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맥법]

 

寸口脈數 其人卽吐

寸口脈細而數 數則爲熱 細則爲寒 數爲嘔吐(脈經).

촌구맥(寸口脈)이 삭(數)하면 토한다.

촌구맥이 세삭(細數)하다면 삭한 것은 열증(熱證)이고 세한 것은 한증(寒證)이다. 

맥이 삭하면 토한다[맥경]. 

 

問曰 病人脈數 數爲熱 當消穀引飮 而反吐者 何也?

師曰 過發其汗 令陽氣微 膈氣虛 脈乃數 數爲客熱 不能消穀 胃中虛冷 故吐也(仲景).

환자의 맥이 삭하다면 그것은 열증인데 

이때에 소화가 잘 되어 음식이 몹시 당기고 토하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이것은 지나치게 땀을 내어 양기가 쇠약해지고 격기(膈氣)가 허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맥이 삭한 것이다. 

그리고 또한 밖에서 침입한 열은 음식물이 소화되지 못하게도 한다. 

그리고 위(胃)가 허하고 차기 때문에 토하는 것이다[중경]. 

 

陽脈緊 陰脈數 其人食已卽吐.

寸緊尺濇 其人胸滿 不能食 而吐(脈經).

양맥(陽脈)이 긴(緊)하고 음맥(陰脈)이 삭(數)하면 음식을 먹은 다음에 곧 토하게 된다.

촌맥(寸脈)이 긴(緊)하고 척맥(尺脈)이 색( )하면 가슴이 그득하면서 먹지 못하고 토하게 된다[맥경]. 

 

脈滑 爲嘔吐(脈訣).

맥이 활(滑)하면 토한다[맥결]. 

 

嘔吐無他 寸緊滑數 微數血虛 單浮胃薄 芤則有瘀 最忌濇弱(回春).

토할 때에는 촌맥이 긴하면서 활삭(滑數)한데 미삭(微數)한 것은 혈이 허한 것이고 

단순한 부맥(浮脈)은 위(胃)가 약한 것이며 규맥( 脈)은 어혈(瘀血)이 있는 것이다. 

가장 좋지 못한 맥은 색맥( 脈)과 약맥(弱脈)이다[회춘]. 

 

趺陽脈浮而澁 浮則爲虛 澁則上脾

脾傷則不磨 朝食暮吐暮食朝吐 婉曲不化 名曰胃反(脈經)

부양맥(趺陽脈)이 부삽(浮澁)하면 부한 것은 허한 것이고 삽한 것은 비(脾)를 상한 것이다. 

비를 상하면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게 되는데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한다. 

전혀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을 토하는 것을 반위(反胃)라고 한다[맥경]. 

 

脈緊而澁 其病難治.

脈弦者 虛也 胃氣無餘 朝食暮吐 暮食朝吐(脈經).

맥이 긴하면서 삽하면 그때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다.

맥이 현(弦)하면 허한 것이다.

위기(胃氣)가 여유가 없어지면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게 된다[맥경].

 

反胃 噎膈 寸緊尺澁(回春).

반위와 열격 때에 촌맥은 긴하고 척맥은 삽하다[회춘]. 

 

噎膈 反胃 脈浮緩者 生, 沈澁者 死,

脈澁而小 血不足, 脈大而弱 氣不足(醫鑑).

열격과 반위 때에 맥이 부완(浮緩)하면 살고 침삽(沈澁)하면 죽는다.

맥이 삽하면서 소(小)한 것은 혈이 부족한 것이고

맥이 대(大)하면서 약한 것은 기가 부족한 것이다[의감].

 

 

 

'[雜病篇] > [嘔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病有三][토병유삼]  (0) 2020.08.24
[食痺吐食][식비토식]  (0) 2020.08.24
[惡心 乾嘔][오심 건구]  (0) 2020.08.23
[嘔吐治法][구토치법]  (0) 2020.08.23
[嘔吐之因][구토지인]   (0) 2017.07.15

[嘔吐之因][구토지인]

[內經](至眞要大論篇 第七十四)曰 諸嘔吐逆衝上 皆屬於火.
내경에는 “여러 가지로 토하면서 올려미는(逆衝上) 것은
다 화(火)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胃膈熱甚 則爲嘔 火氣炎上之象也(河間).
위(胃)와 가슴[膈]에 열이 심하면 구역질이 나는데
이것은 불기운이 타오르는 형상과 같은 것이다[하간].
嘔·吐·噦者 俱屬於胃, 胃者 總司也, 以其氣血多少爲異耳.
구(嘔)와 토(吐), 얼( )은 다 위(胃)에 속한다.
그리고 위는 모든 것을 관할한다.
구, 토, 얼도 기혈(氣血)이 많은가 적은가에 따라 다른 것이다.
嘔者 陽明也, 陽明 多血多氣 故有聲有物 氣血 俱病也.
구(嘔)라는 것은 양명경(陽明經)과 관련되어 생기는 것인데
양명경에는 혈도 많고 기도 많기 때문에 소리도 나고[有聲] 나오는 물건도 있다.
이것은 기혈이 다 병든 것이다.
吐者 太陽也.

陽 多血少氣 故有物無聲 乃血病也.
有食入則吐 有食已則吐 以橘紅爲主.
토(吐)라는 것은 태양경과 관련되어 생기는 것인데
태양경에는 혈이 많고 기가 적기 때문에 나오는 물건은 있으나 소리가 없다.
이것은 혈에 병이 든 것이다.
음식물이 들어가면 곧 토하거나 먹고 난 다음에 토하는 데는 귤홍을 주로 쓴다.
얼者 少陽也 少陽 多氣少血 故有聲無物 乃氣病也 以半夏爲主.
究其三者 之源, 皆因 脾氣虛弱 或因寒氣客胃,
或因飮食所傷而致 宜以丁香 藿香 半夏 茯苓 陳皮 生薑之類主之(東垣).
얼이라는 것은 소양경(少陽經)과 관련되어 생기는 것인데
소양경에는 기가 많고 혈이 적기 때문에 소리는 있으나 나오는 물건이 없다.
이것은 기에 병이 든 것이다.
이런 때에는 끼무릇(반하)을 주로 쓴다.
이 3가지 병의 원인은 비기(脾氣)가 허약하거나
찬 기운이 위(胃)에 침범했거나 음식물에 상한 데 있다.
이런 때에는 정향, 곽향,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생강 등을 주로 쓴다[동원].
濕嘔者 有物有聲 食已則嘔.
乾嘔者 空嘔無物 總屬陽明 氣血俱病 故嘔比吐爲重也(入門).
습(濕)으로 생기는 구역(嘔逆) 때에는 나오는 물건도 있고 소리도 나는데
음식먹은 뒤에 생긴다.
건구(乾嘔)라는 것은 헛구역만 하고 나오는 물건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들은 다 양명경에 속하는데 기와 혈이 다 병든 것이다.
구(嘔)라는 것은 토(吐)보다 더 중하다[입문].
[劉河間]謂 嘔者 火氣炎上 此特一端耳,
有痰膈中焦 食不得下者 有氣逆者 有寒氣鬱於胃口者 有食滯心肺之分
新食不得下 而反出者 有胃中有火 與痰而嘔者(丹心).
유하간(劉河間)이 “구(嘔)라는 것은 불기운이 타오르는 것과 같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극히 일면만 말한 것이다.
구라는 것은 담(痰)이 중초(中焦)에 막혀서
음식물이 내려가지 못해서 되는 것도 있고 기가 치밀어 올라서 되는 것도 있으며
찬 기운이 위의 입구에 몰려서 되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음식물이 명치에 머물러 있어서 새로 먹은 것이 내리지 못하고
도로 나올 때도 있고 위(胃)속에 화(火)와 담(痰)이 있어서 구역할 때도 있다[단심].
嘔家 雖有陽明證 愼不可下 逆之 故也(仲景).
구역하는 환자에게는 양명병의 증상이 있다고 하여도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하면 역증(逆證)으로 되기 때문이다[중경]. 

'[雜病篇] > [嘔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病有三][토병유삼]  (0) 2020.08.24
[食痺吐食][식비토식]  (0) 2020.08.24
[惡心 乾嘔][오심 건구]  (0) 2020.08.23
[嘔吐治法][구토치법]  (0) 2020.08.23
[脈法][맥법]  (0) 2020.08.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