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治諸蟲藥][치제충약]
凡取虫作藥之法, 禁聲勿語道, 作藥則虫便下, 驗[本草].
충을 없애는 약을 만들 때는 소리를 내지 말고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이 방법에 따라 약을 만들면 충이 대변을 따라 나오는데, 효험이 있다(본초).
諸虫在人腹中, 子母相生, 漸至滋盛, 當破積殺虫,
宜木香三稜散, 下虫散, 追虫取積散 方見上, 妙應丸, 七轉靈應丹,
萬應丸 方見上, 遇仙丹, 追虫丸, 萬病解毒丹 方見解毒, 五仙丸.
모든 충들은 사람의 뱃속에 있어서 새끼와 어미가 계속 생겨나
점점 번식하여 성해지는데, 떼지어 뭉친 것을 풀고 충을 죽여야 하므로
목향삼릉산, 하충산, 추충취적산(처방은 앞에 있다), 묘응환, 칠전영응단,
만응환(처방은 앞에 있다), 우선단, 추충환, 만병해독단(처방은 해독문), 오선환을 쓴다.
治瘵之法, 一則殺其虫, 以絶其根本, 一則補其虛, 以復其眞元.
若病勢已劇, 元氣已脫, 雖依法取虫, 亦無一生, 只可絶後人之傳注耳[正傳].
노채증을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는 충을 죽여 그 근본을 없애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허한 것을 보하여 그 진원(眞元)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만약 병이 매우 심하여 원기가 이미 탈진되었다면
비록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충을 없애도 한 명도 살릴 수 없다.
다만 다른 사람에게 옮겨지는 것만을 막을 수 있을 뿐이다(정전).
勞瘵主陰虛痰與血病,
四物湯 方見血門 加炒黃柏竹瀝童便薑汁[丹心].
노채는 음허, 담, 그리고 혈병을 주증으로 하니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황백 볶은 것,
죽력, 동변(童便)·생강즙을 더 넣어 쓴다(단심).
勞瘵傳尸, 寒熱交攻, 久嗽咯血, 日漸羸瘦,
先服三拗湯 方見咳嗽, 次與蓮心散, 萬不失一[丹心].
노채 전시로 추웠다 더웠다 하고 오랫동안 기침을 하며 각혈하고 날로 점차 야위어가는 데는
먼저 삼요탕(처방 해수문)을 복용시킨 다음 연심산을 쓰면 만에 하나라도 실수가 없다(단심).
勞瘵殺虫, 宜太乙明月丹, 天靈盖散, 紫金錠子, 五枝散, 神授散.
노채증의 충을 죽이는 데는 태을명월단, 천령개산, 자금정자, 오지산, 신수산을 쓴다.
勞瘵補虛, 宜瓊玉膏, 紫河車丸, 凝神飮子[入門].
노채로 허해진 것을 보하는 데는 경옥고, 자하거환, 응신음자를 쓴다(입문).
古人云, 勞瘵三十六種, 惟陰德可以斷之.
人患此疾, 或入山林, 或居靜室, 淸心靜坐, 叩齒焚香, 節食斷慾, 專意保養, 庶乎可免.
若不導此禁忌, 雖服藥無效[入門].
어떤 옛 사람은 "노채병은 서른여섯 가지가 있는데,
오직 음덕으로만 이것을 끊어버릴 수 있다.
사람이 이 병으로 앓는 경우에 산림 속에 들어가거나
조용한 방에 거처하며 마음을 깨끗이 하고 단정히 앉아 이[齒牙]를 부딪치고
향을 피우며 음식을 조절하고 욕망을 끊어 보양함에 전심하면, 바라는 대로 나을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금기를 따르지 아니하면 약을 먹는다 하여도 효과가 없다"고 하였다(입문).
勞瘵傳尸之疾, 熏治之藥非一, 而鮮有驗者, 惟取末後死者焚之, 可以無傳矣.
노채 전시와 같은 병에 연기를 쏘여서 치료하는 약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효과를 본 사람은 드물다.
그런 약들은 가루내어 죽은 사람과 함께 태워 병이 전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이다(쇄쇄).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蟲畏忌藥][제충외기약] (0) | 2019.12.12 |
---|---|
[辨瘵蟲形色][변채충형색] (0) | 2019.12.12 |
[殺諸蟲服藥法][살제충복약법] (0) | 2019.12.12 |
[瘵不治證][채불치증] (0) | 2019.12.12 |
[勞瘵病證][노채병증] (0) | 2019.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