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癃閉宜吐][융폐의토]
小便不通屬氣虛血虛, 有實熱, 有痰氣閉塞, 皆宜吐之, 以提其氣.
氣升則水自降, 盖氣承載其水也.
氣虛用參朮升麻, 血虛用四物. 痰多二陳.
皆先服, 後探吐之.
實熱當利之, 用八正散 方見上.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은 기와 혈이 허하기 때문인데,
실열과 담이 있어 기가 막힌 경우는 토하게 하여 그 기를 끌어올려야 한다.
기가 올라가면 물[水]은 저절로 내려간다.
이는 기가 물을 떠받쳐 실었기 때문이다.
기허에는 인삼, 백출, 승마를 쓰고, 혈허에는 사물탕을 쓴다.
담이 많으면 이진탕을 쓴다.
모두 약을 먼저 복용한 후에 토하게 한다[探吐].
실열에는 팔정산(처방은 앞에 있다)으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一人病小便不通, 諸藥無效.
丹溪曰, 此積痰病也.
積痰在肺, 肺爲上焦, 而膀胱爲下焦, 上焦閉則下焦塞,
比如滴水之器, 必上竅通, 而後下竅之水出焉.
乃以二陳湯先飮, 大吐之, 病如失[丹溪].
어떤 사람이 오줌이 나오지 않는 병에 걸려 여러 약이 효과가 없었다.
주진형이 "이것은 담이 쌓여 생긴 병이다.
쌓인 담이 폐에 있는데, 폐는 상초이고 방광은 하초라서 상초가 막히면 하초도 막힌다.
이는 물을 방울방울 나오게 하는 그릇에는 반드시 위에 구멍이 뚫려 있어야
아래의 구멍으로 물이 나오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이다"라고 하며,
이진탕을 먼저 복용시켜 크게 토하게 하자 곧 병이 나았다(단계).
痰多阻滯, 水道不通,
二陳湯加香附子木香木通煎之, 先服一盞,
以餘渣探喉中吐之, 以提其氣, 氣升則水自降.
담이 많아 오줌길[水道]이 막히고, 오줌이 통하지 않는 데는
이진탕에 향부자, 목향, 목통을 넣고 달여 먼저 한 그릇 마신 다음,
약 찌꺼기를 달인 것으로 목구멍을 자극하여 토하게 하여서 그 기를 끌어올린다.
기가 올라가면 물은 저절로 내려가기 마련이다.
實熱不通, 砂糖水調黑牽牛末一二錢服, 探吐之[入門].
실열로 오줌이 나오지 않으면
설탕물에 검은 견우자가루 한두 돈을 타서 마시고 토하게 한다[探吐](입문).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轉脬證][전포증] (0) | 2019.12.19 |
---|---|
[癃閉宜瀉][융폐의사] (0) | 2019.12.18 |
[老虛人癃閉][노허인융폐] (0) | 2019.12.18 |
[小便不通][소변불통] (0) | 2019.12.17 |
[小便不利][소변불리] (0) | 2019.12.17 |