 껍질이나 굼벵이를 소존성으로 태워 돼지기름에 개어 붙인다(득효).
[重舌][중설] (0) | 2020.02.09 |
---|---|
[舌腫][설종] (0) | 2020.02.09 |
[唇腫唇瘡][순종순창] (0) | 2020.02.09 |
[虛火口瘡][허화구창] (0) | 2020.02.09 |
[口糜][구미] (0) | 2020.02.09 |
[唇腫唇瘡][순종순창]
宜瀉胃湯, 薏苡仁湯, 芍藥湯.
사위탕, 의이인탕, 작약탕 등을 쓴다.
唇舌焦燥, 口破生瘡, 盖心脾受熱所致也.
水浸黃連重湯, 烑而飮之.
若大渴少飮, 竹葉石膏湯 方見寒門[直指].
입술과 혀가 바싹 마르고 입이 갈라져 허는 것은 대개 심비(心脾)가 열을 받았기 때문이다.
황련을 물에 담갔다가 중탕하여 뜨거울 때 마신다.
만약 갈증이 심한데 물을 적게 마실 때에는 죽엽석고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직지).
唇瘡久不差, 八月藍葉, 擣取汁洗, 不過三日, 差[丹心].
입술이 헐어 오랫동안 낫지 않는 데는
음력 8월에 딴 쪽잎을 찧어서 즙을 내어 씻으면 3일이 지나지 않아 낫는다(단심).
又白荷花瓣, 貼之, 神效.
如開裂出血者, 卽止[丹心].
흰 연꽃의 꽃잎을 붙여도 효과가 좋다.
갈라져 피가 나는 곳에 붙이면 피가 곧 멈춘다(단심).
[虛火口瘡][허화구창]
口瘡服凉藥, 不愈者, 此中焦氣不足, 虛火泛上.
先用理中湯 方見寒門, 甚者, 加附子[丹心].
입 안이 헐은 병에 서늘한 약을 썼는데도 낫지 않는 것은
중초의 기가 부족하여 허화가 위로 뜬 것이다.
먼저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쓰는데, 심하면 부자를 더 넣는다(단심).
陰虛者, 四物湯 方見血門, 加知母黃柏, 虛火泛上, 甘草乾薑爲末, 細嚼噙之[入門].
음이 허한 데는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모와 황백을 넣어 쓰고,
허화가 위로 뜬 데는 감초와 건강을 가루내어 잘 씹어 먹는다(입문).
[口糜][구미]
口糜者, 口瘡糜爛也[入門].
구미(口糜)란 입 안이 헐고 문드러지는 것이다(입문).
內經曰, 膀胱移熱於小腸, 隔腸不便, 上爲口糜, 宜移熱湯, 柴胡地骨皮湯.
내경에서는 "방광이 열을 소장으로 옮기면
아래로는 장(腸)이 막혀 대변을 보지 못하고
위로는 입이 헌다"고 하였는데, 이열탕과 시호지골피탕을 쓴다.
藏府積熱, 口舌生瘡, 宜局方凉膈散 方見火門. 回春凉膈散, 亦可.
장부(臟腑)에 열이 쌓여 입 안과 혀가 헌데에는
국방에 있는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쓰는데, 회춘양격산도 쓸 수 있다.
口舌生瘡, 宜玉芝飮子, 升麻散,
兼用龍石散或碧雪糝之, 鵬砂元含化.
久年口瘡, 宜黑參丸[入門].
입 안과 혀가 헌데에는 옥지음자나 승마산을 쓰는데,
아울러 용석산이나 벽설을 개어 바르고 붕사원을 녹여 먹는다.
여러 해 동안 입이 헌데에는 흑삼환을 쓴다(입문).
口瘡赤者, 心熱, 宜乳香散及天花粉末糝之.
白者, 肺熱, 宜沒藥散靑金散及黃柏蓽撥爲末, 糝之, 良久以水漱口[入門].
입이 헌데가 벌건 것은 심장에 열이 있기 때문이므로 유향산이나 천화분가루를 개어 바른다.
허연 것은 폐(肺)에 열이 있기 때문이므로 몰약산이나 청금산
혹은 황백이나 필발을 가루내어 개어 바르는데, 한참 있다가 물로 입을 가신다(입문).
口舌瘡糝藥見下, 可擇而用之.
입 안과 혀가 헌데에 개서 바르는 약은 뒤에 나오는 것들 중에서 골라서 쓴다.
[唇腫唇瘡][순종순창] (0) | 2020.02.09 |
---|---|
[虛火口瘡][허화구창] (0) | 2020.02.09 |
[口臭][구취] (0) | 2020.02.09 |
[口鹹][구함] (0) | 2020.02.08 |
[口甘][구감] (0) | 2020.02.08 |
[口臭][구취]
口臭者, 胃熱也.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위(胃)의 열 때문이다.
虛火鬱熱, 蘊於胸中, 乃作口臭, 宜芎芷膏[入門].
허(虛)하여 생긴 화(火)나 열이 몰려 가슴에 쌓이면
곧 입에서 냄새가 나는데 궁지고를 쓴다(입문).
口臭一證, 乃熱氣蘊積胸膈之間, 挾熱而衝, 發於口也[直指].
입에서 냄새가 나는 증상은 열기가 흉격 사이에 쌓여 있다가
다시 열을 받게 되면 열을 끼고 위로 치받아 입으로 나오는 것이다(직지).
心勞味厚, 氣出腥臭, 宜加減瀉白散 方見上.
마음을 지나치게 쓰거나 기름진 음식을 먹어서 숨쉴 때
비린내가 나면 가감사백산(처방은 앞에 있다)을 쓴다.
多食肉人, 口臭不可近, 宜神功丸 方見牙齒.
고기를 많이 먹는 사람이 가까이 갈 수 없을 정도로
입에서 냄새가 나면 신공환(처방은 아치문에 있다)을 쓴다.
胃熱口臭, 宜龍腦雞蘇元 方見血門, 加減甘露飮, 升麻黃連丸.
위에 열이 있어서 입에서 냄새가 나면
용뇌계소환(처방은 혈문에 있다), 가감감로음, 승마황련환 등을 쓴다.
吐膿血, 如肺癰狀, 口臭, 他方不應,
宜消風散方見風門, 入男子髮灰, 淸米飮調下, 兩服可除[丹心].
폐옹(肺癰) 때처럼 피고름을 토하고 입에서 냄새가 나는데,
다른 처방이 효과가 없으면 소풍산(처방은 풍문에 있다)에
남자 머리카락 태운 재를 넣고 묽은 미음에 타서 두 번만 먹으면 낫는다(단심).
一人, 病口臭如登厠, 雖親戚莫肯與對語.
戴人曰, 肺金本主腥, 金爲火所乘, 火主臭, 應便如是也,
久則成腐, 腐者, 腎也, 此亢極, 則反兼水化也. 病在上,
宜涌之以茶調散方見吐門, 吐之, 去其七分,
夜以舟車丸 方見下門, 下五七行, 比朝而臭斷[子和].
어떤 사람이 입에서 냄새가 나는데
변소에 앉아 있을 때와 같은 냄새가 나서 친한 친척도 마주보고 이야기할 수가 없었다.
장종정은 "폐금(肺金)이 원래 비린내를 주관하는데 화(火)가 금(金)을 억누르고 있다.
화는 탄 냄새를 주관하는데 변소 냄새가 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오래되면 썩고, 썩은 냄새는 신(腎)에 속한다.
이는 극성하면 도리어 수(水)가 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병이 상초에 있으면 토해야 하므로 다조산(처방은 토문에 있다)을 써서 토하게 하였는데,
토하고 나니 병의 7할은 나았다.
밤에는 주거환(처방은 하문에 있다)을 먹여 다섯에서 일곱 번 설사하게 하였는데
아침이 되니 냄새가 없어졌다(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