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甘][구감]
脾熱, 則口甘或臭. 宜瀉黃散 方見五藏, 三黃湯[入門].
內經曰, 有病口甘者, 病名爲何.

此五氣之溢, 名曰脾癉. 癉者, 熱也.
비(脾)에 열이 있으면 입맛이 달고 때로는 입에서 냄새도 난다.

사황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이나 삼황탕을 쓴다(입문).
내경에서는 "병이 생겨 입맛이 단데, 그 병의 이름은 무엇인가?

이것은 오기(五氣)가 넘친 것으로, 비단(脾癉)이라고 한다"고 하였는데,

단이란 열을 말한다.
胃熱則口甘, 胃虛則口淡[入門].
위(胃)에 열이 있으면 입맛이 달고 위가 허하면 입맛이 심심하다(입문).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臭][구취]   (0) 2020.02.09
[口鹹][구함]   (0) 2020.02.08
[口苦][구고]   (0) 2020.02.08
[口酸][구산]   (0) 2020.02.08
[口舌主五味][구설주오미]   (0) 2020.02.08

[口苦][구고]
心熱則口苦, 或生瘡, 宜凉膈散 方見火門, 瀉心湯 方見五藏.

肝移熱於膽, 則口亦苦.

宜小柴胡湯, 加麥門冬酸棗仁地骨皮遠志[丹心]

심(心)에 열이 있으면 입맛이 쓰고 때로는 헐기도 하는데,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이나 사심탕(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을 쓴다.

간이 담으로 열을 옮겨도 역시 입이 쓰다.

소시호탕에 맥문동, 산조인, 지골피, 원지를 더 넣어 쓴다(단심).

內經曰, 有病口苦者, 名曰膽癉.

此人數謀慮不決, 故膽虛氣上溢, 而口爲之苦.

내경에서는 "입맛이 쓴 병을 담단(膽癉)이라고 한다.

이런 사람은 생각을 많이 하면서도 결단을 내리지 못하므로

담이 허해져 기가 위로 넘쳐 입이 쓰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又曰, 肝氣熱, 則膽泄, 口苦筋膜乾.

釋曰, 肝主謀慮, 膽主決斷, 盛汁三合,

膽或不決, 爲之急怒, 則氣上逆, 膽汁上溢,

故口苦. 宜龍膽瀉肝湯, 主之[綱目].

또한 "간의 기가 열을 받으면 담즙이 흘러나와 입이 쓰고 근막이 마른다"고 하였다.

누영(樓英)은 이를 해석하여 "간은 깊이 헤아리게 하고 담은 결단을 내리게 한다.

담즙이 가득 차면 서 홉이 된다.

그런데 담이 때로 결단을 내리지 못하여 급하고

화내는 마음이 생기면 기가 위로 거꾸로 오르고

담즙이 위로 올라 넘치기 때문에 입이 쓰게 된다.

용담사간탕이 주치한다"고 하였다(강목).

口苦, 宜益膽湯[正傳]. 

입이 쓴 데에는 익담탕을 쓴다(정전).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鹹][구함]   (0) 2020.02.08
[口甘][구감]   (0) 2020.02.08
[口酸][구산]   (0) 2020.02.08
[口舌主五味][구설주오미]   (0) 2020.02.08
[脈法][맥법]   (0) 2020.02.08

[口酸][구산]
肝熱則口酸, 木乘脾口亦酸.

小柴胡湯 方見寒門, 加草龍膽靑皮, 甚者, 宜當歸龍薈丸 方見五藏[入門].
간에 열이 있으면 입맛이 시큼하고,

간[木]이 비[土]를 억눌러도 입이 시큼하다.
소시호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에 용담초, 청피를 넣어 쓰고,

심하면 당귀용회환(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甘][구감]   (0) 2020.02.08
[口苦][구고]   (0) 2020.02.08
[口舌主五味][구설주오미]   (0) 2020.02.08
[脈法][맥법]   (0) 2020.02.08
[口唇屬脾][구순숙비]   (0) 2020.02.08

[口舌主五味][구설주오미]
心氣通於舌, 能知五味, 脾氣通於口, 亦能知五穀之味.

심(心)의 기는 혀로 통하여 맛 자체[五味]를 가릴 줄 알게 하고,

비(脾)의 기는 입으로 통하여 개별적인 음식의 맛[五穀]을 알게 한다.

口之味, 熱勝則苦, 寒勝則鹹, 宿食則酸, 煩躁則澁, 虛則淡, 疸則甘,

勞鬱則口臭, 凝滯則生瘡. 口之津液, 通乎五藏, 藏氣偏勝, 則味應乎口[得效].

입맛은 열이 심하면 쓰고, 차가우면 짜고,

오랫동안 소화가 안 되면[宿食] 시큼하고,

가슴이 뛰고 답답하면 텁텁하고,

허하면 심심하고 맛이 없으며,

황달이 있으면 달고,

피로가 몰리면 입 냄새가 나고,

기가 막혀 엉기면 입이나 혀가 헌다.

입의 침[津液]은 오장으로 통하므로

어떤 장의 기가 치우쳐서 왕성하면 입도 그 장부의 맛을 따라간다(득효).

傷胃陽虛, 則口中無味, 傷腎陰虛, 則口中有味[入門].

위(胃)가 상하여 양(陽)이 허하면 입맛이 없고,

신(腎)이 상하여 음(陰)이 허하면 입맛이 있다(입문).

龍腦雞蘇元, 治胃熱口臭, 肺熱喉腥, 脾熱口甛, 膽熱口苦, 肝熱口酸,

及胸中鬱熱等證 方見血門.

용뇌계소환은 위에 열이 있어 입에서 냄새가 나고,

폐에 열이 있어 목구멍에서 비린내가 나며,

비(脾)에 열이 있어 입이 달고,

담(膽)에 열이 있어 입이 쓰며,

간에 열이 있어 입이 시큼하고,

가슴에 열이 뭉치는 증상들을 치료한다(처방은 혈문에 있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苦][구고]   (0) 2020.02.08
[口酸][구산]   (0) 2020.02.08
[脈法][맥법]   (0) 2020.02.08
[口唇屬脾][구순숙비]   (0) 2020.02.08
[舌屬心][설속심]   (0) 2018.02.24

[脈法][맥법]
左寸洪數, 心熱口苦, 右寸浮數, 肺熱口辛, 左關弦數, 膽虛口苦,

洪實, 則肝熱口酸, 右關沈實, 脾熱口甘, 洪數, 則口瘡, 或爲重舌, 木舌[脈訣]
왼쪽 촌맥이 홍삭하면 심(心)의 열로 입이 쓰고,

오른쪽 촌맥이 부삭하면 폐(肺)의 열로 입이 매우며,

왼쪽 관맥이 현삭하면 담이 허하여 입이 쓰고,

홍실하면 간열(肝熱)로 입이 시큼하며,

오른쪽 관맥이 침실하면 비(脾)의 열로 입이 달고,

홍삭하면 입이 허는데 중설이 생기거나 목설[설종]이 되기도 한다(맥결).
口舌生瘡, 脈洪疾速, 若見脈虛, 中氣不足[回春].
입이나 혀가 헐면 맥이 홍삭한데, 만약 맥이 허하면 중초의 기(氣)가 부족한 것이다(회춘).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酸][구산]   (0) 2020.02.08
[口舌主五味][구설주오미]   (0) 2020.02.08
[口唇屬脾][구순숙비]   (0) 2020.02.08
[舌屬心][설속심]   (0) 2018.02.24
[口曰玉池][구왈옥지]  (0) 2017.05.25

[口唇屬脾][구순숙비]
內經曰, 中央黃色, 入通於脾, 開竅於口, 故病在舌本.

又曰, 脾主口, 又曰, 脾在竅爲口.

내경에서는 "중앙과 누런색의 기(氣)는 비(脾)와 통하고,

비는 입으로 구멍을 내므로 병이 혀뿌리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비는 입을 주관한다",

"비의 외부와 작용하는 구멍은 입이다"라고 하였다.

難經曰, 脾氣通於口, 脾和則能知五味矣.

영추에서는 "비의 기는 입으로 통하므로

비의 기가 조화되면 다섯 가지 맛을 잘 안다"고 하였다.

心主舌, 脾主唇口, 心脾二氣, 恒相通也[入門].

심은 혀를 주관하고, 비는 입술과 입을 주관하므로 심과 비의 기는 항상 서로 통한다(입문).

唇屬脾, 風則瞤動, 寒則掀縮, 熱則乾裂, 血虛則無色, 氣鬱則瘡腫.

唇有病, 則隨證以治脾, 可也[入門].

입술은 비에 속하여 풍을 맞게 되면 입술이 떨리고,

차가워지면 입술이 오므라들며 열이 있으면 입술이 말라 갈라지고,

혈이 허하면 입술이 창백하고, 기가 뭉치면 종창이 생긴다.

그러므로 입술에 병이 생기면 그 증상에 따라 비를 치료하면 된다(입문).

六府之華, 在唇四白[內經]

육부의 상태[華]는 입술의 사백(四白)에 나타난다(내경).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酸][구산]   (0) 2020.02.08
[口舌主五味][구설주오미]   (0) 2020.02.08
[脈法][맥법]   (0) 2020.02.08
[舌屬心][설속심]   (0) 2018.02.24
[口曰玉池][구왈옥지]  (0) 2017.05.25

[舌屬心] [혀는 심에 속한다]
內經(陰陽應象大論篇 第五)曰 “心在竅爲舌”,
내경에 “심(心)의 구멍은 혀이다”고 씌어 있다.
又(靈樞 脈度 第十七)曰 “心氣通於舌 心和則舌能知五味矣”
또한 “심기(心氣)가 혀에 통하기 때문에
심기가 조화되어야 혀가 5가지 맛을 잘 알 수 있다”고 씌어 있다.
舌者 心之苗也(入門)
혀는 심(心)의 싹이다[입문].
舌爲心之官 主嘗五味 以布五藏焉 心之本脈 繫於舌根
혀는 심에 속한 기관인데 주로 5가지 맛을 갈라서 5장에 나누어 보낸다.
심의 본 경맥은 혀뿌리와 연결되어 있다.
脾之絡脈繫於舌傍 肝脈循陰器 絡於舌本
腎之津液 出於舌端 分布五藏 心實主之,
三經 爲四氣所中 則舌卷不能言
혀는 심에 속한 기관인데 주로 5가지 맛을 갈라서 5장에 나누어 보낸다.
심의 본 경맥은 혀뿌리와 연결되어 있다.
비의 낙맥(絡脈)은 혀의 양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간의 경맥은 생식기를 돌아서 올라와 혀 밑에 연결되어 있고
신(腎)의 진액은 혀 끝에서 나와 5장(五藏)에 퍼지는데 심이 이것을 주관한다.
심, 간, 신이 3경맥에 4가지 사기가 침범하면
혀가 가드라들기[卷] 때문에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七情氣鬱 則舌腫不能語 至如心熱 則舌破生瘡,
肝壅 則出血如湧, 脾閉 則白胎如雪, 此舌之爲病也.(得效)
7정(七情)의 기가 몰리면 혀가 붓기 때문에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심에 열이 있으면 혀가 터져서 헌데가 생기고 간기가 막히면
혀에서 피가 샘솟듯이 나오며 비기(脾氣)가 막히면 눈알은 설태[雪]가 끼는데
이것은 다 혀에 병이 생긴 것이다[득효].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酸][구산]   (0) 2020.02.08
[口舌主五味][구설주오미]   (0) 2020.02.08
[脈法][맥법]   (0) 2020.02.08
[口唇屬脾][구순숙비]   (0) 2020.02.08
[口曰玉池][구왈옥지]  (0) 2017.05.25

[口曰玉池][입은 옥지라고도 한다] 
[黃庭經]曰 “玉池淸水 灌靈根”. 
[황정경]에는 “옥지(玉池)의 맑은 물이 영근(靈根)을 축여 준다”고 씌어 있다.
[註]曰 玉池者 口也, 淸水者 津液也, 靈根者 舌也. 
주해에 “옥지란 입이고 맑은 물이란 침[津液]이며 영근이란 혀이다”고 씌어 있다.

'[外形篇] > [口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酸][구산]   (0) 2020.02.08
[口舌主五味][구설주오미]   (0) 2020.02.08
[脈法][맥법]   (0) 2020.02.08
[口唇屬脾][구순숙비]   (0) 2020.02.08
[舌屬心][설속심]   (0) 2018.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