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病難治證][담병난치증]
氣實熱痰, 吐難得出,
或成塊, 吐喀不出, 氣鬱滯者難治.
又曰, 氣實痰熱結者難治[丹心].
기가 실하고 열담이 있어 토하고자 하나 잘 나오지 않고,
혹 덩어리를 이루어 뱉어도 나오지 않는 것은 기가 뭉친 것으로 치료하기 어렵다.
또한 "기가 실하고 담열(痰熱)이 뭉친 것도 고치기 어렵다"고 하였다(단심).
喉中漉漉有聲, 喘急, 喀痰不出者難治.
又曰, 服藥後, 喀吐痰出爲效. 若喀痰不出者難治[回春].
목구멍에서 그렁그렁 하는 소리가 나고 숨이 몹시 차며
담을 뱉어도 나오지 않는 것은 고치기 어렵다.
또 "약을 복용한 후에 담을 뱉으면 낫지만,
담을 뱉어도 나오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고 하였다(회춘).
痰涎等病不一而足, 惟勞瘵有痰爲難治.
最宜早灸膏肓四花穴 詳見鍼灸[資生經].
담연(痰涎) 등의 병은 매우 많지만, 오직 노채(勞瘵)에 담이 있게 되면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는 서둘러 고황과 사화혈에 뜸을 뜨는 것이 가장 좋다
(상세한 것은 침구편에 있다)(자생경).
肺胃經虛則生粘痰, 痰者肺胃所出也,
痰涎凝滯在於咽喉, 如牽鋸之聲, 時復瘈瘲,
或因吐瀉所致, 脾虛肺亦虛, 痰涎流溢, 變成癲癎, 尤爲難治[全嬰方].
폐경과 위경이 허하면 걸쭉한 담이 생기는데 담은 폐와 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담연이 뭉쳐서 목구멍에 있게 되면 톱질하는 소리 같은 것이 나고
때때로 계종(瘈瘲)이 나타난다.
혹은 토하고 설사하는 것으로 인하여 비(脾)가 허해지면
폐도 역시 허해져 담연이 흘러넘치고 전간(癲癎)으로 변하기도 하는데,
이는 더욱 치료하기 어렵다(전영방).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治法][담음치법] (0) | 2019.11.16 |
---|---|
[痰飮吐法][담음토법] (0) | 2019.11.16 |
[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0) | 2019.11.16 |
[痰結][담결] (0) | 2019.11.16 |
[喜唾痰][희타담] (0) | 2019.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