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腹痛有虛實][복통유허실]
凡腹痛, 按之痛者爲實, 按之不痛爲虛[醫鑑].  
일반적으로 배가 아플 때 눌러서 아픈 것은 실증이고,

눌러서 아프지 않은 것은 허증이다(의감).
腹痛按之痛, 重按却不痛者, 此是氣痛, 乃虛寒證也.

若重按愈痛而堅者, 有積也[資生].
배가 아플 때 누르면 아프고 더 세게 누르면 아픔이 사라지는 것은

기통(氣痛)인데, 허한증(虛寒證)이다.

만일 세게 누르면 더욱 아프면서 단단해지면 적(積)이 있는 것이다(자생).
腹痛時有積者, 按之痛愈甚, 無積者, 按之不痛[易老].
배가 아플 때 적이 있으면 누르면 더 심해지고 적이 없으면 눌러도 아프지 않다(역노).   
凡腹痛大便利, 或用手重按之不痛者, 爲虛爲寒,

宜加味小建中湯 方見胸部 加桂, 理中湯 方見寒門 之類, 其或大便堅,

或用手按之痛甚, 手不可近者, 爲實爲熱, 宜大柴胡湯, 調胃承氣湯 並見寒門 之類[入門].
일반적으로 배가 아프고 설사기가 있거나 손으로 세게 눌러도 아프지 않은 것은

허한 것이거나 찬 것이므로 가미소건중탕(처방은 흉문)에 계지를 더 넣은 것이나,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 종류를 쓴다.

혹 배가 아프면서 대변이 단단하거나 손으로 세게 누르면 더 아파서

손을 댈 수가 없는 것은 실한 것이거나 열이 있는 것이니

대시호탕이나 조위승기탕(두 처방 모두 한문에 있다) 같은 것을 쓴다(입문).
腎虛則胸中痛, 大腹小腹痛, 淸厥, 意不樂[內經].
신(腎)이 허하면 가슴이 아프고

윗배와 아랫배가 아프며 사지가 싸늘해지고 마음이 편하지 않다(내경).
寒氣客於經脈之中, 與炅氣相薄則脈滿, 滿則痛而不可按也[內經].
찬 기운이 경맥 속으로 침범하여 열기와 서로 맞부딪치면 맥이 가득 차고,

맥이 가득 차면 아파서 누를 수가 없다(내경).
寒氣客於俠脊之脈, 則深按之不能及, 故按之無益也[內經].
찬 기운이 등골뼈를 끼고 지나가는 맥에 침범하면 병이 깊은 데 있기 때문에

배를 눌러도 닿지 않으므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내경).
壯實與初病宜下, 宜備急丸 方見救急 之類,

虛弱與久病宜和, 宜建中湯7) 方見虛勞 之類[入門].
몸이 건장하거나 병이 초기일 때는 설사시켜야 하는데,

비급환(처방은 구급문) 같은 것을 쓴다.

허약하거나 병이 오래되었을 때는 화법(和法)을 써야 하는데,

건중탕(처방은 허로문) 같은 것을 쓴다(입문).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嘔泄]복통구설]   (0) 2020.03.01
[積冷腹痛][적냉복통]   (0) 2020.03.01
[蟲腹痛][충복통]   (0) 2020.02.29
[痰飮腹痛][담음복통]   (0) 2020.02.29
[食積腹痛][식적복통]   (0) 2020.02.29

[蟲腹痛][충복통]
詳見虫門.
충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積冷腹痛][적냉복통]   (0) 2020.03.01
[腹痛有虛實][복통유허실]   (0) 2020.02.29
[痰飮腹痛][담음복통]   (0) 2020.02.29
[食積腹痛][식적복통]   (0) 2020.02.29
[死血腹痛][어혈복통]   (0) 2020.02.29

[痰飮腹痛][담음복통]
凡腹痛脈滑者, 是痰, 宜導痰解鬱[丹心].
배가 아프면서 맥이 활(滑)한 것은 담 때문인데,

이때는 담을 이끌어 내보내고 뭉친 것을 풀어주어야 한다().
淸痰多作腹痛, 川芎蒼朮香附白芷爲末, 薑汁和湯, 點服[丹心].
묽은 담이 배를 아프게 하는 경우가 많은데

천궁, 창출, 향부자, 백지를 가루내어 생강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痰痛者, 必小便不利, 又云, 痛則小便不利者, 痰也[丹心].
담으로 아프면 반드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

또 "배가 아프면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은 담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濕痰阻滯氣道而作痛, 宜芎朮散.

淸痰作痛, 胸腹有聲, 宜控涎丹 方見痰飮[入門].
습담이 기(氣)의 길을 막아서 아픈 데는 궁출산을 쓴다.

묽은 담으로 가슴과 배에서 소리가 나면서 아픈 데는 공연단(처방은 담음문)을 쓴다(입문).
或曰, 痰豈能作痛.

殊不知氣鬱則痰聚, 痰聚則碍氣道, 不得運行, 故作痛.

宜芎夏湯 方見痰飮, 四合湯.
어떤 사람이 "담이 어찌 아프게 할 수 있겠는가?" 하고 물었는데,

이는 기가 뭉치면 담이 모이고 담이 모이면

기의 길을 막아 기가 잘 돌지 못하여 아프게 되는 것을 모르는 탓이다.

이때는 궁하탕(처방은 담음문)이나 사합탕을 쓴다.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有虛實][복통유허실]   (0) 2020.02.29
[蟲腹痛][충복통]   (0) 2020.02.29
[食積腹痛][식적복통]   (0) 2020.02.29
[死血腹痛][어혈복통]   (0) 2020.02.29
[熱腹痛][열복통]   (0) 2020.02.29

[食積腹痛][식적복통]  
脈弦者, 食積痛, 宜溫散之[丹心].
맥이 현(弦)한 것은 음식이 쌓여 아픈 것이니 따뜻하게 하여 풀어야 한다(단심).
在上者, 多屬食, 食能作痛, 宜溫散之,

如 乾薑炒 蒼朮 川芎 白芷 香附 薑汁 之類.

不可妄用峻利藥攻下.

盖食得寒則凝, 得熱則化, 更兼行氣快氣藥助之, 無不愈者[丹心].
위쪽이 아픈 것은 대개 음식 때문이다.

음식으로 아플 때는 건강(볶은 것), 창출, 천궁, 백지, 향부자, 생강즙과 같은

따뜻한 약으로 풀어주어야 한다.

강하게 설사시키는 약으로 함부로 쳐 내려서는 안 된다.

음식이란 차면 뭉치고 따뜻하면 풀리는데, 여기에 기를 고르게 하고

소통시키는 약을 겸해서 도와주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단심).
痛甚欲大便, 利後痛減者, 是食積也[丹心].
배가 아프면 대변이 마렵다가 대변을 보고 나면 아픔이 가시는 것은 식적(食積) 때문이다(단심).
食積痛, 平胃散 方見內傷 加 山査 神麴 麥芽 縮砂 靑皮,

或加味二陳湯 方見痰飮 調之. 木香檳榔丸, 或利氣丸下之[入門].
식적통에는 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산사, 신곡, 맥아, 사인, 청피를 더하여 쓰거나,
가미이진탕(처방은 담음문)으로 고르게 하여야 한다.

목향빈랑환이나 이기환으로 설사시킨다(입문).   
食物塡塞, 心胸作痛, 宜吐之, 用瓜蔕散 方見吐門, 薑鹽湯[入門].
음식이 꽉 막아서 가슴이 아픈 데는 토하게 하여야 하는데

과체산(처방은 토문)이나 강염탕을 쓴다(입문).
食積腹痛, 宜服丁香脾積丸[丹心].
식적복통에는 정향비적환을 쓴다(단심).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蟲腹痛][충복통]   (0) 2020.02.29
[痰飮腹痛][담음복통]   (0) 2020.02.29
[死血腹痛][어혈복통]   (0) 2020.02.29
[熱腹痛][열복통]   (0) 2020.02.29
[寒腹痛][한복통]   (0) 2020.02.29

[死血腹痛][어혈복통]
瘀血腹痛有常處.

或跌撲傷損, 或婦人經來, 產後惡瘀未盡下而凝.

四物湯 方見血門 去地黃加桃仁大黃紅花[入門].
어혈로 배가 아플 때는 아픈 부위가 일정하다. 넘어져서 다쳤을 때,
부인이 월경이 있을 때, 출산 후에 나쁜 피가 다 나오지 않았을 때 뭉쳐서 생긴다.
사물탕(처방은 혈문)에서 지황을 빼고 도인, 대황, 홍화를 더 넣어 쓴다(입문).
其痛有常處, 而不移動者, 是死血也[丹心].
아픈 곳이 일정하여 바뀌지 않는 것은 어혈이다(단심).
如打撲墜墮, 而腹痛, 乃是瘀血.

宜桃仁承氣湯 方見寒門 加當歸蘇木紅花, 入童便, 並酒煎服, 下之[丹心].
부딪치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져 배가 아픈 것은 어혈 때문이다.
도인승기탕(처방은 한문)에 당귀, 소목, 홍화를 더 넣고,

동변과 술을 넣어 달여 먹어 설사시켜야 한다(단심).
血痛, 宜失笑散 方見婦人, 消瘀飮, 萬靈散.
어혈로 아픈 데는 실소산(처방은 부인문), 소어음, 만령산 등을 쓴다.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腹痛][담음복통]   (0) 2020.02.29
[食積腹痛][식적복통]   (0) 2020.02.29
[熱腹痛][열복통]   (0) 2020.02.29
[寒腹痛][한복통]   (0) 2020.02.29
[腹痛有六][복통육유]   (0) 2020.02.29

[熱腹痛][열복통]
熱氣留於小腸, 小腸中痛, 癉熱焦渴, 則堅乾不得出, 故痛而閉不通矣[內經].
뜨거운 기운이 소장에 머무르면 소장이 아픈데, 단열(癉熱)로 진액이 말라

갈증이 나면 말라 굳어져 나오지 않으므로 아프면서 대변이 막힌다(내경).
時痛時止者, 熱也[丹心].
아팠다 그쳤다 하는 것은 열 때문이다(단심).
腹中常覺有熱, 而暴痛暴止, 此爲積熱,
宜調胃承氣湯 方見寒門 下之[正傳].
배에 항상 열이 있는 것같이 느껴지고 갑자기 아팠다가 금방 그치는 것은 열이 쌓인 것이다.
조위승기탕(처방은 한문)으로 설사시킨다(정전).
積熱腹痛, 時作時止, 痛處亦熱, 手不可近, 便閉喜冷,

宜調胃承氣湯, 四順淸凉飮 方見火門[入門].
열이 쌓여서 배가 아픈데, 아팠다 그쳤다 하며 아픈 부위가 뜨겁고

손을 댈 수 없이 아프며 대변이 나오지 않고 찬 것을 좋아하는 데는

조위승기탕이나 사순청량음(처방은 화문)을 쓴다(입문).
熱痛, 宜黃芩芍藥湯 方見大便.
열로 아픈 데는 황금작약탕(처방은 대변문)을 쓴다.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食積腹痛][식적복통]   (0) 2020.02.29
[死血腹痛][어혈복통]   (0) 2020.02.29
[寒腹痛][한복통]   (0) 2020.02.29
[腹痛有六][복통육유]   (0) 2020.02.29
[脈法][맥법]   (0) 2020.02.29

[寒腹痛][한복통]
寒氣客於脈外則脈寒, 脈寒則縮綣, 縮綣則脈絀急, 絀急則外引小絡,

故卒然而痛, 因重中於寒, 則痛久矣[內經].

한기가 맥의 바깥에 침범하면 맥이 한(寒)하고,

맥이 한하면 오므라들고 오므라들면 맥이 구부러져 팽팽해지고

구부러져 팽팽해지면 밖으로 작은 맥락을 당기므로 갑자기 아프며,

한기에 거듭 상하면 통증이 오래간다(내경).
寒氣客於背兪, 其兪注于心, 故相引而痛[內經].

한기가 등의 수혈(兪穴)에 침범하면 수혈이 심으로 들어가므로 서로 당기면서 아프다(내경).
寒氣客於厥陰之脈, 則血澁脈急, 故脇肋與小腹, 相引痛矣[內經].

한기가 궐음맥에 침범하면 혈(血)의 흐름이 껄끄럽고

맥이 급하게 되므로 옆구리와 아랫배가 당기면서 아프다(내경).
寒氣客於五藏, 厥逆上泄, 陰氣竭, 陽氣未入, 故卒然痛死不知人, 氣復反則生矣[內經].

한기가 오장(五臟)에 침범하면 기가 거꾸로 치밀어 위로 새어나가 음기가 모두 없어졌는데도

양기는 들어가지 못하므로 갑자기 죽을 것같이 아파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나

기가 다시 돌아오면 살아난다(내경).
綿綿痛而無增減者, 寒痛也[丹心].

은근하게 계속 아프면서 더하거나 덜함이 없는 것은 차서[寒] 아픈 것이다(단심).
寒痛, 宜厚朴溫中湯, 桂香散, 溫胃湯 方見胸部, 沈香磨脾散,

酒煮當歸丸 方見婦人, 代灸塗臍膏 方見臍部, 玉抱肚.

차서 아픈 데는 후박온중탕, 계향산, 온위탕(처방 흉문), 침향마비산,

주자당귀환(처방 포문), 대구도제고(처방 제문), 옥포두법 등을 쓴다.
冒寒卒痛, 五積散 方見寒門 加吳茱萸葱白[入門].
한기를 쐬어 갑자기 아픈 데는 오적산(처방은 한문)에 오수유와 총백을 더 넣어 쓴다(입문).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死血腹痛][어혈복통]   (0) 2020.02.29
[熱腹痛][열복통]   (0) 2020.02.29
[腹痛有六][복통육유]   (0) 2020.02.29
[脈法][맥법]   (0) 2020.02.29
[腹痛有部分][복통유부분]   (0) 2020.02.29

[腹痛有六][복통육유]
有寒, 有熱, 有死血, 有食積, 有痰飮, 有虫.
氣血 痰水 食積 風冷 諸證之痛, 每每停聚而不散,

惟虫痛則乍作乍止, 來去無定,

又有嘔吐淸沫之爲可驗焉[直指].
한복통, 열복통, 어혈[死血]복통, 식적복통, 담음복통, 충복통이 있다.
기혈, 담수, 식적, 풍랭 등의 병증으로 아픈 것은

각기 어떤 곳에 몰려서 흩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오직 충복통만은 아팠다 그쳤다 하는 것이 오락가락 대중이 없고,

또 멀건 거품을 토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직지).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腹痛][열복통]   (0) 2020.02.29
[寒腹痛][한복통]   (0) 2020.02.29
[脈法][맥법]   (0) 2020.02.29
[腹痛有部分][복통유부분]   (0) 2020.02.29
[腹有大小][복유대소]   (0) 2020.02.28

[脈法][맥법]  
尺脈弦, 則腹痛[醫鑑].
척맥이 현(弦)하면 배가 아프다(의감).
脈細小緊急, 腹中刺痛.
맥이 세소긴급(細小緊急)하면 배가 쑤시듯이 아프다.
陰弦, 則腹痛.
음맥이 현(弦)하면 배가 아프다.
弦急, 小腹痛.
맥이 현급(弦急)하면 아랫배가 아프다.
尺脈緊, 臍下痛.
척맥이 긴(緊)하면 배꼽 아래가 아프다.
尺脈伏或實, 小腹痛[脈經].
척맥이 복(伏)하거나 실(實)하면 아랫배가 아프다(맥경).
心腹痛不得息, 脈細小遲者生, 堅大疾者死.
가슴과 배가 아파서 숨을 쉴 수 없을 때 맥이 세소지(細小遲)하면 살 수 있으나,

맥이 견대질(堅大疾)하면 죽는다.
腹痛, 脈反浮大而長者死[脈經].
배가 아픈데 맥이 오히려 부대(浮大)하면서 장(長)하면 죽는다(맥경).
心腹痛, 脈沈細, 宜浮大弦長, 命必殂[脈訣].
가슴과 배가 아플 때는 맥이 침세(沈細)하여야 하는데

맥이 부대현장(浮大弦長)하면 목숨이 위태롭다(맥결).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腹痛][한복통]   (0) 2020.02.29
[腹痛有六][복통육유]   (0) 2020.02.29
[腹痛有部分][복통유부분]   (0) 2020.02.29
[腹有大小][복유대소]   (0) 2020.02.28
[腹圍度數][복위도수]   (0) 2017.05.25

[腹痛有部分][복통유부분]  
大腹屬太陰, 臍腹屬少陰, 小腹屬厥陰[入門].

윗배는 태음에 속하고 제복은 소음에 속하며 아랫배는 궐음에 속한다(입문).

腹痛有部分.

中脘痛, 太陰也, 理中湯 方見寒門, 加味小建中湯, 草豆蔲丸 方見胸部 之類主之.

臍腹痛少陰也, 四逆湯, 薑附湯, 或五積散 三方見寒門 加吳茱萸主之.

小腹痛厥陰也, 當歸四逆湯 方見寒門 加吳茱萸主之[東垣].

복통은 부위에 따라 나누어진다.

중완(中脘) 부위가 아픈 것은 태음에 속하는데,

이중탕(한문), 가미소건중탕, 초두구환(흉문) 등이 주치한다.

제복통은 소음에 속하는데 사역탕, 강부탕, 오적산(세 가지 처방 모두 한문)에

오수유를 더한 것이 주치한다.

소복통은 궐음에 속하는데, 당귀사역탕(한문)에 오수유를 더한 것이 주치한다(동원).

大腹痛, 多食積外邪, 臍腹痛, 多積熱痰火, 小腹痛, 多瘀血及痰, 與尿澁[入門].

대복통은 대개 음식이 뭉친 것과 밖에서 들어온 나쁜 기운 때문이고,

제복통은 대개 열이 뭉친 것과 담화 때문이며,

소복통은 대개 어혈 및 담과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 때문에 생긴다(입문).

從心下至小腹, 皆硬滿而痛者, 是邪實也.

須以大陷胸湯 方見寒門 下之.

若小腹硬滿而痛, 小便利, 則是蓄血之證, 小便不利, 則尿澁之證也[正傳].

명치에서 소복까지 모두 딴딴하고 그득하면서 아픈 것은 사기가 실한 것이다.

반드시 대함흉탕(한문)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아랫배가 딴딴하고 그득하게 아프면서 소변이 잘 나오면 축혈증이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요삽증이다(정전).   


'[外形篇] > [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腹痛][한복통]   (0) 2020.02.29
[腹痛有六][복통육유]   (0) 2020.02.29
[脈法][맥법]   (0) 2020.02.29
[腹有大小][복유대소]   (0) 2020.02.28
[腹圍度數][복위도수]   (0) 2017.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