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脉法][맥법]
關上脈緊而滑者, 蛔毒.

관맥[關上脈]이 긴(緊)하면서 활(滑)한 것은 회충독 때문이다.

脈沈而滑者, 寸白虫.

맥이 침(沈)하면서 활한 것은 촌백충 때문이다.

關上脈微浮, 積熱在胃中, 嘔吐蛔虫, 心健忘[脈經].

관맥이 약간 부(浮)한 것은 쌓인 열이 위(胃) 속에 있는 것으로,

회충을 토하고 잘 잊어버린다(맥경).

諸虫脈, 沈實者生, 虛大者死.

모든 충증에 맥이 침실(沈實)하면 살고, 허대(虛大)하면 죽는다.

尺脈沈而滑者, 爲寸白虫.

척맥이 침활(沈滑)한 것은 촌백충 때문이다.

虫脈, 當沈弱而弦, 今反洪大, 卽知蛔虫甚也[正傳].

충맥은 당연히 침약(沈弱)하며 현(弦)하여야 하는데,

반대로 홍대(洪大)하면 곧 회충이 심한 것임을 알 수 있다(정전).

勞瘵脈, 數或濇細, 如潮汗咳血肉脫者, 殂[回春].

노채에 맥이 빠르거나[數] 혹은 삽세(濇細)하고

때에 따라 땀을 흘리고 기침할 때 피가 나오면서 살이 빠지면 죽는다(회춘).

蝕陰肛, 脈虛小者生, 勁急者死[正傳]

익충이 음문과 항문을 파먹을 때 맥이 허소(虛小)하면 살고, 강하고 급하면 죽는다(정전).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物變蟲][제물변충]  (0) 2019.12.11
[蟲外候][충외후]   (0) 2019.12.11
[濕熱生蟲][습열생충]   (0) 2019.12.11
[五臟蟲][오장충]   (0) 2019.12.11
[九蟲][구충]  (0) 2019.12.11

[濕熱生蟲][습열생충]
濕熱鬱積則生虫, 藏府虛則侵蝕[丹心].
습열이 몰려 쌓이면 충이 생기는데, 장부가 허하면 침범하여 갉아먹는다(단심).
濕熱生虫, 正如令人俗驗禾苗雨洒日照, 禾節生虫, 此說明矣.

人患虫積者,

或飢餓失攝,

或腥膾白酒,

或炙食牛羊,

或啖莧鱉,

中脘氣弱, 濕熱少運, 故生寸白蛔蟨諸虫, 形如蚯蚓.

又相似團魚, 曰血鱉, 小兒最多[回春]. 
습열이 충을 생기게 하는 것은 바로 사람들이 일상에서 경험하고 있는 것처럼

벼 이삭이 비를 맞은 뒤 햇볕에 쪼이면 벼 마디에 충이 생기는 것과 같으니,

이 설은 명백한 것이다.

충적을 앓는 사람은 혹 굶주림으로 몸을 잘 섭생하지 못하였거나,

혹은 비린 회와 맑은 술(배갈)을 같이 마셨거나,

혹은 쇠고기와 양고기를 같이 구어 먹었거나,

혹은 비름과 자라를 같이 먹었기 때문이니,

중완의 기운이 약해져 습열을 잘 돌리지[運化] 못하므로

촌백충, 회충, 궐충 등 여러 가지 충이 생긴다.

그 생김새는 지렁이 같거나 또는 자라와 비슷하여 이를 혈별이라고 부르며,

소아에게 제일 많다(회춘).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蟲外候][충외후]   (0) 2019.12.11
[脉法][맥법]   (0) 2019.12.11
[五臟蟲][오장충]   (0) 2019.12.11
[九蟲][구충]  (0) 2019.12.11
[三尸蟲][삼시충]   (0) 2017.05.19

[五臟蟲][오장충]
人勞則生熱, 熱則生虫.

心虫曰蛔, 脾虫曰寸白,

腎虫如方截絲縷,

肝虫如爛杏,

肺虫如蠶, 皆能殺人, 惟肺虫爲急,

肺虫居肺葉內, 蝕肺系, 故成瘵疾, 喀血聲嘶, 藥所不到, 爲難治也[千金].
허로(虛勞)하면 열이 나는데, 열은 충을 생기게 한다.

심충은 회충이라 하고, 비충은 촌백충이라 하며,

신충은 마치 잘라놓은 실오리 같고,

간충은 문드러진 살구 같으며, 폐충은 누에 같다.

모두 사람을 죽게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폐충이 위험하다.

폐충은 폐엽 속에 있으면서 폐계를 갉아먹기 때문에

채질을 생기게 하여 각혈하고 목소리가 쉬게 되는데,

약 기운이 도달치 못하기 때문에 치료하기 어렵다(천금).
宜服獺爪散 方見下.
달조산을 쓴다(처방은 뒤에 있다).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蟲外候][충외후]   (0) 2019.12.11
[脉法][맥법]   (0) 2019.12.11
[濕熱生蟲][습열생충]   (0) 2019.12.11
[九蟲][구충]  (0) 2019.12.11
[三尸蟲][삼시충]   (0) 2017.05.19

[九蟲][구충]
諸虫皆因飮食不節, 或過飡腥膾生冷, 以致積久成熱,

濕熱熏蒸, 痰瘀凝結, 隨五行之氣變化, 而爲諸般奇怪之形.

其名有九.

모든 충은 다 음식을 조절하지 못하거나 비린 회나 날것,

찬 것을 지나치게 먹음으로써 적(積)이 되고,

이 적이 오래되어 열이 생기면 습열(濕熱)이 훈증하게 되고

담(痰)과 어혈이 응결되어 오행의 기가 변화함에 따라 여러 가지 괴상한 모양이 되는데,

그 명칭은 아홉 가지이다.

一曰伏虫, 長四寸許, 爲諸虫之長 卽長虫也.

二曰蛔虫, 長尺許, 貫心卽殺人 卽食虫也.

三曰白虫, 長一寸, 母子相生, 其形轉大而長, 亦能殺人 卽寸白虫.

四曰肉虫, 狀如爛杏, 令人心煩滿悶.

五曰肺虫, 其狀如蠶, 令人咳嗽.

六曰胃虫, 狀如蝦蟆, 令人嘔吐噦逆嘈雜, 愛喫泥炭生米茶鹽薑椒等物.

七曰弱虫, 又名膈虫, 狀如瓜瓣, 令人多唾.

八曰赤虫, 狀如生肉, 令人腸鳴.

九曰蟯虫, 狀如菜虫, 形至細微, 居廣腸, 多則爲痔, 劇則爲癩癰疥癰, 宜貫衆丸[外臺].

첫째는 복충으로, 길이가 네 치 정도 되며, 모든 충의 우두머리이다(즉, 장충이다).

둘째는 회충으로, 길이가 한 자 정도이며, 심장을 뚫으면 사람을 죽인다(즉, 식충이다).

셋째는 백충으로, 길이가 한 치이며, 어미와 새끼가 잇달아 생겨

그 형체가 더욱 커지고 길어지는데, 이것 또한 사람을 죽일 수 있다(즉, 촌백충이다).

넷째는 육충으로, 그 모양이 문드러진 살구 같고, 가슴을 답답하고 그득하게 만든다.

다섯째는 폐충으로, 생김새는 누에 같고 기침이 나게 한다.

여섯째는 위충으로, 생김새는 두꺼비 같고 구토와 딸꾹질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고

편하지 않으며, 진흙·숯·생쌀·소금·생강·후추 등의 음식을 좋아하게 만든다.

일곱째는 약충으로 격충이라고도 하는데, 생김새는 오이의 속 같고 침을 자주 뱉게 된다.

여덟째는 적충으로, 생김새는 날고기 같고 뱃속에서 꾸르륵 소리가 난다.

아홉째는 요충으로, 생김새는 채소 벌레 같고 형체가 아주 가늘고 작으며,

광장(廣腸)에서 살고 있어서 이것이 많아지면 치질이 생기고 심하면 나옹, 개옹이 생긴다.

이상의 충증(蟲證)에 관중환을 쓴다(외대).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蟲外候][충외후]   (0) 2019.12.11
[脉法][맥법]   (0) 2019.12.11
[濕熱生蟲][습열생충]   (0) 2019.12.11
[五臟蟲][오장충]   (0) 2019.12.11
[三尸蟲][삼시충]   (0) 2017.05.19

[三尸蟲][삼시충] 
中黃經曰 一者上蟲 居腦中 二者中蟲 居明堂 三者下蟲 居腹胃
名曰 彭琚 彭質 彭矯也.
惡人進道 喜人退志 上田 乃元神 所居之宮 惟人不能開 此關被 尸蟲居之
故生死 輪廻 無有了期 若能握元神 棲于本宮則尸蟲自滅 眞息自定 所爲一竅開
而萬竅齊開 大關通而百骸盡 通則天眞降靈 不神之神 所以神也(養性書)
중황경에는 “첫째는 상충(上蟲)인데 뇌 속에 있고

둘째는 중충(中蟲)인데명당(明堂)에 있고

셋째는 하충(下蟲)인데 뱃속[腹胃]에 있다.
이것을 팽거(彭 ), 팽질(彭質), 팽교(彭矯)라고도 한다”고 씌어 있다.
충들은 사람이 도(道)를 닦는 것을 싫어하고 마음이 타락하는 것을 좋아한다.
상전(上田)은 원신(元神)이 있는 곳인데 이 관문을 사람은 열지 못한다.
여기에 시충이 살고 있기 때문에 죽고 사는 것이 기한이 없이 흘러가는 것이다.
만일 원신을 잡아서 본궁 위에 살게 한면 시충은 저절로 죽고 생명은 안전하다.
이른바 한 구멍[竅]이 열리면 온갖 구멍이 다 열리고 대관(大關)이 통하면
온갖 뼈마디[百骸]가 다 통하기 때문에 천진(天眞)이 강령(降靈)해서
신령(神靈)하지 않으려 해도 신령해지는 것은 그것이 신령한 까닭이다[양성서].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蟲外候][충외후]   (0) 2019.12.11
[脉法][맥법]   (0) 2019.12.11
[濕熱生蟲][습열생충]   (0) 2019.12.11
[五臟蟲][오장충]   (0) 2019.12.11
[九蟲][구충]  (0) 2019.12.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